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하 환경에서의 드론 기반 입체사진측량기법의 정확도 분석

        김진언 ( Jineon Kim ),강일석 ( Il-seok Kang ),이용기 ( Yong-ki Lee ),최지원 ( Ji-won Choi ),송재준 ( Jae-joon Song ) 대한화약발파공학회 2020 화약발파 Vol.38 No.3

        입체사진측량기법을 이용하면 지하공간 개발 시 발파로 발생하는 여굴 및 미굴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조사할 수 있다. 입체사진측량 기술을 소형 무인항공기인 드론과 접목할 경우 조사를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나, 기존의 연구들이 지상에 국한되어 있어 지하 환경에서의 적용은 아직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드론 기반 입체사진측량기법을 지하공간으로 확장하기 위해, 지하 갱도의 암반면을 대상으로 드론을 이용한 입체사진측량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드론 기반 입체사진측량기법의 정확도를 평가 및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해당 기법이 지하공간 내에서도 높은 정확도를 갖췄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정확도 분석 결과를 토대로 드론을 이용한 지하 입체사진측량을 위한 권장 촬영 및 정합 조건을 제시하였다. Stereophotogrammetry can be used for accurate and fast investigation of over-break or under-break which may form during the blasting of underground space. When integrated with small unmanned aerial vehicles(UAVs) or drones, stereophotogrammetry can be performed much more efficiently. However, since previous research are mostly focused on surface environments, underground applications of drone-based stereophotogrammetry are limited and rare. In order to expand the use of drone-based stereophotogrammetry in underground environments, this study investigated a rock surface of a underground mine through drone-based stereophotogrammetry. The accuracy of the investigation was evaluated and analyzed, which proved the method to be accurate in underground environments. Also, recommendations were proposed for the image acquisition and matching conditions for accurate and efficient application of drone-based stereophotogrammetry in underground environments.

      • KCI등재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해외 건설 프로젝트 특성요인이 손익율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진언,예상,Kim, Jineon,Kim, Yeasa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14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5 No.2

        1960년대부터 우리나라 건설사는 중동 건설 붐을 통해 노동집약적인 건설산업을 부흥시키기 위해 진출을 하였고, 이를 자양분으로 삼아 경제 부흥에 큰 일조를 하였다. 하지만 최근 20년간 해외 건설산업은 매출규모는 이전에 비해 비약적인 증대를 보였으나 이익 측면에서는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오히려 그 추세는 하향세를 그리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형시공사의 최근 30년간 180여개의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요소가 손익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통계적인 시각에서 그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통계적인 기법은 다중회귀분석을 선택하였고, 다수의 독립변수가 하나의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도출하여 향 후 해외 건설 프로젝트 입찰 또는 수행 시 참고가 가능한 판별 기준을 설정하고자 한다. From $1960^{th}$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rapidly grown due to Meddle-East construction market growth. To earn foreign currency and to raise overall Korean industry government has encouraged construction frontiers. As construction industry could grow up for its labour based originity but the time passes by and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requests engineering know-how and technology for productivity to earn more profit. Over last 20 years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share has been dramatically raised but its profit share is gradually declining. This study analyzed data sets of over 180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for last 30 years of domestic contractor by using multiple-regression analysis and derived an output how input variables of characters explaining the construction project effects its prof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