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유선택활동에서 유아들이 보여주는 배려의 표현

        김정림 ( Kim Junglim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14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7 No.-

        본 연구는 유아들이 보다 유능한 배려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유아들이 수행하는 배려행동을 배려의 개념 즉 배려의 관계, 동등성, 실천의 측면에 비추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약 두 달 간 만4세 학급에서 참여관찰 및 동영상 촬영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관계적 측면에서 유아들은 전념 및 동기전환의 태도를 보여주었으나 자신의 능력을 과시하면서 배려를 수행하거나 상대방의 배려를 거부하기도 하였다. 동등성 측면에서는 상대방과 자신의 차이를 인정하는 유아도 있었으나 이 시기 유아들의 자아중심성이나 인지적 한계로 인해 상대 유아의 능력을 인정하지 않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실천적 측면에서 유아들은 또래를 배려하는 행동을 수시로 보여주기는 하였으나 주로 간섭의 형태로 배려가 표현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To support young children who can be a good carer, this study explored children's caring from the concept of caring(relationship, equality, practice). In terms of relationship, they showed engrossment and motivational displacement, but they showed off their competence. Also, some children refused other’s caring. In terms of equality, some children recogni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selves and other people, but they showed that they did not recognize peer’s ability because of their egocentrism and cognitive limitations. Finally, in terms of practice, children frequently demonstrated caring behaviors, but it was mainly in the form of interference.

      • KCI등재후보

        유아의 문제행동과 의사소통능력의 관계

        김정림 ( Kim Junglim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18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문제행동과 의사소통능력의 차이를 확인하고, 문제행동과 의사소통능력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 5세 유아 165명을 대상으로 문제행동과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이원변량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과 연령에 따라 유아의 문제행동과 의사소통능력에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의사소통능력은 유아의 외현적, 내재적 문제행동과 부적으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사소통능력은 유아의 외현적 문제행동보다 내재적 문제행동과 좀 더 높은 상관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problem behaviors and communication ability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and a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behaviors and communic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165 children aged 4 and 5 who were in kindergartens in Gyeonggi-do were examined for their problem behaviors and communication abil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blem behaviors and communication ability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and ag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abil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children’s external and internal problem behaviors. Specifically, communication ability was more negatively related to internal problem behaviors than external problem behavi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to reduc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 KCI등재후보

        배려의 관점에서 누리과정 내용 분석

        김정림 ( Junglim Kim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17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0 No.-

        본 연구에서는 배려의 개념을 고찰하고, 이에 기초해서 누리과정의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배려를 관계, 동일성과 동등성, 실천으로 개념화하였다. 분석결과, 누리과정은 배려의 관계적 측면, 동일성과 동등성의 측면, 실천의 측면과 관련된 내용들을 비교적 모든 영역에서 골고루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누리과정의 성공 여부는 현장 교사들의 역량에 의해 좌우된다. 따라서 교사들은 배려를 포함한 인성교육의 가치를 인식하고, 누리과정 구성의 기본방향에 대한 교사의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cept of care and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NURI based on this concept. To this end, we conceptualized caring as relation, the same and the equal, practi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curriculum reflects the concept of caring evenly in all areas. However, the success of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NURI depends on the competence of field teachers. Therefore, it was discussed that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value of humanistic education including caring and th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he basic direction of the curriculum should be preceded.

      • KCI등재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김희태(Kim, Wheetai),김정림(Kim, Junglim),곽창순(Kwak, Chang Soo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304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모형을 검증한 결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에 대한 Bootstrapping 검정 결과,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이직의도의 관계에 대한 보육교사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 원장은 감성리더십을 함양하고, 이를 통해 교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director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childcare teacher. To do this, data was collected from 304 childcare teachers at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bootstrapping test,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the director needs to cultivate better emotional leadership and thereby improve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 KCI등재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유아의 정서지능 및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김희태(Kim, Wheetai),김정림(Kim, Junglim)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유아의 정서지능 및 놀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만 3, 4, 5세 유아 186명과 이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의 정서표현수용태도, 유아의 정서지능 및 놀이성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자녀에 대한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는 유아의 정서지능과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정서 지능 중 또래와의 관계, 놀이성 중 사회적 자발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부모의 수용태도가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al attitude toward young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o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playfulness.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86 children of 3 to 5 years of age who were in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the surrounding Gyeonggi Province, and their parents. They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of Parental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PACE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layfulness. This study showed that parental attitude toward young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was significant to explai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playfulness. Peer relationships were influenced based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playfulness. Specifically, the explanatory power of parental attitude toward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was high.

      • KCI등재후보

        영유아 자기조절력 측정도구의 델파이 조사

        양옥승 ( Ok Seung Yang ),김정림 ( Junglim Kim ),이은정 ( Eunjung Le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5 열린부모교육연구 Vol.7 No.1

        영유아 자기조절력 측정도구의 개발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교육 및 보육 전문가 37명(1차 30명, 2차 7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177문항으로 구성된 시안에 대해 5점으로 평정한 1차 결과, 문항 선정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44문항이 삭제되어 측정도구는 133문항(목표지향 행동 48문항, 정서조절 행동 85문항)으로 조정되었다. 조정된 133문항 중 127문항은 문항타당도 기준(r≥.30)을 충족하였고, 목표지향 행동과 정서조절 행동은 자기조절력을 구성하는 타당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계수 .96-.99로 나타났으나, 전문가 집단은 126문항에 대해서만 의견이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델파이 2차 조사에서 패널들은 각 문항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최종 125문항을 확정하였다. To develope the Self-Regulation Scal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is study performed two Delphi survey conducted by a panel of 37 experts. Panelists evaluated 177 preliminary items. The primary findings, the Self-Regulation Scal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has been adjusted to a total of 133 items, including 48 goal-directed behavior items and 85 emotion regulation behavior items. 127 items of 133 items were met the item validity criteria(r≥.30). The construct validity of self-regulation total sco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 regulation behaviors as well as with goal-directed behaviors, and the reliability was ranged from .96 to .99. Also, the responses of the researcher group and those of the teacher group do not show any differences among the 126 items. In the secondary Delphi survey, the panelists discussed each of the items and 125 items were finally confirmed.

      • 영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김희태(Whee Tai Kim),김정림(Junglim Kim),박지연(Ji Yeon Park)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rough this, we tried to find a way to effectively improve the teacher’s interaction ability. To achieve this study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383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nationwide. Data to be used for analysis were collected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on mobile to teacher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collected data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ain effects of empathy and social support for teacher-child interaction were significant under the control of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study subjects. While the main effects of empathy and social support were controll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 moderating variable, was significant.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perceived by teacher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Based on the results, ways to improve teachers’ interaction abilit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사의 상호작용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383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에 사용될 자료는 연구 참여에 동의하는 교사들에게 모바일로 질문지를 배부하여 수집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로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을 통제한 상태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공감능력과 사회적 지지의 주효과가 유의하였다. 공감능력과 사회적 지지의 주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 조절변인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공감능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해서 교사의 상호작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위한 자기조절력 측정척도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양옥승 ( Yang Okseung ),김정림 ( Kim Junglim ),양유진 ( Yang Yuji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4

        영유아기 자녀를 위한 자기조절력 측정척도의 개발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교육 및 보육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에 사용된 시안은 5점 리커트 척도로서 총 96문항(자기감정 인지 19문항, 타인감정 인지 16문항, 감정억제 16문항, 감정대처 14문항, 자기의도 인지 15문항, 행동계획 및 모니터링 1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각 문항의 평균 및 표준편차, 사분범위(IQR), 내용타당도 비율(CVR) 값을 산출하여 문항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델파이 1차 조사 결과, 문항선정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문항은 8문항으로 확인되었으나 패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문항 내용을 수정하였다. 델파이 2차 조사에서 모든 문항의 평균 및 표준편차, CVR 값이 문항 선정 기준(M≥4.00, SD≤1.00, CVR≥.42)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분범위를 검토했을 때 1문항이 문항 선정 기준(Q3-Q1≥1.00)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각적인 기준으로 문항의 타당성을 분석한 결과, 영유아기 자녀를 위한 자기조절력 측정척도는 최종 96문항으로 확정되었다. In order to develop self-regulation scale for infants and preschoolers, two sessions of Delphi surveys were performed on 20 educational and day care experts. Draft proposal for the surveys was a 5 point Likert scale consisting of total of 96 items as follows: 19 items for recognition of one`s own emotions; 16 items for recognition of others` emotions; 16 items for inhibition of emotions; 14 items for emotional coping; 15 items for recognition of his/her own intentions; 16 items for behavior planning and monitoring. Validity of the items was evaluated by considering the mean, standard deviation, inter-quartile range(IQR) and content validity ratio(CVR) of each items. There were 8 items that were deemed insufficient to qualify as items from the first session of Delphi survey, resulting in revision of the contents of the items based on the panelists` recommendations. All items were found to qualify as items from the second session of Delphi survey based on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VR values(M≥4.00, SD≤1.00, CVR≥.42). One item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to qualify as an item based on the IQR, but upon multilateral analysis of items, total of 96 items were confirmed for self-regulation scale for infants and preschoolers.

      • KCI등재

        뇌과학 관점에서 본 영유아의 자기조절 발달

        양옥승 ( Yang Okseung ),김정림 ( Kim Junglim ),양유진 ( Yang Yuji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력을 뇌과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여 영유아의 자기조절력이 어떠한 단계를 거쳐 발달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조절력과 관련된 뇌 기제에 대해 알아보고, 뇌과학 관점에서 영유아의 인지조절 및 정서조절의 발달을 고찰하였다. 고찰한 내용을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영유아의 자기조절력 중 인지조절은 배외측 전전두피질(DLPFC), 전측대상피질(ACC)의 발달과 신경전달물질의 활발한 생성과 활동으로 자기의도 인지, 행동계획 및 모니터링의 순으로 발달한다. 둘째, 영유아의 정서조절은 신경전달물질의 생성 및 활동과 전전두 피질(PFC)의 발달, 특히 안와 전전두피질(OFC), 전측대상피질이 발달함으로써 자기정서 인지, 타인정서 인지, 정서억제, 정서대처의 순으로 발달한다. 연구결과에 근거해서 영유아의 자기조절력 발달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science and investigating the stages through which the self-regulation of young children would develop.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ased on the investigation. First, among the self-regulation of young children, cognitive regulation develops through the stages in the order of recognition of his/her own intentions, followed by behavior planning and monitoring, based on the development of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DLPFC) and anterior cingulate cortex(ACC) and the vigorous generation and activity of neurotransmitters. Second, emotional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develops through the stages in the order of recognition of one`s own emotions, recognition of others` emotions, inhibition of emotions and emotional coping, also based on the development of prefrontal cortex(PFC), especially OFC and ACC area and generation and activity of neurotransmitters. Based on the findings, the measures to effectively support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of young children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의 자기조절력, 배려행동 및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교육기관 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정수진(Jung, Sujin),김희태(Kim, Wheetai),김정림(Kim, Junglim)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력, 배려행동 및 교사-유아 관계의 인과적 경로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전시 및 세종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4-5세 유아 328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기조절력, 배려행동 및 교사-유아 관계는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배려행동과 교사-유아 관계를 통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에 기초해서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을 도울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sual pathways of self-regulation, caring behavior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that affect children’s adjustment to preschool. Further, the study intends to lay a theoretical foundation that can effectively help children adjust to preschool.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328 children aged 4-5 who were enrolled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Daejeon city and Sejong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self-regulation, caring behavior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directly affected preschool adjustmen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s self-regulation indirectly affected preschool adjustment through caring behavior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measures to help children adapt to preschool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