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발달 궤적: 친구관계와 교사관계의 동시 및 지연효과

        김은예,한수연,원성준 한국청소년학회 2024 청소년학연구 Vol.31 No.1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social withdrawal during middle and high school periods and to examine the contemporaneous and lagged effects of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s on social withdrawal at each time point. Data from the first year(7th grade) to the fifth year(11th grade) of the KCYPS 2018 middle school panel were used to conduct a latent growth modeling analysis. In addition, students' gender, family socioeconomic status, and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were included as predictors of the initial value and change rate of the trajectory. Finally, the study evaluated the concurrent and lagged effects of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s in predicting social withdrawal.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attern of change in social withdrawal showed a transitional effect, remaining constant during middle school and subsequently decreasing during high school. Second, gender, family socioeconomic status, and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all significantly predicted the initial level of social withdrawal, but only gender significantly predicted changes in social withdrawal. Third, peer relationships showed contemporaneous effects in predicting social withdrawal at all time points, while teacher relationships only showed contemporaneous effects during middle school. Fourth, only peer relationships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showed a lagged effect in predicting social withdrawal in the second year. Findings from this study highlight the need for differentiated intervention strategies in schools to reduce social withdrawal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우울, 친구관계, 학업 무기력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공감능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은예,한수연,박용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3 한국청소년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의 ‘우울’과 ‘학업 무기력’의 관계에서 ‘친구관계’의 매개효과와 ‘인지적 공감능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KCYPS 2018의 4차 시점(2021년)에 조사된 고등학교 1학년 2,265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moderated-mediation)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은 친구관계를 부적으로, 학업 무기력을 정적으로 예측하고, 친구관계는 학업 무기력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친구관계는 우울과 학업 무기력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이 친구관계에 미치는 직접효과, 친구관계를 통해 학업 무기력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인지적 공감능력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우울이 학업 무기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낮추는 데 있어 긍정적인 친구관계와 인지적 공감능력의 역할을 보여주었다. 종합하면, 본 연구의 결과는 우울이 높은 청소년들의 학업 무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적 측면인 정서 요인으로서 우울에 대한 개입 뿐만 아니라 사회적 측면인 긍정적인 또래관계 형성을 위한 개입이 필요하며, 더불어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는 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er relationship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pathy’ in the 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academic helplessness’ of adolescents. To this end, data from 2,265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surveyed at the 4th measurement point of KCYPS 2018 (year of 2021) were analyzed using Hayes’ model 7 for the moderated mediatio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negatively predicted ‘peer relationships’ but positively predicted ‘academic helplessness’, while ‘peer relationships’ negatively predicted ‘academic helplessness’. Second, ‘peer relationships’ were shown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academic helplessness’. Third, the direct effect of ‘depression’ on ‘peer relationships’ and the indirect effect of ‘depression’ on ‘academic helplessness’ through ‘peer relationships’ were moderated by ‘cognitive empathy’. Findings demonstrated that it would be important for adolescents to form positive peer relationships and especially to improve cognitive empathy, in order to lower the negative impact of depression on academic helplessness.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reduce academic helplessness of those adolescents with a high level of depression, interventions should be made to help them form positive peer relationships and improve cognitive empathy.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김은예,박현미,고한나,김설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4 청소년상담연구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의 요구를 탐색하여 학교 밖 청소년 대상의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 밖 청소년 대상으로 사회정서학습 역량, 사회정서학습 역량 요구도,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만 15세부터 만 18세에 해당하는 144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사회정서학습 역량의 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해 t검정,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혼합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정서학습 역량의 현재수준은 ’관계관리’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정서학습 역량별 요구도는 ‘자기인식’, ‘자기관리’, ‘책임있는 의사결정’ 순으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 인식은 보통 정도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를 중단한 기간에 따라 사회정서학습 역량의 요구도에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운영 방식과 관련해서 총 6회기 이상~8회기 미만, 개별 활동, 회기당 1시간~2시간 미만을 선호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여 프로그램에 반영한다는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대상에게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한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needs of out-of-school adolescents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social-emotional learning (SEL) programs tailored for them. To achieve this, the study assessed the SEL competencies, the demand for these competencies, and the demand for SEL programs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144 adolescents aged 15 to 18.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employing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o determine the priorities for SEL competency needs, a combination of t-test, Borich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as used. First, the highest SEL competency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was 'relationship skills'. Second, the highest SEL competency in demand was 'self-awareness,' followed by 'self-management' and 'responsible decision-making'. Third,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necessity for SEL programs was moderate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Fourth, SEL competencies in demand were different based on the period how long participants were out of school. Finally, preferred program formats included 6 to 8 sessions, individual activities, and sessions lasting less than one to two hour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SEL programs by identifying specific needs of out-of-school adolescents and incorporating these needs into program design.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요인 탐색: K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은예,김성록,임다미,조한나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4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전공교육만족도에 대한 계열별 차이를 분석하고, 전공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차원의 요인들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남에 위치한 4년제 종합대학인 K 대학교에 재학 중인 2,951명의 설문 응답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열별 전공교육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공학 계열과 예체능 계열 학생들이 인문‧사회 계열과 자연 계열 학생들보다 전공교육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전공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요인을 분석한 결과, ‘수업 영역’ 중 학과 목표 전공역량 인식, 학과 목표 전공역량 적절성, 전공교육과정 이수 체계, 강의계획서 충실성, 성적 평가 공정성, 실험 실습 중심 수업, 문제 및 탐구 기반 학습, 현장 기반 학습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teaching) 영역’ 중 학생 상담에 대한 교수진의 적극성이 전공교육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계열별로 각기 다른 교수학습 방법이 전공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공교육 질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성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major education satisfa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by academic division and to explore school-level factors that influence major education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survey responses of 2,951 students enrolled at K University,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Chungnam, were analyzed.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jor education satisfaction across different academic divisions. Students in the engineering and arts and physical education fields reported lowe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education than studen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 Second, an analysis of the school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with their major education revealed that within the ‘instructional area’, affecting major education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following factors had a positive impact: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department’s major competency goals, appropriateness of these goals, the curriculum structure for completing major requirements, the thoroughness of course syllabi, fairness of grade evaluation, the emphasis on practical and laboratory-based courses, problem-and inquiry-based learning, and field-based learning. Additionally, in the 'teaching' area, the nature of student counseling by faculty positively influenced major education satisfaction. Third, the impact of eac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n major education satisfaction varied by academic divi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자아존중감, 진로장벽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김은예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ocial stigma, self-esteem, career barriers of out-of-school adolescents change and interact over time. For the purpose, the four-year data, that is, 2nd, 3rd, 4th, 5th data of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 Adolescents Panel Study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analyzed by applying a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he variables used in the analysis were social stigma, self-esteem, career barriers of out-of-school adolescents. And the long-term bidirectional relationships among social stigma, self-esteem, and career barrier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utoregressive effect of social stigma, self-esteem, and career barriers that out-of-school adolescents perceive was significant over time. Second, there was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mobile social stigma and self-esteem.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exist between self-esteem and career barriers in out-of-school adolescents. Third, although previous career barriers had an impact on the subsequent social stigma, it din not affect the subsequent career barrier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자아존중감, 진로장벽 간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종단적 상호 관련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4개년 자료인 2~5차년도 종단자료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2차년도부터 5차년도까지 학교 밖 청소년들의 사회적 낙인감, 자아존중감, 진로장벽은 시간의 변화에도 각각을 안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낙인감과 자아존중감, 진로장벽의 교차회귀계수를 측정한 결과, 사회적 낙인감과 자아존중감은 종단적으로 부적인 상호 인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진로장벽도 종단적으로 부적인 상호 인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전 시점의 진로장벽은 이후 시점의 사회적 낙인감을 정적으로 예측하였지만 이전 시점의 사회적 낙인감이 이후 시점의 진로장벽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상호 인과 관계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고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안하였다.

      • KCI우수등재

        대학생의 가치와 학업 관련 태도 및 성취의 관계

        김은예(Kim, Eun Ye),박용한(Park, Yong Han)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가치와 학업 태도 및 성취 간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대학교에 재학 중인 37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변인들에 대한 기술통계 및 상관 분석을 실시하고 남녀 대학생의 가치 우선순위를 살펴보았다. 또한 4개 상위가치 및 19개 하위가치가 주요 학업 관련 변인을 어떻게 예측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쾌락추구, 자기주도-행동, 보편주의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 전통, 동조-대인, 권력 가치는 덜 중요하게 평가하였다. 남녀 대학생 간 가치 우선순위는 대체로 유사하였다. 둘째, 4개 상위가치 중 개방성 및 자기초월 가치는 자기결정성, 성장마인드셋, 그릿, 협동역량 등 긍정적인 학업 변인을 정적으로 예측한 반면, 자기고양 가치는 자기결정성, 숙달목표, 성장마인드셋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구체적인 하위가치 중 자기주도, 보편주의-관심 등의 가치는 자기결정성, 숙달목표, 자기효능감, 성장마인드셋, 그릿, 협동역량 등 긍정적인 학업 변인을 정적으로 예측한 반면, 권력-자원과 체면 가치는 자기결정성, 자기효능감, 그릿 등을 부적으로 예측하고 시험불안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한편, 가치와 학업성취 간에는 주목할 만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가치가 학업 성취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었지만 성공적인 학업 성취의 예측 요인으로 알려진 학습 동기 및 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자기주도 가치 뿐만 아니라 이타적이고 자기초월적 특성을 지닌 보편주의 및 박애 가치가 긍정적인 학업 태도를 예측한 결과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 of college students values to their academic attitudes and achievement. To do this, a self-reporting survey was administered to 370 college students. Data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descriptive and correlational analyses for primary variables, and the rank analysis was conducted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value preference. In additio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plore how values would predict academic variabl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put more importance on the values such as hedonism, self-direction(action), and universalism, while they put less importance on the values such as tradition, conformity(interpersonal), and power.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a similar pattern in their value preferences. Second, among the four higher-order values, openness and self-transcendence positively predicted students’ self-determination, growth mindset, grit, and collaboration, but self-enhancement negatively predicted self-determination,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growth mindset. Third, among the specific 19 values, self-direction and benevolence(tolerance) positively predicted self-determination, mastery goal orientation, self-efficacy, growth mindset, grit, and collaboration, while power(resources) and face predicted self-determination, self-efficacy, and grit negatively but test anxiety positive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value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sum,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college students’ values closely related to their positive academic attitudes. Especially,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regarding the relations of the altruistic and self-transcending values such as universalism and benevolence to positive academic attitudes.

      • KCI등재

        가치 점화와 조절초점 상황이 불안 및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은예(Eunye Kim),박용한(Yonghan Park) 한국교육심리학회 2021 敎育心理硏究 Vol.35 No.3

        본 연구는 가치 점화 조건과 조절초점 상황에 따른 불안 및 과제 수행에서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개인이 추구하는 가치와 과제 수행에서의 접근 또는 회피 목표가 학습자의 과제 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2명의 성인이 실험에 참여하였고, 자기초월 또는 자기고양 가치 점화조건에 무선으로 할당되었다. 또한 모든 참여자들은 무선적 순서로 제시된 향상 및 회피 조절초점 상황에서 각각 2-back 과제를 반복 수행하였으며, 과제 수행 동안 참여자들의 불안, 과제 정확반응률, 과제 오반응률, 과제 정확반응시간이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 독립표본 t 검증, 이원공변량분석 등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초월 가치 점화 집단은 상대적으로 쾌락추구 가치를 더 중요하다고 평가한 반면, 자기고양 가치 점화 집단은 자기주도-행동과 권력-지배 가치를 더 중요하다고 평가하였다. 둘째, 과제 수행 시 참여자들이 보고한 불안에 대해서 가치 점화 조건과 조절초점 상황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자기고양 가치로 점화된 집단은 향상초점 상황보다 예방초점 상황에서 불안이 약간 낮았던 반면, 자기초월 가치로 점화된 집단은 예방초점 상황보다 향상초점 상황에서 불안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초월 가치 점화 집단이 자기고양 가치 점화 집단보다 조절초점 상황에 관계없이 과제 수행에서 높은 정확반응률과 낮은 오반응률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이타적인 자기초월 가치의 추구가 인성적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과제 수행을 비롯한 학업적 성취 상황에서도 중요함을 보여주었으며, 손실과 실패를 방지하기보다는 긍정적 결과를 획득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수업 환경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value and approach/avoidance goal situations affect learners’ task performance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learners’ anxiety and task performance by value priming condition and regulatory focus situation. To this end, 42 adults were assigned randomly to either the self-transcendence or self-enhancement value condition.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in each condition performed 2-back tasks under two different situations, promotion and prevention regulatory focus situations in a random order. During the task, participants’ anxiety level, accuracy rate, error rate, and response time wer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d two-way ANC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primed with the self-transcendence value showed higher hedonism value, while the participants primed with the self-enhancement value showed higher self-direction (action) value and power (dominance) value. Secon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value priming condition and regulatory focus situation were found on participants’ anxiety during the tasks. In other words, participants in the self-enhancement condition showed slightly lower anxiety in the prevention situation than the promotion situation, whereas the participants in the self-transcendence condition showed lower anxiety in the promotion situation. Third, the participants primed with self-transcendence showed higher accuracy rates and lower error rates than those primed with self-enhancement.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the altruistic self-transcendence value would be important not only for character education but also for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instructional environment should focus more on the promotion of positive results than on the prevention of loss and failure.

      • KCI등재

        교양 교과목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A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조한나,김은예 한국교양교육학회 2024 교양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교양 교과목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 요인 분석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시사점을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충남 소재 A 국립대학 재학생 2,042명의 설문 응답결과에대해 상관분석과 기술통계, 학생 배경특성별 학습 성과 차이 분석, 교양 교과목 학습성과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에 대해 중다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배경특성에따른 학습성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 1학년이 2학년과 3학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학습성과가 낮게나타났다. 또한, 예술대학 학생들이 사범대학, 인문사회과학대학, 공과대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낮게 나타났다. 둘째,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강의계획서 영역’의 학습목표의 명확성, ‘강의내용 영역’의 학습목표 달성을 위한 강의내용 구성, ‘강의 운영 영역’의 교수자의충분한 강의 준비, 강의 진행 도중 교수자와의 활발한 의사소통, 강의계획서에 제시된 주차별 강의의충실성, 적절한 보강 실시, ‘학생평가 영역’의 수업 방법에 대한 적절한 학습 평가 방법 활용, 과제물과평가 결과에 대한 적절한 피드백 제공이 교양 교과목 학습성과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강의계획서 영역’의 학습목표 명확성은 강의 내용 이해 정도만 유의하게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강의 운영영역’의 강의 진행 도중 교수자와의 활발한 의사소통, 강의계획서에 제시된 주차별 강의의 충실성,적절한 보강실시는 지식(역량) 향상 정도만 유의하게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반면, ‘강의 운영 영역’의강의 내용 변경 안내의 적절성은 부적으로 유의하게 지식(역량) 향상 정도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양 교과목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교수자의 역할의 중요성,강의계획 수립 시 학습목표 달성을 위한 강의 내용 구성, 충분한 강의 준비, 강의 도중 학습자와 활발한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한 전략 수입 등 적절한 학습평가 방법 활용이 필요하며, 과제물이나 평가 방법및 피드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general education by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learningoutcomes in general education course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42 enrolled students at A NationalUniversity located in Chungnam. For this study, correlation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differences in learningperformance according to students’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learningperformance in general education course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the difference in learning outcomes based on students’ background characteristics, we can see that the first-year students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in satisfaction than their second and third-year counterparts. Additionally, students fromthe College of Ar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compared to those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and College of Engineering. Secondly, th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learningoutcomes showed that in the “Course Syllabus Area”, the clarity of learning objectives, in the “Course Content Area” theorganization of course content for achieving learning objectives, and in the “Course Operation Area,” factors such as instructors’adequate preparation, active communication with instructors during lectures, adherence to the weekly course schedule outlinesin the syllabus, and appropriate supplementary sessions significantly predicted learning outcomes in general education courses. Additionally, in the “Student Evaluation Area,” the use of appropriate assessment for teaching methods, as well as providingsuitable feedback on assignments and evaluation result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learning outcomes. Furthermore, wefound that the clarity of learning objectives in the “Course Syllabus Area” only moderately predicted the understandingof course content. Additionally, factors in the “Course Operation Area” such as active communication with instructors duringlectures, adherence to the weekly course schedule, and appropriate supplementary sessions only moderate predicted knowledgeand skill improvement. However, we also found the appropriateness of notifying the students of any changes in course contentin the “Course Operation Area” no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knowledge and skill improvement. Basedon the above research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instructor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ir role in influencinglearning outcomes in general education courses. Additionally, it is crucial that instructors carefully structure course contentduring the planning phase to align with the achievement of learning objectives. Adequate preparation by instructors, activeengagement with students during lectures, and the implementation of strategies to enhance interaction should be prioritized. Furthermore,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appropriate assessment methods for teaching and providing constructive feedbackon assignments and evaluations is essential. This study also suggested deriving recommendations for assignment criteria,evaluation methods, and feedback mechanis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