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신뢰지수 KTI 설계

        김유경 ( Yukyong Kim ),지은화 ( Eun-wha Jhee ),신용태 ( Yongtae Shin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4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5 No.6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생산 유통되는 정보들은 신뢰할 수 없는 불분명한 정보들이 많고 그런 정보들이 무분별하게 확산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정보에 대한 신뢰성 여부를 판단하기가 힘들다. 특히 정보의 신뢰성에 대한 평가가 전적으로 사용자들의 판단에 맡겨지고 있는 상황에서, 온라인 정보의 신뢰도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 방안의 마련이 절실하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신뢰도 평가 지표로서 KTI (Korean Trust Index for SNS)를 설계하여, 서비스 사용자들이 정보의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사회적 신뢰 수준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SNS의 서비스 특성을 고려하여,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정의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에서 유통되는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는 신뢰모델을 설계하고 신뢰지수 KTI를 제시하였다. 신뢰지수 KTI의 개발은 SNS에 대한 신뢰 수준을 측정하여 이를 정량화함으로써, SNS 연결망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신뢰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Due to the spread of unreliable online information on the social network services, the users are faced with a difficult problem for determining if the information is trustworthy or not. At present, the users should make a decision by themselves throughly for the trustworthiness of the information. Therefore, we need a way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trustworthiness of information on the social network services. In this paper, we design a trust index, called KTI (Korean Trust Index for SNS), as a criterion for measuring the trust degree of the information on the social network services. Using KTI, the users are readily 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information is trustworthy. Consequently, we can estimate the social trust degree based on the variation of KTI. This paper derives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trust from the properties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s, and proposes a model to evaluate the trustworthiness of information that is directly produced and distributed over the online network. Quantifying the trust degree of the information on the social network services allows the users to make efficient use of the social network.

      • KCI등재

        QoS 기반 웹서비스 조합에서 신뢰성 평가를 통한 서비스 선택 기법

        김유경(Yukyong Kim),고병선(Byung Sun Ko)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6 No.1

        분산된 환경에서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웹서비스의 신뢰성은 매우 중요한 서비스 선택 요인이 되고 있다. 기업 간 협업과 같은 개방적 비즈니스 모델을 충족시키기 위해, 여러 단위 웹서비스들이 상호 연동하여 상위 수준의 비즈니스 트랜잭션을 형성하는 웹서비스 조합에서 신뢰성의 문제는 더욱 중요해진다. 그러나 단위 웹서비스 각각의 신뢰성이 보장된다고 해도, 조합된 서비스의 신뢰성은 보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합된 서비스의 신뢰성에 대한 평가 및 서비스 결정을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웹서비스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신뢰도 평가 메트릭스를 정의하고, 이를 통해 조합된 웹서비스의 신뢰수준을 추측하기 위한 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신뢰성 평가 모델을 기반으로 웹서비스 조합에서 신뢰할 수 있는 웹서비스 선택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정의한다. 서비스 사용자의 직관적인 선택이 아니라 정량적인 평가를 통한 선택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기능적 요구사항뿐만 아니라 품질 요구사항에서도 보다 만족할만한 선택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heterogeneous and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s,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Web services providing similar functionalities, the reliability of Web services is a critical decision factor. To fulfill the open business model such as cooperation among enterprises, several Web services can be composed into the upper level business transaction. In Web services composition, the reliability of services is more and more critical. Though each unit Web service can be reliable, the reliability of the composed service is not guaranteed. Thus a way to efficiently assess and select composed Web services is needed. In this paper, we define new metrics for measuring the trust value of Web services, and propose an evaluation method to predict the trustworthy degree of the composed services based on the metrics. We also define a conceptual framework to support optimal Web services selection based on the proposed trust evaluation method. By selecting using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rather than intuitive selection of the service user, it allows the service users to select the high reliable service meeting their quality requirements well.

      • KCI우수등재

        실행시간 의존성 측정을 통한 SOA 취약성 평가

        김유경(Yukyong Kim),도경구(Kyung-Goo Doh) 한국전자거래학회 2011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6 No.2

        현재까지 서비스지향 아키텍처(SOA) 보안은 개별 표준들과 솔루션에 의한 대응에 집중해 있을 뿐 전사적인 위험관리 차원의 통합적인 방법론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SOA 보안 취약점 식별을 통한 다양한 보안 위협들에 대한 사전 분석과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SOA 취약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SOA 동적 특성을 이용한 메트릭 기반의 취약성 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SOA를 구성하는 서비스들 사이의 실행시간 종속성을 측정하여 서비스와 아키텍처 수준의 취약성을 평가한다. 서비스 사이의 실행시간 종속성은 한 서비스가 취약할 때 다른 서비스들이 얼마나 영향을 받게 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특징이다. 한 서비스가 공격에 노출될 때 그 서비스에 종속된 서비스들도 역시 공격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실행시간 종속성은 SOA 아키텍처 수준의 취약성에 대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Traditionally research in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SOA) security has focused primarily on exploiting standards and solutions separately. There exists no unified methodology for SOA security to manage risks at the enterprise level. It needs to analyze preliminarily security threats and to manage enterprise risks by identifying vulnerabilities of SOA.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ric-based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 using dynamic properties of services in SOA. The method is to assess vulnerability at the architecture level as well as the service level by measuring run-time dependency between services. The run-time dependency between services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to understand which services are affected by a vulnerable service. All services which directly or indirectly depend on the vulnerable service are exposed to the risk. Thus run-time dependency is a good indicator of vulnerability of SOA.

      • KCI우수등재

        유스케이스 재구성을 통한 서비스 식별

        김유경(Yukyong Kim) 한국전자거래학회 2007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2 No.4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는 느슨하게 연결되고 상호 호환 가능한 서비스들의 결합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서비스는 적절한 입도를 갖는 구현된 비즈니스 함수로 정의할 수 있고, 잘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에 노출된다. 서비스 모델링 단계에서 서비스의 입도(granularity)가 너무 작아지면, 서비스의 재사용성, 유연성이 낮아진다. 이런 서비스 입도의 문제로 인해 도메인 분석 모델로부터 적절한 추상화 레벨을 갖는 서비스를 식별하고 정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도메인 분석 모델인 유스케이스 모델로부터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절차를 제안한다. 유스케이스와 유스케이스 기술서(description)로부터 태스크 트리를 생성하고, 태스크 트리의 분할과 결합을 통해 유스케이스를 재구성한다. 이렇게 재구성된 유스케이스들로부터 서비스를 식별하고, 명세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이미 널리 사용되는 UML 유스케이스 모델을 사용하므로 다양한 플랫폼과 도메인에서 서비스 모델링을 위한 개발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is a style of information systems that enables the creation of applications that are built by combining loosely coupled and interoperable services. A service is an implementation of business functionality with proper granularity and invoked with well-defined interface. In service modeling, when the granularity of a service is finer, the reusability and flexibility of the service is lower. For solving this problem concerns with the service granularity, it is critical to identify and define coarse-grained services from the domain analysis model. In this paper, we define the process to identify services from the Use Case model elicited from domain analysis. A task tree is derived from Use Cases and their descriptions, and Use Cases are reconstructed by the composition and decomposition of the task tree. Reconstructed Use Cases are defined and specified as services. Because our method is based on the widely used UML Use Case models, it can be helpful to minimize time and cost for developing services in various platforms and doma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