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로농구 팀 속성과 팀 동일시, 관람태도 및 관람만족의 구조적인 관계: 성별에 따른 모형비교

        김용만(YoungManKim),변경원(KyungWonByeon) 한국체육학회 2013 한국체육학회지 Vol.52 No.5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농구 팀 속성과 팀 동일시, 관람태도 및 관람만족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각 가설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이 여성과 남성 집단 간에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프로농구관중 826명이다. 자료처리는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잠재평균분석,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팀 속성은 팀 동일시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팀 속성은 관람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팀 속성은 관람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팀 동일시는 관람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팀 동일시는 관람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섯째, 관람태도는 관람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추가적으로 여성과 남성 집단의 잠재변인에 대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잠재평균분석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집단 간 경로동일성제약을 가한 모형을 통해 설정한 변인 간의 경로를 조사한 결과, 팀 속성과 관람만족의 경로에서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basketball team attribute, team identification, spectating attitude and spectating satisfaction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examine that relative effect regarding each hypothesis influence on changes between female group and male group.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26 questionnaires who professional basketball spectator. Data analysis used for SEM analysis, latent means analysis, and multiple group SEM analysis. After confirming the test of goodness of fit of a model, individual hypotheses was verif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m attribut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eam identification. Second, team attribut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pectating attitude. Third, team attribut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pectating satisfaction. Fourth, team identific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pectating attribute. Fifth, team identification not had influence on spectating satisfaction. Sixth, spectating attitud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pectating satisfac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making a latent means analysis to see if there not exists a difference between the major variables of female group and male group. Furth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established through the model on which path invariance constraints between gender groups were placed, it was found that there existed a difference between path of team attribute and spectating satisfaction.

      • KCI등재

        스포츠용품의 브랜드자산 구성요소와 구매의도와의 구조적 관계 모형

        서희정(HeeJungSeo),김용만(YoungManKim),정정희(JungHeeJung)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3

        이 연구는 스포츠용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의 브랜드자산 구성요소와 구매의도와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경기도 소재 대학의 대학생들이다. 총 245개의 유효표본을 가지고 SPSSWIN Ver. 15.0과 AMOS 7.0을 활용하여 탐색적요인분석 및 확인적요인분석과 상관분석을 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검사를 통해서 실시하였다. 그리고 변수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연구모델의 적합도를 검증한 후 개별 가설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개성은 브랜드 카리스마와 브랜드가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브랜드신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가치는 브랜드 카리스마와 브랜드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브랜드 카리스마는 브랜드신뢰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브랜드신뢰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brand equity components and purchase intention of sports produc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llege students in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gi-do. The Cronbach's α 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easure correlations and credibility with a total of 245 samples through the use of SPSSWIN Ver. 15.0 and AMOS 7.0. After verifying the goodness of fit of the model through the use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o figure out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factors, hypotheses were examined separat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rand person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charisma and brand value but had little effect on brand trust. Second, brand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charisma and brand trust. Third, brand charisma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Forth, brand trus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