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메타버스(metaverse)에서 디지털 아바타를 활용한 교육적 자아의 확장과 AI 아바타와 교육적 상호작용의 가능성*

        김신애(Sineae Kim),방준성(Junseong Bang) 한국교육원리학회 2021 교육원리연구 Vol.26 No.2

        본 논문은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XR), 빅데이터, 5G 네트워크,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등 첨단 정보통신 기술들의 융복합체로서 현실과 가상을 융합한 디지털 사회를 뜻하는 메타버스(metaverse)에서 인간이 디지털 아바타(avatar)를 활용해 확장된 자아를 통하여 교육에 참여하고 또한 AI 아바타와 교육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다. 메타버스에서 디지털 아바타의 교육적인 활용은 배우는 사람이 다음 단계를 미리 체험할 수 있는 수단이 되거나 교육의 세계에서 가르치는 사람이 배우는 사람에게 설득력 있는 모습으로 다가가려고 할 때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메타버스 상에서 ‘행위자(actor)’, ‘보조자(assistant)’, ‘비플레이어 캐릭터(Non Player Character, NPC)’, ‘관찰자(observer)’로 활동하는 AI 아바타와의 다양한 교육적 상호작용이 교육의 가능태(可能態)를 확장시켜 줄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도 논한다. The article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human extending one’s self by using digital avatar and interacting with AI avatar in metaverse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The creation and the use of digital avatar in metaverse may equip the subject of education with the novel instrument of self-transformation performed to serve the need of the ascending educator to feel more familiar with the future self and of the descending educator to make feel more familiar to the ascending educator. The research has found that the acceptance or acquiescence of the ‘deceitful’ transformation by the descending educator for the good of ascending educator could be easier in the digital world than in the physical. The educational transformation may also turn more doable due to the tractability of digital image. Lastly, the likely educational interaction between human avatar(HA) and AI-driven avatar is discussed considering the possible role of AI-avatar as actor, assistant, NPC(Non Player Character) as passive assistant and observer. The situation of the late-developer of the metaverse(‘Oasis’) in the movie 󰡔Ready Player One(2018)󰡕 trying to teach the protagonist with the whole system of the metaverse and his comment as guru of the system is analyzed as the possible future of human choosing to be left in virtual system as a set of data masked by avatar that continues to hope to educate the visitors.

      • KCI등재

        인공지능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가 미래 교육에 주는 시사

        권희경 ( Heekyung Kwon ),김신애 ( Sineae Kim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4

        본 연구는 인간의 심리적 기제에 관한 이론과 경험적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인간과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이를 통해 미래교육의 방향 설정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계산, 이해, 직관 등을 포함하는 인지, 기본감정과 자의식 기반 감정을 포함하는 정서, 그리고 의식과 자유의지의 측면에서 인간과 인공지능을 비교함으로써, 인공지능이 인간을 능가할 수 있다는 예측에 대한 교육계의 이해를 보다 풍부히 하고, 인공지능과 더불어 미래사회를 살아갈 인간에 대한 관점의 상대화를 시도하며, 이를 바탕으로 교육 분야에서 인공지능의 도입에 따른 변화를 예측·대비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의 도입이 초래할 거대한 변화에 대비하기 위하여 미래교육 정책의 측면에서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1) 능력주의에 대한 반성, (2) 공동체 역량의 개념 변화, (3) 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응 강조의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based on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results of human psychological mechanisms. Specifically, AI’s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capabilities were analyzed by comparing humans and AI in terms of cognition, including calculation, comprehension, and intuition; emotions, including basic emotions and self-conscious emotions; consciousness and free will. The study was meant to help non-engineering professionals use an understanding of AI to contribute to predicting and preparing for social change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AI. Lastly, three themes of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1) a reflection on meritocracy, (2) a change in the concept of community capacity, and (3) an enhancement of flexibility for unpredictable change, facing the era of coexistence with AI.

      • KCI등재

        COVID-19시기 원격수업에서 학생들이 겪은 ‘교육의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오세라(Sera Oh),김신애(Sineae Kim) 한국교육원리학회 2021 교육원리연구 Vol.26 No.2

        이 연구는 COVID-19시기 원격수업과 관련된 모든 어려움을 ‘교육의 어려움’으로 간주하는 관습적 교육관을 문제로 판단하고 순수한 ‘교육의 어려움’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교육본위론에 근거하여 현상학적 체험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위해 원격수업에서 ‘어려움’을 경험했다고 하는 학생들과 면담을 통해 그들의 체험을 상호주관적 환원의 방법으로 해석하고 현상학적 심리학적 환원, 교육학적 환원을 통해 ‘교육의 어려움’의 사실구조를 밝혔다. 연구결과 원격수업에서 학생들이 겪은 ‘교육의 어려움’은 ‘자기에 대한 사랑의 상실’, ‘자신의 한계를 인식할 수 없음’, ‘교사와 교육적 상호작용 감소’, ‘자신과의 싸움에서 실패’, ‘발전을 느끼지 못함’으로 인한 상구교육 내재율의 발현 저해로 드러났다. 이러한 현상의 근저에는 자신에 대한 실망감을 확대 재생산하고 스스로에 대한 구제를 포기하게 만드는 환경으로서 원격수업과 학교의 강제성으로 인한 교육활동의 자율성 상실이 작용하였다. 이 연구는 교육학의 관점에서 원격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육의 어려움’을 적확하게 이해하고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has carried out an empirical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difficulties in education’ experienced by students who attended online classes in high school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s the source of the ‘difficulties’ testified by the interviewed students looked to have been diverse, The Endogenous Theory of Education was employed as a frame of reference to define the education the students might have experienced. The study tried to reveal the factual structure of the ‘difficulties in education’ found in online classes combining the methods of the phenomenological-psychological reduction and the educational reduction.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difficulties in education’ encountered by the interviewed students consist of ‘loss of self-love’, ‘not being able to arrive at the limit of one’s current knowledge (that enables student to further their study)’, ‘decrease of educational interaction with teachers’, ‘failure in the struggle of overcoming one’s current intellectual level’, ‘not being able to have the sense of self-improvement.’ This signifies that the manifestation of the endogenous rule of ascending education has been suppressed during the online classes on which the students sat. It is possible to suppose that the vicious circle of the online class that amplifies one’s disappointment and thus perpetuates the frustration of self-improvement and the schooling itself that suffocates the autonomy of the students by the excessive obligations on learning may generate the examined phenomenon in th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