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낙동강 하구 신자도 해빈 퇴적물 입도의 시간적인 변화

        백운(Kim, B.O.),이상룡(Lee, S.R.),김부근(Khim, B.K.)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1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3 No.4

        낙동강 하구 신자도에서 2005년 11월과 2006년 5월에 남쪽 해빈의 상부, 중부 및 하부 조간대에 해당하는 3개의 횡단선(upper, middle 및 lower transect)을 따라 67개 정점에서 총 402개의 표층퇴적물을 채취하여 입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신자도 해빈 퇴적물은 단일 모드의 입도로 구성되었고, 2005년에는 3.0?의 최빈값이 우세하였으며, 2006년에는 2.5?의 최빈값이 우세하였다. 이러한 퇴적물의 조립화는 신자도 해빈의 서쪽 지역과 중부 및 하부 정점들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조위에 의해 구분된 횡단선 자료에 근거하여 퇴적물 입도의 시간적인 변화 특성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횡단선간에 평균입도, 분급도 및 왜도와 같은 퇴적물 조직 변수를 비교할 수 있는 통계적 검정법을 이용하였다. 평균입도는 해빈 중부와 하부 정점들에서, 분급도는 해빈 상부와 하부 정점들에서, 왜도는 해빈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시간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평균입도와 왜도 사이에 역의 상관관계는 2005년에 비하여 2006년에 더욱 뚜렷하였다. 2005년 11월에서 2006년 5월까지 신자도 해빈 퇴적물의 시간적인 변화는 평균입도와 분급도는 감소하였고, 왜도는 증가하였으며, 평균입도와 왜도 사이에 역의 상관관계가 강화되었다. Grain size analysis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402 surface sediments collected from 67 sites along three (upper, middle, and lower) transects corresponding to the high-, mid-, and low-intertidal zone of beach on the Sinjado, Nakdong River estuary in Nov. 2005 and May 2006. Sinja-do beach sediments showed uni-modal grain size distributions, in which the mode of 3.0? was dominant in 2005 whereas the mode of 2.5? in 2006. This coarsening trend was more remarkable in the western side of beach as well as in the mid- and low-intertidal zone. In this study, we focused on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sediment size changes on the basis of transect data that differ in tidal elevation. For this purpose, a statistical test was applied for transect by transect comparison of grain size parameters such as mean, sorting, and skewness. Mean values between middle and lower transect, sorting values between upper and lower transect, and skewness values over the beach reflec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emporal changes. Also, mean and skewness parameters showed an inverse relationship which was more stronger in 2006 than in 2005. Temporal changes in Sinja-do beach sediments resulted in decrease of mean and sorting values but increase of skewness values, intensifying th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mean and skewness parameters.

      • KCI등재

        동해 북동부해역 제 4기 후기 퇴적물의 규조 산출과 고해양학적 변화

        신유나,윤호일,예동,우경식,김부근,Shin, Y.N.,Ikehara, K.,Yoon, H.I.,Kim, Y.,Woo, K.S.,Khim, B.K. 한국해양학회 2000 바다 Vol.5 No.4

        동해 북동쪽에 위치한 홋카이도섬 서부해역에서 채취된 중력시추코아 GH98-1223의 45개 퇴적물 시료들로부터 휴면포자를 제외한 총 31속 50종 1아종의 규조류가 동정되었다. 최대 산출종은 Thalassionema nitzschioides로 전시료에서 29${\sim}$59%의 높은 산출빈도를 나타냈으며, 그 외에 비교적 개체 보존이 양호한 Denticulopsis seminae와 Pseudoeunotia doliolus를 비롯한 대부분의 종들은 평균 산출빈도가 5% 이내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전 시료에서 한류종의 산출빈도가 난류종보다 상대적으로 우세하였으며, 수직분포는 각 종의 생태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의 층준에서 난류종과 한류종의 산출빈도는 서로 상반되는 경향을 보였다. 대표적인 한류종인 D. seminae와 난류종으로 쿠로시오해류(Kuroshio Current)의 지류인 대마난류(Tsushima Warm Current)의 지시종인 P doliolus의 전체적인 변화양상은 뚜렷하게 상반되며, 이것은 규조온도지수(T$_d$)의 수직적인 변화와도 서로 일치한다. 규조온도지수는 150 cm깊이를 기준으로 코아의 상부에서는 평균 이상의 높은 수치를 나타내며 하부에서는 평균 이하의 낮은 수치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경향은 동해의 북부지역에 위치한 본 연구지역에 대마난류의 영향이 홀로세의 후빙기를 거치면서 점차적으로 증가된 것을 지시하고 있다. 또한, 하층부에서 규조온도지수는 지그재그형의 변화를 나타내는데 이는 규조류가 서식하는 해수의 환경이 불안정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생산성과 용승의 정도를 지시하는 Chaetoceros resting spores는 5.3${\sim}$40% 정도의 산출빈도를 보이는데 , 최대값은 80 cm 보다 상층부에서 나타났다. 퇴적물의 생물 기원물질의 상대적인 양을 예측하는데 이용되는 Chaetoceros resting spores/Chaetoceroe vegetative cells도 80 cm 보다 상층에서는 높게 나타나 규조온도지수 분포와도 일치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상의 규조군집 분석 결과에 의하면, 홀로세의 후빙기동안 본 연구 지역인 동해 북동부에는 대마 난류의 유입이후 현재와 유사한 환경이 우세하게 발달했으나, 난류종 P. doliolus의 변화는 동해내에서 대마난류의 세기가 반복되었음을 지시하고 있다. A total of 50 diatom species and 1 subspecies belonging to 31 genera except Chaetoceros resting spores were identified in the 45 sediments subsampled from a gravity core GH98-1223 collected from the western Hokkaido Island located in the northeastern East Sea (Sea of Japan). The most dominant species is Thalassionema nitzschioides (Grunow) Hustedt, ranging 29 to 59% of the total assemblages, and most species including Denticulopsis seminae (Simonsen and Kanaya) Simonsen and Pseudoeunotia doliolus (Wallich) Grunow were less than 5% in average. Frequencies of cold-water species are generally higher than those of warm-water species and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cold-water species was largely opposite to that of warm-water species in spite of ecological habitat difference. Frequency of cold-water species, D. seminae is reverse to that of P. doliolus, an indicator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which is consistent with diatom temperature value (T$_{d}$ value). The variation of T$_{d}$ values shows that the upper part of core with greater-than-average T$_{d}$ values represents postglacial warming trend. These T$_{d}$ values clearly demonstrate that the study area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East Sea is gradually influenced by Tsushima Warm Current. In addition, the zig-zag variation in the lower part reflects the unstable seawater for diatom habitat. Chaetoceros resting spores indicating productivity and upwelling was 5.3 to 40%, with maximum peak at 80 cm. Chaetoceros resting spores/Chaetoceros vegetative cells, an indicator of relative amounts of biogenic material in the sediments was high at the upper 80 cm level,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T$_{d}$ values. On the basis of diatom assemblages, the northeastern part of East Sea has experienced the effects of Tsushima Warm Current during the postglacial period of Holocene, which is similar to the modem climatic environment. However, the variation of P. doliolus reflects that the intensity of Tsushima Warm Current has been oscillated in the East Sea.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