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Efficacy, Perception of Problematic Behavior in Young Children, and Guidance Strategies

        김별희(Kim Byeol Hee),이경화(Lee Kyung hwa)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8 Global Creative Leader Vol.8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유아문제행동 인식 및 지도전략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 유형, 근무 경력, 연령, 학력)에 따라 교사효능감, 유아문제행동 인식,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에 차이가 있는지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19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교사효능감(이분려, 1998), 유아문제행동 인식(김경숙, 2008) 및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김연하, 2007) 등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유아문제행동 인식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교사효능감과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문제행동 인식과 지도전략 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몇 가지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효능감, 유아문제행동 인식,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즉, 유아교사의 근무기관 유형을 제외한 모든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효능감에는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유아교사들은 문제행동에 대해서는 유사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변인간의 관련성 및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유아들의 문제행동을 지도할 수 있는 교사교육 시스템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teacher efficacy, perception of problematic behavior in young children, and guidance strategies.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se variables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institution type, work experience, age,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190 teachers working at day care center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Seoul,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4.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fficacy and perception of problematic behavior, bu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strategies. Secon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ere partial differences in teachers efficacy, perception of problematic behavior and teaching strategies for problematic behavior in young children. In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there was a difference in all variables except for working type.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problematic behavior in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the difference in teaching strategies for problematic behavior was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it will be helpful to establish a teacher education system that can guide the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