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름꽃게 (Liocarcinus corrugatus) 유생의 성장과 생존에 대한 온도의 영향

        김광봉 ( Kwang Bong Kim ),홍성윤 ( Sung Yun Hong ) 한국수산과학회 200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7 No.3

        N/A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growth of larvae of wrinkled swimming crab (Liocarcinus corrugatus) under controlled lahoratory conditions of 15, 20 and 24℃ were investigated (33.5 psu; 12L:12D). Each specimen was maintained individually, the instar size was determined from exuvia, and the survival and intermolt period of each instar were record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the survival rates at 15, 20, and 24℃ instar Comparison of survival over the first 27 days between the three temperature regim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01). The intermolt period increased with the instar number, and was greatly extended at the lowest temperature. The molt increment varied little with temperature, and had a mean value of 21.35% over the whole study. Temperature had little effect on survival and molt increment.

      • KCI등재

        한려해상국립공원 조하대 해역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윤건탁 ( Kon Tak Yoon ),서인수 ( In Soo Seo ),김광봉 ( Kwang Bong Kim ),최병미 ( Byoung Mi Choi ),손민호 ( Min Ho Son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9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5년 6월에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는 거제·해금강지구에서 여수 오동도지구에 이르는 총 25개 정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총 284종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단위면적당(m2) 개체수와 생체량은 각각 2,002개체와 154.92 gWWt이었다. 개체수와 생체량의 자료를 기초로 LeBris index (1988)를 이용하여 상위 20까지의 우점종을 선정하였다. 개체수에 있어서 상위 20위 우점종은 전체 출현 밀도의 47.64%를 점유하였고, 중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긴자락송곳갯지렁이(S. longifolia), I. pulchella, M. californiensis, M. multibranchiata, Tharyx sp. 1 및 이매패류의 아기반투명조개(T. fragilis) 등이었다. 반면, 생체량에 있어서는 상위 20위 우점종들이 전체 중량의 70.47%를 점유하였고, 이 가운데 극피동물문의 염통성게(S. lacunosus), 연안거미불가사리(A. vadicola)와 이매패류의 새조개(Fulvia mutica)의 생체량이 높았다. 출현 종의 개체수 자료를 기초로 다변량분석(집괴분석과 다차원배열법)을 실시한 결과, 크게 2개의 정점(정점 1과 4)과 2개의 정점군으로 구분되었다. 이 중 정점군 1은 펄함량이 우세한 정점들로, 정점군 2는 죽은 패각과 모래함량이 높은 정점군으로 대별되었다. 특히, 펄함량이 높은 정점군에서는 다모류의 양손갯지렁이(M. japonica), 오뚜기갯지렁이(S. scutata), P. pinnata, Tharyx sp. 1과 절지동물문의 단각류(옆새우류)에 속하는 M. sinense 및 E. sechellensis 등이 우점하였다. 반면, 모래함량이 많은 그룹 2에서는 다모류의 I. pulchella, M. multibranchiata, 단각류의 두가시육질꼬리옆새우(M. acherusicum), 극동육질꼬리옆새우(G. japonicus) 및 연안거미불가사리가 특징적이었다.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fauna during June 2005,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from Korea Strait. A total of 284 macrobenthic fauna were collected. The overall average macrobenthic density and biomass were 2,002 individuals m-2 and 154.92 gWWt m-2, respectively. Based on the Lebris (1988) index, there were 20 species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47.64% of total individuals. And the highest densities were found in the polychaetes Scoletoma longifolia, Isolda pulchella, Mediomastus californiensis, Minuspio multibranchia, Tharyx sp. 1 and the bivalve Theora fragilis. On the other hand, the top twenty species made up 70.47% of the total biomass while the three most abundant, the echinoderms Schizaster lacunosus, Amphiura vadicola and the bivalve Fulvia mutica. The conventional multivariate statistics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applied to assess spatial variation in macrobenthic assemblages.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and nMDS ordination, this study area was divided into two different groups of stations and species. In case of station, there are two groups: one is a mud dominated station group and the other is dead shell and sand dominated group. And the 2 faunistic group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1) a group of relatively higher abundances in mud dominated sediment. There were numerically dominated by the polychaetes Magelona japonica, Sternaspis scutata, Paraprionospio pinnata, Tharyx sp. 1 and the amphipods Monocorophium sinense and Eriopisella sechellensis. 2) a group of relatively higher densities dead shell and sand dominated sediment. These groups were characterized by the polychaetes I. pulchella, M. multibranchiata, the amphipods M. acherusicum, Gammaropsis japonicus and the echinoderm A. vadico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