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소득격차와 소득변화, 그리고 미래기대

        금현섭(Kum, Hyunsub),백승주(Baek, Seungju) 서울행정학회 2014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개인의 주관적 후생(행복)과 소득의 관계에 있어서 미래기대의 중요성과 그 형성요인에 대한 이론적·실증적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미래기대는 소득수준 이외의 다양한 소득변화 양태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중요한 판단임에도 불구하고 미래기대의 형성요인과 그 역할에 대한 논의는 그동안 많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미래기대에 대한 소득격차와 소득변화(소득이동성, 소득안정성)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안정적인 소득상승의 경험은 미래기대를 제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소득변화의 경험은 준거집단에 대한 소득격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났다. 또한 동일한 소득상승을 경험하더라도 안정적 소득변화를 경험하는 경우 또는 동일한 소득안정성을 갖더라도 소득하락보다는 상승을 경험하는 경우 미래상황에 대한 기대는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소득변화에 있어서 소득이동성과 소득안정성은 시너지효과를 갖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발견은 다양한 사회·고용정책에 있어서 안정적인 소득보장의 가치와 필요성을 강조할 뿐 아니라 주관적 후생 증진의 연결고리라는 점을 제시하는 근거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reviews the theoretical importance of future expec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income, and explores the determinant factors of future expectation related to income change. Although the future expectation is individual"s crucial judgment concerned their various income change aspects, it hasn"t almost been discussed about how future expectation formed. In these respects, we investigat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expectation and income disparities, income mobility, and income stability. Empirical results show that experience of stable income increase raises future expectation when it considered with income changes. In addition, we found that income mobility and income stability have a synergy effect on the future expectantly. When people experience more stable income change even if they experience same income increases with others, people have a more positive future expectation. And when people experience an income increase even if they experience same income stability with others, people have a more positive future expectation, too. Based on these empirical results, we noted that stable income security plays a key role in forming a future expectation in policy reality.

      • KCI등재

        재산세공동과세제도의 수평적 재정형평성 효과에 관한 연구 : 공급비용과 배분방식을 중심으로

        최정열 ( Jeong Yeol Choi ),금현섭 ( Hyun Sub Kum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地方行政硏究 Vol.26 No.4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n the horizontal fiscal equity of the shared property tax system(revenue sharing) initiated by Seoul Municipal Government since 2008 with respect to two distinguished points; first, it compares the equal allocation method of the shared property tax revenue in progress with other allocation methods(the financial power index, the population size index, and mixed index), second, it takes into account the service supply cost differentials among 25 autonomous districts. Analysis shows that 1) the shared property tax system in Seoul has contributed to the decrease in horizontal fiscal disparity but the effect size is a pretty modest rather than significant, and 2) a allocation method by the financial power seems better than the current equal allocation method.

      • KCI등재

        소득불평등과 복지정책선호

        백승주(Baek, Seungju),금현섭(Kum, Hyunsub) 서울행정학회 2012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2 No.4

        This paper seeks empirical evidence to test whether the median voter theorem (MVT) (Meltzer and Richard, 1981) is applicable or a relevant explanatory framework in accounting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inequality and support for welfare policy in Korea. Towards this end, we review the MVT and alternative models including those of Moene and Wallerstein (2001), Husted (1989). and Benabou (2000), and suggest the relationship can be separated into two stages following Kelly and Enns (2010):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inequality and policy preferences, and second, the transformation of policy preferences into policy proposals. Using Seoul Welfare Panel survey data and various inequality measures, we focus upon and test the first stage of the relationship, firstly, through a cross regional comparison across 25 municipal governments in Seoul, and secondly, through a comparison of serial changes in inequality and policy preferences in each of the municipalities. The findings show that higher inequality tends to be coupled with higher support for welfare policy across regions as well as across time in Seoul and offer tentative support for the MVT.

      • KCI등재

        설문조사에 있어서 순서효과에 대한 연구

        이슬기 ( Seulki Lee ),금현섭 ( Hyunsub Ku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22 조사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설문문항 순서가 맥락적 자극제가 되어 응답자의 인지역량과 응답행태 간의 관계를 차별화할 수 있음을 실증분석하였다. 조사 과정에서 응답자의 인지과정을 어떻게 자극하느냐에 따라 응답행태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다양한 연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특히 점화효과(priming effect)를 토대로 한 설명에 따르면, 첫 번째 정보가 무엇인가에 따라 응답자의 인지과정이 축소 또는 중첩될 수 있다고 보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순서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학력으로 측정한 응답자의 인지역량이 응답시간과 응답 집중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학력이 낮은 경우 응답시간이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응답자가 느끼는 인지부담에 대한 회피에 따른 것으로 스스로는 만족할 만한 수준이지만 객관적으로는 불성실하게 응답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순서효과는 응답자의 인지역량과 응답행태 간의 관계를 차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적으로 순서효과 자체는 인지과정의 축소와 중첩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응답시간의 단축과 편차의 축소를 통해 뒷받침된다. 즉, 전면 배치된 문항이 점화역할을 한 덕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문항 배치 순서에 따른 점화효과는 응답자의 인지역량에 따라 또다른 인지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저학력 집단이 정치성향을 먼저 밝히고 정부에 대한 태도와 견해에 관한 문항에 답하는 경우, 고학력 집단의 경우보다 순서효과를 덜 받는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ondents' cognitive capacity and response behavior can be differentiated as the order of the question becomes a contextual stimulus. Prior studies have confirmed that response behavior can vary depending on how to stimulate the cognitive process of the respondent during survey responding.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explanation based on the priming effect, the cognitive process of respondents can be reduced or overlapped depending on what the first information i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question order based on this theoretical discuss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ognitive capacity of respondents measured by education background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sponse time and response concentration. If the respondents’ educational background is low, the response time is shortened due to the avoidance of the cognitive burden felt by the respondents. Also, it indicates that those responses are satisfactory to themselves but objectively show the possibility of careless responses. Second, the effect of question order was found to different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ondent’s cognitive capacity and response behavior. The result is supported by shortening response time and reducing deviation.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it is because the front-arranged items served as priming. However, it seems that the priming effect can act as another cognitive burden depending on the cognitive capacity of respondents. It is supported by decreasing the effect of question order when the loweducated group first reveals political orientation and then answers questions about attitude and opinion on the government.

      • KCI등재

        불평등의 다차원적 접근 -정 및 활용-

        백승주 ( Seungju Baek ),금현섭 ( Hyunsub Kum ) 한국정책학회 2013 韓國政策學會報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에 존재하는 불평등을 다차원적 접근(Multidimensional approach)을 통해 실증적으로 측정해 보는데 있다. 지금까지 한 사회 내에 존재하는 불평등 정도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방식은 주로 경제적 불평등(예를 들어 소득불평등)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소득이외에도 교육, 건강, 돌봄, 주거 등과 같은 다양한 차원(dimensions)에서의 불평등이 발생하고 관찰되는 현실에서 소득불평등에 대한 측정과 평가만으로 한 사회 내에 존재하는 불평등 구조를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소득 이외의 다양한 차원별 불평등 정도를 개별적으로 측정함과 동시에 이를 통합적으로 파악하려는 노력이 그 동안 진행되어 왔다. 다차원 불평등 지수(Multidimensional inequality index)는 바로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으며, 본 연구는 이를 소개하고 우리사회에 실증적으로 적용해 봄으로써 기존의 불평등 관련 논의의 외연을 넓히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실증자료의 한계로 인해 소득, 건강, 교육에 한정한 분석결과 2005년부터 2011년까지 각 차원의 불평등 정도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를 통합적으로 구성한 다차원 불평등 지수 역시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각 차원별 기여도에서는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의 기여도는 감소한 반면, 건강수준의 기여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최근 우리 사회의 불평등구조에 대한 차원별 차별적 역할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도시지역에서는 건강수준의 기여도가, 농촌지역에서는 소득수준의 기여도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차원별 역할에 있어서 지역 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easure inequality that exists in Korean society empirically using multidimensional approach. Until now, a method for inequality measurement has been mainly focused on economic inequality, like income inequality. However, to measure or evaluate income inequality by itself has limitations on understanding structure of inequality within society, because, in reality, inequalities have been occurring in various dimensions like education, health, and housing in addition to income. Thus, the efforts to measure the degree of inequality by various dimensions including income have been made and multidimensional inequality index (MDI), as part of this effort, has received many attentions recently. This paper introduces MDI and attempts to apply to Korean society using KOWEPS(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with three dimensions(income, education, and health) for 2005-2011. Analysis on each dimension shows a decreasing trend just like MDI showing the same. However, we found different behaviors among them; the contribution of income and education to MDI continued to decrease, whereas that of health appeared to be steadily growing. In addition, each dimension seems to have a different role to MDI depending on regional level; health played a main role in urban whereas income did in rural.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지역 내 소득불평등도에 따른 주민참여

        현승숙 ( Seung Sook Hyun ),금현섭 ( Hyun Sub Kum ) 한국행정학회 2011 韓國行政學報 Vol.45 No.2

        본 연구는 소득불평등과 주민참여 간 관련성을 기초지방정부 수준에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주민의 지역사회 공공문제에 대한 참여 정도가 해당 지역의 소득불평등 수준에 의해 일정부분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가설을 중심으로 주민참여의 유형을 사회참여와 정치참여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는 참여공간과 공공문제의 직접해결방식에 있어 양자 간에 차이가 나며, 이에 대한 소득불평등의 영향 역시 상이할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더불어 정치참여에 대한 사회참여의 관련성도 검토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지역 내 소득불평등 수준에 따른 주민참여 정도는 참여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득불평등 수준은 사회참여 중 봉사단체의 수와 긍정적(+) 관련성이 있으며, 정치참여 중 지방선거 투표율과 긍정적(+) 관련성이 있었다. 그리고 사회참여는 정치참여 중 지방선거 투표율과는 긍정적(+) 관계가 있었지만, 주민의 공직자접촉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을 찾을 수 없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ome inequality and the citizen participation on the local government level.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the degree of participation by citizens concerning public interests of the community will partially be influenced by the level of income inequality of the relevant area, the types of citizen participation were classified into civic engagement and political participation before examination. This is because there may be a disparity among both sides with regards to the direct solution methods of participation capacity and public interests, and the influence of income inequality regarding such may be different. Moreover, the relevance of civic engagement regarding political participation was examined. Our results show that the degree of citizen participation pursuant to the level of income inequality within the area was found to manifest a disparity depending on the type of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the level of income inequali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volunteer associations in terms of the civic engagement, and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urnout in the local elections in terms of the political participation. Furthermore, in terms of civic engagemen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turnout in the local election concerning the political participation, but concerning the degree of citizen-initiated contact, a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was not found.

      • KCI등재
      • KCI등재

        맞벌이 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가사부담과 성 역할 인식을 중심으로

        이진우(Lee, Jinwoo),금현섭(Kum, Hyunsub) 한국가족학회 2020 가족과 문화 Vol.32 No.1

        본 연구에서는 맞벌이 부부의 성 역할 인식에서의 불일치와 맞벌이 여성의 실제 가사노동부담의 불일치가 맞벌이 여성들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가사노동부담의 객관적 측면과 주관적 측면을 모두 고려하기 위해 가사노동부담을 가용시간 대비가사노동시간의 비중으로 측정하였으며, 성 역할 인식에 따라 가사분담에 대한 부부의 기대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성 역할 인식을 명시적으로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청의 2014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부부의 성 역할 인식을 전통적, 갈등적, 평등적인 유형으로 구분하고 가사노동시간 비중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가사부담비중의 증가는 여성의 삶의 만족도를 낮추고 있었고, 특히 부부의 성 역할 인식이 전통적 유형의 경우에 비해 갈등적 유형과 평등적 유형에서 더욱 낮추고 있었으며, 이러한 차별화는 대체로 가사노동시간 비중이 가용시간의 20%를 넘어가는 지점이었다. 따라서 맞벌이 여성의 삶의 만족도와 관련한 정책적 고려에서 가사분담의 문제는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analyzing the unequal division of housework in explaining the women’s life satisfaction, yet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incongruent situations that surround women. We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two incongruent dimensions will decrease working women’s life satisfaction. The one is the incongruence on gender role attitude between wife and husband, the other is the incongruence on the couple’s gender role attitude and the actual share of housework. For this, we employ types of the couple’s gender role attitude types and a relative measure of housework. By using the 2014 Korean Time Use Survey,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attitude, the actual share of housework and working women’s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flict gender role attitude between partners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women’s life satisfaction. Furthermore, women in the egalitarian type are related to lowering life satisfaction due to the discrepancy between gender role attitude and their share burden reality. In particular, women in the conflict and egalitarian type of couples’ gender role significantly decrease their satisfaction level when they have over 20% housework. We discuss the contributions of women’s life satisfaction literature and policy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