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돌공기분류계에서 사각 ROD에 의한 전열증진 효과

        금성민(Seong- Min Kum),오수철(Soo-Cheol Oh),서정윤(Jeong- Yoon Seo) 한국태양에너지학회 1995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15 No.1

        본 연구는 2차원 충돌분류계의 포텐셜코어영역(H/B = 2)내에서 전열증진을 목적으로 전열면 앞에 폭 6mm인 정 4각 rod군을 설치하고 rod와 전열면간의 간극(C=1,2,4,6mm)과 rod와 rod 사이의 피치(P=30,40,50mm)를 변화시킬때의 유동특성과 전열특성을 실험적으로 규명하고 rod를 설치하지 않았을 경우와 비교·검토한 것으로 간극변화시에는 C=1mm인 경우가 전열성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rod의 피치(P)를 변화시킨 경우에는 rod가 없는 평판에 비해 각각 약 1.6배의 평균전열증진율이 나타났다. This research has been proceeded over the potential core region (H/B=2) of two -dimensional impinging air jet system, in which square rods( width of 6 mm) has been set up in front of heating surface in order to increase heat transfe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heat transfer and air flow, in cases of the clearance from rods to heating surface ( C = 1, 2, 4, 6 mm) and the pitch between each rods(P=30, 40,50 mm) changed. And this research compared the above with the experimentation without rods. As result, heat transfer performance was best under the condition of C = 1 mm, in case clearance changed, and there was no serious difference in the effect of heat transfer augmentation in the case of pitch of rods changed.

      • KCI등재

        사각로드를 이용한 충돌분류계의 열저달증진에 관한 연구

        금성민(Seong-Min Kum),이용화(Yong-Hwa Lee),서정윤(Jeong-Yun Seo) 한국태양에너지학회 1995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15 No.3

        본 연구는 2차원 충돌공기분류계에서 공기의 흐름 방향과 수직이 되게 설치한 평판 전열면앞에 전열증진을 목적으로 난류촉진체인 정4각 로드군을 설치할때의 유동특성과 전열특성을 실험을 통해서 구명하고, 본 실험범위내에서 로드의 최적 설치조건을 제시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이다. 실험은 먼저 로드를 설치하지 않은 평판에서의 전열특성을 밝힌후, 로드를 설치할 경우 로드의 피치가 40mm일때 로드와 전열면사이의 간극 및 로드폭 변화시의 유동특성과 전열 특성을 구명하여 로드를 설치하지 않은 평판과의 전열성능을 비교하였다. 본 실험범위내에서 전열면에 간극을 두고 로드를 설치하면 로드 바로 밑에서의 가속 및 로드에 의한 난류생성과 재부착에 의해 전열성능은 향상되며 로드폭을 변화시킨 경우에는 로드폭이 클수록 로드 바로 밑에서의 가속효과와 로드 직전에 와류의 영향 크게 작용하여 전열성능이 향상된다. This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 2 -dimensional impinging air jet on a flat plate with a set of square rods.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flow and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caused by the square rods. Experiment was carried out first without using the rods to establish the baseline heat transfer performance. Then, rods of different widths and clearances were installed to cause the turbulence on the fluid flow. When rods are installed in front of the plate, the acceleration of the flow and the turbulence generation due to the rods and reattachment of the flow seem to contribute to the observed heat transfer augmentation and the heat transfer augmentation increases as the clearance decreases. With wider individual rod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is higher, which is due to the increased accele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eddies just before the rods.

      • KCI등재

        충돌분류계에서 4각 난류촉진체에 의한 전열증진에 관한 실험적 연구

        금성민(Seong-Min Kum),김종렬(Jong-Yul Kim),서정윤(Jeong-Yun Seo) 한국태양에너지학회 1994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14 No.1

        본 연구는 2차원 충돌공기 분류계에서 공기의 흐름 방향과 수직이 되게 설치한 평판전열면 전방에 전열증진을 목적으로 난류촉진체인 정 4각 rod(폭 6㎜)의 pitch를 50㎜로 고정할 때 노즐출구속도(2, 8, 14, 18 ㎧), 노즐출구로 부터 전열면 사이의 거리 (H/B=2, 6, 10, 14) 및 rod 와 전열면 사이의 간극(C=1, 2, 4, 6㎜)을 변화시킬 때의 전열특성과 가시화 실험을 통해 유동특성을 규명한 결과 최대 열전달계수를 나타내는 조건은 H/B=10, C=1 ㎜이며 최대 전열증진율은 H/B=2, C=1 ㎜로서 rod를 설치하지 않은 평판보다 약 62% 증진된다. This research has been proceeded in the two-dimensional impinging air jet system, in which an impinging flat plate has been set up vertically to the way of air flow, and the pitch of square rod (width 6㎜), a turbulence promoter, has been fixed to be 50㎜ in front of impinging flat plate for the purpose of enhancement of heat transfer. With the experimental apparatus, w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heat transfer in each case, changing nozzle exit velocity (2, 8, 14, 18 m/s), distance rate from nozzle exit to flat plate(H/B=2,6,10,14) and distance of rod and heating surface. Also w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air flow through visualization.<br/> As a result, the condition that shows the maximum heat transfer coefficient was H/B=10, C=1㎜. And the maximum heat transfer growth rate was H/B=2, C=1㎜, which was improved about 62%, compared to the case to use a flat plate without a rod.

      • KCI등재

        衝突空氣 墳流系에서의 傳流促進技術에 關한 硏究

        최두섭(Doo-Seob Choi),금성민(Seong-Min Kum),이용화(Yong-Hwa Lee),서정윤(Jeong-Yun Seo) 한국태양에너지학회 1993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13 No.1

        二次元 衝突空氣噴流系에서 흐름방향과 垂直이 되게 설치한 平板傳熱面 前方에 亂流促進體인 正4角 로드群(로드폭=4mm,로드피치=50mm)을 설치하고 로드와 傳熱面사이의 間隙(C=1,2,6mm), 노즐출구와 傳熱面間 거리(H/B=2,6,10,14) 및 Re수(Re=6.4X10³~5.769X10⁴)를 변화시켜 실험한 결과, 平板에서 熱傳達系數의 감소율이 큰 영역에서도 로드를 설치하므로써 높은 熱傳達系數가 最大가 되는 最適間隙은 C=1mm이고, 最大 열전달증진율은 H/B=2, C=1mm에서 로드를 설치하지 않는 平板보다 약 43% 증진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nhancement of heat transfer without additional external power in the case of rectangular impingement air jet vertically on the flat heating surface. The technique used in the present study was placement of square rod bundles as a turbulence promoter in front of the heat transfer enhancement was achieved by inserting rods in front of the heating flat plate. According to visulaization, it was examined because of flow acceleration and separation and disturbance of boundary layer. The smaller clerance between rod and heating plate was, the larger heat transfer effect became at each HIE. Arverage Nusselt number reached maximum at H/B = 10 and the local augmentation rate of heat transfer became maximum at H/B=2. The maximum average heat transfer enhancement rate increase about 43% for the case of X/B =2 and C = 1mm, compared to a flat plate without rods. The correlating equation of average Nusselt number and Reynolds number was obatined. As follws <br/> /Nu_0=1.249Re^0.465(C/A)^-0.033(H/B)^0.01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