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잡매칭을 위한 취약계층 주민 실태조사

        박성익(Sungik Park),전현중(Hyunjoong Jun),조장식(Jangik Cho),곽소희(Sohui Kwak),김종한(Jonghan Kim)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0 産業關係硏究 Vol.20 No.3

        본 논문은 노동시장 문제에 대한 지역단위 접근의 필요성이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부산의 고용촉진지구 취약계층 주민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결과는, 첫째 응답자의 취업ㆍ창업의지나 구직 여부는 계층 및 여러 특성별로 다양한 편차가 존재한다. 둘째, 수혜 기간이 길어질수록 기초생활수급자의 취업ㆍ창업의지는 약해지고 구직 활동도 안하는 응답자의 비중이 커진다. 셋째, 고용촉진지구 주민을 지역 중소기업에 취업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은 첫째, 계층별 및 특성별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기초생활수급자의 경우는 고용과 복지를 병행 할 필요가 존재한다. 둘째는 취약계층의 의사와 능력을 반영하는 잡매칭 함수를 고안함으로써, 잡매칭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regional approach is essential to resolve regional labor problem, this paper carried out a survey on job related issues and analysed the result, focusing on the case of Busan Employment Zone. Major results were the following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existed wide variety of discrepancies in terms of willingness to work and job search efforts across various classes and characteristics.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longer persons in disadvantaged class got government benefit, the weaker the willingness to work became. Third, it was noticed that there was possibility that residents in Busan Employment Zone got the job in regional SMEs.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various approaches are needed to target various classes and characteristics. For example, employment and welfare must be simultaneously considered for the poorest people with government subsidy.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job matching which reflect the wishes and capabilities of the people in disadvantaged class.

      • KCI등재

        공공기관의 지방 인재 채용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류장수(Jangsoo Ryu),박성익(Sungik Park),조장식(Jangsik Cho),김종한(Jonghan Kim),곽소희(Sohui Kwak)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3 産業關係硏究 Vol.23 No.3

        지방의 우수 인재들이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중요한 이유는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가 수도권에 집중해 있거나, 수도권 인재를 선호하기 때문이라는 연구가 다수 있었다. 공공기관의 일자리는 대기업과 함께 괜찮은 일자리를 형성하는 한 축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 점에 착안하여 과연 지난 5년 동안 공공기관들이 지방 인재를 어느 정도로 채용하였고, 그 채용규모를 결정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지방 인재 활용의 활성화 및 지역 발전전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지난 5년간 공공기관의 신규채용자 중 47.0%가 지방 인재이고 나머지 53.0%는 수도권인재였다. 정부의 권고 수치인 지방 인재 30% 채용을 달성하지 못한 공공기관 비중은 약 50%에 이른다. 그리고 회귀분석 결과, 평균 보수액이 높은 공공기관일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방 인재의 채용 비율은 낮았다. 이러한 현상은 지방의 우수 고졸자들이 수도권 대학으로 유출하는 원인의 하나로 작용했을 것이고, 그 결과 지방에는 우수 인재가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공공기관의 지방 인재 채용할당제를 통해 지방대학에 우수 인재가 입학하고 이들 중 일부가 지방에 남아 지역 발전을 선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 major reason why excellent graduates from local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move to Seoul metropolitan area(=SMA) is either their preference for universities or a decent job in SMA. Jobs in public institutions as well as in the large companies constitute the mainstays of decent jobs. Based on this perception, we investigate how many provincial graduates have been employed in public institutions for the past five years and what determine the size of employment. This research will help invigorate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provincial graduates and establish a strategy for regional development. Our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or the past five years, provincial graduates accounted for 47.0 percent of the new employees in public institutions while SMA graduates did 53.0 percent. The half of public institutions have employed provincial graduates less than 30 percent out of total new employees, which is the government’s recommendation level. In the regression analysis, it is revealed that the share of employing provincial graduates in public institutions located in SMA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ublic institutions located in other provinces. It is also shown that the institutions which pay higher salary have a tendency to employ less provincial gradu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