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량의 Landsat 위성영상 처리를 통한 광역 토지피복분류

        박성미 ( Sung Mi Park ),임정호 ( Jung Ho Im ),고호상 ( Ho Sang Sakong ) 大韓遠隔探査學會 2001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17 No.3

        원격탐사의 장점 중 하나는 넓은 지역의 정보를 신속하게 추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장점은 광역지대의 토지피복을 분류하여 자원 및 환경을 신속하게 파악하고자 하는 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이 연구에서는 다량의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넓은 지역의 토지피복분류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한반도를 대상으로 Landsat TM 및 ETM+ 위성영상 23 scene을 이용하여 공간해상도 100m인 토지피복분류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정형화된 위성영상처리 및 분류기법을 적용하여 다량의 위성영상을 처리하고 광역 토지피복분류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국토계획이나 광역 지역계획 등에서 필요한 전반적인 자원현황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Generally, remote sensing is useful to obtai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formation of a wide area. For monitoring earth resources and environment, land cover classification of remotely sensed data are needed over increasingly larger area. The objective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rocess for land cover classification method over a wide area using multi-scene satellite data. Land cover of Korean peninsula was extracted from a Landsat TM and ETM+ mosaic created from 23 scenes at 100-meter resolution. Well-known techniques that used to general image processing and classification are applied to this wide area classifi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se process is very useful to promptly and efficiently grasp of small scale spatial information such as national territorial information.

      • KCI등재

        위성자료를 응용한 지구관측 분야의 기술분류와 국내 연구동향 파악

        김승범 ( Seung Bum Kim ),안명환 ( Myoung Hwan Ahn ),김계현 ( Kye Hyun Kim ),김문규 ( Moon Gyu Kim ),고호상 ( Ho Sang Sakong ) 大韓遠隔探査學會 2001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17 No.3

        본 총론에서는 원격탐사를 사용한 지구관측분야(Level I)의 기술들에 대한 계층적 분류를 수행하였다. Level Ⅱ 기술들을 추출하기 위하여, 방법론 관점과 응용 관점에서 구성한 2차원 표를 사용하였고, 이 결과 수선관제와 대기/해양/육지분야의 자료 응용, 그리고 공동기술과 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기술들을 선정하였다. 각 Level Ⅱ 기술들에 대하여 수개의 Level Ⅲ 기술들과 약 20-30개 가량의 Level Ⅳ 기술들을 추출하였다. 각 Level Ⅳ 기술들에 대하여 국내 확보현황, 미확보 기술의 확보 방안. 미확보 기술의 해외 확보 기관, 국내에서의 기술필요시기 등을 정리하였다. 또한 Level Ⅳ 기술들 중 공공성과 경제성에 근거한 우선 확보 기술들을 추출하였다. 기술분류 결과와 국내 연구동향에 관한 자료는 국내 연구진들간의 상호 이해와 협력을 촉진하며, 원격탐사분야를 새로이 시작하는 연구진과 학생들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정책수립을 위한 참고자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review article, we produce a technology tree in the earth observation by remote sensing, which is the Level I technology in the tree. To define Level Ⅱ technologies, we create a two-dimensional matrix of technologies viewed from methodology and application viewpoints. Consequently the following fields are selected: reception-archiving, atmosphere. ocean, land, GIS, and common technology. For each Level Ⅱ technology. we extract half a dozen Level Ⅲ and about 20-30 Level Ⅳ technologies. For each Level Ⅳ technology. we review the status of domestic research and the approaches for acquiring deficient technology in Korea. Also we survey foreign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the deficient technologies and the time when the deficient technologies are needed. Furthermore we assign priority technologies from the viewpoints of public need and economic benefits. The information given in this article would help understand and collaborate among different disciplines, be a useful guide to a beginner to remote sensing, and assist policy ma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