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자들의 공간과 자본

        고정갑희(Ko Gaphee) 한국여성학회 2005 한국여성학 Vol.21 No.3

        지구화시대 한국사회에서 여성적 빈곤은 재생산된다. 이 논문의 목적은 빈곤의 세계화와 빈곤의 여성화하고는 다른 개념으로 사용하는 여성적 빈곤의 문제를 여자들1)의 공간과 자본의 관계를 통해 살피는 것이다. 지구화시대 한국사회도 지구화가 불러온 영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상품, 자본, 노동력의 이동이 일어나는 현장인 한국사회에서 자본은 여자들을 공간화함으로써 여자들의 빈곤을 재생산한다. 여자들을 공간화하는 방식은 성별화(젠더화)와 성화(섹슈얼리티화)로 나누어지고, 이것을 기반으로 자본은 기존 성별화된 공간과 성화된 공간을 재생산하고 재구조화한다. 기존 성별화/성화된 공간이 재생산되는 양상은 가사노동, 성적 서비스 노동, 비정규직 노동으로의 노동 분절과 공간 분절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 분절은 국가, 민족, 인종의 분절로 재구조화된다. 그리고 가사노동의 이상화와 성적서비스노동의 매춘화는 임노동 공간의 여성노동을 성별화 혹은 성화하는 방식으로 또 다시 작동된다. 임노동 공간의 여성노동은 성별화와 성화로 분류되고 특징지워지는 경향이 있다. 소위 말하는 여성 직종은 젠더화와 섹슈얼리티화를 통해 자본에 복속하는 저임금노동, 시간제노동으로 화한다. 여자들은 자본의 서열화와 차등화를 특색으로 하는 공간화를 거치면서 서로 다른 공간에 배치 혹은 재배치된다. 지구화시대 한국사회 여성들의 공간과 공간화를 보는 이유는 자본과 가부장제의 공모로 인한 여성적 빈곤을 벗어날 길을 모색할 대안을 찾기 위한 것이다. 여자들은 공간에 배치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공간을 선택하기도 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공간의 서열화를 여자들이 스스로 보고, 그 공간에 대한 주체적 인식을 하게 됨으로써 불연속적인 것으로 보이고 불연 속성으로 갈라진 공간들을 나와 대안적 공간을 실천하는 행위자가 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대안적 공간에 대한 사유를 해 보기 위한 전초 작업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capital and the female space to reconsider the female poverty. The female povert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eminization of poverty' and the ‘globalization of poverty', is being reproduced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n the global age, Korean society is also not free from the effect of globalization. Capital is reproducing the female poverty by spatializing women in the globalized space of the movement of product, capital, and labour. Capital's way of spatialization is through gendering and sexualizing, and it reproduces and restructures the previous gendered and sexualized space of women. The way to reproduce the gendered and sexualized space is through the space-division of home, sex-service places, and working places and through the labor-division of domestic labour, sex-service labour and irregular labour. These divisions are restructured by the division of nation and race. The idealization of the domestic labour and the prostitution of the sex-service labour are related to the gendering and sexualizing of the women's labour in the wage labour space. Women, taking the so-called ‘female job', become the subject of capital by becoming a low-paid worker and hour-paid worker. Women, through capital's classification, hierarchy and differentiation, are placed and replaced in different social spaces: domestic labour space, sex-service space,. irregular female job space, and migrant labour space. The reason to analyse the capital's spatialization of women is to seek the way to be out of the female poverty formed by the conspiracy or collaboration of capital and patriarchy. Thus women is structured into the space, however, women in individual level or in collective level can become agents of choosing space, too. Women can be agents to come out of the divided female spaces and create alternative spaces. To come out from the structured space is not easy, but recognizing the division and differentiation, women can start to think about the patriarchal capital's conspiracy and to attempt to create a new space. So far, the alternative spaces created by the women's activism have presented good examples. But in the age of globalization, women's activism requires a different apporach to the creation of the alternative spaces: spaces crossing the female division and spaces crossing the boundaries of nation, race, and class by refusing the capital's way of gendering and sexualizing.

      • KCI등재

        탈식민주의의 저항전략과 페미니즘

        고정갑희(Gaphee Ko)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1 젠더와 문화 Vol.4 No.1

        본 논문은 탈식민주의의 저항 전략 중 문화와 담론 영역의 저항 전략을 살피고 그것이 갖는 한계 또한 살펴보고자 한다. 탈식민주의 저항 전략으로 흉내내기, 반언술행위, 번역, 언어거부를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그것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살핀다. 그리고 이러한 저항 전략들이 페미니즘과 생산적 위기를 형성하는지 물으면서 현재 전지구적 자본주의와 가부장제에 대한 대안적 전략이 될 수 있는지를 묻는다. 이 전략이 페미니즘과는 어떤 관계를 맺을 수 있는지를 묻는 것은 현재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에 대한 물음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흉내내기, 반언술행위, 번역, 언어거부에 대해 문화에 안주하며 위안을 받는 행위로 비판하는 시각과 정치경제적인 관점이 결여되었다고 비판하는 시각이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에 던질 질문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남성중심의 탈식민주의와는 달리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은 젠더-인종-계급의 중층적인 상황에 관심을 둔다. 가야트리 스피박이나 찬드라 모핸티는 마르크스주의의 혹은 반자본주의 입장을 견지하면서 탈식민주의에 페미니즘의 개입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입에도 불구하고 탈식민주의 페미니스트들이 주로 제3세계 출신으로 제1세계에서 활동하는 지식인들이라는 점이 문제가 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다시 탈식민주의의 저항 전략과 페미니즘이 생산적 위기를 조성하는지 묻는다. 그리고 이 물음은 현재 페미니즘의 새로운 방향성 설정과도 관계 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방향성을 묻기 위한 전단계 작업으로 탈식민주의 저항 전략과 그에 대한 비판을 다룬다.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resistance strategy of post-colonialism and see its meaning and limitation. It presents mimicry, counter- discourse, translation and refusing imperial language as the examples of post-colonial resistance strategies. Homi Bhabha suggests that ‘mimicry’, ‘translation’, the third-space, hybridity can be interpreted as a location of subject-other where the resistance is embedded. Stephen Slemon points out that ‘counter-discourse’ is one of the crucial resisting strategy of post-colonial period. ‘Talking back’ as ‘counter-discourse’ is a way of changing the direction of dominant discourse of imperialism/colonialism. Ngugi wa Thiong’o’s choice of refusing English as his language is another example of post-colonial resistance strategy. This article also aims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colonialism and feminism. To do this it examines some positions that criticize above mentioned post-colonial strategies. The criticism lies in their culturally-oriented specificity and the lack of polito-economic concern. It extends its criticism to their non-critical position about global capitalism, neo-colonialism and even contemporary imperialism. It criticizes that post-colonial resistance strategies are even accommodating with the present capitalism or neo-colonialism. It criticizes that post-colonialists neglect capitalism by concentrating on anti-Eurocentrism. Feminism can be supported and expanded by the post-colonial strategies in its interest in Eurocentrism and imperialism. It can be supported by its interest in race. And feminism can provide the insight of gender and sexuality. Especially post-colonial feminists, such as Spivak and Mohanty, provide the conceptual frame of race-class-gender. However, the meaning of post-colonial resistance strategies requires examination because of the above criticism and the lack of gender/sexuality frame. To move further from the present post-colonial strategi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colonialism and feminism. And based on this, the reviewing of post-colonial feminism shall be followed. It is for finding a better direction of present feminism and feminist move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