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전통연희 중 징춤의 예술성 고찰

        강향란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9 문화와예술연구 Vol.13 No.-

        The vicissitudes of Korean dance are among the primitive art practiced in the midst of the fear nature has on humans and the life for survival. The concept of worship in nature and shamanistic acts, the power of spirits, have been introduced in the form of "gut," which is the origin of dance today.Hyundai is presenting various performing arts and meeting with audiences in a unique format, and has developed into our own traditional performances. These various kinds of performances were developed into performing arts such as mask dance, exorcism and pansori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polar literature department, and were transferred to the most Korean Yeonhui representing the spiritual culture of the Korean people. Among the performing arts, Sangjig nori, Buknori, Jingnori, Seoljanggo nori, and Sogo Nori,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pans of Namsadang Nori, have important meanings as modern cultural contents. However, among these, Jingnori is a reality that is locally limited and sustained by a small number of masters, and the interest in Jing-dancing is even weaker, and there is little paper and literature material that has been studied on it. The author, who is a master of Namsadangnori, understood the meaning of gong dance and set his original purpose on the thought and artistry inherent in gong dance. Jing-dancing has philosophical and aesthetic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the artistic value inherent in Kang Hyang-ran's Jing-dancing expresses Han, Sorrow, and Loneliness as excitement and divinity in dance moves that are not colorful but dynamic and rough.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rtistic value of Jing-dancing is described as follows in order to promote the interest of Jing-dancing as a valuable asset of traditional culture and to carry on the pulse of traditional preservation. First, in performing arts, they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impromptu communication with performers and audiences.Second, the sound of gongs in Jing dance is more of a formative concept of philosophical and aesthetic artistic healing.Third, understanding and caring as a means of communication by interaction has the educational value of character formation.Keywords: Traditional performance, Jing dance, Pungmul Nori, Performing arts Pangood. Keywords : Traditional performance, Jing dance, Pungmul Nori, Performing arts, Pangood 한국 춤의 변천은 자연이 인간에게 미치는 두려움과 생존을 위한 삶 가운데에 행하여진 원시 예술 가운데 하나이다. 자연에서의 숭배의 관념과 정령의 힘인 주술적 행위가 오늘날 춤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굿’의 형태로 전해졌다. 현대는 다양한 공연예술이 선보이고 있고 독특한 형식으로 관객들과 만나고 있으며, 우리 고유의 전통연희로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다양한 연희는 극문학과의 결합으로 탈춤, 굿, 판소리 등 공연예술로 발전이 되었고, 우리 민족의 정신문화를 나타내는 가장 한국적인 연희로 전승되었다. 이러한 공연예술 가운데 대표적인 남사당놀이의 판굿인 상쇠놀이, 북놀이, 징놀이, 설장고놀이, 소고놀이 등은 현대의 문화 콘텐츠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이들 가운데 징놀이는 지역적으로 국한되어 소수의 명인에 의해 그 맥을 이어가고 있는 현실이며 더욱 징춤에 대한 관심은 매우 미약하고, 이를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과 문헌 자료가 거의 없다. 남사당놀이 이수자인 필자는 징춤의 의미를 파악하고, 징춤에 내재한 사상과 예술성 고찰에 본고의 목적을 두었다. 징춤에는 철학적이고 미학적인 예술적 특성이 있으며, 강향란의 징춤에 내재한 예술적 가치는 한과 서러움, 외로움을 화려하지 않고 역동적이고 거친 느낌의 춤사위에서 흥과 신명으로 표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징춤이 전통문화의 소중한 자산으로서 올바르게 전승되고, 전통 보존의 맥을 이을 수 있는 관심을 고취하고자 징춤의 예술적 가치를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첫째, 공연예술에서 공연자와 관객과의 즉흥적 소통으로 상호 교감을 이룬다. 둘째, 징춤에서의 징의 울림은 형이상으로 철학적, 미학적인 예술적 치유의 개념이 있다. 셋째, 상호작용에 의한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이해하고 배려함이 인격 형성의 교육적 가치가 있다. 주제어 : 전통연희, 징춤, 풍물놀이, 공연예술, 판굿

      • KCI등재

        남사당놀이 여섯 종목 형성에 관한 연구 - 조선 후기 풍속도를 중심으로 -

        강향란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3 문화와예술연구 Vol.21 No.-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 wandering performance groups in the late Joseon period on forming the six categories of Namsadangnori, based on the genr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research method is a literature study, focusing on the genr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Gokdugaksinoreum(puppet show) is written as ‘Park Cheomji Noreum’ or ‘SanDaePaenoneun Moyang’ in the Gisan's genre painting. Here, Kokdu means the hindbrain and Gaksi does an unmarried young girl. It is named ‘Deulmi’,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performance holding the back of the doll’s neck(the hindbrain) in Namsadangnori. The Second, Ttangjaeju(acrobatic feat) and Daejeobdolligi(bowl spinning) have the characteristic of performance simultaneously on the same stage in Bongsado and Alseongsieunyeongyeondo. Thus, it seems that they are very popular not only in the private events but also in important national ones. Ttangjaeju is named Salpan and Daejeobdolligi is Beona in Namsadangnori. The Third, Jultagi has a characteristic of Gosa rites before its performance. A tightrope walker is written as Changbae(actor) or Changbu(male actor)in the Gisan’s. It is a female walking on a tightrope that Namsadangnori’s Jultagi has characteristic of. Jultagi is called Eoreum(Jul is omitted) in Namsadangnori, which comes from Jul-Eoreum. Eoreum means 'Bosak' which is to walk on the rope. The Fourth, there are various paintings in Gisan’s which can identify the atmosphere of the overall Talnori(masqu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sk. It is a special feature to perform Talnori at night. In Namsadangnori, Talnori is called ‘Deutboegi’, but it was ‘Deutbogi’ in the 1960s, whose performance is composed of humour and a keen satire on society. The fifth, Pungmulnori is related to Nongak(farmers’ music). Sadang means a female, and Geosa does a male in the Joseon period. Based on the Gisan’s titles, Sadang had been a female-centered performance group and later the Male-centered performance group was newly made. Also, the ‘Mudong’ means a dance on the shoulder in ‘Mudongnori’, which is one of the Pungmulnori performances. That is, its six categories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e influenced by the dissolution and integration of various wandering performance groups in the19th century. Its findings are useful as basic data for the impact of various performances in the late Joseon period on forming its six categories as well as for analyzing its meaning and restoration of Namsadangnori, a Korean intangible cultural asset. 본 연구는 조선 후기 풍속도를 바탕으로 조선 후기전문 유랑 연희패들이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남사당놀이 여섯 종목 형성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산풍속도>에서 꼭두각시놀음은  ‘박첨지 놀음’과 ‘산대패 노는 모양’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때, 꼭두는 후뇌를, 각시는 어린 소녀를 의미한다. 남사당놀이에서는 꼭두각시놀음을 ‘덜미’라고 부르는데, 인형의 목 뒷덜미(후뇌)를 잡고 공연하는 특징이 반영된 용어이다. 둘째, 〈봉사도〉와 〈알성시은영연도〉에는 ‘땅재주’와 ‘대접 돌리기’가 한 무대에서 동시에 공연되는 모습이 담겨있다. 즉, 이 연희들은 민간 부분뿐만 아니라, 국가의 중요 행사에서 공연되는 놀이로 대중들의 인기를 받는 것으로 보인다. 남사당놀이에서 ‘땅재주’는 ‘살판’으로, ‘대접 돌리기’는 ‘버나’로 명칭 된다. 셋째,  줄타기는 연희 전에 고사를 지내는 특징이 있다. <기산풍속도>에서 줄꾼은 창배(倡俳) 혹은 창부(倡夫)로 기록되어 있다. 남사당놀이 줄타기는 줄꾼이 여성이라는 특징이 있다. 남사당놀이에서는 줄타기를 ‘어름’이라고 한다. ‘줄-어름’이란 단어에서 ‘줄’이 생략된 형태로, ‘어름’이란 ‘(줄을) 탄다’는 ‘보삭(步索)’의 의미이다. 넷째, <기산풍속도>에는 ‘탈놀이’의 전체적인 연희 분위기와 각 탈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도상이 존재한다. ‘탈놀이’는 야간에 공연되는 특징이 있다. 남사당놀이에서는 ‘탈놀이’를 ‘덧뵈기’라고 부르고 있으나, 1960년대는 ‘덧보기’로 지칭되어 있으며, 해학적이고 사회 풍자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섯째, 풍물놀이는 농악과 관련 있는 부분이다. 조선 시대 ‘사당’은 여성, ‘거사’는 남성을 의미한다. <기산풍속도>의 화제를 통해서 보면, 사당패는 여성 중심의 연희패였으며, 이후 남성 중심 연희패가 생기면서 남사당패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풍물 연희 중에 하나로 펼쳐지는 ‘무동놀이’의 '무동'의 의미는 어깨 위에 올라가서 연희를 하는 ‘무등’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즉, 현재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남사당놀이의 여섯 종목은 다양한 19세기 유랑 연희집단이 해체되고 통합되는 과정에서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무형문화재로 등록된 남사당놀이 여섯 종목 형성에 미친 조선 후기 다양한 연희패들의 영향력을 분석한 것으로, 남사당놀이 여섯 종목의 의미 분석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유네스코 국가무형유산 남사당놀이 꼭두각시놀음 등장인물의 성격연구 분석 -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를 중심으로 -

        강향란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4 문화와예술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국가유산으로 지정된 꼭두각시놀음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에 수록된 대본을 기준으로 주요 등장 인물, 꼭두각시, 박첨지, 홍동지, 평안감사, 동방삭의 성격과 역할을 분석한 것으로, 조선 후기 다양한 사당패들에 의해 공연된 각기 서로 다른 인형극이 옴니버스 형태로 융합되면서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64년 무형문화재로 지정받은 꼭두각시놀음은 조선 후기 꼭두각시, 박첨지, 홍동지, 평안감사를 중심인물로 공연된 인형극이 통합된 형태로 볼 수 있다. 둘째, 꼭두각시는 현모양처의 여성상을 대변하는 인물로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결정하는 인물로 순종적이면서도 진취적인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셋째, 박첨지는 가부장적 남성 중심 사회에서 허세와 권위 의식에 사로잡힌 인물로, 권위주의적이고 남성중심적인 마초(Macho) 문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홍동지는 순박하고 어눌하지만 재리에 밝으며, 자신의 힘을 타인을 위해 사용하는 이타적인 인물로 민초들의 능동적인 삶을 대변하고 있다. 다섯째, 평안감사는 부정부패의 무지몽매(無知蒙昧)한 권력층을 상징하는 인물로, 효성이 지극한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여섯째, 동방삭은 종교 지도자처럼 고난과 어려움을 위로하는 역할을 하며, 껌벅이와 묵대사로 분화되면서 그의 매력적인 인물 특성은 사라진다. 본 연구 결과는 꼭두각시놀음의 주요 등장 인물들의 성격을 규명하고, 전통 인형극의 복원과 2차 창작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s and roles of the main characters of puppets: Kkokdugaksi, Park Cheomji, Hong Dongji, Pyeongangamsa(Province Governor), and Dongbangsak based on the script included i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search report on Gkokdugaksinoreum. It is possible that the play performed by various strolling play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formed by the fusion of puppet shows into an omnibus for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kokdugaksinoreum,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1964, can be formed by integrating puppetry perform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main puppets: Park Cheomji, Hong Dongji, and Pyeongan Gamsa. Second, Kkokdugaksi is a character who represents the female image of a wise mother and good wife. She takes the lead in deciding her own life, and has two sides: obedient and enterprising. Third, Park Cheomji is a character obsessed with bravado and a sense of authority in a patriarchal, male-centered society.He is a symbol of the authoritarian and macho culture. Fourth, Hong Dong-ji represents a naive and inarticulate, but bright and resourceful personality. Its character is an active grassroots such as an altruistic person who uses his power for the benefit of others. Fifth, Pyeongangamsa who symbolizes the power class is blind and ignorant linked to political corruption. However, he has extremely filial piety. Sixth, Dongbangsak plays the role of comforting hardships and difficulties like a religious leader. As differentiated into two characters, Gumbeoggi and Mukdaesa, his attractive character traits disapp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to be used for the restoration and secondary creation of traditional puppet plays by identifying the nature of the main characters of Korea puppet pl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