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해 감포 주변해역에서 저층삼중자망에 어획된 어류 군집

        강필준,김종관,황선완 한국환경생물학회 2015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3 No.1

        2005년 6월, 9월, 12월 및 2006년 3월에 동해안의 감포연안에서 저층삼중자망에 어획된 어류 종 조성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21과 32종, 695마리, 180,012.0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채집된 어류 가운데, 가장 많이 채집된 종은 망상어 (Ditrema temminckii)로서 채집 개체수의 52.4%, 생체량의 40.4%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 주요 종으로는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i), 쥐치 (Stephanolepis cirrhifer), 탁자볼락 (Sebastes taczanowskii), 용치놀래기 (Halichoeres poecilopterus) 등이었다. 이들 6종은 전체 개체수의 77.6%, 전체 생체량의 77.5%를 차지하였다.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은 계절에 따라 변동하였다. 종수는 2005년 6월에 가장 많았고 2006년 3월에 가장 적었다. 개체수와 생체량은 2005년 9월에 가장 많았고, 2005년 6월에 가장 낮았다. Fish assemblages in the coastal waters off Gampo in the East Sea of Korea were analyzed using the samples of fishes collected with bottom trammel gill nets June, September, and December 2005 and, March 2006.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32 fish species, 695 individuals, and 180,012.0 g representing 21 families were collected. The fish assemblages predominantly consisted of Ditrema temminckii, which accounted for 52.4% of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40.4% in the biomass. The next major specimens were Hexagrammos otakii, Sebastes schlegelii, Stephanolepis cirrhifer, Sebastes taczanowskii, Halichoeres poecilopterus. These six fishes accounted 77.6% of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77.5% of total biomass. The number of fish species,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were fluctuated with month.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est in June 2005 and lowest in March 2006.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was highest in September 2005 and lowest in June 2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