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주지역 마한계 취락과 조영 세력

        강유지(Kang, Yu Ji) 한국고대사학회 2022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5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마한 54개국의 위치는 경기도 북부지역, 충남지역, 전북지역, 전남 지역에 한정되어 왔다. 하지만 충북지역에서 확인된 다수의 마한 관련 대규모 유적은 충북지역에도 ‘국’이 존재하였음을 보여주는 자료로 주목되고 있다. 마한 54개 소국 중에서도 마한의 맹주국인 목지국의 위치에 대해서는 많은 학자들이 익산, 광주(廣州), 직산, 안성·평택 일대, 인천, 예산, 공주, 나주, 천안, 아산 및 아산만, 목지국이 백제의 세력 확장에 따라 이동하였다는 이동설(직산에서 익산, 직산에서 나주) 등으로 비정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미호천 유역에서 발굴조사된 청주 송절동 유적은 면적에 비해 조밀하게 조영된 주거지 수나 인구 규모, 입지, 선진화된 철기문화, 보다 발전된 방어시설, 권력의 상징으로 보이는 ‘王家’ 동탁 등을 모두 고려해 보았을 때 목지국의 국읍으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다. 또한 송절동 유적의 서쪽에 위치하는 오송 유적은 다양한 지역과의 교류의 흔적과 마한의 전통적인 주구토광묘의 밀집한 조영이 이루어졌으므로 국읍 주위의 중심 읍락으로도 볼 여지가 있으며, 현재까지의 발굴 현황만을 보았을 때 취락 중심인 송절동 유적의 대규모 분묘 권역의 역할을 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송절동 유적의 조영 세력은 기존의 마한 소국 비정 연구에서 소외되었던 충북지역에도 국이 존재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은 물론, 미호천 유역에서 독자적인 문화 요소를 유지하며 목지국의 국읍에 해당하는 중심 세력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Previous studies have argued that 54 statelets(‘guk’) of the Mahan confederacy were located in present-day northern Gyeonggi-do, Chungcheongnam-do, Jeonrabuk-do, and Jeonranam-do. In addition, cholars have believed that Mokjiguk, the dominant state of Mahan, was located in present Iksan, Gwangju(廣州), Jiksan, the Anseong and Pyeongtaek area, Incheon, Yesan, Gongju, Naju, Cheonan, or Asan and the Asan bay area. Some have insisted that it moved along with Baekje’s expansion from Jiksan to Iksan, or from Jiksan to Naju. The Songjeol-dong relics indicate three distinctive features: a large size of population (an estimated population of 3,681 in 514 settlements) ; the production and propagation of iron tools which was an advanced technology as well as an economic indicator of antient times; and a unique cooking and heating system. This large-scale residential area was built on a flat alluvial plain, and the nearby Jeongbuk-dong earthen fortress appears to have been constructed to control and protect this area at the back. The fortress has a moat of a rather advanced form, compared to the usual Mahan moat. It is supposed that an immense workforce was mobilized to build such a facility. The bronze bell with an inscription ‘王家’ is believed to have been a ceremonial tool used by a ruler and a symbol of power. The Osong relics include 735 pit tombs with an encircling ditch and artifacts made from other nations such as Nakrang, Jinhan, or Byeonhan as well as iron daggers with a bronze handle, which demonstrate trade. The size of the settlements and trade volume of this place are far from small compared to other relics assumed to be as Mokjiguk. The Songjeol-dong relics suggest that a Mahan statelet was in the Chungbuk area which has been ignored in previous studies, and the ruling power of this area, who developed a unique culture around the Mihocheon, was a central force of Mokjiguk’s capit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