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하 추출물이 B-16 마우스 흑색종 세포의 멜라닌 생성과 타이로시네이즈 mRNA양에 미치는 영향

        이상화 ( Sanghwa Lee ),김진준 ( Jinjun Kim ),김호정 ( Hojeong Kim ),이종태 ( Jongtae Lee ),강세훈 ( Sehhoon Kang ) 대한화장품학회 1997 대한화장품학회지 Vol.23 No.2

        피부 내에서의 멜라닌 색소의 생성은 태양광에 존재하는 유해한 자외선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방어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다.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EC 1.14.18.1)라는 효소가 이러한 멜라닌의 합성 과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유로 피부의 색소생성을 조절하는 많은 연구의 대부분이 타이로시네이즈의 효소적 조절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본 연구자들은 전통 한약재인 반하(Pinelliae temate B.)의 물 추출물이 비록 타이로시 네이즈에 대한 저해 작용은 없으나 배양된 B-16 마우스 흑색종 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자들은 또한 반하 추출물이 배양된 세포의 타이로시네이즈 효소 활성을 낮춘다는 사실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반하 추출물의 작용 기작을 밝혀 내기 위하여 반하 추출물이 B-16 마우스 흑색종 세포의 타이로시네이즈 mRNA 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기법을 이용, 연구를 수행 하였다. 연구 결과 반하추출물은 타이로시네이즈 mRNA 의 양을 용량 의존적인 경향으로 감소시킴이 밝혀졌다. 즉, 반하추출물을 2mg/㎖및 5mg/㎖ 처리시 각각 20%와 44%의 mRNA 양의 감소가 관찰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반하 추출물이 타이로시네이즈 mRNA의 전사 조절을 통하여 그 미백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Melanin pigmentation in human skin is a major defense mechanism against ultraviolet light of the sun. Tyrosinase(EC 1.14.18.1) plays a key role in the biosynthesis of melanin. This is why much researches have been focused on its regulation in controlling the epidermal melanization. We have found that the water-extract of Banha(Pinelliae temate B.),an oriental medicinal plant, has no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but does inhibit the melanin biosynthesis in B16 mouse melanoma cells. We also found that Banha extract lowers the tyrosinase activity in cultured cells. To elucidate the action mechanism of Banha extract we have investigated its effect on the tyrosinase mRNA level using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technique. It was revealed that Banha extract reduced the tyrosinase mRNA level in a dose dependent manner; when B16 mouse melanoma cells were cultured with 2mg/ml and 5mg/ml of Banha extract, there were 20% and 44% decrease in tyrosinase mRNA level, respectively. These data suggest that the Banha extract exerts its melanogenic inhibitoiy effect through the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yrosinase mR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