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항온실험에서 왕겨 바이오차와 바이오차 펠렛의 시용수준에 따른 토양 이화학성 변화평가

        이승규(Seunggyu Lee),김소희(Sohui Kim),박재혁(Jaehyuk Park),윤진주(Jinju Yun),강세원(Sewon Kang),조주식(Jusik Cho)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최근 바이오차의 토양개량 역할과 유기물질의 공급원으로 각광받기 시작하면서 바이오차를 농경지에 적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농경지 조건의 항온실험을 통하여 토양의 화학적 특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농경지별 토양은 일반 밭토양(U), 시설재배지 토양(G), 개간토양(C), 간척지 토양(R)을 사용하였고, 모든 처리구에 관행시비량인 퇴비 540 kg 10a<SUP>-1</SUP>, N-P-K: 32-7.8-19.8 kg 10a<SUP>-1</SUP>의 수준으로 시비하였다. 바이오차는 왕겨 바이오차(R)와 바이오차 펠렛(P)을 사용하여 비교하였으며, 바이오차 펠렛의 함량조성은 나무숯30%+가공계분50%+쌀겨10%+왕겨숯 10%의 비율로 제조되었고, 왕겨바이오차와 바이오차 펠렛 시용수준은 0, 5, 10, 20 t ha<SUP>-1</SUP>의 수준으로 적용하여 처리구를 완성하였다. 이 항온실험은 40일 간 진행되었으며, 실험 중 인큐베이터 안의 온도는 25 °C, 수분보수력(WHC) 70% 수준을 유지하여 진행하였다. 항온실험 전 토양과 40일 후 토양의 화학성을 비교한 결과 토양의 pH는 대부분 왕겨 바이오차 처리구보다 바이오차 펠렛 처리구에서 더 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일반 밭토양의 pH는 바이오차 시용수준 차이에 따라 증가하였으나(+0.49 ~ +1.47), 시설재배지토양, 개간토양, 간척지토양에서는 전부 감소하였다 (–0.08 ~ –1.38). 유기물 함량은 일반 밭토양 UP20 처리구에서 38%, 시설재배지 GP10 처리구 26%, 개간토양 CR20 처리구에서 21%, 간척지 RP5 처리구에서 32%까지 증가하였다. 항온실험 결과 왕겨 바이오차보다는 바이오차 펠렛에서 토양 개량효과가 더욱 증가하였고, 바이오차의 함량이 10, 20 t ha<SUP>-1</SUP> 의 시용수준에서 토양개량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고 판단된다.

      • Convergence ability and convergence education needs in nursing

        강세원, 전은미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9 自然科學論文集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vergence ability, convergence education needs in nursing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31, first and third grade nursing stud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2019 and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2.0 Program.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As a result, the convergence ability score was 3.50 (out of 5) and the convergence education need was 2.33 (out of 5). The convergence ability had a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level, and first grade was higher than third grade (t=3.596, p<0.001). Also, the group with higher convergence education need had higher convergence ability score (t=-3.098, p <0.002). In order to play a responsible rol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students' convergence capa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