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当前中国多元文化教育发展现状 '问题与展望

        谭忠秀,김정호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1 글로벌교육연구 Vol.3 No.1

        중국의 다문화교육은 1980년대 말 1990년대 초 도입된 이래 많은 중국학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비록 중국의 소수민족교육과 서구의 다문화교육은 발생 배경, 내용 및 방법에서 많은 차이가 있지만 다문화교육이 주창하는 생각은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55개 소수민족이 전체 인구의 8%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에서는 민족문화의 다양성을 유지하고, 교육민주화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교육과정개혁, 민족문화계승 및 다문화교육 등을 강조하고 있는데, 중국 다문화교육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이론 연구 동향과 관련해서는 2010년 말 중국 국가도서관에서 검색한 결과 다문화교육과 관련한 석·박사 논문이 22편이고, 중국어로 출판된 이론서가 9권, 홍콩이나 타이완에서 출판된 중국어판 전문서적 12권,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이 700 여 편에 이른다. 특히 국외 다문화교육 연구에 대한 중국 내 관심이 높아지면서 중국학자들 가운데는 서구의 다문화교육을 토착화시켜 중국 소수민족 문화교육과 교육과정의 이론으로 만들어내려는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저작으로는 텅씽(滕星) 교수의 '문화변천과 이중 언어 교육', 왕젠(王鉴)교수의 '민족교육학' 등이 있다. 이외에도 중국 특색의 다문화교육 이론을 만들어내려는 노력들도 진행되고 있는데, 페이샤오퉁의 '다원일체격국론'을 토대로 중국의 다문화교육의 지향점은 '다원일체교육'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대표적이다. 이는 텅씽 교수가 주장하는 '다문화통합교육론'으로 대표되는데, 이는 소수민족의 경우 자신의 문화와 더불어 주류 민족의 문화를 함께 배우고, 주류 민족의 경우 자신들이 문화 외에도 소수민족의 문화를 배움으로써 주류 민족과 소수민족이 서로 간의 이해를 확고히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다문화교육과 관련한 교육제도의 수립과 관련해서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이래 중국정부는 소수민족교육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 정부의 소수민족교육정책은 일정 부분 소수민족교육의 발전에 공헌을 하였으며, 소수민족 인재의 양성, 소수민족지역의 발전을 가져왔는데, 대표적인 소수민족교육정책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수민족 학생들로 하여금 본 민족의 언어와 문화를 학습하도록 하기 위해 소수민족지역에서 이중 언어 교육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둘째, 각 소수민족의 서로 다른 문화와 관련하여 교육과정 편성에서 소수민족 전통문화의 계승에 대해 많은 강조를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가의 통일된 교육과정에 소수민족의 언어과정을 결합하여 소수민족문화의 유지 및 계승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 있다. 셋째, 소수민족 지역의 교육발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 정부는 초등학교에서 대학까지의 소수민족교육체계 수립, 대학입시에서의 본 민족 언어로 답안쓰기 및 가산점 부여, 재정적 지원등의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다문화교육 실천의 측면에서 중국정부는 최근 10여 년 간 다문화교육이라는 세계적인 흐름에 호응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진행하였으며, 교육정책, 교육목표, 교육방식, 교사양성, 교육내용의 선택 등에 있어 다문화교육의 기본 이념을 반영하려는 부단한 노력을 하고 있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언어 교육과 관련하여 중국정부는 1980년대 이후 이중 언어 교육과 관련한 많은 인재들을 양성하였으며, 소수민족 문자 교재 및 출판물을 출판을 장려하고 있으며, 소수민족지역 학교에서의 이중 언어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1994년부터 국가교육위원회 및 민족사무위원회가 주동이 되어 전국의 초중학교에서 민족 단결교육활동을 실시하고 있는데, 초등학교에서는 민족상식과, 중고등학교에서는 민족정책상식과를 설치 운영함으로써 각 민족 간에 단결하고, 통일된 중국을 유지해나가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고 있다. 셋째, 다문화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및 개발을 위해 많은 학자들이 노력을 하고 있는데, 특히 중국 내 소수민족을 위한 지역 교육과정 연구, 향토교육 교재 편찬 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노력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다문화교육은 아직까지는 이론적인 측면, 실천적인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다문화교육은 각 문화의 다양성을 유지시켜주는 중요한 수단 가운데 하나이므로 서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연구 및 분석을 통해 향후 중국 소수민족교육에서 참고해야 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념적인 측면에서 다문화교육의 이론 연구를 강화 하여 다문화교육관을 수립하여야 한다. 둘째, 제도적인 측면에서 행정적인 조치 및 경제적인 지원 강화를 통해 다문화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This paper first summarizes the current development of China's multicultural education in termsof theory studies, policies, and practice. Then the writer systematically analyses and points out that the present theory studies on China’s multicultural education are few and lacks its own theoretical framework; some terms and expression are vague; Nationalization and localization of theory studies is weak; and the relationship between"Pluralism" and "monism" from the cultural view is unclear. Moreover, there are a lot of problems in the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such as deviation from the aims of education; difficulty in implementing bilingual education; narrow curriculum objectives, Utilitarian curriculum, emphasis and attention to the Han 's cultural ignoring other ethnic minorities , single evaluation system,the lack of qualified teachers teaching multicultural curriculums, and etc.. Finally, the writer gives a bright outlook for China’s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akes suggestions based on the above issues. We should strengthen theoretical stud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 should legislate and fund to protect and support multicultural education; we should train more high-qualified teacher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we everyone should establish a correct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and national outl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