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자연과학편 : 유산성역치(乳酸性?値)(LT)에 상당하는 강도의 운동중대사반응(運動中代謝反應)

        김현수(HyunSooKIM),전중희대차(KiyojiTANAKA),중당이삼생(FumioNAKADOMO),도변일지(HitoshiWATANABE),전전여시(KazuyaMAEDA) 한국체육학회 1990 한국체육학회지 Vol.29 No.1

        最近, 많은 硏究者들에 의해 嫌氣性代射?値(AT) 또는 乳酸性?値(LT)는 全身持久性이나 트레이닝의 生理學的 指標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AT(LT)에 상당하는 强度에서 장시간 운동 중 呼吸循環 및 代謝反應에 관한 보고는 많지 않다. 따라서, 本 硏究는, LT에 상당하는 强度에서 1時間의 最大下 運動 中 呼吸 循環系 및 代謝反應을 檢討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强健한 일반성인 남자(32.1±8.9才)를 對象으로 자전거 에르고미터를 이용하여 운동을 시킨 결과, 酸素攝取量 및 換氣量의 상승은 극히 적었으며 (5%, 3%) 心拍數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血中乳酸農度는 運動初期에 높았으나, 점차 감소하여 운동종료시 크게 낮은 값을 보였다. 한편, 遊離脂肪酸(FFA)은 운동 중 계속 크게 증가하였으며, 呼吸交換比(RER)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감소하며 종료시 有意하게 低下하였다. 血糖値는 약 80㎎/㎗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心理, 生理的 疲勞의 指標인 RPE는 運動終了時 13∼15를 나타내었다.以上의 結果에서, 筋肉의 脂肪酸攝取의 增加는 運動의 持續에 의해 높아지는 糖利用(血糖値의 低下)을 抑制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呼吸循環系의 부담이 적고 피로감이 높지 않아 長時間 運動이 가능한 LT水準은 一般人에게 有效하며 안전한 트레이닝 强度라고 생각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체육측정평가 : 성인 남성의 건강체력수준의 평가: 판별분석의 적용

        이미숙(LeeMi-Sook),강상조(KangSang-Jo),田中喜代次(KiyojiTanaka) 한국체육학회 1998 한국체육학회지 Vol.37 No.1

        일상생활 중 신체활동의 감소에 따른 건강체력 수준의 저하가 활력있는 건강한 장수를 위한 잠재 능력을 쇠퇴 시킨다는 이론적인 배경 하에, 개개인의 체력수준에 대한 폭 넓은 검토가 고령화 사회의 중요한 과제로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건강체력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검사 결과로부터 일반군, 운동군, 비만군으로 분류된 세 집단을 통계적으로 가장 적절하게 판별할 수 있는 추정식을 작성하는데 있다. 신체활동 수준이 다른 성인 남성 75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인 남성의 체력을 건강체력 관점에서 정의하고, 선행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근력, 전신지구력, 유연성, 신체구성 요인을 건강체력수준 평가에 필요한 체력요인 및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각각의 체력요인을 대표하는 항목은 타당성 및 신뢰성을 고려하여 악력, 최대산소섭취량, 체전굴, 체지방 등의 검사항목을 선택하였다. 판별분석을 적용하여 검토 한 주요 분석내용은 1) 선정된 체력검사 결과에 근거하여 집단 구성원은 우연에 의한 예언보다 어느 정도 높은 수준에서 정확하게 해당 집단에 소속된 것으로 예언할 수 있는가?, 2) 유의한 판별함수의 수와 각 집단별 판별함수 점수의 평균 즉 집단평균치, 3) 어떠한 체력검사가 판별함수와 높은 상관이 있는가?, 4) 해당 집단에 정확하게 분류하기 위해 각 독립변인의 점수에 어떤 가중치를 주어야 하는가? 등이다. 건강관련 체력측정 항목 상호 간의 상관 행렬을 검토하고, 판별분석을 적용하여 4항목으로 구성된 판별함수를 산출한 결과 세 집단이 복수의 체력측정 항목에 있어서의 성적으로부터 정확하게 판별 될 확률은 86.6%였다. 이 결과는 신체활동 수준별로 정확하게 분류된 성인 남성들은 우연에 의해 분류될 수 있는 확률 33.5% 보다 현저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또한, 판별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한 각 개인의 판별득점을 신체적 건강도로 간주하였으며 그 득점과 각 체력 항목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전신지구력 및 신체구성 지표와 신체적 건강도 간에 높은 관련성이 시사되었다. 따라서 성인 남성의 경우 일상생활에 있어서 전신지구력과 신체구성의 변화가 신체적 건강도의 지표로서 공헌도가 크고 중요하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향후 이 연구에서 제시한 판별함수를 이용하여 교차타당도에 대한 검토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discriminate the three different groups categorized by physical health status and physical activity level using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2) to examine the degree of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health status and physical fitness and the contribution of each element of physical fitness to the physical health status of middle-aged men. This study was achieved by classifying the original subject pool into three different experimental subgroups based on physical examination results and self-reported activity levels; a normal group (I), a regularly exercise group (II), and an obese group (III). The health status was assessed by physicians. Physical fitness tasks were selected from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components; maximal oxygen uptake (VO2max; X1), grip strength (X2), body fat (X2), and trunk flexion from a standing position (X4).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was applied to determine if the selected physical fitness tasks were sensitive to differentiate among the three groups and successfully classify individual in the appropriate physical activity levels and physical health status. Correct discriminant probabilities of multiple discriminant functions to discriminate the I, II,and III group were 86.6%.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was a relatively strong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health status and the level of physical fitness. The contribution of each element of physical fitness to physical health status was evaluated by correlation between the discriminant score representing physical health status, and performance on each element of the physical fitness test. It was concluded that discriminant function provided a valid model for evaluating differences among the three different physical health status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Therefore, our data suggests that commonly used measures of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can be utilized as a valid index of physical health status in exercise and health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