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espiratory Syncytial Virus 감염증을 가진 소아에서 Ribavirin 고농도 단기요법과 기존치료의 비교

        안영민(Young Min Ahn),(Janet A . Englund),(Pedro A . Piedra),(Brian E . Gilbert),(Peter Hiatt)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3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3 No.2

        따라서 개선 방법으로 high dose-sho핀 duration ribavirin aemsol (6 gr/100 ml of water over two hours, three time a day)요범이 고안되어 이미 쥐와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가진 성인에서 그 효력과 안정성이 증명되었고 6명의 소아에서 ribavirin의 혈액과 분비물내의 농도가 기존 치료법과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이번 임상 연구에서는 두 방법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비교하려고 하였다. 20명의 후드 치료와 12명의 인공호흡기를 통한 흡입을 무작위로 기존 방법(6 gr/300 ml of water over 18 hours a day)과 연구방법으로 나누어 그 두 군 간의 바이러스 배출량, 임상적 지수 변화, 폐기능 검사, 부작용 등을 비교하고 주변환경의 약의 공기 농도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두 군간의 임상적 지수 호전 속도, 바이러스 배출 감소 속도 둥은 차이가 없었고 엉겨서 막힘등의 부작용은 1예의 후드를 통한 기존 치료군과 2예의 인공호흡기를 통한 고농도군에서 발견되었다. 주위 공기내의 약의 배출 농도는 인공호흡기를 통했을 경우는 두 군 모두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로 낮았지만 후드 사용시는 고농도 단기 치료군에서 기존 치료군보다 의미있게 낮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고농도 단기 치료법은 기존 치료법과 동일하게 안전하고 효과적이면서도 약의 주위 오염 정도를 낮추고, 치료 방법이 용이하여 후드 사용 환자에게는 추천할 만한 방법이나 인공호흡기를 통한 치료에는 조금 더 짧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N/A

      • Adenovirus 7 형 폐렴후 Bronchiolitis Obliterans 발생에 관한 연구

        김창근(Chang Keun Kim),정철영(Churl Young Chung),김정숙(Jung Suk Kim),이환종(Hoan Jong Lee),(Pedro A . Piedra)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7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7 No.2

        목 적 : Adenovirus 7형 폐렴은 높은 치사율을 보이고 생존자 중에는 장기 합병증으로 brochiolitis obliterans(BO)를 포함하여 그의 변형(variant)인 Swyer-James 증후군이 올 수 있으며, 이 경우 천명 등의 만성적인 기관지 폐쇄중상을 보이고 영구적인 폐손상을 남기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adenovirus 7형 폐렴후 생존자들에서 장기 폐합병증의 하나인 BO의 발생을 규명하고, 그의 가능한 위험 인자를 알아 보고자 했다. 방 법 : 1996년 5월부터 1996년 7월까지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소아과 병동에서 adonovirus 폐렴으로 입원 치료를 받았던 39명의 환아중 바이러스 배양 및 혈청형 검사에서 adenovirus 7형 폐렴으로 확진된 11례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1년후(12.1±1.9개월) 대상환아 11명 모두를 소아과 외래로 불러 HRCT를 시행하고, 병력 고찰을 후향적 하고 1년동안의 임상 경과를 추적하였다. 결 과: 1) HRCT소견상, 7/11(64%)례에서 모자이크성 관류, 패혈관크기 감소, 기관지 확장중 등의 BO 소견(BO군)을 보였으며, 4/11(36%)례는 정상소견(Non-BO군)을 보였다. 2) 감염당시 환아들의 평균연령은, BO군(15.3±7.1개월)이 Non-BO군(35.3±14.2개월)보다 의미있게 어린연령이었다(P<0.05). 3) 감염당시 환아둘의 평균 발열기간은, BO군(14.4±2.8일)이 訓on-BO군(6.3±2.5일)보다 의미있게 길었다(P<0.01). 4) 감염당시 환아들의 평균 입원기간은, BO군(28.0±10.8일)이 Non-BO군(9.8±3.6일)보다 의미있게 길었다(P<0.01). 5) 성별비교에서는 두군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6) adenovirus감염전 천식이 있었던 경우는 4/11(36%)례였고, 이들모두 BO군에 속하였으며, 4례중 3례에서 지속적인 천명이 있었다. 결 론 : Adenovirus 7형 폐렴후의 생존자들의 64%에서 BO 및 그의 변형인 Swyer-james 증후군을 규명한 바 adenovirus 7형 폐렴은 BO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또한 환아의 어린 나이, 긴 발열 기간, 긴 입원 기간 등이 BO발생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인자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cument bronchiolitis obliterans, the long term pulmonary sequelae of adenovirus type 7 pneumonia, using High Resolution CT(HRCT) and to identify risk factors that increase the likelihood of developing bronchiolitis obliterans. Methods: Thirty-nine children were admitted to the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in the early summer of 1996 with clinical adenoviral pnemonia. Type 7 adenovirus was isolated from 11 children. All eleven were reassessed clinically and performed HRCT in 1997, one year (12.1±1.9 mo) after the adenovirus type 7 pnemonia. Results : Seven (64%) had HRCT findings of BO(BO group) including mosaic perfusion, attenuation of pulmonary vessel and bronchiectasis, Four(36%) had a normal HRCT finding(Non-BO group). The mean age of the children on admission was lower in BO group(15.3±7.1 mo) than Non-BO group(35.3±14.2 mo) (P<0.05). The mean duration of fever was longer in BO group(14.4±2.8 days) than Non-BO group(6.3±2.5 days)(P<0.01). The mean duration of initial hospital admission was longer in BO group(28.0±10.8 days) than Non-BO group (9.8±3.6 days)(P<0.01). But the sex ratio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 of the seven BO group subjects had bronchial asthma, and three of the four patients had persistent wheezing. Conclusions : Adenovirus type 7 pneumonia is closely associated with bronchiolitis obliterans, the important long term pulmonary sequelae. The risk factors which increas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bronchiolitis obliterans are: the young age of the child, the long fever duration, and the long admission du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