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생들의 경제사고방식을 바꾸는 순수이론에 관한 경제수업

        ( Hisashi Kurihara ) 순천향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사회과학연구 Vol.15 No.2

        고교생들은 일상적 삶 속에서 경제현상에 대한 단순한 이론을 인식한다, 그들은 순진한 이론을 가지고 경제학 강좌를 듣는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경제적 사고를 가르치지만 순수이론이 학생들에게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교사의 설명만으로 순진한 경제학을 합리적인 경제적 사고로 유연하게 바꾸는 것이 쉽지 않다. 그래서 저자는 "산속의 숙소에서 판매되는 캔 주스가 왜 비싼가"라는 주요 질문으로 경제학 강좌를 개발시켰다. 이 강의에서 교사는 학생들이 경제적 현상에 대한 순수이론을 말로써 표현하도록 하고 또 인식론적 갈등을 가지도록 하였다. 일본에서는 경제에 관한 학생의 순진한 이해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다. 그래서 교실에서 효과적으로 경제적 사고를 가르치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Junior and senior high-school students construct their naive theories on economic phenomena in daily life. They attend economics classes with naive theories in their mind. Teachers teach the economic way of thinking to their students. But, generally, because the naive theories adhere closely to students, it is not easy to change their naive economics into the rational economic way of thinking smoothly by teachers` explanation. So, Kurihara developed an economics class with a main question that "why are canned juices sold in mountain lodges are expensive." In this class, teachers made students verbalize their naive theories on economic phenomena and have epistemic conflicts. In Japan, there are not so many researches about students` naive understanding on economy. Therefore, we need to conduct further researches to teach the economic way of thinking effectively in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