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웃랜더》의 클레어에 나타난 여성의 자아실현

        김동훈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아웃랜더》의 클레어에 나타난 여성의 자아실현 단국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김동훈 본 논문은 미국 소설가 개벌돈(Diana J. Gabaldon)의 소설을 기반으로 제작된 넷 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시리즈 《아웃랜더》(Outlander)에서 주인공 클레어(Claire Elizabeth Beauchamp Randall Fraser)가 시간이동이라는 흥미로운 방법으로 20세기 여 성이 18세기로의 자리옮김으로 인해 자아를 실현한다는 내용을 통해 현실적 불만족 이나 아쉬움을 극복하려는 시도를 분석했다. 특히 이 작품에서 클레어가 시간과 공간의 이동을 통해 자신이 여성으로 가지고 있는 정체성의 한계와 제약을 초월하여 자신의 역할과 지위를 스스로 확보하려는 적극적인 자아실현을 도모하고 있는 지점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현대사회의 여성으로서의 차별과 한계를 역설적으로 여성의 지위가 훨씬 더 열악한 과거로, 또 과학적 사고와 지식의 부재로 인해 인간의 자연 적 본성에 더 인접한 변방으로의 자리옮김을 통해 여성의 자아를 실현한다는 의미 를 찾고자 하였다. 주제어: 자아실현, 여성, 아웃랜더, 시간여행, 개벌돈

      • 교사의 자아 실현 욕구와 직무 만족의 관계에 대한 연구

        강경의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교사의 자아 실현 욕구와 직무 만족의 관계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사립 중학교 교사들의 자아 실현 이상도와 실제도 간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둘째, 공·사립 중학교 교사들의 직무 만족 수준은 외재적·내재적·보조적 요인에 따라 어떠한 관계와 차이를 갖는가? 셋째, 공·사립 중학교 교사들의 자아 실현 욕구와 직무 만족은 어느 정도의 상관성을 갖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는 설문 조사 및 통계 자료 분석 방법을 수행하였는데, 표집 대상은 제주도 내 공·사립 중학교 교사 25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교사의 자아 실현 욕구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성별, 연령별, 학력별, 근무 경력별, 학교 설립별, 담임 여부별로 상위·중위·하위 집단으로 구분하여 조사·분석한 후 중위 집단을 제거하여 상위 및 하위 집단의 직무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자아 실현의 실제도에서는 남교사보다 여교사가, 연령·학력·근무 경력 등이 높을수록, 사립보다 공립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공립보다는 사립에서 자아 실현의 이상에 비해 실제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자아 실현 욕구와 직무 만족에 대한 차이를 분석함에 있어 공립의 내재적 보상에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자아 실현 이상도가 높은 집단이 내재적 보상에 대해서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자아 실현에 대한 실제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내재적 보상 또한 높고 이에 대해 만족도 또한 높은 점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상관 관계에서도 정적의 관계를 보이는 점에서 입증되었다. 이에 교사들의 원활한 교류와 직무 개선을 통한 자아 실현 증대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This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re of personal goal realiza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researcher analyzed the relationship based on three research questions that as following. First, what is the level of difference idealization and actual realization of personal goals between public and private middle school teacher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and difference between external, internal and supplementary factors of job satisfaction in public and private middle school teachers? Third, wha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re of personal goal realiz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public and private middle school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n analysis of survey and statistical resources was conducted and 254 public and private middle school teachers in Jeju Island were selected as subjects. To examine the level of desire of personal goal realization of teacher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5 categories(sex, age, level of education, level of experience and school establishment) and they were put into low, middle and high groups. After the grouping, scores of the middle group were discarded and the scores of low and high groups were used to compare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actual realization of personal goals was lower, relative to idealization, in male teachers more than female teachers, with higher age, level of education and level of experience and in public more than private schools. In addition, in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sire of personal goal realization and job satisfaction, we only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minent compensation of public schools and the group with a higher rate of personal goal realization had a higher rate of satisfaction of imminent compensation. Also, groups with a higher rate of personal goal realization showed to have a higher imminent compensation and satisfaction of that imminent compensation. These above results have been verified by the fact that they showed a regular relationship in mutual relations and efforts to implement supplementary education through the smooth exchange of teachers and the improvement of one's duties and increase in personal goal realization is necessary.

      • 여가활동·자아실현·정신건강간의 관계 연구

        윤여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첫째,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자아실현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정신건강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청소년의 자아실현과 정신건강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I-1) 여가활동 유형에 따라 자아실현의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I-2) 여가활동의 인지적 자유와 자아실현은 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설 II-1) 여가활동 유형에 따라 정신건강의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II-2) 여가활동의 인지적 자유와 정신건강은 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설 III) 자아실현과 정신건강은 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서울에 소재한 중·고등학교 남녀학생 479명을 대상으로 고영복의 여가활동 유형, 원형중의 여가활동의 인지적 자유에 관한 조사, 자아실현 측정도구, 간이정신진단검사를 본 연구목적에 맞도록 선별하여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여가활동 유형에 따라 자아실현의 정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소극적인 여가활동을 선호하는 학생들은 자발적인 자아실현의 인식도가 높고 활동적인 여가활동을 선호하는 학생들은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 둘째, 여가활동의 인지적 자유와 자아실현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으며, 자기 자신이 느끼는 여가활동에 대한 자신감의 범위가 크거나 스스로 여가활동의 결과를 조절할 수 있다고 생각할수록 자아실현의 가치를 높게 생각하며, 자기 자신의 존재가치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셋째, 여가활동 유형에 따라 정신건강의 정도는 일부분만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소극적인 여가활동을 선호하는 학생들이 정신적으로 건강하다. 넷째, 여가활동의 인지적 자유와 정신건강의 관계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으며,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여가활동의 인지적 자유 요인은 여가조절력 요인이다. 다섯째, 자아실현과 정신건강은 대부분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으며, 자기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이고 가치있는 존재로 인식할수록 신체적인 기능이상 증상이 낮게 나타나며, 타인과의 관계에서 열등감을 갖지 않고, 우울한 감정이나 불안한 심리상태, 그리고 정신증적인 증상이 적어 정신건강이 높다. 이상과 같이 여가활동은 자아실현과 정신건강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 상담활동에서 청소년에 대한 다양한 정보 및 지식이 필요한 상담가와 학교 클럽활동이나 청소년 사회기관의 교육과정에 기초자료로 제공됨으로써 청소년 여가활동이 간과되어서는 안될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activity, self-actualization and mental health of the adolescence. For the purpose of it, the following hypotheses are established. <hypothesisⅠ-1> Leisure-activity pattern would make some differences in self-actualization by degree. <hypothesisⅠ-2> The cognitive-freedom in leisure-activity would be related with self-actualization. <hypothesisⅡ-1> Leisure-activity pattern would make some differences in mental-health by degree. <hypothesisⅡ-2> Cognitive-freedom in leisure activity would be related with mental-health. <hypothesis Ⅲ> Self- actualization would be related with mental-health. To verify those hypotheses, 479 middle or high school girl or boy students were tested by Go young bok's leisure-activity pattern, Won Hung Jung's test for cognitive-freedom in leisure activity, self-actualization measurement and symptom check list, which were selected for the studying point. SPSS/PC+ was used for collecting materials, One-way ANOVA for hypothesis testing, and Duncan test and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r) for post hoc tests. The results are followed. <hypothesisⅠ-1> was partially positive. The degree of self-actualization by the leisure-activity pattern made significant difference in spontaneity and self-regard. <hypothesisⅠ-2> was positive. Cognitive-freedom factor in leisure-activity which relate most closely to self-actualization were leisure competence and leisure control. <hypothesisⅡ-1> was mostly negative. <hypothesisⅡ-2> was partially positive. The significant negative-relation was appeared between all sub factor of cognitive-freedom in leisure-activity and mental-depression and anxiety, besides, partial significant negative-relation was appeared in interpersonal-sensitivity and psychoticism. <hypothesis 3 > was mostly positive. Most sub factor of self-actualization was significantly negative-related with interpersonal- sensitivity, mental depression, anxiety and psychoticism. As conclusion, leisure activity definitely helps to improve the self-actualization and mental health. For various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adolescence, which come from leisure-activity, must be provided to counsellor, school club-activity or educational curriculum of adolescence of social foundation as the basic materials in counselling activity for adolescence. It is very important not to disregard the significance of adolescence's leisure activity.

      • 자아실현 조직 구축을 위한 성과측정시스템에 관한 연구 : 파워순환적 접근을 중심으로

        강춘소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本論文的研究主題為通過效管理系統來構建自我實現組織。組織作為2人以上組成的集合,具有人類的特性。因此組織的自我實現同人的自我實現一樣是能夠將所有的潛能發揮出來。自我實現組織通過持續的自我能力開發從而獲得長久的競爭優勢。因本研究旨在研究構建自我實現組織的績效管理系統,首先通過理論分析對現存績效管理系統不能達成組織自我實現的事實進行了說明。本研究利用權力循環理論的觀點對組織進行重新的審視。本文通過權力循環理論的觀點,對自我實現組織的形成過程及原理進行了說明。為達成本研究的目的,本論文共設立了以下5個假說。 ① 對職員組織行動中自我淨化要素的測定能夠促進職員自我實現傾向性(權力屬性)的開發。 ② 職員間權力5個屬性的相互作用能夠促進職員完全機能組織行動的發生。 ③ 職員間權力5個屬性的相互作用能夠促進職員組織行動價值化(power process)的發生。 ④ 完全機能組織行動的發生能夠促進組織的自我實現,以及提高組織成果。 ⑤ 職員組織行動價值化(power process)的發生促進組織的自我實現,以及提高組織成果。 本研究的實證分析部分,對位於中國天津市的物流、配送行業的15個企業進行了問卷調查。其中收回的有效問卷為198份。本論文實證分析部分使用了SPSS 18.0 和 AMOS 18.0 統計軟件進行了數據處理。實證分析的結果證明本研究所設立的5個假說全部正確。 作為本研究的成果,由自我淨化要素組成的績效管理系統在自我實現組織的形成過程中起著重要的作用。即,通過對自我淨化要素(行動的合理性,一貫性,肯定性,自律性,顧念性)的測定能夠促進組織潛能的開發,使組織獲得可持續性的競爭優勢。並且通過本研究,爲了更加有效的構建自我實現組織,組織成員間權力5個屬性以及Power Process活躍的相互作用也具有一定的必要性。因此,組織成員對於權力5個屬性以及Power Process的學習對於自我實現的構建也有一定的幫助。本研究通過對構建自我實現組織的績效管理系統的開發,對於組織競爭力與成果的提高具有一定的借鑒意義。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실현 조직 구축을 위한 성과측정시스템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조직은 2명 이상의 사람으로 구성된 인간시스템으로써 인간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자아실현 조직은 인간의 자아실현과 마찬가지로 조직의 모든 잠재적 능력을 개발하는 것이다. 자아실현 조직은 지속적인 조직능력 개발을 통하여 경쟁우위를 계속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자아실현 조직 구축을 위한 성과측정시스템을 개발하는 데에 있어서 기존 성과측정시스템으로 자아실현 조직이 형성하지 못하는 것을 이론적으로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파워순환적 접근을 이용하여 조직에 대한 새롭게 접근하였다. 파워순환적 접근을 이용하여 자아실현 조직의 형성 과정과 원리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5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① 조직구성원의 행동에서 자기정화요소에 대한 측정이 조직구성원의 자아실현 경향성(파워 5속성)의 활성화를 촉진할 것이다. 가설② 조직구성원들 간에 파워 5속성이 능률적 또는 동시다발적으로 작용할 경우 조직구성원의 완전기능 조직행동이 일어날 것이다. 가설③ 조직구성원들 간에 파워 5속성이 능률적 또는 동시다발적으로 작용할 경우 조직구성원의 조직행동의 가치화(파워프로세스)의 활성화를 촉진할 것이다. 가설④ 조직에서 조직구성원들이 완전기능 조직행동을 많이 일어날수록 조직은 자아실현으로 나아가고 조직성과도 향상될 것이다. 가설⑤ 조직에서 조직구성원들이 조직행동의 가치화(파워프로세스)가 활성화할수록 조직은 자아실현으로 나아가고 조직성과도 향상될 것이다. 가설검증을 위한 실증분석은 중국 천진시에 위치한 15개의 물류⦁운송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유효한 설문지 198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SPSS 18.0 과 AMOS 18.0 통계패키지를 통해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설정된 5가지 가설을 모두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써 자기정화요소로 구성된 성과측정시스템이 자아실현 조직의 형성에 크게 기여하는 것을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 즉 조직행동의 합리성, 일관성, 긍정성, 자율성 및 배려성에 대한 측정이 조직의 잠재적 능력을 개발할 수 있고 조직에게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가져올 수 있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자아실현 조직을 효과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조직에서 파워5속성과 파워프로세스의 활성화가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조직구성원들이 파워5속성과 파워프로세스에 대한 학습도 자아실현 조직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자아실현 조직 구축을 위한 성과측정시스템을 개발하므로 조직의 경쟁력과 조직성과를 향상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is aim to develop a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for establishing a self-actualizing organization. It is debated that an organization consisted by more than 2 people, naturally, posses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Therefore, like human beings, organization has many potential abilities. Self-actualizing organization would create a continuous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to develope potential abilities of organization. This paper tries to explain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academic perspectives on organization and use a new approach - the Power Circulatory Approach to establish an self-actualizing organization。 In order to demonstrate this process, the paper sets 5 hypotheses as following. H1: The measurement of self-purification elements among employees' behavior could vitalize self-actualizing tendency(power attributes) of employees. H2: If employees' self-actualizing tendency(power attributes) gets more active, the fully functioning organizational behavior of employees get more stronger. H3: If employees' self-actualizing tendency(power attributes) gets more active, the interaction of power process gets more active. H4: If the fully functioning organizational behavior of employees gets more stronger, the performance of organization gets better. and the self-actualizing organizational characters get more distinct. H5: If the interaction of power process gets more active, the performance of organization gets better. and the self-actualizing organizational characters get more distinct. In order to conduct the empirical analysis, the writter selects 15 logistics companies which located in Tianjin City, China. 198 valid question investigation was collected. The empirical analysis is been conducted through using SPSS 18.0 and AMOS 18.0 statistical package. All the hypotheses was accepted. As the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easurement about self-purification elements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build a self-actualizing organization. Which means that the measurement about self-purification elements could develop the potential abilities of organization and acquire competition advantage to organization.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ctivity of power attributes, power process paly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a self-actualizing organization effectively. So the learning about power attributes, power process in organization also make a help to form a self-actualizing organization.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consisted by self-purification elements, which this paper developed to building a self-actualizing organization, could promote the competitive advantage and performance of organization.

      • 지체장애인의 수영참가가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

        유영준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수영참가가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과모형을 기초로 하여 각 현인별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명하는데 있어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지체장애인의 수영참가와 자아실현과의 상관관계,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지체장애인의 수영참가와 자아실현과의 차이, 셋째, 지체장애인의 수영참가가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6년 현재 서울·경기지역을 기준으로 위치한 장애인 복지관 및 공공스포츠시설을 이용하는 지체장애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목적표집법(Purpositive sampling)을 이용하고 총 200명을 목적표집하였다. 설문지는 자아실현은 민진(1986)이 개발한 '자아실현' 척도를 사용할 것이며, 자아실현의 하위변인으로는 능력발휘, 능력개발, 목적이상실현의 3가지 하위변인으로 구성된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수영참가(시간, 기간, 번도, 강도)가 자아실현(능력발휘, 능력개발, 목적이상실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지체장애인의 수영참가정도 및 자아실현 관련 변인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학력, 수입, 장애등급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수영참가와 자아실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 학력, 수입, 장애등급, 직업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지체장애인의 수영참가정도가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중다회귀분석 결과 지체장애인의 수영참가 하위변인 중 수영참가시간과 강도가 능력발휘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체장애인의 수영참가정도의 하위변인 중 참가강도가 능력개발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체장애인의 수영참가의 하위변인 중 수영참가시간과 수영참가강도가 목적이상실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jor aim of this research was to demonstrate the Self-Actualization Effect on the Physically Disabled Participating in Swimming Programs based on the Causal Model regarding its effect. To investigate the aim I examined the followings: firstly, the correlation among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of the swimming program participation and their self-actualization, secondly, the difference between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he disabled persons' participation in the swimming and their self-actualization and thirdly, the effect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participation in the swimming on their self-actualization.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I set the physically disable using the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the public sports facil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provincial area as of the present, 2006. As the population I collected 200 samples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s the questionnaire, I employed the self-actualization measure developed by Min, Jin (1986) and in order to measure the sub-variables of self-actualization, I corrected and supplemented the content concerning 3 sub-variables like exerting ability, developing ability and actualizing the ultimate ideal. In order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swimming involvement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duration time, period, frequency and intensity) on the self-actualization (exerting ability, developing ability and actualizing the ultimate ideal), I analyzed by using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Standar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produced through the above procedure were as follows: Firstly,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related of the participating in swimming programs and self-actualization in the physically disabled, meaningful correlation revealed in gender, education level, income and level of disability. Secondly, in order to inspect the difference in swimming participation due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like gender, ag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of disability and vocation, I performed the Mean, the Standard Deviation, one-way ANOVA and received meaningful gap in gender,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of disability and vocation. Thirdly, as of the result of Standard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participating in swimming programs on the self-actualization in the disabled, duration time and strength from sub-variables of the disabled people's participating in swimming programs, revealed highest influence on the exertion of ability, strength revealed highes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ability and duration time and strength of swimming participation showed highest influence on the ultimate ideal actualization.

      • 자아실현의 메타프락시스적 의미

        박정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성리학의 심성론과 ‘메타프락시스(metapraxis)’ 아이디어에 비추어 자아를 해석함으로써 교육과 자아실현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성리학의 심성론과 메타프락시스 아이디어에 기초한 자아실현의 의미는 기존의 심리학적 관점에 의거한 자아실현의 의미와 극명하게 대비된다. 자아실현에 관해 논한 대표적 심리학자 매슬로우(A.H. Maslow)는 욕구위계설에 기반하여 자아실현을 설명한다. 욕구위계설에 의하면, 인간은 가장 기본적인 생존 욕구부터 위계에 따라 차례로 욕구들을 충족한다. 자아실현 욕구는 인간의 최상위 욕구로서, 인간이 자아실현 욕구를 충족할 수 있게 되면 비로소 정신적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된다. ‘자아실현은 한 인간의 잠재력을 실현시키는 계속적인 과정이다’라는 주장은 매슬로우로 대표되는 심리학적 자아의 의미를 해석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심리학적 자아란 개인 각자가 가지고 있는 ‘잠재력이나 재능’을 가리키며, 자아실현된 상태는 인간이 자신의 잠재력이나 재능을 충분히 발휘하며 살아가는 상태를 말한다. 심리학적 관점에서 교육은, 자아실현이라는 궁극적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의미를 띠게 되며, 따라서 궁극적 목적으로서의 자아실현과 관련하여서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심리학적 자아란 교육과 무관하게, 교육받기 이전에 개인이 이미 내부에 지니고 태어나는 자아로 해석된다는 점이다. 자아실현의 의미 규정에 있어 심리학적 관점에 기초한 해석이 보이는 한계는 교육과 무관하게 자아를 바라보았다는 점에 있다. 그런데 자아를 실현하기 위해 인간은 먼저 삶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해야 하고, 이 가치관은 교육이라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형성될 수 있다. 심리학적 관점은 자아실현에 이르는 과정보다 ‘결과’로서의 자아실현, 즉 자아실현된 상태에 중점을 두고 자아실현의 의미를 규정한다. 바람직한 결과는 바람직한 과정이 반드시 먼저 이루어져야 가능함을 미루어 볼 때, 심리학적 관점은 자아실현의 과정을 도외시하였다는 문제점을 낳는다. 이러한 점에서 심리학적 관점은 자아실현 이전에 형성되어야 마땅한 올바른 가치관과 교육이라는 과정을 간과했다고 보여진다. 대안적 관점으로 제시한, 성리학의 심성론에 기초한 형이상학 관점에서는 자아를 ‘성(性)’과 ‘정(情)’이라는 두 개의 상이한 측면으로 이루어진 중층구조로 본다. ‘정’이란 심리학적 자아 개념에 해당하는 아래층의 자아로, 겉으로 드러나는 인간의 생각, 태도, 행동이며, ‘성’은 하늘의 명령으로 삶의 이치와 질서이자 ‘정’이 있기 이전의 논리적 원인으로서 존재하는 인간의 함양된 마음 즉, 위층의 자아이다. 대안적 자아인 형이상학적 자아는 ‘성’을 가리킨다. ‘성’은 인간 삶의 이상적 표준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세상의 모든 가치들을 아우르는 일체의 가치 판단기준으로 존재한다. 인간은 세상의 모든 것을 담고 있는 완전무결한, 순수한 ‘성’의 자아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노력이라는 과정 자체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형이상학적 자아실현은 ‘성’의 자아를 회복하려고 노력하는 인간의 마음자세 확립으로 해석된다. 메타프락시스 아이디어에 의하면, 인간이 ‘성’과 같은 형이상학적 실재를 알고 이를 획득하는 것은 ‘정’과 같은 아래층, 즉 세상 만물을 통해서 가능하다. ‘아래층을 통해서’라는 말은 만물에 대한 이론적 탐구, 즉 교과 공부, 다시 말해 교육을 뜻한다. 지식은 곧 마음이 ‘성’으로 향하기 위한, 위층의 마음을 실현시키기 위한 유일한 통로이자 매개체가 된다. ‘성’의 자아는 교과 공부를 통하지 않고서는 그 실현이 불가능하며 자아실현이란 곧 ‘성’이라는 인간 본래의 심성을 함양, 회복하는 상태로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다. 자아실현된 상태는 지식 그리고 교육 그 자체의 가치와 필요성을 스스로 내면화하고 깨닫게 되는 인간 마음 자세의 확립이다. 잘 교육받은 상태란 바로 교육의 가치와 필요성을 깨닫고 스스로 교육을 행하려고 자신을 끊임없이 수양하는 마음자세의 내면화, 즉 교육이 그 자체로 빛을 발하게 될 때의 인간의 마음상태이다. 자아실현이란 단 하나의 모습으로 규정되는 인간의 마음자세이며, 잘 교육받음으로써 가지게 되는 마음자세 즉, 교육이라는 실천적 노력을 통한 개인의 심성함양으로 그 의미를 규정할 수 있다.

      • 자아실현 능력 진단에 관한 연구 : 파워순환적 접근을 중심으로

        이지영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파워 순환적 접근을 통해 자아실현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교육의 중요한 목표인 자아실현의 인재를 키워내는 것은 국가와 사회발전에 큰 의미를 가진다. 그동안 자아실현에 관한 연구는 현상에만 초점을 주로 맞추어 왔으나 본 논문은 자아실현의 획득, 구현을 하기 위한 실천적 또는 과정적 방안을 제시한다. 이경환(2001)의 파워 순환적 접근에 의하면 자아, 즉 내적파워는 파워 속성의 작용에 의해 형성되며 인간의 내면에 파워의 속성이 능률적 동시다발적으로 작용할 경우 인간은 완전히 기능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인간 내면에는 파워의 다섯 속성(창조, 보존, 결합, 지배 및 귀속)이 내재하고 있으며 인간의 행동이나 생각을 지배한다. 파워의 다섯 속성들의 능률적, 동시다발적 작용을 ‘Concordance Process’ 한다. 또한 나아가 개인의 내면에 파워속성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능률적, 동시다발적으로 작용할 때 개인은 자아실현으로 나아간다. 이경환(2007)에 의하면 파워속성이 긍정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파워속성이 파워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작용하게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파워프로세스는 파워요소, 욕구, 가치, 관계, 환경의 5가지 상호작용에 의해서 긍정적 가치를 만든다(이경환, 2001). 파워프로세스는 파워객체의 욕구와 가치를 파악하여 이를 만족시킬 수 있는 긍정적 파워를 만든다. 이것을 통해 파워프로세스는 파워주체의 목적을 달성할 뿐만 아니라 파워객체(고객 중심)를 위한 욕구와 가치를 만족시킨다. 또한 인간의 내면에 파워프로세스와 ‘Concordance Process’ 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은 ‘파워의 비합리적 조건’에 지배되지 말아야 한다. 파워의 비합리적 조건은 다음과 같다(이경환, 2001). * 인간의 생각이나 행동이 합리성에 의존하지 않고 감정이나 군중심리와 같은 파행적 동학(dynamics)에 의존하거나 *사회구성원들의 표출된 욕구와 내재된 욕구가 다르거나 *사회구성원들의 욕구가 다르면서 이들의 파워 크기가 대등하거나 * 파워의 주체적 변환 에너지가 역기능적 파워에 의해서 무효화된 경우 개인이 이러한 파워의 비합리적 조건에 의도적으로 지배되지 않기 위해서 개인의 성취 행동 요소인 합리성, 일관성, 긍정성, 자율성을 추구해야 된다. 이러한 경우 완전히 기능하는 것으로 되어 나아간다. 본 논문은 이 내용을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우고 증명한다. 개인의 내면에 파워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하여 파워의 다섯 속성이 능률적 동시다발적으로 작용할 경우 자아실현으로 나아간다는 원리를 실증하고자 한다. 이것을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우고 실증했다. 가설 1: ‘Concordance Process’수준이 높을수록 개인의 행동은 완전히 기능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가설 2: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이 파워의 비합리적 조건에 지배되지 않을수록 ‘Concordance Process’ 수준은 더 높을 것이다. 가설 3: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이 파워프로세스기반으로 하여 활성화 될수록 개인의 성취 지향적 행동이 유발된다. 가설 4: 파워프로세스와 ‘Concordance Process’가 결합하면 자아실현으로 나아간다. 실증분석을 위해서 본문에서는 인천과 서울에 위치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20개의 설문이 배포되어 264개의 사용가능한 설문을 회수하였다. 본 논문의 실증분석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Concordance Process’ 수준이 높을수록 개인의 행동은 완전히 기능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즉, 파워의 다섯 속성이 능률적 동시다발적으로 작용할수록 개인은 완전히 기능하는 것으로 나아가 자아실현에 이른다. 둘째: 파워속성의 작용이 파워의 비합리적 조건에 지배되지 않을수록 즉, 성취행동 요소(합리성, 일관성, 긍정성, 자율성)를 개인이 의도적으로 추구 할수록 ‘Concordance Process’ 의 수준은 높아진다. 셋째,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이 파워프로세스기반으로 하여 활성화 될수록 개인의 행동의 가치화가 이루어지고 성취지향적 행동이 유발된다. 넷째, 파워프로세스와 ‘Concordance Process’가 결합하여 동시에 활성 화 될수록 자아실현으로 나아간다. 키워드: 파워프로세스, 파워 속성, Concordance Process, 자아실현, 성취행동 요소 This paper is to study if the power circulatory approach is appropriate for developing the process of the self-actualization. The goal of the education is to foster the right individual who is able to reach self-actualization, and also it is meaningful for the advancement of society and country. While previous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phenomenon of the self-actualization, this paper intended to suggest the practice or the process to achieve and embody the self-actualization. The Power Circulatory approach by Lee(2011)is mentioned that if the self, the so-called inner power built by Power attributes operates both efficiently and concurrently within inner side of people, individual is led to become a fully- functioning person. Power attributes consists of these elements; for example, creation, preservation, combination, domination, and belonging, and these are internalized in the inner side of people. Moreover, people's thoughts or behavior is dominated by Power attributes. The effective and concurrent interaction of the five elements is named ‘Concordance Process’. Furthermore, when ‘Concordance Process’ is efficiently operating within the inner side of people to the positive direction, he/she reaches to the process of self-actualization. Lee(2007) suggests that Power attributes be founded on the Power Process for the positive work of Power attributes. According to Lee(2001), Power Process creates the positive value which is interacted by the five determinant elements; for example, power component, needs, value, relationship and environment. Power process makes the positive power as grasping the needs, and value which satisfies the power recipient. Through these, Power process not only achieve the goals of the main agents of power but also produce the needs and value for the power recipient(consumer-oriented). To activate Power process and ‘Concordance Process’ in the inner side of people, people's thoughts or behavior must not be influenced by ‘irrational conditions’. The followings are ‘irrational conditions’ of the power(Lee, 2001). - When people's thought or behavior is not depending on rationale but depending on the uncontrolled dynamics such as emotion or mob psychology - When the inner desire and expressed desire of the member of society is different - When the size of the power for its members is equal while its members' desire is different - When the energy conversion of main agents of power is void by the power of adverse effects When individuals intentionally get rid of ‘irrational conditions’ while practising the element of achievement conduct ; for example, rationality, consistency, positiveness, and autonomy. On this occasion, individuals reach to self-actualization. When Power attributes operates both efficiently and concurrently within inner side of people based on Power process, he/she reaches to the process of self-actualization.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se arguments, this study formulates the following hypotheses. Hypothesis 1: When ‘Concordance Process’ is operating more actively within individuals, he or she ie led to be a fully functioning person. Hypothesis 2: When thoughts or behavior of individuals is less controlled by the ‘irrational conditions’, ‘Concordance Process’ will work more actively. Hypothesis 3: When thoughts or behavior of individuals is operated actively by Power process, the achievement-oriented behavior is triggered. Hypothesis 4: when Power process and ‘Concordance Process’ combined actively at the same time, he/she reaches to the process of self-actualization. To test hypotheses, survey was conducted. The elementary students on In-cheon and Seoul were selected to answer for 320 questionnaires. Totally, this study collected 264 usable responses. This paper examine whether analyzing the self-actualization theory is valid by the Power circulatory approach. In addition, it suggests the practice as the process to achieve the self- actualization from its result. This paper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hen ‘Concordance Process’ was operating more actively within individuals, he or she ie led to be a fully functioning person. In other words, The more ‘Concordance Process’ is efficiently operating within the inner side of people, individuals reaches to the process of self-actualization. Second, when the four irrational conditions were removed in an individual, ‘Concordance Process’ was working more actively. As it were, the more we intentionally pursued the element of achievement conduct, such as rationality, consistency, positiveness, and autonomy, the more ‘Concordance Process’ was being active. Third, When thoughts or behavior of individuals is operated actively by Power process, the behavior of individuals is valuated and the achievement-oriented behavior is triggered. Last, when Power process and ‘Concordance Process’ combined actively at the same time, he/she reaches to the process of self-actualization. Keyword : Power Process, Power attributes, Concordance Process, Self-actualization, Elements of Achievement conduct

      • 自我實現을 主題로 한 陶磁造形 硏究

        김동주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간이 태어나서 성장하고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육체적, 정신적 행위들은 인간 스스로가 '자아실현' 을 이루기 위한 목적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과거의 '자아실현' 이 철학적, 학문적, 종교적, 예술적인 의미를 가지고 인간사회에 자리 잡은 반면 현대의 '자아실현' 은 빠르게 변해가는 사회와 더불어 또 다른 형태로 사회 안에서 그 의미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그 시작과 끝은 모두 '자아(Ego)' 안에 존재 한다고 말할 수 있다. 즉 자아실현의 모든 과정적 의미는 내 안에 있으며 이는 과거로부터 현재를 지나 미래까지 변함이 없을 것이다. 본 연구는 과거 인간이 삶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가지고 있던 철학적, 학문적, 정신적인 자아실현의 의미보다는 내가 살아온 지금까지의 삶에서 내 자신이 힘든 상황들을 극복해가는 과정들을 표현함으로서 그 어려운 상황들을 이겨낸 끝에 비로소 진정한 '자아실현' 을 이룰 수 있다는 바램들과 그 의미를 도자조형에서 찾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대 미술에서 표현의 방법들은 이미 그 정점을 향해 달려왔으며 '자아' 에 대한 표현역시 서로 같지는 않지만 다양한 모습들로 이미 많은 작가들에 의해 선보여 지고 있다. 본 연구자는 '자아' 에 대한 구체적인 이야기를 통해 인생에서 무언가 이루기 위한 과정적인 모습에 사로잡혀 있는 인간 즉, 내 자신의 모습을 교각이라는 단순한 형태와 어떻게 잘 혼합해서 표현하느냐에 주목하였다. '자아실현' 의 과정적인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시련을 이겨낸' , '그 시련으로 부터 벗어남' 이라는 과정적 의미의 교각(橋脚)의 형상적 이미지와 나 자신, 즉 '자아' 를 상징할 수 있는 이미지들을 적절히 결합시켜 보았다. 이는 내 자신이 교각이 되어 '자아실현' 을 이루어 간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모습에서 '자아실현' 이라는 주제가 충분히 보여 질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본 논문은 Ⅰ장 서론에 이어, Ⅱ장 자아실현과 예술에서 '자아실현의 개념' 과 '자아실현의 의미' 에 대해 알아보고 더 나아가 '자아실현과 예술' 의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자아실현의 예술적 표현' 에서는 과거로부터 현대미술에 이르기까지 자아표현의 수단으로 이용 되었던 다양한 작품들을 회화·조각·설치·현대도예라는 표현양식별로 나누어 도판을 이용하여 좀 더 정확히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내용들을 바탕으로 작품의 계획, 제작, 해설로 나누어 설명하였는데, 작품 계획에서는 상징적 요소와 조형적 요소를 구분하여 작업의 형태·색채·설치에 관한 구상과 발상에 대한 부분을 설명하였고 작품제작에서는 이를 구체화시켜 직접적인 작품의 성형방법과 설치의 방법들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작품 해설을 통하여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All physical and mental behaviors from birth, growth to death of humans can be defined as the purpose to achieve 'Self-Actualization' by themselves. While the past 'Self-Actualization' has been placed at human society having the philosophical, academic, religious and artistic meanings, the modern 'Self-Actualization' has its meaning within the society by other forms with the fast changing society. But, the start and the end exist within 'the ego'. That is, all course meaning of Self-Actualization is inside myself, and this may not change from the past, present to future. This study aims at finding the meaning at the ceramic ware molding and the wishes that they can achieve real 'Self-Actualization' at last when they win those difficult situations by expressing the courses overcoming the difficult situations for myself at my life till now than the meaning of philosophical, academic and mental Self-Actualization which the humans in the past had for the ultimate purpose of life. The methods of expression in modern art has run toward their peak, and the expression about 'ego' also is being shown by many writers already by various figures, even though they are not the same. The person himself focused on how I can express while mixing my figure with the simple form, as the pier, that is the human that is captivated to the course figure to achieve something in life through the concrete story, 'ego'. To express the course figure of 'Self-Actualization', the person himself has combined the images that can symbolize 'ego', that is me myself and the formative image of the pier of the course meaning, that is 'the avoidance from that trial'. This means the achievement of 'Self-Actualization' me myself's being this pier, and from this figure, I tried hard for the theme of 'Self-Actualization' to be seen sufficiently. This paper found about the 'Self-Actualization's concept' and 'Self-Actualization's meaning' at Chapter Ⅰ Introduction to Chapter Ⅱ, the Self-Actualization and arts and moreover, the relations of 'Self-Actualization and art'. Also, at 'artistic expression of Self-Actualization', we found out the various products that were used as the means of Self-expression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rt by the expressive modes such as painting, sculpture, installation and modern ceramic art and have found out more accurately using the plates. In Chapter Ⅲ, it explained these theoretical contents while dividing them as the plan, production and narration of the products, and in the product plan, it explained the parts about the devise and origin about the form, color and installment of the tasks dividing the symbolic factors and formative factors, and in product production, it embodied this and explained the molding method of the directional products and the methods of establishment. At last, it tried to help the understandings about the products through product narration.

      • 무용전공자의 신체적 자기지각과 자아존중감이 자기관리를 통한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

        이준철 우석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2

        <국문초록> 무용전공자의 신체적 자기지각과 자아존중감이 자기관리를 통하여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이 준 철 지도교수 송 은 섭 21세기는 문명이 고도로 발달하고 기계문명의 반대작용에 따른 고감성 시대로, 인간성 고양을 위한 예술의 부흥이 예견되므로 예술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현실이며, 모든 예술 중에서 무용이 성격을 완성시키는데 가장 적절하다고 보았으며, 또한, 신체활동의 심리적 이득 혹은 스포츠나 운동과 같은 규칙적인 신체활동의 참가가 개인의 체력이나 신체적 건강에 대한 효과를 증대시킨다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용전공자의 신체적 자기지각과 자아존중감이 자기관리를 통하여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무용전공자의 신체적 자기지각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가치관리&#8228;훈련관리&#8228;체형관리 에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자의 자아존중감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자신감&#8228;자기비하&#8228;지도력 에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자의 신체적 자기지각이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능력발휘&#8228;능력개발&#8228;목적이상 에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전공자의 자아존중감이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능력발휘&#8228;능력개발&#8228;목적이상 에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무용전공자의 자기관리가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능력발휘&#8228;능력개발&#8228;목적이상 에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무용전공자, 신체적자기지각, 자아존중감, 자기관리, 자아실현 ABSTRACT Dance major's self-esteem and perception's effect on self-realization via self-control Lee, Jun Cheol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Woosuk University Directed professor Song, en sub The 21st century is the age of heightened sensitivity that was developed by advanced civilization and counteractions of the machine civilization, and is the time, when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is relieved more as we can predict the revive of art for enhancement. Among many professions in the art, we saw the dancing as the most appropriate thing to complete its characteristics. Moreover, regular physical activities like sports and exercises and psychological benefit of physical activities can magnify effect for physical strengths and health of individuals. Thus, this research analyzed how physical self-awareness and self-esteem can influence self-realization by managing oneself, and determined outcomes as follows. Firstly, as we researched the dance professional’s influence of physical self-awareness over self-management, we found out that it has significant influences on managing values, trainings and body figures. Secondly, when we studied the dance professional’s influence of self-esteem upon self-management, we discovered that it has dominant influences over confidence, self-abasement and leadership. Thirdly, when we analyzed the dance professional’s influence of physical self-awareness on self-realization, we came across a result that it has big influences over demonstrating and developing its abilities and achieving purposes. Fourthly, when we researched the dance professional’s influence of self-esteem over self-realization, we found out that it has significant influences on demonstrating and developing its abilities and achieving purposes. Fifthly, when we analyzed the dance professional’s influence of self-management upon self-realization, we realized that it has big influences over demonstrating and developing its abilities and achieving purpo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