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국어교과서에 나타난 풍자 교육 양상 연구 : 양반전을 중심으로

        나한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4

        중학교 교과서에는 반드시 풍자와 관련된 단원이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그 중 가장 높은 비율로 <양반전>이 제재로 사용되고 있다. <양반전>은 그 자체가 풍자라고 할 수 있을 만큼 풍자와 분리해서 볼 수 없는 작품이다. 그래서 풍자 단원에 <양반전>이 제재로 수록된 것은 문제가 없다. 그러나 이것이 현장에서의 <양반전>과 풍자 교육의 적절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양반전>을 제재로 하고 있는 풍자 단원에 대해 살펴보았다. <양반전>을 수록한 교과서는 교학사(남), 비상교과서(이), 좋은책신사고(민), 천재교과서(김), 천재교육(노), 천재교육(박), 총 6종이다. 풍자와 관련해서 우선 몇 가지 개념들을 정리해 보았다. 풍자에 대해 살펴볼 때 다른 개념을 제외하고는 이해하기가 힘들다. 풍자가 다른 개념과 전혀 별개의 것으로 분리되는 개념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주 함께 언급되는 골계, 아이러니, 기지, 해학, 풍자에 대한 각각의 개념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풍자는 작게는 반어와 같은 하나의 표현 방식이지만 크게는 다른 표현방식들을 포함하는 개념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 풍자를 학생들이 잘 습득하여 언어생활에 적절하게 사용하게 하는 것은 교육의 목적이다. 개념을 살펴본 후에는 <양반전>의 풍자내용에 대해 정리했다. <양반전>은 빚이 많은 양반과 돈은 많지만 신분이 낮은 부자의 신분 거래가 군수에 의해 이루어지는 이야기이다. <양반전>을 읽을 때에는 사건의 내용보다는 각 인물들이 어떻게 그려지는지, 인물에 집중해서 읽어보는 것이 중요하다. 작가의 풍자 대상은 <양반전>의 등장인물로 그려지기 때문이다. 작가는 작품에서 양반뿐만 아니라 부자와 군수까지도 풍자의 대상으로 보고 있었다. 양반만이 풍자의 대상이 아닌 것이다. 작품 속에 풍자의 핵심은 두 개의 문권과 이에 대한 부자의 반응이다. 첫 번째 문권은 양반의 의무를, 두 번째 문권은 양반의 권리를 보여주고 있다. 첫 번째 문권을 보고 부자는 이롭게 고쳐달라고 한다. 노력과 대가 없이 양반을 돈으로 취하고자 하는 부자의 반응을 통해 부자가 풍자의 대상이 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두 번째 문권에서는 양반의 권리를 제시한 듯 했지만 양반의 특권, 횡포를 폭로하고 있었다. 두 번째 문권의 내용과 도망가는 부자의 모습을 통해 양반이 풍자의 대상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동시에 자신 또한 양반임에도 불구하고 양반의 특권과 횡포를 당당하게 문권의 내용으로 말하고 있는 군수를 제시함으로써 군수 또한 풍자의 대상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양반전>에서 풍자의 대상은 양반, 부자, 군수, 세 인물이며 각각의 인물들이 소설의 어떤 부분에서 풍자의 대상이 되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교과서를 살펴보았다. 풍자 단원과 관련해서는 반드시 다음과 같은 ‘내용 성취 기준’을 사용한다. ‘표현에 드러나는 작가의 태도에 주목하며 작품을 이해하고 표현한다.’ 그래서 풍자 단원에서는 ‘풍자’라는 ‘표현’을 이해하고 작품을 이해하고 ‘풍자’를 활용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교과서 6종에서 풍자와 <양반전>은 동일한 학습 목표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래서 교과서의 구성 역시 비슷했다. 하지만 풍자의 대상과 핵심이 적절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공통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대부분의 교과서는 풍자의 대상을 정선양반으로 한정해서 보고 있었고, 다른 인물들이 풍자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조차 열어두지 않았다. 두 문권을 제시하면서 각각의 문권이 ‘양반’의 어떤 모습을 풍자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활동은 양반만이 풍자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학생들이 잘못 생각하게 만드는 것과 동시에 첫 번째 문권 그 자체는 풍자를 띠고 있지 않음에도 풍자라고 잘못 알려준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몇몇 교과서에서는 <양반전> 외에 다른 제재를 제시할 때는 <양반전>과 주제가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연계해서 활동을 제시하지 않았다. 주로 <양반전> 학습이 끝나고 심화 학습으로 다른 장르의 글을 제시하지만 연계성이 없는 별도의 글로 제시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는 자칫 학생들에게 학습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다. 그리고 단원을 시작하거나 혹은 풍자에 대해 다시 한 번 학습을 하는 경우에, 제시된 풍자의 예시가 적절하지 않았던 경우가 많았다. 풍자 단원의 제재로 사용되어 있는 것, 혹은 학습 목표의 목표 도달 여부와 별개로 <양반전>과 같이 문학 작품을 학습할 때에는 작품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양반전>의 이해에는 풍자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풍자를 이해하지 못하면 <양반전> 역시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양반전>과 풍자의 올바른 학습을 위해서는 다양한 부류의 풍자를 간과한 교과서의 학습활동 제시를 수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 문학 교과서 양반전 단원의 지도 방안 연구

        최현정 부산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46

        이 글에서는 첫째,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한 학습 목표와 학습 활동을 분석·평가하였으며, 둘째, 작품 분석을 통해 학습자가 작품을 감상하는데 필요한 수업 내용이 무엇인지 검토하였고, 셋째, 첫째와 둘째의 내용에 기반하여 <양반전>의 주제를 올바르게 해석하는 수업 목표와 수업 내용을 설정하고 수업의 절차를 '계획-진단-지도-내면화'의 4단계로 고안해 보았다. 수업 내용은 작품의 주제를 탐색하기 위한 요소로 인물, 배경, 사건을 선정하고 이 구성 요소를 분석하여 작품 전체의 주제를 학생들의 개인차에 따라 다양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Yang-Ban Jeon(兩班傳) was a novel written by Yen-Am Park, Ji-Won. The 18^(th) Century Korea, when this novel was written, was an era transition from the Middles Ages to the Modern Age. Yang-Ban Jeon has been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as a novel of satire on the corruption and degradation of the Yangban society. So, teaching Yang-Ban Jeon has been based on the history and the writer's life. Former classic literature teachings have interpreted Yang-Ban Jeon in connection with the trend of the time and biographical facts of a writer, but this is contrary to the essence of literature teaching. So, to estimate the value of a work, the fundamental standard should be needed. This paper criticizes to the mthod of the theme education generalized up to the present and intends to search for a method of teaching that search for the work's structure. Therefore, this paper will appreciate Yang-Ban Jeon through the inner structure of it and spread an appreciative power to other literatures. Eight literature textbooks of the high school have Yang-Ban Jeon, but their teaching objectives of the work are different. So this paper is going to compare these textbooks with their curriculums and collect carefully teaching objectives and teaching contents of the work. This paper, first, will analyze and evaluate learning objectives and learning activities, and find what are learning contexts needed for learners to apperciate the works through work analysis. Next, teaching objectives and teaching contents will be created and teaching procedure will be made up of planning, diagnosis, teaching and internalization. Teaching contents will deal with characters, background and events as elements of theme of the work, and next students will find various themes of the work based on the elements. Yang-Ban Jeon has the middle layers of characters, background and events and criticizes society of the day through irony and satire. Ability to appreciate literature works is looking for the theme through literary work's elements. If students transfer theme-searching process of Yang-Ban Jeon into other literature works, it will be expected that literature capacity of 7th Education curriculum improves.

      • 고전소설 교육 방법 연구 : <양반전>과 <운영전>을 중심으로

        윤진주 동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0

        Reading classical literature gives us an opportunity for a glimpse of the life of our predecessors and the way of their recognizing the world and of expressing their feelings. It can also help us realize the truth of life and we have a chance to get emotion which transcend generations. Especially classical novels have high educational values in the aspect that they hold contents that are related to the real life of our ancestors and also that it can help understand the awareness and literary figuration of them. This study will try to find out if literature textbooks in high school can satisfactorily accomplish that learners understand the value of classical novels. Therefore it will show us problems of our education for classical novel literature. Thus,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look into an effective korean classical novel instruction plan to enhance learner's ability from present situation diagnosis. I looked into the goal and meaning of the classical novel education in chapter Ⅱ. I have adjusted characteristic, goal, and contents of the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7th Korean Subject curriculum and also inspected the goal and contents of the classical novel education. we can identify that the aim of classical novel education is for learners to have desirabl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 and to enhance literary ability and imagination. In chapter Ⅲ, I looked into aspects of the classical novels found in 18 different high school textbooks. I chose <Yangban-jeon>, <Uhnyeong-jeon> analyzing their appropriateness in terms of lesson, goal of the class, and assignment appropriateness based on content of the curriculum. <Yangban-jeon> is a work to suggest unstable social aspects of 18th century showing Park-Jiwon's practical science and realism movement in those days. And the other hand, <Uhnyeon-jeon> is not only an unique tragic novel at that time but also reflecting a social situation that authority of royal family had been weaken. That is why these two novels are of great value and I chose them. The declared aim of studying <Yangban-jeon> made it difficult for learners to understand the novel for abstract and inclusive explaining although the aim was intended to be concrete learning. And Study Activity didn't reflect the goal and didn't be made appropriately either. The goal of <Uhnyeong-jeon> is made up emphasizing on finding subjective character. Because learners are likely to gain interest by its contents. It is made up properly reflecting subjective character but Study Activity had something that is not related to the goal of study. By this fact In chapter Ⅳ, I analyzed problems of classical novel education and suggested an effective instruction of <Yangban-jeon> and <Uhnyeong-jeon>. That is not to teach classical novels as isolated existence but to teach in order to present a more diverse literary experience through learning strategies that encourage learner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or among literary works. Through diverse learning strategies including comparison with different works of the same era ; for example <Yangban-jeon> in comparison with <Bongsan-talchum>, Saseol-sizo, <Hozil>. and <Uhnyeong-jeon> in comparison with <Yeong-yeong-jeon>. different era or different genres ; <Yangban-jeon> in comparison with <Beasts conference record>. <Uhnyeong-jeon> in comparison with <The visitor in sarangbang and my mother>. I have presented strategies to increase practical uses of classical novels. This thesis deals with the diagnosis for problems of classical novel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high school Korean literature textbooks and efficient instruction plan as alternative. The study present the direction for Korean classical novel instruction specifically with certain literary works as examples. However, the study has its limits with subject literary works confined to just two novels and its application not yet carried out in actual class situations in schools.

      • 연암 소설의 교재화 방안 연구

        조은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11

        당시 사회의 현실을 직시했던 연암 박지원은 지식인으로서 자신의 앞에 놓인 사회의 모습에 대하여 고민하고 해결 방안을 찾고자 노력했다. 이러한 연암의 신념은 그의 작품을 통하여 고스란히 구현된다. 본 논고에서는 연암 박지원의 작품들 중에서 한문 단편 소설에 논의를 한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연암 박지원의 소설들이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어떠한 방향으로 교과서에 수록되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하여 연암의 소설의 교재화 방안에 대하여 고민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연암 박지원은 글을 쓸 때에는 존재하는 사실에 대하여 아무 꾸밈없이 쓰기를 언급하였다. 즉, 자신의 생각이 담긴 문장으로 자신만의 글을 쓰라는 것이다. 이러한 신념은 자서(自序)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작가에 대한 소개나 글의 내용에 대한 소개에 그치는 대부분의 자서(自序)들과는 달리 연암 박지원은 그 안에 당시 사회를 바라보는 자신의 생각을 피력하였다. 연암의 소설은 학습자에게 교육적 가치를 제공한다. 연암의 평생의 고민은 친구에 대한 것이었다. <마장전>에 나타난 친구 사귐의 문제는 현대를 살아가는 학습자들에게도 충분히 공감이 가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연암 소설의 또 다른 교육적 가치는 연암 문학 속에 나타난 근대성을 들 수 있다. 연암은 자신이 양반임에도 양반 사회의 부도덕성과 위선을 고발한다. <양반전>을 통하여 연암은 자기 성찰에 대한 화두를 학습자에게 던져준다. 또한 평범한 인물을 주인공으로 설정하여 현실 참여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광문자전>은 광문이라는 거지를 통하여 비록 거지이지만 광문의 삶을 긍정하며 새로운 인간상에 대하여 조망하고 있다. 조선 사회는 여성에게 무자비한 폭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열녀함양박씨전>에 나타난 여성의 모습을 통하여 여성 또한 남성과 같은 인격체라는 것과 여성에게 강요된 희생에 대하여 생각하는 계기를 제공해준다. 또한 새로운 열녀관을 제시하여 학습자에게 교훈을 준다. 본고는 5차 교육과정기부터 2011교육과정기까지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연암의 한문 단편 소설들의 현황을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도출된 문제점을 토대로 연암 소설의 교재화 방안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 매체를 활용한 <양반전>의 교수·학습방안 연구

        정진영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50

        인터넷과 함께 성장한, 요즘의 중학생들과 같은 영상 세대에게 국어 교육은 새로운 방향의 전환을 요구하게 되었다. 학계에서도 90년대 중반부터 매체와 국어 교육의 관계에 대해 조명하게 되었고, 국어교육에서 매체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이고 실질적인 논의가 전개되기 시작했다. 이렇게 변화를 요구하는 교육 환경 속에서 고전소설 교육은 그 시대적 흐름에 적응하지 못하고 고전소설 해독의 어려움, 적절한 교수·학습 방안의 부재, 현실과 유리된 먼 옛날이야기이라는 잘못된 선입견 등의 이유로 학생들은 고전소설과의 거리감을 줄이지 못하고 있고, 현행 교육과정에서도 그 비중이 자꾸 축소되고 있는 현실이다. 시대를 뛰어 넘는 삶의 보편성과 진실성이라는 고전소설의 소중한 가치를 학생들에게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오늘날의 학생들에게 흥미롭고 가깝게 다가갈 수 있는 소설 교육의 방법적 모색이 필요하며 그 실마리를 매체 교육에서 풀어보고자 하였다. 고전소설을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지도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중학교 2학년 교과서에 실린 <양반전>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매체 활용의 의미는 고전소설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수업 도구의 하나라는 소극적 활용을 포함하여 학습자들이 직접 매체를 활용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적극적인 활용의 단계로까지 의미를 확장하였다. 매체를 활용하기에 가장 좋은 고전 텍스트 중 하나인 <양반전>을 통해 풍자의 기법을 익히고, 풍자를 표현하기에 매우 효율적인 매체를 이용하여 현대 사회의 모습을 풍자하는 풍자물을 만들어 보도록 하였다. 수업은 중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고전소설 <양반전> 수업을 ‘준비하기-점검하기-활동하기-평가하기-정착하기’의 실질적인 교수·학습 과정안을 바탕으로 5차시로 구성하여 실제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을 지향하여 협동학습의 형태로 진행하였다. <양반전>을 매체를 활용하여 감상하고 감상의 핵심인 풍자에 대해 학습한 후, 오늘날의 사회를 풍자하는 풍자물을 적절한 매체를 선정하여 모둠별로 제작해 보았다. 또한 교수·학습 과정을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본 결과를 대전 M중학교 2학년 4개 반 1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학생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고, 그를 통해 매체를 활용한 고전소설 <양반전>의 지도 방안의 의의와 성과를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제시하는 매체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은 다매체 시대를 살고 있는 오늘날의 학생들이 고전소설에 좀 더 가깝고 흥미롭게 접근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매체 활용 및 제작은 고전소설을 오늘날의 자신의 삶과 연계해 조명하는 데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본다. 이렇게 볼 때 매체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은 <양반전>이라는 작품을 조선 후기 풍자물로만 머무르게 하지 않고 오늘의 우리에게 문제의식을 던져주는 고전으로서의 가치를 구현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e visual-like gener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at has grown with the Internet, has started to require a new educational direc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ince the mid-90s, the academic world has come to focus on the relation between media and Korean education. Besides different transi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 about the meaning and the necessity of media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has begun. Despite this change-demanding educational environment, this tendency has prejudiced students against the novels as difficult to interpret, there are not qualified professors and nor appropriate teaching, and they are nothing but old stories disconnected from the present. 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students and the novels is getting greater and the current curriculum is unfortunately focused less little on classic novels. In order to make students fully acknowledge classic novels' timeless great values of universality and truth, an approach to interest students and be familiar with them in teaching the classic novels is required. For this reason, a study aimed to find the solution in media education was conducted. The study intends to address how to effectively teach classic novels by using a variety of media. For the studying subject, Yangbanjeon in second grade middle school textbook was selected. Use of media is extended from a passive use as a part of learning tools to help understand and appreciate classic novels and to a positive use in which students produce a piece by directly using media. This study applied Yangbanjeon, one of the best classic texts which use media to help students to learn satirical technique and led them to make satires on modern society by using the most effective media in highlighting satire. A class for middle school second graders consisting of five periods- Warm up; Check up; Activity; Evaluation; and Settle- was conducted based on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s. The class promoted student-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in cooperation style. The class was composed of appreciation of Yangbanjeon by using media, learning satire, a key to the appreciation, and production of satires on the modern society by group after selecting appropriate media. In addition, the result of applying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to actual classes was analyzed by carrying out a survey among 116 middle school M second graders in four classes in order to demonstrate significance and achievement of teaching methods of the classic novel, Yangbanjeon. Teaching and learning, which apply the media, suggested by this study will help modern students to become more interested in and familiar with classic novels in terms of approach. As well as encourage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while leading a student-oriented class. Use and production of media appear to be very effective in students' associating classic novels with their own lives. For this reason, teaching and learning by using media is greatly significant in that they materialize the value of Yangbanjeon as a classic novel which gives us an opportunity to have a critical mind rather than only leaving the novel as a satire in the late Joseon.

      • <양반전>과 <호질>의 풍자 구조 연구

        김태원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519

        이 논문에서는 한국 문학의 巨峰이라 일컬어지는 연암 박지원의 문학 작품 중에서, 작품 속에 담겨 있는 사상뿐만 아니라 풍자의 구조나 기법 면에서 大家의 작품으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하고 있는 <양반전>과 <호질> 두 작품을 택하여, 각 작품이 가지고 있는 풍자의 구조를 밝히고 두 작품의 풍자 구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여 보았다. 또한, 그러한 풍자의 구조가 당시의 시대 상황 속에서 작가의 의식을 어떤 식으로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호질>에서 풍자의 주체로 작품 속에 등장하는 범은 ‘비현실적인 세계에 존재하는 국외자’인 동시에 ‘객관적 관찰자’, 그리고 ‘인간과 사물의 본질을 포착할 수 있는 절대자’인 동시에 ‘심판자’로서, 이 작품에서 유일하게 인간과 사회의 감추어진 본질을 파악할 수 있는 절대적 투시안을 지닌 존재이다. 반면에 <양반전>에서 풍자의 주체는 표면적으로는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지만 군수로서, 양반을 팔고 사는 부도덕한 행위를 고도의 트릭을 사용하여 저지하면서 풍자하는 냉철한 인물이다. 두 작품의 풍자의 주체인 범과 군수는 내포 작가의 가치와 의식을 대변하는 존재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그러나 이러한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풍자 주체가 현실 세계에 등장하면서도 그 정체를 끝까지 숨김으로써 독자들에게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 놓는다는 숨은 구조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 <양반전>과, 풍자 주체를 현실 세계에 존재하지 않는 절대적인 존재로 알레고리화함으로써 현실 세계의 구석구석을 투명하게 비추며 매섭게 질타하고 있는 <호질>은, 서로 상반된 양상으로 풍자의 주체를 작품 속에 등장시키고 있다. 구조면에서 보면 <양반전>은 내포 독자들에게까지 풍자의 주체와 풍자의 대상을 감춤으로써 이 작품의 주제를 포함한 의미에 대하여 다양한 층위의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는 숨은 구조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 작품의 풍자 구조는 군수가 양반 매매의 사실을 확인한 후 보여주는 사건 전체가 반어적 트릭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는 순간에, 겉으로 드러나는 풍자와 안에 감추어져 있는 이면적인 풍자의 이중적 풍자 - 다시 말해 겹풍자 -의 구조를 파악하게 되면서 가능해지게 된다. 반면 <호질>은 <양반전>에서의 내포 작가에 의한 의도 감춤과 그에 따른 숨은 구조와는 다른, 액자식의 중층적 구조를 보여 주고 있다. 내포 작가는 1장에서 2장으로 다시 2장에서 3장으로 옮겨가면서 동일한 풍자 대상을 서술 방식을 달리 하면서 반복적으로 풍자하고 있는데 여기서 작품 공간의 상이성은 일반과 특수, 보편과 개별이라는 차이점을 발생시키면서 동일한 내용의 단순한 반복이 아니라 구조의 중층화를 통한 풍자의 점층적인 심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연암은 사상적으로 전통 관념의 붕괴와 근대의 기점으로 볼 수 있는 시기, 즉 민중의 자각과 실학이 대두될 즈음에 생존했기 때문에 이러한 시대적 교체기의 사상적 갈등은 작품의 풍자 구조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되는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양반전>의 숨은 풍자 구조와 <호질>의 전, 후지를 포함한 중층적인 풍자 구조는 연암이 자신이 속한 士 계층의 문제점을 비판하면서도 그 계층을 전면적으로 부정할 수 없었던 작가 자신의 고뇌가 만들어낸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연암의 <양반전>과 <호질>은 주제뿐만 아니라 작품의 구조가 시대 상황이나 작가의 의식과 얼마나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가를 여실히 보여 주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의의가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is thesis, among the works of Yeon-Am Park Jee-Won, reputed to be a peak of Korean Literature, I chose two, <Yangbanjeon> and <Hojil>, which, in the respect of not only thoughts included in the literary work, but also the satiric structure or technique, show the features of a distinguished writer's works in full extent. I clarified the satiric structure in each work, and compar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sides, I examined how such satiric structures reflect the writer's thoughts in the situation at that time. In <Hojil> Bum, the subject of the satire, is the one who appears as an outsider existing in the unrealistic world and atthe same time an objective observer, and a judge as well as the Omniscient who can grasp the meaning of the essence of humans and matters. He is unique in this literary work in the way that he possesses a clairvoyant power, understanding the hidden essence of humans and the society. The subject of the satire in <Yangbanjeon>, on the other hand, is the magistrate not revealed on the surface specifically, but who is a hard-headed person obstructing and satirizing aristocrats' immoral conduct-selling and buying the social status of aristocrats-with powerful tricks. The subject of the satires in each literary work, Bum and the magistrate, share the common features in thatthey represent the writer's value and thoughts. However, despite the similarity, each literary work displays the subject of thesatire in the opposite way; in <Yangbanjeon>, the subject of the satire appears in the real world, though it never reveals itself throughout the story. Thus, by assuming the hidden structure, <Yangbanjeon> explores the possibility for readers to interpretthe subject of the satire variously. On the other hand, in <Hojil>, the subject of the satire shows clearly and scolds severely every corner of the real world as an allegorized, absolute being who does not exist in the real world. Regarding structures, <Yangbanjeon> covers the subject and object of the satire even to readers , thus through the hidden structure broadening the possibility to interpret in various levels the subject and object of the satire. The satiric structure of this literary work is not fulfilled until the last moment when the magistrate realizes that the overall eventis an ironic trick after he finds out the selling and buying the status of aristocrats and understands both the outward structure and inside structure- that is twofold structures. On the other hand, <Hojil> shows a picture-framed,layered structure, different from <Yangbanjeon> where theintention of writer is covered and accordingly the story takes the hidden structure. writer, while he moves on from chapter 1 to chapter 2 and again to chapter 3, satirizes repeatedly the same object of the satire just changing the way it describes. Here,different places in the story produce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l and particular, universal and separate, and they can be regarded to have contributed in great deal to successive deepening in satire through layered structure, not just by repeating thesame story. Because Yeonam lived at the time when in the respect of ideology traditional thoughts collapsed and modern age started -that is when people's consciousness and practical science were just about to appear-, value conflict in the change of era influenced the satiric structures of the literary work and it in turn can be thought to have offered the fundamental cause to bring about the structure as mentioned above. In other words, the hidden structure in <Yangbanjeon> and layered satiric structure in <Hojil>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the author's distress that while he criticized problems of the upper class where he belonged, he could not completely denied it. Therefore Yeonam's <Yangbanjeon> and <Hojil> are all the more meaningful literary works in that not only the themes but also the structures show how vividly they are closely co-related to the situation of the authors' lifetimes or to his thoughts.

      • 양반전』교육의 실제 : 소설지도방안을 중심으로

        이창미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487

        소설은 엄연히 문학의 한 갈래로 그 나름대로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예술 작품이다. 그런데, 학교 교육에서는 작품을 읽고, 어려운 낱말 풀이하고, 문단 나누어 요지를 말하고, 주제를 찾는 선에서 끝이 난다. 이에 현행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양반전』을 가지고 소설지도의 방안을 마련해 보았다. 우선, 현행 제 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문학교육의 목표를 살펴보고, 문학의 한 갈래인 소설의 특성에 맞게 목표를 다시 설정해 보았다. 그런 다음, 소설교육을 하기 위한 전제로 소설의 내용 지도방안 5단계를 제시하였다. 첫째, 작품 읽기가 선행되어 줄거리를 파악해 보도록 하고, 둘째, 앞에서 잡은 줄거리를 토대로 작품에 대해 미리 생각해 보는 기회를 제공하며, 셋째, 미리 생각해 본 것과 견주어 미처 파악하지 못한 작품에 대한 생각을 넓히고 잘못된 생각은 바른 이해로 안내하는 활동을 한다. 이 단계가 소설을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단계로써, 텍스트의 창작 배경의 파악과 텍스트의 짜임에 대한 이해, 갈등이 고조되고 해결되는 과정에 대한 이해, 소설의 서술방식에 대한 파악, 텍스트에 대해 분석된 요소들 사이의 상호효과, 마지막으로 작품이 지니고 있는 의미를 도출해내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넷째, 앞의 모든 단계를 거치면서 발견하고 느낀 점을 자신과 대화하고 내면화시킨 후, 다섯째, 적극적 독자로서 다양한 양식으로 감상한 내용을 표현해 본다. 이렇게 『양반전』의 기본내용 이해에 도움이 되도록 소설지도방안을 크게 5단계로 일반화시켜 놓고, 『양반전』의 특성에 맞는 마땅한 발문을 개발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런 후, 이런 기본적인 내용들을 학습자가 잘 도출해 낼 수 있고 실제 수업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ICT 활용 수업 진행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지도안을 개발하여 보았다. ICT 활용 수업은 텍스트를 더욱 밀도있게 학습할 수 있는 관련 자료들을 입체적으로 준비할 수 있다는 점, 작가와 작품의 배경이 되는 실증적 자료라든지 학습자의 작품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전문 비평가들의 유효한 비평적 관점이 드러난 글이라든지 학습자의 감상 활동에 참조될 수 있는 같은 또래들이 산출한 감상텍스트 같은 것들을 적극 활용할 수 있다는 점, 또 이들을 교실에서 효과적으로 펼쳐 보일 수 있는 시청각 기자재의 활용으로 큰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로 인해, 학습자들을 충분히 생각하게 하고 서로의 생각을 견주어 보게 함으로써 『양반전』의 교육목표인 문학과 현실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에 적극 다가설 수 있는 길을 제공하여 줄 수 있다. 또한, 이것은 궁극적으로는 소설교육의 목적 및 문학교육의 목적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기도 하다. 학습자가 목표에 도달했는가를 판단하기 위한 평가는 문학교육 평가의 일반적 고려사항인 평가의 개방성이 지켜져야 한다. 하나의 정답을 요구하는 평가관은 소설교육의 평가에서 지양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논술형이나 교사에 의한 포트폴리오 평가방식을 원용한 독서일지의 평가적 관리, 독후감 등을 이용한 수행평가의 방식, 수업 진행 중에 이루어진 학습자의 독서토론능력 평가 등이 모두 평가의 방안으로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 이 방안에 따르면 학습자들은 『양반전』을 통해 소설감상에 적극 학습하고, 생각하고 답함으로써 소설교육의 목적에 능동적으로 다가설 수 있다고 본다. 또한, 교사는 적절히 안내자와 자료 제공자 및 해설자의 구실을 할 수도 있다. 교사가 얼마나 풍부하고 적절한 자료를 제시해 주느냐 하는 것이 수업 성패의 관건이 된다 해도 무방하다. 이에, 교사는 소설 연구의 성과나 경향들, 또는 소설연구의 방법들을 문학교육의 장(場)에서 어떻게 수용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아야 한다. 이를 탄력성 있게 운영하는 교사의 교육과정 실천 기술이 중요한 것이다. 이것이 훌륭하게 연마되어 있는 교사는 공식화된 교육과정을 교실 상황에서 창조적으로 재구성하고, 수업의 역동성을 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각각의 소설 작품마다 소설의 교육목표를 지향하는 올바른 소설교육 모형이 보다 많이 개발되어 교육현장에서 탄력성 있게 효율적으로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서, 이로 인해 학습자가 인간의 삶에 대한 다양한 체험을 하고, 상상력을 기르게 되며, 소설에 대한 재미를 느끼고, 민족어에 대한 사랑을 갖고 사용 능력을 신장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