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theological-ethic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co-justice and economic growth in the context of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modern Korea

        송준인 University of Stellenbosch 1999 해외박사

        RANK : 215567

        본 논문은 현대 한국의 환경 정의와 경제 성장 사이의 다차원적 관계를 밝히기 위한 하나의 시도이다. 현대 한국의 경제 성장이 생활 수준을 향상시킨 것은 사실이지만, 전례 없이 심각한 각종 환경 문제를 야기시킨 것도 사실이다. 한국의 환경 위기는 작금의 경제 성장과 생활 방식 및 기독교 신학의 패러다임을 뒤흔들 만큼의 위험한 수위에 이르렀다. 환경 위기는 다차원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 그것은 하나님과 인간과 자연에 대한 인간의 이해와 관계될 뿐만 아니라 경제 체제와 정치제도 및 인간의 도덕성과도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거기에 상응하는 다차원적인 활동이 요구된다. 다시 말해서 인간의 인식론과 사회 구조 및 일상 생활 방식 등 다차원적인 수준에서의 변화가 요망된다. 이와 관련해서 제1장에서는 주요 한국 종교의 세계관을 살펴봄으로써 환경 위기가 잘못된 세계관에 의해서만 야기되는 것이 아니라 근복적으로 죄악된 인간의 본성에 뿌리 박혀있다는 사실을 논증하였다. 제2장에서는 정부의 성장 우선 정책과 기업의 무모한 확장 및 일반 소비자들의 사치스러운 생활 방식이 모두 한국의 환경 위기의 원인임을 논증하였다. 제3장에서는 개혁주의적 환경 신학의 성경 적인 기초를 수립하기 위하여 하나님의 초월성뿐만 아니라 내재성을 균형 있게 인정해야만 하며, 하나님의 도덕적 형상이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논증했다. 또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보다 깊이 있게 밝히기 위하여 자연에 대한 주요한 신학적 관점들을 논의하고 평가하였고, 신중심주의가 진정한 성경적 관점임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하나님께서 자연과 인간에 대한 특별한 계획을 갖고 계시다는 점에서 환경 정의가 하나님의 공의에 기초하고 있다는 사실을 논증하였고, 그리스도인은 경제 성장과 과학 기술에 대한 바른 이해를 갖고 과소비와 사치스런 생활 방식을 버려야만 한다는 사실을 논증하였다. 제5장에서는 환경 정의 운동이 전체적인 시각을 가지고 수행되어야 할 것을 논증하였다. 한국 교회의 바람직한 역할을 찾기 위해서 초대 한국 교회의 훌륭한 유산을 제시함과 더불어, 환경 정의 문제를 위한 대안으로서 그리스도인의 청지기직을 제시하면서 가난한 자들과 소외당한 자들뿐만 아니라 자연까지도 보살핌으로써 청지기직을 수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사실을 논증하였다. 그리고 한국 교회가 스스로를 개혁하기 21세기의 공적인 역할을 감당해야 할 것을 논증하였다. 결론적으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원지식의 회복이 신중심주의의 비전과 관련되고, 원의의 회복이 환경 정의 운동의 규범과 관련되며, 진정한 거룩성의 회복이 우리의 청지기직과 관련된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이것이 환경 정의를 구현하기 위한 전체적인 해결책의 본질적인 측면임을 확신한다.

      • The transfiguration of jesus according to mark : a narrative reading

        심상법 University of Stellenbosch 1994 해외박사

        RANK : 215567

        This dissertation is an attempt to present an adequate methodological model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Gospel of Mark. The Markan transfiguration narrative is one of the most complicated passages which has been known as 'a revealing test of an exegete's presuppositions and methodology' in the history of its interpretation. In this dissertation, therefore, the MTN is dealt with as a test-case for the exploration or presentation of an adequate exegetical model. In order to do so, the hermeneutical problems of the MTN are first investigated through the history of its interpretation (Chapter 1). From the hermeneutical problems formulated in Chapter 1, the study of the MTN needs a methodological paradigm shift in a textual-oriented approach to emphasize the totality and coherence of the text in the light of the context out of which it emerged and has been read. In this respect, Chapter 2 suggests the bi-focal (textual-contextual) approach with three (literary-historical-theological) dimensions as an adequate hermeneutical model for the Gospel of Mark. In this bi-focal approach, text and context are understood as the conditions or constraints to determine the meaning of a text. In Chapter 2, in particular, the genre of the Gospel was discussed and identified as the hypothesis of this dissertation: that is, the Gospel as well as the MTN should be read as narrative. This generic understanding exerts a dynamic influence on our reading strategy and experience by opening up many new possibilitie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Gospel of Mark. On the basis of such generic understanding (the Gospel as narrative), the meaning of the MTN was investigated from three exegetical perspectives; structural perspective (Chapter 3); narrative-rhetorical perspective (Chapter 4); figurative perspective (Chapter 5). In this case, recent exegetical developments including structuralism, narrative criticism, rhetorical criticism and reader-response criticism shed a special light on exploring the meaning of the MTN. Especially the narrative-structural analysis of the MTN detects 9:5-7 as the peak to emphasize the theme of the T narrative which is also related to the theme central to the body of the Markan narrative as a whole: christology (Jesus' identity and mission) and discipleship (following Jesus). Above all Mk 9:7 in this peak presents the climax of the narrative as well as the central point of the Markan theology. In the communicative process, then, 9:7 as the climax of the narrative creates a dramatic irony in connection with Peter's action and the narrator's comment on it and delivers a radical message to the audience. Moreover, the figurative interpretation of Chapter 5 overcomes the flat or narrow interpretations of the religionsgeschichtliche approach to the MTN and opens up many interpretive possibilities, by dealing with beyond its textual world its intertextual world. Consequently, such a comprehensive narrative reading of the MTN not only resolves hermeneutical problems which were observed in Chapter 1, but also provides the interpreter with dynamic reading strategies and experiences in understanding the MTN.

      • The rhetorical function of the parable discourse in Matthew 13

        김재수 University of Stellenbosch 1996 해외박사

        RANK : 215567

        본 논문은 개정 수사학적(revalued rhetoric)해석법을 마태 복음 13장의 비유강화에 적용 연구한 것으로,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제 일부는 수사학의 이론적 배경을 취급한다. 수사학은 미도스(mythos)와 로고스((logos)이후에 나타난 강화(discourse)의 조직된 이론이며, 또한 처음으로 사용된 문학 해석법이다. 수사학은 두 방향으로 발전되어 왔다. 제한 수사학(restrained rhetoric)은 고전 수사학의 기본 이론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발전해온 수사학으로서, 텍스트의 상황, 청중, 구조, 장르 등의 한 면을 주로 다루는 일차원적 해석법으로 사용되었다. 이와는 달리, 개정 혹은 재평가 수사학(revalued rhetoric)으로서, 수사학의 기본 조직과 구조를 발전시킨 것으로서, 텍스트의 여러 특성들을 다루는 다차원적 해석법으로 응용되어왔다. 따라서 최근의 수사학적 해석법은 텍스트를 화자-메시지-청중으로 연결되어지는 선형관계를 중심으로 한 설득의 수단으로서 만이 아니라, 상호 대화를 통한 산물 혹은 사회행동의 결과로서 해석한다. 따라서 텍스트의 설득과 생성 모두를 다룬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서, 수사학은 성경해석을 위하여서 하나의 이론과 방법으로서 정립되어 왔는데, 수사학적 해석학을 사회적 해석법(social criticism) 혹은 실용적(practical criticism)해석법이라고 부른다. 이런 경향가운데서 본 논문은 마태복음 13장에 나타나는 비유강화의 수사학적 기능을 다차원적인 면과 텍스트의 생성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제 이부는 비유강화를 조사하였다. 예수님의 비유강화는 유대문화의 산물도 아니고 헬라 로마 문화의 산물도 아니다. 이는 예수님으로부터 시작된 기독교 문화의 산물이다. 마태복음 13장의 예수님의 비유 강화는 여러 개의 비유가 크레이아(chreia)라고 간주될 수 있는 하나의 기본 단위를 중심으로 배열된 크레이아 증강(chreia elaboration)이라고 하는 수사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고 마태복음에서는 이 비유강화가 중심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에 근거하여 본 논문은 하나의 수사학이론으로서 대화 수사학을 제의하였고, 이를 마태복음 13장에 적용하였다. 대화수사학을 위하여 본 논문은 버크의 오형구조 (Burke' Pentadic approach)와 박틴(Bakhtin)의 대화 해석법 그리고 사회학적 해석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지금까지 마13장에 사용되었던 역사 비평 해석법, 언어 해석법, 실용 해석법, 그리고 구조적 해석법과는 다르다. 대화 수사학은 두가지 방향으로 접근할 수 있는데 하나는 내부적 접근법이고(비유강화자체만 연구), 다른 하나는 외부적 접근법이다(마태복음과 비유강화의 상관연구). 마지막으로 비유강화와 사회에 대한 관계연구결과 비유강화는 선교적, 개혁적, 교육을 강조하는 교회 건설을 주장하는 수사학적 강화(rhetorical discourse)임을 주장하였다. The pernnial tension between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as the purpose of religious education has existed throughout history but it was George Allbert Coe who articulated this tension with his question, "Shall the primary purpose of Christian education be to hand on a religion, or to create a new worid?" This study ezamines historical understandings of the tension and explores the ways in which twentieth century religious educators, especially Coe, C. Ellis Nelson, John Westerfoff, Sara Little, and Mary Boys, handled both the tension between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as purpose, and the tension betweensocialization and teaching as process/method.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lay a for understanding these tensions, a foundation we can use to bulid educational theories. In the early 20th century, Coe dichotomized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as the purpose of religious education, pursuing transformation over tradition. However, in developing a theory whose aim wae the creation of a new world he maintained a balance between socialization and intentional teaching as process. In the mid 20th century, exponents of the Christian education mivement attempted to recover the tradition element they thought had been lost to the emphasis on transformation. For this movement, recovering tradition meant finding a suitable theology onwhich to base "Christian" education. In the late 20th century, sa society and culture became more diverse, secular and pluralistic, Nelson and Little shared the same purpose : transformation of society through tradition, while advocating different processes. Both are responding to Dwayne Huebner's question'"... is education in a religious community necessary or is living with others inherent1y educational?' At the close of the 20th century, the overrding question is, "how can we transform this dysfunctional society?" In response to this question some contemporary theories will be introduce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dichotomy between handing on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as a purpose for religious education is a false dichotomy. While distinctive, neither is complete without the other. The same is true with socialization and teaching as process. We must overcome the dichotomy of either/or, and embrace the tension of both/and.

      • Leadership and Democratisation : The Case of Nelson Mandela in South Africa and Kim Dae-Jung in South Korea

        정영윤 University of Stellenbosch 2004 해외박사

        RANK : 215567

        Since the late 1940s, South Africa and South Korea were ruled by authoritarian governments, which oppressed the people’s freedom and rights. The governments created the deeply divided societies that resulted in racism in South Africa and regionalism in South Korea. These similarities may have played a major role in allowing Nelson Mandela and Kim Dae-jung to develop strong emotional bonds with their followers and to articulate their visions for the future. The two leaders, Nelson Mandela and Kim Dae-jung, fought for freedom and human rights against the apartheid government in South Africa and military dictatorial government in South Korea. During these processes of democratisation, the two leaders displayed common transformational and social learning leadership styles and presented their visions of the end of the authoritarian regimes and the establishment of democracy; shared these visions with the people and encouraged and mobilised them in struggling together against authoritarian government. Subsequently, the two leaders’ transformational and social learning leadership styles provide a successful role model to countries in which there are conflicts between the constituents of the society, as in East Asia, Sub-Saharan Africa and Middle East; a desire for transformation towards democracy by the people, and where countries are confronted with new challenges.

      • The Law in Galatians

        홍인규 University of Stellenbosch 1991 해외박사

        RANK : 215567

        바울의 율법관을 올바로 이해하는 것은 그의 복음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필수 적인 일이다. 그런데 바울에게 있어서 율법은 극도로 난해한 주제이다. 바울은 율법을 부정적으로뿐만 아니라 긍정적으로도 평가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서론, 7개의 장, 그리고 결론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론에서는 바울과 율법에 대하여 지금까지 제안된 수많은 견해들 중에서 몇가지 영향력있는 것들만 개략적으로 살펴 본 다음, 갈라디아서의 율법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1장에서는 갈라디아서의 표면 구조를 분석한다. 여기서 사용한 주요 도구는 강화 분석법(discourse analysis)이다. 그러나 고대 서간문 형식과 수사학적인 구조도 참작된다. 2장에서는 구조 분석에 의하여 드러난 주축적인(pivotal) 진술들을 탐색하여 갈라디아서에 나타난 바울의 신학적인 관점을 파악한다. 3장에서는 적대자들의 주장과 정체를 재구성해 본다. 갈라디아서의 구조와 바울의 신학적인 관점으로부터 도출된 함의들(implications)이 이 작업을 위한 기준으로 활용된다. 이상의 3개 장이 제1부를 구성한다. 이러한 예비적인 고찰에 근거하여, 제2부에서는 바울이 갈라디아서에서 율법을 어떻게 취급하였는가를 다룬다. 이것은 4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4장에서는 갈라디아서의 νομοs는 두가지 예외를 제외하면(갈 3:21b; 4:21b) 시내산에서 이스라엘에게 주어진 모세의 토라를 가리키며, 그것은 하나의 완전한 단위로 간주된다는 것을 간단하게 주장한다. 5장에서는 율법을 시내(Sinai) 언약의 의무로 보지, 하나님의 언약 공동체에 가입되는 요건으로 보지 않는다. 6장에서는 하나님의 구원 계획에서 율법이 수행하는 기능을 조사한다. 7장에서는 율법과 그리스도인의 생활을 다룬다. 결론 부분에 가면, 갈라디아서의 율법에 대한 필자의 논의에 따르는 결과들이 요약된 형식으로 제시되고, 그 후에 바울과 율법에 대한 최근의 논쟁들과 관련있는 몇가지 함의들이 필자의 연구로부터 도출된다. 이렇게 하여 이 논문이 율법에 대한 바울의 다양한 진술들을 좀더 명료하게 밝히는 데 기여한다.

      • A socio-rhetorical analysis of Romans 7 :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law

        이철우 University of Stellenbosch 2001 해외박사

        RANK : 215567

        이 논문은 로마서 7장을 중심으로 바울의 율법관을 조명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바울신학에 있어서 로마서 7장과 율법은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이지만 둘 다 바울의 신학과 복음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많이 사용된 역사 비평적인 방법론을 떠나서 근래에 새로이 일어난 사회 수사학적인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논문 초반부에서는 율법에 대해서 지금까지 어떻게 해석하여 왔는지를 다루면서 논쟁이 되는 10가지 이상의 부분들이 무엇인지를 밝혔다. 그 다음에는 사회 수사학적인 방법론이 무엇인지를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여기서는 버논 로빈스(Vernon Robbins)에 의해 개발된 방법론을 약간의 수정을 가하여 채용하였는데 이것은 본문을 여러 측면에서 보며 또한 여러 학문들의 연구 방법론들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성경 해석 방법이다. 4장에서는 서신서 분석 방법론과 수사학적인 분석 방법을 통하여 로마서의 큰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롬 5장에서 8장까지의 맥락속에서 롬 7장의 수사학적인 단락을 확립하였고 또한 로마서의 수사학적인 정황과 바울이 사용하고 있는 수사학적인 도구들과 스타일들을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로마서의 수사학적인 장르가 심의(審議)적인(deliberative) 것임을 밝혔다. 5장에서 7장 까지는 로마서 7장을 다양하게 사회 수사학적인 방법론으로 분석하였다. 본문 내부 분석에서는 반복­점진 분석, 시작­중간­마지막 분석과 논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바울의 논쟁적인 사상의 흐름을 분석하기 위하여 생략삼단논법을 이용하였다. 이 분석 결과로 롬 7:1-6은 논쟁의 중요한 도구인 유추인 것과 롬 7:14-25의 현재형은 논쟁을 위해 바울이 사용한 자서전적­대표적­수사학적인 현상들 가운데 하나라는 것을 밝혔다. 상호 연관적 분석 방법에서는 먼저 구약 성경과의 상호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생략 인용과 주제를 확장하는 것. 문화적인 상호 연관적 분석에서는 몇몇 유대인적인 상호 연관성과 로마 헬라적인 연관성을 다루었고, 사회적 상호 연관성 분석에서는 롬 7의 결혼 유추는 로마 헬라적인 결혼보다는 유대인의 결혼에 더 가깝다는 결론을 내렸다. 마지막으로 신학적인 분석을 하였다. 여기서 바울의 신학적인 세계관을 이해하기 위하여 구속사와 하나님의 언약을 다루었다. 그리고 바울의 죄론, 인간론과 마지막으로 율법관을 연구하였다. 결론으로 롬 7장의 율법은 몇몇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세 율법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에 쓰여진 하나님의 우주적인 도덕법을 의미한다고 보는 것이 더 타당성이 있다고 내렸다. 여기서 바울은 율법에 대해서 이전에 말한 부분에 대한 반론이나 오해를 다루면서 신자와 율법의 관계, 비중생인의 삶에서 율법의 기능을 상술하고 있다. 그러면서 바울은 강력히 율법은 죄가 아님을 부인하고 있고 또한 자신의 과거의 경험을 들어 생생하게 율법의 기능을 묘사하고 있다.

      • A Christian ethic in modern and Postmodern World

        정인택 University of Stellenbosch 2000 해외박사

        RANK : 215567

        In seeking to evaluate a Christian ethic in the modern and postmodern world, we should first search for the ethical principles of modernism and of postmodernism. Thereafter, we should attempt to find a common ethical principle in both modernism and postmodernism. In this way we can establish whether or not modern and postmodern ethics approximate to Christian ethics. Modern ethics originated from and were established on the concept of `the self or selfcentrism as defined in this thesis. More exactly, modern ethics were grounded on the basis of the `reason' of the autonomous self. In this way modern ethics can be characterized by universal laws or universal norms. They served oppressive political norms. In modern times the rational ethics, therefore, correlated with the langauge of totalization and colonization. This modern ethical paradigm was criticized by postmodernists. Postmodernists deconstructed modernist universal norms which were constituted on the concept of `the self. They discovered 'the other'. Thus the postmodern ethics were developed on the concept of `the other'. Postmodern ethics are expressed in uncertainty and can be characterized as `minimalistic morality'. Even though modern ethics and postmodern ethics were established on different concepts, they have a common principle. We recognized that the this-worldly self-life centrism is a common principle of modern ethics and postmodern ethics. We established this in chapter 2. In Chapter 3 we studied the Christian ethics in the Bible. Christians must follow Christ. Christians must become the image of Christ. The Holy Spirit transforms us into the image of Christ. Therefore, Christ is the origin and model of Christian ethics. But we also investigated the reason why so many believers fail to live Christ-like life. We discovered that the this-worldly life centrism always hinders believers from becoming Christ-like people. We suggested that life-giving love is the core ethical principle in the Bible. In Chapter 4 we applied Biblical Christian ethics to the modern and postmodern world. We found that Christian ethics could not match up with modern and postmodern ethical principles in certain respects. Christian ethics are different from modern and postmodern ethics. From this application we proposed that Christian ethics are not expressed in either modern rationalism or postmodern deconstruction. We disclosed the reason why modern rational ethics and ethics of deconstruction cannot comprehend Christ-like ethics. Modern and postmodern ethics were not established on the model of Christ. Modern and postmodern ethics did not emphasize the life-giving love which Jesus portrayed. In this thesis, therefore, the conclusion is that Christian ethics must be Christ-centric ethics. The Christ-centric ethic that can counter postmodern life comes true in life-giving love. Countering modern rational ethics which are based on the concept of 'the self or selfcentrism we, Christians, must emphasize suffering and self-giving by loving 'the other', for example: women, the isolated, and so on. Countering postmodern ethics of deconstruction based on the concept of 'the other', 'the other' must strive to become a Christ-like person rather than pursue his/her own perfect self-realization and liberation.

      • The Shepherd Discourse in John 10 : A Rhetorical Interpretation

        박정식 University of Stellenbosch 1999 해외박사

        RANK : 215567

        이 논문은 요한복음 10:1-21에 있는 목자담화를 문학적이고 수사학인 해석을 통해 예수님의 선한목자되심(good shepherdship)을 연구하였다. 그 동안 학자들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이 본문은 예수님의 목자되심에 대한 신학적 의미와 논리적인 통일성(coherence)뿐 아니라 단위의 결정과 구조의 정의에서도 여전히 문제를 안고 있다 (1-2장).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사학방법론과 신학적인 접근을 통해 본문을 해석하였다 (3장). 특히 수사학적의 논쟁(argumentation)의 관점에서 예수님의 정체성에 대한 논리적인 발전과정과 통일성, 그리고 다양한 기교들을 분석하였고 더 나아가 신학적인 접근을 통해 예수님의 선한목자되심의 의미를 밝혔다. 4장에서는 본문해석의 기초가 되는 수사학적인 이슈들인 단위결정(unit), 본문의 상황(situation), 그리고 장르(genre)를 연구하였으며, 5장에서는 본문의 주제들을 찾고 그 주제의 발전과정과 그 주제들 사이의 연관성과 상징들의 사용을 밝혀내기 위하여 수사학적 또는 문학적인 전략들(strategies)인 반복(repetition), 발전(progression), 대립(antithesis), 그리고 심미(esthetic)를 다뤘다. 6장에서는 목자담화의 논쟁 패턴과 논리적인 관계성들 그리고 예수님의 선한목자되심(good shepherdship)의 이유가 되는 죽으심과 이것의 근거가 다양한 관계성을, 7장에서는 10장과 요한복음과의 관계성을 본문에 나타난 패턴인 "나는 ~이다" (I am sayings), 예수님의 죽으심(Jesus' death), 그리고 관계성들(Jesus' relationship)을 다뤄서 예수님의 선한목자되심(good shepherdship)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드러냈으며 8장에서는 본문의 핵심주체인 예수님의 죽으심(Jesus' death)과 상호관계성들(Jesus' relationship)의 신학적인 의미를 밝혀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본문의 수사학적인 목적 (rhetorical purpose)은 예수님의 선한목자 정체성을 증명하기 위함이다. 예수님은 선한목자이다. 왜냐하면 그는 양들에게 생명을 수여하기 위하여 자기목숨을 제물로 주셨고 이 대속적인 희생은 아버지와 아들간의 앎(knowing)과 사랑(loving)과 우주적(universal)인 관계성, 그리고 그것에서 유추(anology)되어진 목자와 양들간의 앎과 사랑과 우주적인 관계성에 근거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