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OpЧиН ЦаГийН МоНГоЛ ХеЛНий уйЛ уГНйН ЦаГ, ТууНий ТоГТоЛЦоо

        김기성 National University of Mongolia 1998 해외박사

        RANK : 200207

        이 논문은 현대몽골어의 시제와 그의 체계를 살펴보며, 이의 문법범주를 실현하는 각 시제관련어미들의 문법,의미적 특성을 밝히는데에 그 주요 목적이 있다. 즉, 다시말해 현대몽골어의 단순(절대)시제와 복합(상대+절대)시제의 내부체계 및 그들을 표현하는 형태와 통사론적인 의미, 기능, 위치 등의 관계를 종합적(문법,논리,의미론적)으로 상세히 밝힌 연구라 할 수 있다. 제 1장에서는 현대몽골어의 단순시제를 연구한 대부분 학자들의 연구결과를 바타으로 이를 분석, 종합함으로써 현대몽골어에서의 단순시제를 나타내는 방법들과 의미, 또한 그에 대한 체계를 새롭게 세우는데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제2장에서는 1장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복합시제의 체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현대몽골어 각 시체의 내부체계는 "시제(tense)-상(aspect)-양상(modality)"이라는 세 범주의 의미차이에 따라 구분되어짐을 새롭게 밝혔는데, 단순(절대)시제의 경우 현대몽골어의 종결어미 "-laa (-lee,-loo,-loo ),-b -jee(-chee), -na(-na,-no,-no)"는 시체적의미 뿐만아니라 양상적 의미를 함께 나타낸다고 하여 "양성-시제(modality-tense)"적 의미를, 관형형어미 " -san(-sen, -son, -son), -dag(-deg,-dog, -dog), -aa(-ee,-oo, -oo), -h"는 시제적의미 뿐만아니라 상적의미를 함께나타낸다고 하여 "상-시제(aspect-tense)"적 의미를 나타낸다고 구분하였다. 또한 복합시제의 경우 [발화시],[인식시(간접,직접)],[사건시],[주문 동작주의 사건시],[시간부사절 동작주의 사건시]등 논리적,의미론적인 시점들을 이용해 현대몽골어에서 기본적으로 복합시제를 나타낸다고보는 두 구성원의 복합서술형태 72가지를 추출해 그 형태들 각각의 시간적위치,의미적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두 구성원의 복합서술형태라 함은 "본동사어간 + (광형형어미/-san4,-dag4,-aa4,-h /또는 대등연결어미/-j(-ch), -n,-aad4,-saar4/)조동사어간 + (종결형어미/-laa4,-b,-jee(-chee),-na4/또는 관형형어미/-san4,-dag4,-aa4,-h/)" 와 같이 시제관련어미들이 본동사와 조동사에 각각 연결된 통사적 결합양상을 뜻하며 현대몽골어의 복합형태 및 그의 시제는 "상대시제+절대시제"적 의미를 갖는다. 이때 조동사의 관련어미들은(종결형어미,관형형어미) [발화시]와 [인식시]의 시간적위치를 가라키는 절대시를 나타내며 이는 앞에 위치한 본동사 관련어미들의 시제해석의 기준 또는 바탕이 된다. 이는 [발화시]와 [인식시]의 관계, 즉 [발화시]와 관계된 화자의 [인식시]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앞에 위치한 본동사의 관련어미들은(관형형어미, 대등연결어미 ) 뒤에 위치한 조동사의 관련어미들이 나타내는 기준시, 즉 [인식시]에서 해석되어진 [사건시]의 시간적위치를 가리키는 상대시를 나타낸다. 현대몽골어의 두 구성원의 복합서술형태와 그에 따른 복합시제는 다음과 같이 뒤에서 앞으로 해석된다. The pernnial tension between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as the purpose of religious education has existed throughout history but it was George Allbert Coe who articulated this tension with his question, "Shall the primary purpose of Christian education be to hand on a religion, or to create a new worid?" This study ezamines historical understandings of the tension and explores the ways in which twentieth century religious educators, especially Coe, C. Ellis Nelson, John Westerfoff, Sara Little, and Mary Boys, handled both the tension between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as purpose, and the tension betweensocialization and teaching as process/method.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lay a for understanding these tensions, a foundation we can use to bulid educational theories. In the early 20th century, Coe dichotomized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as the purpose of religious education, pursuing transformation over tradition. However, in developing a theory whose aim wae the creation of a new world he maintained a balance between socialization and intentional teaching as process. In the mid 20th century, exponents of the Christian education mivement attempted to recover the tradition element they thought had been lost to the emphasis on transformation. For this movement, recovering tradition meant finding a suitable theology onwhich to base "Christian" education. In the late 20th century, sa society and culture became more diverse, secular and pluralistic, Nelson and Little shared the same purpose : transformation of society through tradition, while advocating different processes. Both are responding to Dwayne Huebner's question'"... is education in a religious community necessary or is living with others inherent1y educational?' At the close of the 20th century, the overrding question is, "how can we transform this dysfunctional society?" In response to this question some contemporary theories will be introduce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dichotomy between handing on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as a purpose for religious education is a false dichotomy. While distinctive, neither is complete without the other. The same is true with socialization and teaching as process. We must overcome the dichotomy of either/or, and embrace the tension of both/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