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인터넷 GIS 기술을 활용한 행정정보의 대민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분석연구
김외영 창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5 국내석사
In this age of rapid development in Internet GIS technology, people's desire to acquire information from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has kept increasing. This paper aims at providing a policy guidepost which leads to promoting function reinforcement and service improvement by presenting a model of service supply for citizens through Internet-based GIS Portal Site development. The Portal Site allows citizens to access and search various kinds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GIS technology. Based on problems and suggestions derived from case studies, this paper deduces the priorities of system development from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GIS and administrative affairs in Tongyeong. Described in this paper are specific plans regarding contents construction, service supply plan, system structure and a web site development plan for a system development with the application of Internet GIS technology.
金在文 昌原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5 국내석사
In this thesis, we investigate a state of the art BIS(Bus Information System). Many Bus Information Systems acquire the current status of buses in real time using beacon and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The acquir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end users through LED boards or terminal devices which are accessible to Internet. Terminal devices, such as PDAs, Mobile Phones,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end users according to its operating environment and performance by using various kinds of methods. For example, handset devices transmit the information using SMS in the mobile environment. But it has many difficult problems to transmit the traffic information in real time, because the method based on text message can present only specific information. Also the low computation power of mobile devices and constrained display screen is not proper to present the large traffic information. In this thesis, we analyzed the environment of BIS and the performance of terminal devices in service in Busan. We also investigate the method to visualize the traffic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we introduce the interface to present on PDA the integrated information about BIS and local places around each bus stations.
지구단위계획 제어요소 실효성에 관한 연구 : 창원시 상남동 일반상업지역을 중심으로
주재석 창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9 국내석사
도시의 관리적 측면에서 중요한 도시계획의 한 부분인 지구단위계획은 효율적 도시 관리 수단으로써 도시의 지역을 대상으로 도시의 미관 증진 및 기능을 활성화시켜 결국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계획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도시 관리의 효율적 수단으로서 지정 운영을 목표하여 온 지구단위계획은 여러 측면에서 목적 불일치의 문제가 지적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구단위계획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실제 적용상의 계획요소별 문제를 도출하여, 창원시 상남일반상업지역 내 실제 대지의 개발규모 및 현황 등을 비교분석하여 건축선, 높이제한, 공동건축, 부설주차장 설치 등의 계획요소별 실효성을 살펴보고, 이를 지구단위계획의 수립과정과 연계하여 향후, 지구단위계획에서의 계획요소별 계획목표를 수립할 수 있도록 실효성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례조사의 대상지인 창원 상남일발산업지역의 가로중 대표적인 가로 3개를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각 개별 가로의 특성 및 지구단위계획 요소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지구단위계획의 제어요소들을 기준으로 하여 실효성향상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지구단위계획은 대지조성시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대지조성이후 개별건축이 시행되고 지구단위계획이 이루어 진다면 지침수립 이전의 건축물들은 개별성을 가지기 때문에 전체적인 가로의 환경과 단지내의 통일성을 떨어떠리기 때문이다. 둘째, 건폐율, 용적률 처럼 개별법에 의하여 규정지어 지는 요소들은 적용률이 100%에 가까운것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강제성 부여항목을 높여야 할 것이다. 권장용도가 아닌 지정용도로서의 지정요소들이 증가 한다면 단지내 개별건축물의 통일성이 증가 할 것이다. 셋째, 일방통행로, 시간제차량통행로, 쌈지형공지 등의 계획요소들 처럼 적용률이 미비하거나 실효성이 떨어지는 항목들은 지구단위계획수립시 지침에서 제외하여 너무 많은 규제요소로서의 혼란을 방지하여야 할 것이다. From the prospective of city control, district-unit planning is not only an effective measure but also the one by which the beauty of city could be improved and its function as a city could be activated, which lead to the quality of the peoples' who live in. However, even though it wants to be continuously used as an effective measure, the district-unit planning so far has presented problems.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district-unit planning, we decided to find out the problems with each element of the planning when it is actually applied, and for this purpos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developments within the general commercial district of Sangnam-dong, Changwon in terms of the line of construction, the limitations to height, joint construction, attached parking lots, and so forth, which could be used to help the purpose for each element built in the future during the district-unit planning. After 3 streets were selected for case study among the streets which are located in the general commercial district of Sangman-dong, Changwon, they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oblems with the district-unit planning. The results suggested as follows in relation to the improvement in efficiency. First, district-unit planning should be established while the construction site is developed. It is because the district-unit planning after site development is completed could cause the buildings which had built before the planning to hurt the unity of the site and the environment of streets. Second, the elements such as the building-to-land ratio and the floor space index should be forced as shown in an approximate 100% of application. If they are forced, not recommended, the unity of buildings within the complex could be improved. Third, The elements such as one-way passage, time-limited passage, and the vacant lot with pouch-like-formation, which lack application or effectiveness, could be eliminated from the construction instructions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because of excessive regulations
지역특성을 고려한 주민자치센터(동민의 집)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 창원시를 중심으로
하수헌 창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5 국내석사
읍·면·동사무소의 주민자치센터로서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그 기능을 수용하는 공간과 그 공간을 이용하는 프로그램의 구성이 서로 상관성이 있다. 또한 자체 운영프로그램의 개발에 앞서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하드웨어가 되는 건축공간이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주민위주의 건축공간으로 구성됨으로써 지역주민의 욕구에 부응하는 한편 주민자치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대한 주민자치센터계획방안은 다음과 같다. 주민자치센터의 건축유형 및 단위공간구성에 따른 주민자치센터 계획에 관해서는, 첫째 건축물의 형태에 있어서 배치는 대체로 일자형이 많았으며, 매스구성은 각층의 면적이 동일한 형태인 일반형보다 상층부 후퇴형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붕의 형태는 평지붕과 복합형이 고루 분포하는 유형을 보이고 있다. 건물형태에 대한 유형에 있어서는 다소 비슷한 결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이러한 유사한 건물유형에 비하여 옥외나 지하공간을 이용한 주차장의 이용실태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자치센터의 입지에 있어서는 도심지의 경우 지하주차장에 대한 계획을 하여 차량으로 주민자치센터를 방문하는 경우를 고려하여야 한다. 둘째 민원실의 배치는 2층에 배치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주민자치센터 건물규모가 지상3층, 지하1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명곡동의 경우만 민원실이 지상2층에 있는 것인데, 기능적인 분류에 의해서는 행정 서비스 기능을 2층에 결집시킴으로서 행정업무의 효율성이 높으며, 민원인도 방문에 있어서 불편함이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이를 통해 저층부에 근린생활시설을 임대하여 청사의 관리 및 운영의 측면에 대한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헬스교실, 요가교실 등과 같은 프로그램은 최근에 들어 건강에 대한 인식이 고양되고 이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고조되면서 활발히 운영되는 프로그램으로 증·신축 주민자치센터에서 필수적으로 구성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추후에 헬스교실에 관련된 부속 샤워실이나 준비공간으로 수납시설에 대한 계획적인 고려도 필요하다. 넷째 이러한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의 장으로서 주요 단위공간의 개수와 합계면적에 대하여서는 정보·집회시설로서 강당과 회의실을 보면, 강당의 경우 평균 264.5㎡인데 성주동이 358.5㎡로 가장 크며 사파동이 178.2㎡로서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난다. 주민자치회와 관련된 회의실 면적의 평균은 58.1㎡이며, 회의실 또한 성주동이 70.0㎡로서 가장크고, 명곡동이 24.6㎡로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난다. 여가·문화 관련 프로그램에서는 여가선용실이 4개소에 있으며 분석하여 보면 평균 100.3㎡ 으로 중앙동과 성주동이 각각 75.0㎡, 70.0㎡으로 다소 작으며, 명곡동과 사파동은 각각 116.5㎡, 139.6㎡로 평균보다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탁아공간은 평균 157.1㎡로 성주동은 205.5㎡, 동읍이 175.0㎡, 명곡동이 90.8㎡으로 나타나며, 보육시설에 대한 주민들의 욕구가 계속 증진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증축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성주동의 경우는 노인 복지시설이 입지적 특성에 따라 현재 사용되지 않고, 폐쇄된 상태로 있다. 여섯째 실내체육관의 경우 성주동에 105.0㎡, 명곡동에 98.0㎡, 동읍에 90.0㎡이 있는데, 이는 요가 및 스포츠댄스 등을 하기 위해 한쪽 벽면에 겨울이 설치되어 이러한 프로그램을 하기에 적당한 내부계획을 포함한 단위공간을 말하며, 대개 비슷한 규모의 크기로 되어 있으며, 가변성의 용도를 수용하기 위해 의자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에는 수납 창고가 없는 경우 체육관 뒷면에 커튼 등으로 임시적으로 적치해놓고 쓰고 있다. 일곱째 행정 단위공간 중 각동에 배치되는 동대장실과 중대본부등은 주민자치센터의 운영관련 단위공간과 다소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행정업무 공간에서 주민자치젠터의 집회시설과 인접하였을 시, 소음관계에 대한 것을 인터뷰를 통해 들어본 결과 각 동 주민자치센터에 근무하는 관리자의 입장에서 소음에 대해서는 별다른 불편함을 거론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주민자치센터의 활발한 운영에 대해서는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명곡동의 경우 주민운영프로그램에 있어서 사물놀이와 같은 큰 소음을 내는 것으로 인해 주민민원이 있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장기적으로는 이러한 집회시설에 의한 소음을 고려하여 관리자와 주민자치센터 운영 단위공간들과의 분리는 물론이며, 단위공간의 사용 성격에 따라 음향시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인구학적 특징을 고려한 주민자치센터 계획과 관련하여서는, 첫째 인구수대비 대지면적 관계에 있어서 북면이 15.46으로 동읍 5.88 보다 2.5배 가까이 되며, 상대적으로 연면적은 동읍이 14.55로서 북면의 6.70보다 2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난다. 대지면적과 연면적과의 상관성은 없겠지만, 특별히 야외공간에 대한 이용도가 다른 특성이 있지 않다면 토지이용효율에 있어서 불균형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주차대수의 확보에 있어서는 명곡동과 사파동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나며, 최근에 주차장 부지를 확보하여 주차면수를 확보한 상남동의 경우 0.18로 평균인 0,24에는 못 미치지만, 신축중인 용호동 다음으로 도심지 여건에서 주차면수의 확보가 양호한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직원수대비 건축면적과 주차대수에 대한 비교를 살펴보면, 직원수대비 건축면적은 평균 35.33㎡이며, 성주도 사무소가 88.54㎡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고, 그 외 동읍사무소가 1인당 44.44㎡로 두 번째로 큰 것으로 나타난다. 성주동사무소의 경우 인구수대비 연면적에서도 가장 큰 규모로 나타났다. 상남동사무소와 명곡동사무소가 각각 32.31㎡, 30.25㎡ 이며, 북면사무소가 10.96㎡으로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난다. 입지적 특징을 고려한 주민자치센터 계획과 관련하여서는, 첫째 행정구역수에서 명곡동이 반/통수가 84/438로 가장 크며, 다음으로 사파동이 76/443으로 크다. 이외에 중앙동, 상남동은 비슷한 행정구역의 규모이며, 성주동은 26/175, 동읍은 40/77, 북면은 46/125로 행정구역이 작은 것으로 나타난다. 행정구역수가 작은 곳의 입지적 특징으로 성주동은 도심부 외곽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통 자연마을의 주거지역이 있으며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조성중인 곳으로 대기업이 소재하는 공단지역이기도 하다. 둘째 도심부일수록 행정구역이 많이 나뉘어져 있으며, 전원지로 갈수록 행정구역의 구획이 다소 작은 것으로 나타난다. 행정구역의 수가 작은 주민자치센터의 행정 면적은 행정구역 수와 반대로 성주동, 동읍, 북면이 각각 23.10㎢, 59.76㎢, 73.71㎢로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외 지역중 명곡동은 6.61㎢, 사파동은 9.93㎢, 중앙동은 4.72㎢이며, 상남동은 1.64㎢로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난다. 상남동은 신축된 창원지역의 일반상업지역으로저 주변입지로는 고밀도 아파트 주거형태가 많다. 셋째 대지여건에서의 도로여건을 보면, 대개가 4차선 이상의 도로에 접해 있으며, 특이한 곳은 성주동의 경우, 광로(창원대로)에 접해있으며, 또 명곡동의 경우, 명곡로와 같은 대로에 접해있지 않고, 주택가 내에 이면도로에서 복개천주차장을 앞에 두고, 북면의 경우는 왕복2차선 지방국도에 접해있지 않고 교차로에서 주택가 사이길로 들어가는 후미진 도로 완만 경사로를 통해 청사로 진입이 가능한 대지여건상의 입지적 특성이 있다. 이와 같이 건축물 유형과 단위공간의 특성에 관련한 주민자치센터의 계획과 지역적 특성으로 구분되는 인구학적, 입지적 특성과 관련된 계획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는 시설기준과 단위면적의 비교에 있어서 다분히 상이하며 건축년도에 따라 시설의 규모와 수준이 다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제시가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 제시에 있어서는 주민자치센터의 시설과 프로그램의 주민이용문화가 정착된 후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왕전 창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8 국내석사
최근 RFID(무선 주파수 인식), 모바일 컴퓨팅 그리고 웹 서비스는 IT(정보기술)에서 중요한 기술들이다. 이런 기술들은 중앙 서버에서 네트워크 가장자리까지 뻗쳐 나가게 된다. 그리고 실시간 데이터 공유와 처리를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만든다. 뛰어난 자산관리 는 사업이 성공 하는 데에 항상 중요했다. 자산의 최적화는 비용과 위험을 관리기 위하여 중요한 요소로 이용되었다. 사업은 치열해 지는 경쟁과 관리 효율들의 필요성에 봉착 한다. 그들은 어떤 네트워크, 어떤 장치를 통해서든지 최신의 컨텐츠를 언제 어디서든지 통신하며 접근할 필요가 있다. 적시의 효과적인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실시간 처리가 요구된다. 이런 작업을 만족 시키기 위해서 이 논문은 웹서비스 환경 에서 RFID 기술을 이용한 자산 관리 프레임워크 기반의 모바일 컴퓨팅을 제안한다. 첫 번째로, 자산관리 시스템의 필요조건들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그에 관련된 기술을 검색하였다. 그 다음, 우리는 시스템의 기능들을 분석하였고, 필요조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프레임워크를 고안하였다. 프레임 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 우리는 세 시스템들을 함께 결합 시킨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원격 서버 시스템 그리고 태그 기반의 RFID 시스템. 마지막으로 자산 관리 시스템의 원형(프로토 타입)은 프레임 워크를 실행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가장 간단한 RFID 시스템은 오직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로만 전송할 수 있거나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읽을 수 있으며 그때 태그에 정보를 기록 할 수 있다. 이 논문의 프레임워크 는 결합된 RFID 기술과 웹 서비스는 RFID 시스템이 원격 서버와 통신을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실시간으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 프레임 워크는 보안, 제조, 물류, 동물 위치 추적, 자산 관리, 공항 수화물 추적 그리고 도로 통행세 관리 같은 잠재적 분야의 범위 에서 부터 사용될 수 있다. Recently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mobile computing, and Web Service are important technologie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These technologies extend the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server to the edge of the network, and enable real-time data sharing and make transaction much easier. Good management of assets has always been crucial to business success. Optimizing the way assets are used is key to managing costs and risk. Business is facing increasing competition and the need for management efficiencies. They need to communicate and access the latest content anywhere, any time, across any network and with any device. Providing timely and efficient information services and real time transaction is required. To satisfy this task, this paper proposes a mobile computing based asset management framework using RFID technology on Web Service environment. At first, we analyzed the requirements of asset management system. Secondly, we searched the related technology. Then, we analyzed the functions of the system and designed a framework to satisfy the requirements. To compose this framework, we combine three systems together: Database system, remote server system, and tag-based RFID system. Finally, an asset management prototype was developed to implement the framework. The simplest RFID system can only translate the data to host computer, or read data from host computer and then write into the tag. The framework proposed in this paper combined RFID technology and web service, makes the RFID system can communicate with the remote server, and further process information in real-time. This framework can be used range from potential areas such as security, manufacturing, logistics, animal tagging, asset management, postal tracking to airline baggage and road toll management.
건설업 등록기준에 따른 유령건설회사의 추이와 특성에 관한 연구 :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조현상 창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3 국내석사
본 논문은 건설산업 전반에 여러 가지 문제점을 유발시키는 '유령건설회사'의 특성과 관련법규의 변천에 따른 추이를 살펴보는 한편, 경남지역 '유령건설회사'의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통해 이들이 건설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연도별 관련법규의 변천과정과 건설회사의 등록추이, 그리고 '유령건설회사'가 발생하는 원인과 시장교란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이는 향후 건설시장에서 유령건설회사가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령회사'란 법적으로 규정된 용어는 아니며 일반적으로 paper company, 즉 서류상으로만 존재하고 실질적으로 회사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갖추지 못한 회사를 의미한다. 특히 그 중에서도 '유령건설회사'는 건설산업기본법이 규정하고 있는 등록요건을 갖추고 있지만 도급받은 공사를 직접시공하지 아니한 채 불법하도급을 일삼는 입찰브로커들을 의미하고 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등록기준을 갖추지 못하였거나 등록기준을 허위로 갖춘 업체 중 부실건설회사를 제외한 업체가 '유령건설회사'의 범주에 포함되며, 주소?전화번호 동일업체 및 상호?주소를 자주 바꾸는 업체도 '유령건설회사'로 볼 근거가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유령건설회사'가 건설시장에 상존할 수 있는 이유는 첫째, 기술자나 자본금? 사무실의 보유로 인한 시설?자금 확보의 부담이 적고, 주요한 수요창출방법인 불법하도급의 적발이 어려우며, 적격업체나 비적격업체 구분 없이 최저요건만 갖추면 입찰에 참여할 수 있음은 물론 낙찰확률도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둘째, 우수업체에 대한 정보가 제한적이어서 발주자가 선별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수주실적이 경영에 매우 큰 영향을 끼쳐 원가 수준의 공사라도 하도급하려는 수요가 있다는 것도 중요한 요인이 된다. '유령건설회사'는 1997년 건설업법이 건설산업기본법으로 개정된 이후 1999년 기존 면허제가 등록제로 변경되는 상황에서 본격적으로 건설시장에 유입되기 시작하였으며 2000년 공제조합출자증권 의무 보유규정이 삭제되면서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다가 2001년 보증가능금액확인제도가 도입되면서 증가세는 한풀 꺾였으며 이후 주기적신고와 실태조사를 실시하며 '유령건설회사'의 퇴출을 촉진시키려는 노력을 지속해나갔다. 2012년 현재 경남지역 종합건설업체 1,040개사 중 24.2%가 유령건설회사 혐의업체로 조사되었다. 유령건설회사 혐의업체는 그 정도에 따라 의심업체와 유력업체로 분류하였으며 동 기준에 따라 의심업체 20.8%, 유력업체 3.5%로 집계되었다. '유령건설회사'로 인한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상업체의 부실화와 입찰브로커로 인한 공사비의 비효율적 배분이라는 시장교란 문제가 발생한다. 둘째, 책임 있는 시공 및 현장관리의 부재로 인한 시공품질 저하, 심각하게는 부실시공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셋째, 발생한 하자에 대한 보수책임이나 현장관리에 대한 책임소재가 불분명함으로 발생하는 업역 분쟁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유령건설회사의 난립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증가능금액 확인서제도의 확대시행 및 직접시공비율 강화로 등록기준의 상승을 도모하는 한편 우수 또는 적격업체가 비우수 또는 부적격업체에 비해 더 나은 위치에서 경쟁하여 공사 수주 가능성이 높아지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화재피해 저감을 위한 공동주택 대피공간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창원시를 중심으로
유승환 창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4 국내석사
오늘날, 우리나라는 급속한 국가 경제의 고도성장?산업화 과정을 거치면서 농촌지역으로부터 도시지역으로 인구의 집중이 급속화되어, 이러한 도시화 과정 속에서 평면적인 토지의 이용만으로는 도시로 모여든 인구를 수용하기에 한계점이 있었다. 이는 결국 토지이용의 극대화를 위해 평면적 도시계획보다는 입체적 도시계획을 불러왔으며, 도시지역 토지이용의 고효율화 및 늘어나는 도시민의 주거공간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 단독주택보다는 공동주택 중심의 건설을 불러온 당연한 결과이다. 공동주택은 도시민에게 편리하고 쾌적한 주거공간을 제공하나, 다양한 불특정 다수가 거주하는 복합된 형태의 생활공간으로 단독주택과 비교하여 예측 불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안전위협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그 중 화재 발생시 대량피해를 일으킬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경제발전에 따른 건축기술의 발달로 공동주택 화재발생 요인은 다양해졌으며, 또한 화재가 발생할 복합적인 개연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공동주택은 화재로 인한 피해저감을 위해 법적인 화재예방 규정들이 있으나, 실효성이 적은 경우가 많다. 발코니는 화재시 피난하지 못한 재실자가 마지막으로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이나, 2005년 12월 발코니 개조가 전면 허용되면서 최소한의 대피공간을 확보하지 못해 대피공간에 대한 기능이 사라지고 경량칸막이 경계벽의 전?후면에 붙박이장을 설치하며, 피난상 장애가 되는 물건을 쌓아두는 행위 등 창고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피난시설의 용도에 장애를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동주택 화재피해 방지를 위한 법적인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법적 규정의 변천과정에 따라 공동주택 화재피해 저감설비 및 계획 검토에 따른 개선점을 제안하며, 공동주택단지에 대한 화재피해 저감 측면에서의 건축계획 실태와 거주민의 설문조사를 통한 문제점을 조사하여 이에 대한 관련제도 및 단위세대별 건축계획 실태의 장애요인 등을 고찰하여 조금 더 발전적 방안을 강구하는데 등을 통하여 공동주택 화재피해 저감을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법규의 목적에 맞게 설치 및 유지 관리되고 있는지와 현재 공동주택의 대피공간을 비롯한 관리현황과 실태에 관한 조사를 위하여 조사대상 2단지를 선정하여 실제 거주민을 대상으로 거주자의 의식을 항목별로 살펴보았다. 공동주택 대피공간 현황 및 설문조사 내용을 분석한 결과, 공동주택에는 화재발생시 피난을 위하여 대피공간을 의무적으로 설치토록 하고 있으나, 별도의 대피공간을 설치하지 않고 경량칸막이, 하향식피난구 중 하나를 설치할 경우에도 이를 피난을 위한 공간의 설치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주택 대피공간 현황 및 설문조사 내용을 분석한 결과, 공동주택에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대피공간 또는 경량칸막이에 대해 높은 인식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와 관련하여 화재시 피난을 위한 경량칸막이 또는 대피공간 설치가 인명피해 방지에 대한 효과성이 크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량칸막이의 실제 설치율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타용도 전용 및 물건적치 등 창고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피난시설의 용도에 장애를 주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실제 화재시 즉시 사용이 불가능하게 대부분 방치되고 있었다. 따라서 연구를 통한 공동주택 화재피해 저감의 실효성을 증진하기 위한 건축계획적 개선방안을 연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대피공간은 각 세대별 발코니에 2~3제곱미터 이상의 실내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된 공간을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방화문을 설치하여 화재시 1시간 이상 생존이 가능하도록 시행되어져 왔다. 하지만 대피공간의 실효적인 측면에서 보면 연기와 불꽃을 막을 수 있는 반면에 대피공간에 대한 명확한 위치, 크기, 차열성 등에 대한 규정이 없어 안정성을 확보한 대피공간이라는 목적을 충분하게 보기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첫 번째의 이유 때문에 화재시 대피공간 내 거주자의 화재피해 저감을 위해 대피공간의 법적 규정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즉 대피공간으로의 피난동선을 고려하여 화재경보를 인지 후 각 방과 침실로부터 거실로 나온 후 바로 진입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명확한 장소를 제시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셋째, 대피공간의 목적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발코니 확장시 설치기준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하여 대피공간의 전용용도외 사용금지를 통한 안전의 확보가 요구된다. 타용도 전용을 불허하는 등 법적 바닥면적을 확보하더라도 보일러실 등 다른 설비와 같이 사용 할 수 없도록 하여 대피공간의 장애요인을 해소할 대피공간 인정요건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경량칸막이는 인접 세대간의 상호관리가 되어야 그 효율성이 높으나, 이에 안전관리 규정이 없으며 유사시 피난로가 되는 경량칸막이가 폐쇄된 상태로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즉 상호 세다간 설치된 경량칸막이 등 피난시설의 안전관리에 관한 사항을 구체화하여 비상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앞으로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경량칸막이를 공용용도로 관리토록 개선하여 적극적인 피난시설로의 변경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범위로서 경상남도 창원시를 중심으로 연구하였기 때문에 공동주택 화재피해 저감을 위한 관리자와 거주자의 욕구를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더 많은 지역의 공동주택에 대한 연구가 필요 할 것이다.
지역산업 특성을 고려한 첨단신소재 관련 기술지원센터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 경남·경북 지역 연구소 중심으로 -
禹毅聲 昌原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5 국내석사
The main task in planning the construction of a R&D-supporting center is to achieve proper configuration of offices and laboratories according to the R&D patterns. In order for the various R&D programs to be effectively and productively progressed, space allocation for offices and laboratories, R&D condition and function of the equipments should be deeply considered in planing the construction. The aim of this work is to offer a practical data necessary for planning the R&D building construction. For this purpose, several R&D buildings in Gyeongnam and Gyeongbuk provinces, and their design concept in locating the office and laboratory were collected and compared. Moreover, the opinion of the member of the research institutes for the buildings they are using was also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obtained from the collected data mentioned above, the following results were concluded. 1) The space and their configuration, which is an index indicating how economically and effectively the building space is being used, was very inefficient in most of the research building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is tendency was more serious in the research institute than the university, and more inefficient as the scale of the research institute increased. 2) The shape of plane view of the building was generally rectangular type, and the corridor style was adopted. In particular, public building in university generally adopted wing-type configuration of laboratories, while those in research institute generally adopted the curved-type. Some research institutes also adopted inter-building bridges to connect several divided buildings. 3)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llocation situation of offices and laboratories, the building was constructed to be able to be modulated. This i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space use. Nevertheless, the allocation of offices and laboratories was practically based on the building construction itself rather than the efficient use of the building in R&D. Therefore not only most of the members were not satisfied to the distribution, but also the concentration of the closely-related research topics and synergistic effect in R&D were not induced. 4) It is required to thoroughly consider the necessary equipments, their function as well as their size for maximizing the research efficiency in case of designing and construction of advanced R&D centers. Additionally, It was estimated that the optimum area of a laboratory can be calculated with the following equation. number of equipments x area of each equipment x (2.5 ~ 3) The factor, (2.5 ~ 3) was introduced to confirm the required space necessary for moving of operator and additional preparation work. Most important things to be considered in constructing a research building is to make it possible to modulating the space according to the user's requir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