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트퀼트의 역사적 형성과정과 쟁점 : 미국을 중심으로

        정용효 전남대학교%0A 문화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2687

        퀼트는 전통적으로 서구의 가정에서 사용되는 실용적 형태와 용도를 갖춘 침 구류인 이불과 스프레드의 형태로 이해된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퀼트를 예술로 바라보아야한다는 인식과 주장이 강조되고 있고, 특히 미국에서 퀼트는 이미 예 술성을 갖춘 작품 즉 아트퀼트로 수용되고 있다. 1980년대 중반경 한국에도 유 입되어 발전하면서 아트퀼트의 제작과 전시회가 활성화되어 오고 있지만, 아트 퀼트의 역사와 담론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현저히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선 퀼트와 패치워크의 기원과 물리적 구조, 기법 등을 살펴본 후, 퀼트에 서 아트퀼트로의 위상 변화 과정과 현재 ‘퀼트’와 ‘아트퀼트’가 어떻게 구분, 논의되고 있는지 추적하고자 했다. 또한 미국 역사 속에서 평가된 퀼트의 주요한 의의들을 정리하였고, 퀼트에서 아트퀼트로의 위상변화과정과 현재 어떻게 그들 이 구분되고 있는지에 관하여도 살펴보았다. 특히 아트퀼트의 선구적 정립을 이 룬 미국을 중심으로 면직물이 서구로 소개된 대항해 시대부터 2000년대에 이르 기까지 퀼트가 발전·확산하게 되는 주요 역사적 계기들과 아트퀼트로 정착하게 되는 변곡점을 살펴보고, ‘퀼트/아트퀼트’를 둘러싼 주요 쟁점과 의의를 점검 하였다. 전통적으로 전승된 유럽의 바느질 공예는 십자군 원정시기에 유입된 퀼팅기법 과 결합하였고, 이후 대항해 시대를 거치면서 인도의 면직물이 유럽으로 유입되 면서 패치워크 퀼트가 제작되었다. 북미대륙의 식민지 시기 유럽인들이 이주하 는 과정에서 이러한 퀼트 문화도 함께 이주하여 확산되기 시작하였고, 이후 산 업화 시대를 거치면서 미국적인 퀼트는 여성들을 중심으로 교류, 발전, 전승되 면서 전통 퀼트로 정착한다. 특히 미국에서 퀼트는 19세기 말부터는 전통 예술 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적 정체성의 상징으로 대두하며 ‘근검절약’과 ‘개척정신’의 실천이라는 신화적 믿음을 형성하였고,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일 상생활을 위한 필수품이자 가정의 보살핌을 은유하는 메타포로도 인식되어왔다. 또한 퀼트는 여성들의 창의성을 구현하는 주요한 예술 매체이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세기 중반까지 퀼트는 예술계의 모더니즘적 관행 속에서 여전히 순수예술이 아닌 기능적 공예의 한 장르로 간주되었다. 1960~70년대 포 스트모더니즘 시대에 접어들면서 순수 미술 분야의 일부 작가들이 기존의 모더 니즘적 순수 미술을 비판하면서 탈장르적 창작을 시도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퀼 트를 활용하는 사례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특히 몇몇 페미니스트 예술가들은 과거 남성 중심적인 억압적 역사 속에서 묵묵히 실천되어온 여성적 예술 표현매 체로서의 퀼트의 가치에 주목하면서 퀼트를 적극적인 시각 매체로 활용하였다. 또한 아카데믹한 교육을 받은 공예가들 역시 작품에서 기능성을 배제한 순수한 예술적 시도를 감행하면서 기존의 전통 퀼트와 차별화된 작품들을 제작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1971년에 열렸던 《미국 퀼트의 추상적 디자인전》은 현대적 예 술 관점에서 전통 퀼트가 함유한 모더니즘적 추상미술로서의 의미를 발굴하면서 퀼트를 예술로 전시하기 시작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980년대에는 퀼트의 대대적인 문서화 작업이 이루어지기 시작하면서 전통 퀼트 유물들의 데이터화가 진행되었고, 전문 박물관과 연구소의 설립 등이 잇따르게 된다. 또한, 퀼트계의 적극적인 담론 형성과 예술성 실현을 뒷받침할 수 있는 여러 전문 협회의 설립 그리고 이들 협회를 중심으로 진행된 다양한 활동과 교육의 확대 등은 아트퀼트 의 창작과 전시를 확산시키는 원동력으로 작용하였고, 아트퀼트가 예술계로 진 입하며 자리 잡을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이러한 연구, 소장, 전시, 교육, 제 도화 등의 복합적인 차원에서의 노력이 이루어지면서, 마침내 1986년 《아트퀼 트》라는 제목의 선언적인 전시를 통해 아트퀼트는 예술계에 본격적으로 진입하 게 된다. 이에 비해 한국 예술계에서는 아트퀼트를 대하는 인식과 비평이 크게 진전되 어 있지 못하며, 이는 모더니즘적 시각과 관행이 여전히 잔존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미국에서처럼 여러 차원에 서의 노력과 총체적인 축적이 필요해보이지만, 우선 학계 차원에서 무엇보다 시 급한 것은 퀼트/아트퀼트에 관한 역사적 점검 및 담론 형성으로 보인다. 한편, 퀼트계 안에서조차 전통 퀼트를 공예의 일부로 범주화하여 아트퀼트와 차별화하 려는 시각 역시 재고해 봐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퀼트는 이미 긴 역사 속에서 여성의 삶과 그 예술적 실천의 결과로서 면면히 이어져왔고 오늘날의 확 대된 예술 개념 속에서 더욱 다양한 의미를 띠며 실천되어오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따라서 퀼트, 전통 퀼트, 아트퀼트는 모두 아트퀼트 즉 예술로 인식 되어야하며, 퀼트야말로 바로 삶을 통한 예술의 실천을 강조하는 동시대적 미학 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매체라 할 것이다. 주제어 : 퀼트, 미국 퀼트, 아트퀼트, 전통 퀼트,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페미니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