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aired comparison study of bone-tendon composite autograft with bone-tendon direct repair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large rotator cuff tear in a rat model.

        손옥성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615

        Purpose: We designed a paired controlled study to investigate the advantages of using bone-tendon composite autograft to reconstruct chronic rotator cuff tear compared with primary repair and provide sound evidences for the reconstruction of chronic rotator cuff tear using bone-tendon composite autograft. Method: Thirty-eight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The native bone-tendon junctions of supraspinatus and Achilles tendon insertion from two rats were harvested for gross and histological observation. Another thirty-six rats had bilateral supraspinatus tenotomy from the great tuberosity. Three weeks later, primary repair was per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was reconstructed using an Achilles-calcaneus composite autograft from the ipsilateral leg. Nine rats were sacrificed for biomechanical testing and another three were sacrificed for histological evaluation at 3, 6, and 9 weeks after surgery respectively. Results: The Achilles-calcaneus composite autograft group showed significantly better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at 3 and 6 weeks in terms of maximum load, maximum stress, stiffness, and Young’s modulu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reatment groups at 9 weeks after repair. Tissue histology demonstrated an organized extracellular matrix, a clear tide mark, and distinct fibrocartilage layers in the composite graft group, similar to those of the native bone-tendon interface. Additionally, clear bone to bone healing and tendon to tendon healing were observed. By contrast, the conventional primary repair could not regenerate the structure of the native bone-tendon interface, although bone-tendon interface healing progressed. Conclusions: Bone-tendon autograft for chronic rotator cuff reconstruction is superior to the primary repair regarding biomechanical property and histological structure. Our study provides sound evidence for the reconstruction of chronic rotator cuff tear using bone-tendon composite autograft in the future clinical practice.

      • Long-term outcomes according to timing of anti-TNF/immunomodulator therapy in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with poor prognostic factors

        오은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15

        Background and Aim: Although early treatment of Crohn’s disease (CD) patients with anti-tumor necrosis factor (TNF)agents or immunomodulators (IMs) may improve long-term outcomes, especially those with poor prognostic factors, their effectiveness in Asian patients remains unclear. Methods: Korean patients with CD naïve to intestinal complications and with at least two risk factors for progression (diagnosis at age <40 years, systemic corticosteroid treatment<3 months after diagnosis, and perianal fistula at diagnosis)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Patients were divided intothose who started anti-TNFs, or IMs but not anti-TNFs, within 2 years of diagnosis, and those who started anti-TNFs and/or IMs later. Theirprobabilities of intestinal surgery and intestinal complications were compared. Results:A total of670 patients were analyzed, 79 in the early anti-TNF, 286 in the early IM, and 305 in the late treatment group. Rates of intestinal surgery, stricturing complications, and penetrating complications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early anti-TNF/IM groups than in the late treatment group, but did notdiffer significantlyin the early treatment groups. Kaplan-Meier analysis showed that times to intestinal surgery, stricturing complications, and penetrating complications were significantly longer in the early anti-TNF/IM groups than in the late treatment group. Multivariate Cox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ate anti-TNF/IM treatment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higher risks of intestinal surgery, behavioral progression, stricturing complications,and penetrating complicationsthan early treatment. Conclusion:Treatment of Asian CD patients having poor prognostic factors with anti-TNFs/IMs within 2 years of diagnosis is associated with lower rates of intestinal surgery and intestinal complicationsthan latertreatment. 제목: 불량한 예후인자를 가진 한국인 크론병 환자에서 항-TNF제제/면역조절제 투여 시기에 따른 장기 예후의 비교 연구 배경 및 목적: 크론병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항-TNF제제 또는 면역조절제를 조기에 사용하는 것이 질병의 장기 예후를 개선하는 데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왔으며, 이는 불량한 예후인자를 갖는 환자에서 더욱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시아 환자에서는 그 효과가 아직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 방법: 장수술 및 장관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한국인 크론병 환자들 중, 둘 이상의 불량한 예후인자 (40세 이전 진단, 진단 후 3개월 이내의 전신 스테로이드 투여, 진단 당시 치루 병력의 세 가지 중)를 갖는 환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을 진단 후 2년 내 항-TNF제제 투여, 면역조절제 투여 혹은 후기 투여에 따라 그룹으로 나누어 장수술 및 장관합병증의 발생률을 비교하였다. 결과: 총 670명의 환자들이 조기 항-TNF제제 투여군 (n=79명), 조기 면역조절제 투여군 (n=286) 그리고 후가 투여군 (n=305)으로 분류 되었다. 교차분석 결과, 조기 항-TNF제제/면역조절제군에서 후기 투여군에 비해 장수술 (P < 0.001), 협착성 합병증 (P = 0.001) 및 누공성 합병증 (P < 0.001)의 발생 빈도가 낮았으나, 조기 항-TNF제제 투여군과 조기 면역조절제 투여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Kaplan-Meier 분석 및 로그순위 검정법에서 조기 항-TNF제제/면역조절제 투여군이 후기 투여군에 비해 장수술 (P < 0.001), 협착성 합병증 (P = 0.002) 및 누공성 합병증 (P < 0.001)의 발생시기를 늦추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조기 항-TNF 제제 투여군에서 조기 면역조절제 투여군보다 더 우월한 결과를 보이진 않았다. 다변량 Cox 회귀분석 결과, 후기 항-TNF제제/면역조절제 투여가 장수술 (위험도 2.321, 95% 신뢰구간 1.503-3.584, P < .001), 질병 행태의 진행 (위험도 2.001, 95% 신뢰구간 1.449-2.763, P < .001), 협착성 합병증 (위험도 1.736, 95% 신뢰구간 1.209-2.493, P = .003) 및 누공성 합병증 (위험도 3.315, 95% 신뢰구간 2.094-5.249, P < .001) 발생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였다. 고찰: 장수술 및 장관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아시아인 크론병 환자에서 불량한 예후 인자를 가질 경우, 진단 후 2년 이내에 항-TNF제제 또는 면역조절제를 사용하는 것이 후기에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장수술 및 장관합병증의 발생을 감소시킴으로써, 장기적인 예후를 개선하였다

      • 수술적 절제를 시행 받은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에서 클론성 조혈증의 임상적 유의성

        윤재광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15

        서론: 혈액 세포의 클론 개체수의 팽창에서 파생된 체세포 돌연변이인 클론성 조혈증(clonal hematopoiesis, 이하 CH)은 노화, 혈액 암 및 심혈관 질환 발생률 증가, 그리고 생존율 감소와 관련이 있다. 또한, CH는 고형 암 환자에서 더 흔하며, 약 30%는 혈액에 CH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적 절제 후 보조 요법을 받은 비소세포 폐암 환자에서 수술 전 진단된 CH가 생존에 미치는 임상적 영향을 평가하였다. 연구 방법: 단일 기관 후향적 연구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수술적 절제를 시행하고 보조치료를 받은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 341명의 혈액 샘플과 의료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분석했다. 보조 항암치료는 백금 기반의 화학요법으로 수술 후 4-6 주 동안 총 4주기의 치료로 권장되었다. CH 돌연변이의 임상적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술 전에 수집된 341명의 혈액 샘플에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CH와 연관된 것으로 밝혀진 89개의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CH 존재 여부로 분류된 두 그룹 간에 가능한 선택 편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프로펜시티 점수 매칭 기법을 채택했다. 결과: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의 23% (77/341)에서 수술 전 CH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병리학적 병기는 IIB가 101명 (29.6%), IIIA가 187명 (54.8%), 그리고 IIIB가 53명 (15.5%)이었다. CH 돌연변이가 진단된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전체 생존율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5년 생존율: 42.8% vs. 59.8%, p = 0.019) 이는 프로펜시티 점수 매칭으로 보정한 후에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5년 생존율: 43.2% vs. 58.7%, p = 0.019). 사망 원인에 따르면, CH가 있는 경우 암 관련 사망률의 증가와 관련이 있었으며 (p = 0.017), 그 중에서도 암 진행이 명확치 않은 암 관련 사망률과 관련이 있었다 (p <0.001). 다 변량 분석에서는 조직학적 아형과 종양의 병기와 더불어 CH 여부가 수술 후 보조 항암치료를 받은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들에 있어 유의한 예후인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험비 [95% 신뢰구간] = 1.60[1.12–2.30], p = 0.011). 연령은 단 변량 분석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나 다 변량 분석에서는 CH 여부를 비롯해 다른 공변량을 보정하자 유의하지 않게 되었다. 결론: 수술적 절제 후 보조 요법을 시행한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에서, 수술 전 존재하는 CH는 불량한 생존 결과와 유의한 관계가 있다. Background: Clonal hematopoiesis (CH), somatic mutations derived from the expansion of clonal populations of blood cells, is associated with aging, increased risk of hematologic malignanci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and shorter overall survival. Recent studies suggest CH is more prevalent in patients with solid cancer, with approximately 30% harboring CH mutations in their blood. We evaluated the clinical impact of preoperative CH on the survival outcomes of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followed by adjuvant therapy.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analyzed the blood samples of 341 consecutive patients with NSCLC who underwent surgery followed by adjuvant therapy from 2013 to 2017. We analyzed 89 gene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CH by targeted deep sequencing of blood samples from 341 individuals collected before surgery to assess the clinical relevance of CH mutations. To minimize the possible selection bias between the two groups, a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technique was adopted. Results: We identified CH in 23% (77/341) of patients with NSCLC. Patients with CH mutations had worse overall survival (OS) than those without (5-year OS rate: 42.8% vs. 59.8%, p = 0.005), which remained the same after PSM (5-year rate: 43.2% vs. 58.7%, p = 0.019). According to the cause of death, the presence of CH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lung cancer mortality (p = 0.017), especially without evident cancer progression (p < 0.001). In multivariable analysis, the presence of CH, along with histologic type and overall stage wa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for OS in patients with advanced NSCLC who underwent adjuvant therapy (hazard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 1.60 [1.12–2.30], p = 0.011). Age, which was significant in univariable analysis, became insignificant after the adjustment with several covariates, including the presence of CH. Conclusions: In resected NSCLC, preoperative CH mutations might amplify CH-related adverse outcomes through adjuvant treatments, resulting in poor survival results.

      • Hsp70, IRF7, IKKε의 상호 작용을 통해 Type I 인터페론 분비를 저해하는 조절 기전 규명 : Negative Regulation of Type I Interferon by Hsp70 through Interaction with IRF7 and IKKε

        이경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9615

        Background: When pathogens invade cells, they secrete type I interferon (type I IFN) which is the key player of innate immune response.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7 (IRF7) is a major transcription factor of type I IFN, especially interferon alpha and plays an important role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virus. However, uncontrolled secretion of type I IFN induces auto-immune responses and inflammation. So it is important to keep the balance of type I IFN secretion. Therefore, IRF7 must be controlled tightly. But the mechanism of IRF7 inactivation has not been thoroughly investigated yet. Heat shock protein 70 (Hsp70) are well conserved protein families in most organisms from prokaryotes to mammalian and well known for chaperone function. Recently, many researches reveal other function related in immune responses. Especially anti-inflammatory effect and immune-suppressive roles of hsp70 were investigated intensively. However the function of hsp70 as a regulator of IFN secretory-pathway is still remained unrevealed. Purpose: I deciphered novel function of hsp70 as a negative regulator for inactivation of IRF7 and the mechanisms of suppression. Results: First I found that activity of IFNα6 promoter was inhibited when the temperature increases in physiological range. I hypothesized that the transcription of IFNα6 might be suppressed by inhibiting IRF7 activity. I analyzed mass spectrometry to find candidates and found hsp70 and hsp90 as binding partners to IRF7. To investigate effect of hsp70 and hsp90 over the IRF7 activity, I measured IFNα6 promoter activity via luciferase assays with Sendai virus (SV) infection or IKKε co-transfection using 293T cells. Hsp70 overexpression inhibited both SV and IKKε-induced IFNα6 promoter activation. Next, I generated hsp70 KO cell line using CRISPR-Cas9 system to confirm the involvement of hsp70 in IFNα expression inhibition. The expression level of IFNα stimulated by SV in hsp70 KO cell lin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arental 293T cell line. To elucidate the molecular mechanism responsible for the hsp70-mediated inhibition of IFNα production via IRF7, I checked the phosphorylation mechanism of IRF7. I confirmed that the higher concentration of IKKε, the more activity of IFNα6 promoter was observed, but the higher concentration of hsp70, the less activity of IFNα6 promoter was observed. Next, I generated truncates that functional domain of IRF7 and hsp70 to identify the domain within IRF7 required for its interaction with hsp70 by GST pull down assay. I found that inhibition domain (INH) of IRF7 interacted with the substrate binding domainβ (SBDβ) of hsp70. Conclusion: In this thesis, I identified that this interaction had important role in negative regulation of IRF7 by a physical blocking the interaction between IRF7 and IKKε. In other words, this is the first identification that hsp70 regulates the expression of IFNα through the control of IRF7 phosphorylation. Hsp70 is ubiquitously expressed in whole cells, so the regulation of IRF7 to dampen the excessive response of IFNα is very interesting. The further studies on the function of hsp70 against excessive immune responses will be valuable not only in the understanding pathological mechanism of auto immune response but also applying the control of hsp70 for immuno-modulating therapies.

      • Diagnostic yield of a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galactomannan assay in patients with negative serum galactomannan results suspected to have invasive pulmonary aspergillosis

        임소윤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15

        Background: There are limited data in real clinical practice on the diagnostic value of a bronchoalveolar lavage (BAL) fluid galactomannan (GM) assay in patients with suspected invasive pulmonary aspergillosis (IPA) who had negative serum GM results. Thus, we investigated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a BAL GM assay in patients with negative serum GM assay results who were suspected to have IPA.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between May 2008 and April 2019 at a tertiary care hospital in Seoul, South Korea. All patients with suspected IPA whose serum GM assays revealed negative results who sequentially underwent BAL were enrolled in this study. Patients were classified as having disease that was proven, probable, possible and not IPA the revised definition of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and the Mycoses Study Group in 2019. Results: A total of 341 patients with suspected IPA including 4 cases of proven IPA, 38 case of probable IPA, 107 cases of possible IPA, and 192 patients without IPA were enrolled. Of these 341 patients, 107 (31%) with possible IPA were excluded from the final analysis. Of 42 patients with proven and probable IPA who had initial negative serum GM results, 24 (57%) had positive BAL GM results (n = 24) or BAL fungal culture results (n = 8). Among the remaining 18 (43%) patients, 2 (5%) were diagnosed with proven IPA by histopathologic examination of a transbronchial lung biopsy, 6 (14%) with probable IPA by a subsequent sputum fungal culture, and 12 (29%) with probable IPA by a repeated serum GM assay after BAL. Of 192 patients without IPA, 14 (7%) had positive BAL GM results (n = 14) or BAL fungal culture results (n = 8). In addition, BAL revealed evidence of other opportunistic infections including Pnuemocystis. jirovecii pneumonia (14% [26/190]), cytomegalovirus (CMV) pneumonia (5% [9/188]), and respiratory viral pneumonia (6% [12/193]). Conclusion: BAL in patients with suspected IPA who had initial negative serum GM results provided additional diagnostic yield in approximately half of patients with the evidence of another co-infection. 연구배경: 혈청 갈락토만난이 음성으로 확인된 침습성 폐 아스페르길루스증 의심환자에서 기관지 폐포 세척액 갈락토만난의 진단적 유용성에 대한 데이터는 실제 임상현장에서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침습성 폐 아스페르길루스증이 의심되나 혈청 갈락토만난이 음성인 경우, 기관지 폐포 세척액의 진단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08 년 5 월부터 2019 년 4 월까지 3차 대학병원에서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이루어졌다. 침습성 폐 아스페르길루스증이 의심되나 혈청 갈락토만난 검사 결과가 음성이고 이후 기관지 폐포 세척술을 받은 환자 모두가 연구에 등록되었다. 환자들은 개정된 2019년 EORTC/MSG 정의에 따라 proven, probable, possible, 그리고 not IPA로 분류되었다. 결과: 4명의 proven IPA, 38명의 probable IPA, 107명의 possible IPA, 192 명의 not IPA를 포함하여 총 341 명의 환자가 연구에 등록되었다. 107명의 possible IPA는 최종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혈청 갈락토만난 결과가 음성이었던 proven 또는 probable IPA 환자 42 명 중 24 명 (57 %)은 기관지 폐포 세척액 갈락토만난 결과가 양성으로 확인되었고, 기관지 폐포 세척액 갈락토만난 결과가 음성으로 확인된 나머지 18명 (43 %) 중 2명 (5 %)은 조직학적 검사로 proven IPA, 6명 (14 %)은 반복적인 객담 곰팡이 배양으로 probable IPA, 그리고 12명 (29%)은 기관지 폐포 세척술 시행 이후 반복적인 혈청 갈락토만난 검사로 probable IPA로 진단되었다. 192명의 not IPA 환자 중에서 14명 (7%)은 기관지 폐포 세척액 갈락토만난 양성 (n = 14) 또는 기관지 폐포 세척액 곰팡이 배양에서 양성 (n = 8)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기관지 폐포 세척술을 통해 폐포자충 폐렴 (14 % [26/190]), 거대세포바이러스 폐렴 (5 % [9/188]), 호흡기 바이러스성 폐렴 (6 % [12/193])을 포함한 다른 공동 감염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초기 혈청 갈락토만난 검사에서 음성으로 확인되나 침습성 폐 아스페르길루스증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기관지 폐포 세척액에서 시행한 갈락토만난은 절반 이상의 환자에서 추가적인 진단적 이득이 있었을 뿐 아니라, 다른 공동 감염의 증거 역시 제공하였다.

      • A novel non-invasive device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body fluid change using regional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 a study in a pig model

        조준영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15

        과도한 체액 상태는 몇 가지 좋지 않은 결과와 관련이 있다. 저혈량증의 적절한 모니터와 관리에 대한 연구는 많이 발전하였지만, 조직 부종을 일으킬 수 있는 과한 체액 상태를 빠르게 진단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에는 진전이 거의 없는 것이 사실이다.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은 체액 구성 성분의 양과 그 변화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이 많은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돼지 모델에서 국소적인 말초 부위에서 비침습적으로 생체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것으로 수액 주입에 의한 전신 체액 상태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지 여부를 입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새로 개발된 바이오 임피던스 분석기는 4개의 전극으로 구성하였으며, 8-64kHz와 50kHz에서 2초마다 연속적으로 임피던스(Z), 저항(R), 리엑턴스(Xc)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획득한 데이터는 자동 저장장치를 통해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엑셀 파일로 자동으로 저장되었다. 11마리의 암컷 돼지(요크셔, 37.1 ± 1.24 kg)가 연구 사용되었다. 균형 잡힌 결정질 용액(Hartmann’s solution)를 반복 주입하고 중심정맥압, 복강압, 폐초음파 소견(ultrasound lung comet lines, ULC)을 포함한 각종 파라미터의 기준값을 획득한 후 수액을 주입하였다. 10분동안 3.3ml/kg/min의 속도로 수액을 주입한 후 10분 동안 데이터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수액을 총 6번 주입하였으며 주입과 데이터 역시 6회 얻었다 (T1~T6). 추가적으로 2회 데이터를 더 얻었지만 이 때는 10분간의 수액 주입 없이 이루어졌다 (T7, T8). 돼지의 왼쪽 뒷다리에서는 개발된 기기의 다주파수 생체전기 임피던스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졌고, Inbody S10으로느 네 개의 다리에 전극을 부착하여 전신의 생체전기 임피던스를 간헐적으로 측정하였다. 체중 변화를 예측하는 방정식은 T5 시점의 데이터까지의 데이터를 이용한 다중 회귀 분석으로 도출하였으며, 그 식의 검증을 위하여 T6~9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평균 체중 증가율은 15.9 ± 2.4 %였으며, 중심정맥압과 복압은 T6까지 오르는 경향을 보였는데, 그 증가량은 평균 16 ± 5.8 mmHg, 8 ± 4.2 mmHg 이었다. 동맥혈 산소분압은 421 ± 27.1 mmHg에서 316 ± 58.6 mmHg로 감소하였고, 초음파로 측정한 ULC의 개수는 평균 5.6 ± 3.5개 증가하였다. 새로 개발된 장치와 Inbody S10로 50 kHz에서 측정한 임피던스는 수액 주입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Spearman의 상관 계수 0.983, P-value < 0.001). 새로 개발한 장치를 통하여 체중을 예측하는 식에 측정된 데이터를 적용한 각 돼지의 체중 변화량은 실제 계산된 체중 변화와 일치하는 것을 보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새로 개발된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장치는 국소부위에서 연속적, 비 침습적인 방법으로 생체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써 수액 주입에 따른 전체 체액상태를 실시간으로 평가하는 것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면역글로불린 G4연관 경화성담관염과 원발 경화성담관염의 감별을 위한 새로운 진단법의 개발 : Development of a Scoring System for Differentiating IgG4-related Sclerosing Cholangitis from 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문성훈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15

        Background and aim: A recent recognition of IgG4-related sclerosing cholangitis (IgG4-SC) as part of the spectrum of chronic cholangiopathies has created an urgent need for a reliable method for differentiating IgG4-SC from 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PSC). Discerning PSC from IgG4-SC can be extremely challenging because both conditions share male predominance, cholestatic liver dysfunction, and cholangiographic features with intra- and extra-hepatic bile duct strictures. Recent research has shown that a substantial number of patients with PSC can have elevated serum IgG4 and positive staining for IgG4.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imple scoring system for the discrimination of IgG4-SC from PSC. Methods: A total of 115 patients with IgG4-SC (n=39) and PSC (n=76) were included from two tertiary referral centers. The endpoint of the study was the presence of IgG4-SC. Candidate-differentiating variables were age, other organ involvement of IgG4-SC (OOI), inflammatory bowel disease, serum IgG4, and cholangiographic features (beaded appearance, pruned tree appearance, band-like stricture, skipped distal common bile duct stricture, proximal duct dilatation, and etc.). Variables showing differences between IgG4-SC and PSC were used in building scores. The diagnostic value of a scoring system was assessed by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Results: The best score included OOI (score 0 or 3), age (score 0, 1, 2, 3 or 4), and absence of beaded appearance (score 0 or 2). A cutoff value of 7 points could discriminate IgG4-SC form PSC wit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84.6% and 100%, respectively, whereas a cutoff value of 6 ha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87.2% and 96.1%, respectively. A cutoff value of 5 ha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97.4% and 88.2%, respectively.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was 0.986. Conclusions: A trustworthy differentiation of IgG4-SC from PSC can be made using a simple scoring system. We suggest the diagnosis of IgG4-SC at a cutoff point of 7 points or higher and the indication of a steroid trial at 5 or 6 points. 배경 및 목적: 최근 면역글로불린 G4(IgG4)연관 경화성담관염의 존재가 알려지면서 원발 경화성담관염의 진단 시에 중요한 감별진단이 되었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원발 경화성담관염 환자에서도 혈청 IgG4가 증가할 수 있으며 원발 경화성담관염 환자의 조직에 대한 면역염색에서 IgG4 양성이 있을 수 있다고 하여서 두 질환의 감별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원발 경화성담관염과 IgG4연관 경화성담관염의 감별을 위한 새로운 진단법의 개발에 있다. 대상 및 방법: 총 115명의 환자(39명의 IgG4연관 경화성담관염 환자와 76명의 원발 경화성담관염환자)에 대하여 나이, 타기관침범, 혈청 IgG4, 담관조영술소견 등을 분석하였다. 다변량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만들어진 변수를 이용하여 진단점수에 의한 새로운 진단법을 개발하였다. 결과: IgG4연관 경화성담관염과 원발 경화성담관염의 감별진단을 위한 진단점수법은 3개의 변수 ? 타기관침범(점수 0 또는 3점), 나이(0-4점), 담관조영술에서의 염주알모양존재유무(0 또는 2점) ? 를 조합하여 이루어 졌다. 이 새로운 진단법에 따르면 7점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IgG4연관 경화성담관염의 진단의 민감도는 84.6%이었고 특이도는 100%이었다. 6점을 기준으로 한다면 민감도는 87.2%이고 특이도는 96.1%이었고 5점을 기준으로 한다면 민감도는 97.4%이고 특이도는 88.2%이었다. 이 새로운 진단법의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는 0.986으로 매우 우수하였다. 결론: IgG4연관 경화성담관염과 원발 경화성담관염의 감별은 진단점수법에 의하여 매우 잘 이루어졌다. 이 새로운 진단법에서 7점인 경우 IgG4-SC를 진단할 수 있었고 5-6점인 경우는 스테로이드치료를 시도할 수 있다.

      • 인공판막 심내막염 환자의 심장판막 재치환술 후 임상 성적 : Surgical Outcomes of Reoperative Valve Replacement in Patients with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A 20-Year Experience

        김영웅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15

        목적 인공판막 심내막염은 심장판막 치환술 후 발생하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많은 환자에게서 심장판막 재치환술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인공판막 심내막염으로 심장판막 재치환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20년 간의 경과를 분석하여 임상 성적 및 사망과 관련된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5년부터 2016년까지 서울아산병원에 인공판막 심내막염으로 입원하여 심장판막 재치환술을 시행한 8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기본 특성, 감염원, 수술 소견 및 임상 경과를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생존율과 위험 인자를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심내막염이 1개의 판막에 침범한 것은 61예(72.6%), 2개 이상의 판막에 침범한 것은 23예(27.4%)였다. 원인균으로는 Coagulase음성 포도상구균이 23예(27.4%)로 가장 많았다. 중앙 추적 관찰기간은 47.3개월(0 - 250개월)이었으며, 그 동안 32명(38.1%)이 사망하였고 수술 후 30일 내 사망은 10명(11.9%)이었다. 수술 후 합병증은 총 39명(46.4%)에서 발생하였고 새로 발생한 신경계 합병증이 15건(17.9%)이었다. 수술 후 재감염은 총 6예(7.1%)에서 발생하였으며 모두 1년 내에 발생하였다. 10년 동안 재감염 없이 생존하는 확률(reinfection-free survival rate)은 91%였다. 5년과 10년 생존율은 각각 64.4 ± 5.8%, 54.3 ± 7.3% 이었다. 다변량 콕스 비례위험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 결과, 연령과 심폐우회시간이 사망의 위험 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인공판막 심내막염은 조기 사망률뿐 아니라 후기 사망률도 높은 치명적인 합병증이다. 후향적 연구 결과 연령과 심폐우회시간이 생존율과 관련이 있었다. Objectives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PVE) is a serious complication of cardiac valve replacement and risks of reoperative valve surgeries to treat PVE have reportedly been high. Many patients with PVE infection require reoper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our institutional 20-year experience of surgical treatment of reoperative valve replacement in patients with PVE. Method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as performed on 84 patients (mean age 54.8 ± 12.7 years, 51 males) who were diagnosed with PVE and underwent reoperative valve replacement from January 1995 to December 2016. Survival and valve related outcomes were evaluated through longitudinal follow-up data. Results PVE was found in 61 (72.6%) cases in one valve, and 23 (27.4%) cases in two or more valves.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was the most common causative organism (23 cases; 27.4%).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47.3 months (0 - 250 months). Thirty-two patients died during follow-up, and 10 (11.9%) patients died within 30 days after operatio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in 39 (46.4%) patients with new-onset neurologic complications in 15 (17.9%). Reinfection occurred in 6 cases, all within 1 year. Freedom from reinfection rates at 5 years were 91.0 ± 3.5%. The overall survival rates at 5 and 10 years were 64.4 ± 5.8% and 54.3 ± 7.3%, respectively. On stepwise multivariable Cox-proportional hazard models, older age (hazard ratio [HR], 1.48; 95% confidence interval [CI], 1.05-2.10; p = 0.027) and cardiopulmonary bypass (CPB) time (HR, 1.03; 95% CI, 1.00-1.01; p = 0.033) emerged as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death. Conclusion PVE was shown to carry high risk for in-hospital mortality as well as poor long-term survival. Older age and needs for longer CPB time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for overall mortality in PVE patients.

      • 유방암 수술 후 림프부종 환자에서 저항운동과 복합 림프부종 물리치료가 팔의 기능, 근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s and Complex Decongestive Therapy on Arm Function and Muscular Strength in Breast Cancer Related Lymphedema

        도정화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9615

        Abstract Objective The incorporation of resistance exercises into the lifestyle of patients with lymphedema is understudied and an emerging interes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resistance exercise along with intensive complex decongestive therapy on arm function, muscular strength, quality of life, and arm volume. Methods I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and results of adding a moderate 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program for 8 weeks in conjunction with intensive complex decongestive therapy for 1 or 2 weeks (depending on severity) on arm volume, arm function, QOL, and muscular strength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 This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included forty-four patients with a history of breast cancer who were beginning complex decongestive therapy for lymphedema. They were assigned to either the intervention (n=22) or control (n=22) groups. The intervention comprised of resistance band exercises 5 times a week for 8 weeks. These were initially supervised during the intensive lymphedema treatment, but performed independently during the study period. Limb volume, muscular strength, and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OL Questionnaire C30 (EORTC QLQ-C30), EORTC-Breast Cancer-Specific QOL Questionnaire (EORTC QLQ-BR23), and Disabilities of Arm, Shoulder, and Hand (DASH) questionnaires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at 8 weeks. Results After 8 weeks, the intervention group improved in the DASH score and muscular strength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global health status, fatigue (EORTC QLQ-C30), arm symptoms (EORTC QLQ-BR23) and arm volume showed improvement after treatment in both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P<0.05).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upper body resistance exercise demonstrates a positive effect on arm function and muscular strength without increasing arm volume in breast cancer related lymphedema during and shortly post intensive complex decongestive treatment for lymphede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