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 분석

        김지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육과정, 개설과목, 강의계획서를 비교·분석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해봄으로써, 교육대학원의 특수한 기능과 음악교육전공의 교육목적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두었다.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대학원간 과목 수, 교과교육학·교과내용학과목의 비율이 학교별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과목 수가 많을수록 좋은 것이 아니라 음악교육전공에 맞게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비율이 적절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F, G 학교는 교과교육학과목이 92%, 97%를 넘는 반면에 교과내용학과목은 1개 밖에 개설되지 않았고, C, D, J, K, O학교는 교과내용학과목이 교과교육학과목보다 30%이상 많게 나타나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각 교육대학원마다 과목의 개설이 일률적이지 못한 것은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편성에 있어 뚜렷한 기준 없이 교과목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교육과정이 중등학교 교사양성에 주력하고 있으면서 현 실정은 중등학교의 음악과교육과정과 거리감이 있다.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목적은 음악교사는 물론이고 음악교육자, 음악교육학자의 양성도 당연히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교육과정은 중등교원 양성을 위한 중등교원 선발시험과목 위주로 편성되어 있어 학교현장에서 필요한 과목이 부족하다. 셋째, 국악과목의 개설이 부족하다. 제6차 교육과정 이후 음악과교육과정에서 우리의 전통음악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제7차 교육과정에 와서는 음악교과서에서 국악을 30%이상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 분석 결과, 전체 103개 과목 중에서 국악 관련 과목은 15개(14.6%)로 교과교육학과목 6개, 교과내용학과목 9개로 되어 있었다. 이중 교과내용학과목인 '국악이론'(8개 학교개설)을 제외하면 개설비중이 매우 작은 편으로 나타났다. 비록 국악 관련 과목들이 예전에 비해 많이 개설되었다 하지만 중등학교 현장과 발맞추기 위해서는 아직 부족하다. 넷째, 체계적이고 내실 있는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비 개설과목을 살펴본 결과, 총 과목수가 많은 학교일수록 비 개설과목수도 많은 편이었다. 2001~2003년까지의 3년간을 대상으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한번도 개설하지 않았다는 것은 보여주기 위한 교육과정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강의계획서 분석 결과, 대부분이 과목해설과 실제내용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었다. 교과교육학과목의 수업내용은 학교별로 크게 다르지 않았고 교재는 4~5개 과목을 제외하고는 학교마다 교재사용이 다양했다. 교과내용학과목의 수업내용 역시 학교별로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교재는 학교마다 매우 다양했다. 특기 실기관련 과목들은 교수의 재량에 따라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재의 선택에 있어서 크게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intended to achieve specific functions and curriculum appropriate to educational goals of Music Education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curriculum, courses, and syllabuses and then suggesting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re were a lot of differences between graduate schools in the number of courses, and the proportion of music education courses to music courses. A great number of courses didn't always mean a good quality of education, rather the proportion of music education courses to music courses should be appropriate for a major in music education. However, the proportion of music education courses in F and G graduate schools was more than 92% and 97% respectively, while there was only one music course. There was a problem with C, D, J, K, and O graduate schools since the proportion of music courses was 30% higher than that of music education courses. The reason each graduate school has different curriculum like this is that there are no specific standards for curriculum organization in graduate schools. Second, there is a wide gap between the present curriculum and the one for music education in middle schools, although the curriculum in graduate schools concentrates on training middle school teachers. The purposes of music education in graduate schools are to train music educators and music scholars, to say nothing of music teachers. However, the current curriculum has been organized focusing only on the courses for middle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so there is a lack of the courses necessary for practical teaching. Third, the course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not provided insufficiently. Since the 6th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our traditional music has been emphasized. Coming to the 7th curriculum, it is supposed to include Korean traditional music course more than 30% among the entire music education course. As an analysis result, among total one hundred and three subjects, there were fifteen Korean traditional music-related courses(14.6%), six courses for music education courses and nine courses for music courses. It was revealed that, among these courses, there were only a few Korean traditional music-related courses except for pedagogy of 'The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provided by eight schools). Still, the Korean traditional music-related courses weren't enough to keep pace with the current situation of muddle schools, although they were being provided more than before. Fourth, it is necessary to have systematic and substantial curriculum. The courses that are not opened were examined and the more a school had a lot of courses, the more it had unopened ones, too. It was shown that the schools hadn't opened those courses, although the research period was as many as three years from 2001 to 2003. Consequently, it was considered that the schools had a curriculum only for display. Fifth, syllabuses were analyzed, an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its introduction to the courses and substantial contents.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lectures on courses for music education courses among schools, and each school used different textbooks except the ones for 4 or 5 subjects. Similarly,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lectures on courses for music courses among schools, but there were few schools that used the same textbooks. There was a very big difference in selecting a textbook for specialty and practical skill-related courses, since the decision was made by instructors.

      • 음악학습·음악연주 자기효능감, 직업선택 의지가 대학원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서유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95

        This research examines self-efficacy for musical learning, self-efficacy for musical performing, and intention to pursue a career as a musician or music teacher and investigate how these three factors influence on career maturity of master's degree students who majored in music or music education. Also, the differences in these three factors between music and music education major students were investigated by t-test. A total of 129 music(n=53) and music education(n=76) students completed a online survey. The measures of self-efficacy for musical learning and performing are from Ritchie & Williamon(2010). And the measure of career maturity is from Lee & Han(1997) who explained career maturity with five sub-factors: decisiveness, aim, certainty, preparedness, and independency. As a result of analysis by SPSS Statistics 29.0, several points imply certain results and implications. Firs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for musical learning and performing between music and music education major students. Second,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between music and music education students. Bu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dependency, where music education students’ is lower than music student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dependency suggests that students have different attitudes toward their careers depending on the major they select. Music education major students are more likely to exhibit a tendency to be influenced by their parents and circumstance. In terms of field-dependence-independence, individuals who are field-dependent may face difficulties in articulating their vocational interests(Witkin, 1973), The comparatively lower score in independency among music education students could have an impact on their satisfaction as music teacher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music education major students to strengthen their independency. In addition, among career maturity sub-factors, music major students scored the lowest in convincing, while music education major students scored the lowest in aim. The lowest score in convincing among music major students suggests that, despite being enrolled in master's degree courses, they lack a certain belief in their potential success as professional musicians. And the lowest score in aim among music education major students suggest that, even though they have made a firm decision to become music teacher, it implies that they are not clear about what they aim to achieve through the profession. Third, self-efficacy for musical learn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especially preparedness and independency. Self-efficacy for musical perform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especially convinc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ower score in independency among music education major students can be improved through self-efficacy for musical learning. Furthermore, enhancing self-efficacy for musical performing can help improve the lowest score in convincing among music major students. It is important to enhance self-efficacy for musical performing as the lack of it can be lead to stage anxiety(Ritchie & Williamon, 2010). Fifth, intention to pursue a career as a musician or music teacher does not directly impact overall career maturity score, but rather specific sub-factors. Intention to pursue a musician have impact on aim, independency, while intention to pursue a music teacher have impact on decisivenes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dividuals with a higher intention to pursue a career as a musician demonstrate a clearer and more independent pursuit of specific aspects such as self-develop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their profession. Similarly, those with a stronger intention to become music teachers exhibit a firm determination and resolve to pursue a career as a music teacher. In conclusion, in order to enhance career maturity,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self-efficacy for musical performing and learning. Specifically, music major students should focus on enhancing self-efficacy for musical performing, particularly in terms of convincing, while music education students should focus on enhancing self-efficacy for musical learning in terms of independency. 본 연구는 일반대학원 음악전공,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의 음악학습 자기효능감, 음악연주 자기효능감, 직업선택 의지를 파악한 후, 이러한 요인들이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Likert 7점 척도로 구성된 온라인 설문을 배포한 결과, 53명의 음악전공, 76명의 음악교육전공, 총 129명의 연구대상이 모집되었다. 음악학습 자기효능감과 음악연주 자기효능감 문항은 Ritchie & Williamon(2010)이 개발한 척도를 번안하여 사용하였으며, 진로성숙도는 이기학, 한종철(1997)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전공 대학원생과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의 음악학습 자기효능감은 모두 ‘높음’으로 나타났으며,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은 모두 ‘보통’ 수준을 보였다. 음악전공 대학원생의 음악학습 자기효능감은 평균 5.74(SD=.67)점,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은 평균 5.40(SD=.86)점이었으며,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의 음악학습 자기효능감은 평균 5.66(SD=.82)점,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은 평균 5.30(SD=.98)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음악학습 자기효능감과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은 전공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음악전공 대학원생과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의 진로성숙도는 모두 ‘보통’ 수준으로 전공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특히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독립성은 음악교육전공이 음악전공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음악전공과 음악교육전공을 비교했을 때,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의 독립성이 유의하게 낮은 것은 이들이 상대적으로 부모나 주변의 영향에 의하여 진로를 선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의존적 인지경향을 가진 사람은 독립적 인지경향을 가진 사람보다 불분명한 직업적 흥미를 보여준다는 것을 고려한다면(Witkin, 1973), 낮은 독립성은 후일 교직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의 독립성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음악전공의 경우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확신성이 평균 4.54점, 음악교육전공의 경우 목적성이 평균 4.55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음악전공 대학원생의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확신성이 가장 낮게 나타난 것은 대학원 석사과정에 진학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문음악가로서 성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믿음이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의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목적성이 가장 낮게 나타난 것은 설령 음악교사가 되겠다는 확고한 결정을 했을지라도, 직업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음악학습 자기효능감과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별로도 부분적으로 유의하였다. 음악학습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준비성과 독립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확신성에 영향을 주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음악교육전공의 상대적으로 낮은 독립성이 음악학습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확신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던 음악전공 대학원생은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음악전공 대학원생의 확신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의 결여는 무대 불안과 같은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Ritchie & Williamon, 2010)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전문음악가로서의 직업선택 의지와 중등음악교사로서의 직업선택 의지는 모두 전체 진로성숙도 점수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하지만 전문음악가로서의 직업선택 의지는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목적성과 독립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중등음악교사로서의 직업선택 의지는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결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음악가로서의 직업선택 의지가 높은 사람일수록 직업을 통한 자기계발, 대인관계 등과 같이 직업을 통해 구체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바가 명확하며, 직업선택에 있어서 독립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중등음악교사로서의 직업선택 의지가 높은 사람일수록, 중등음악교사가 되고자 하는 확고한 결정과 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실제 전문음악가 혹은 중등음악교사로서 직업을 선택할 때 자신과 직업 환경을 이해하고 결정하기 위한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음악학습 자기효능감,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을 높여야 한다. 특히 음악전공 대학원생은 확신성 측면에서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을,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은 독립성 측면에서 음악학습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 음악교육 대학원생들의 진로결정수준과 교직 선택 동기가 전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여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음악교육 대학원생들의 진로결정수준과 교직 선택 동기가 전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 소재 교육대학원 10개의 학교를 재학 중이거나 졸업한 음악교육 대학원생 1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크게 일반적 사항, 진로결정수준, 교직 선택 동기, 전공 만족도, 자유 기술로 총 60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수집된 유효한 자료를 토대로 연구문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교육 대학원생들의 진로결정수준은 재학생의 경우 3.85, 졸업생의 경우 4.17로 졸업생의 진로결정수준이 높았으며 재학생과 졸업생 모두 합친 음악교육 대학원생 전체의 진로결정수준은 3.98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교육 대학원생들의 교직 선택 동기는 재학생과 졸업생 모두 내재적 동기가 가장 높았고, 이타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가 그 다음을 이었다. 재학생의 경우 내재적 동기가 4.12, 이타적 동기 4.01, 외재적 동기 3.63으로 외재적 동기가 가장 낮았다. 졸업생은 내재적 동기 4.30, 이타적 동기 4.22였고, 재학생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외재적 동기가 가장 낮은 3.40의 결과가 나왔다. 음악교육 대학원생 전체의 수치 또한 앞선 재학생, 졸업생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음악교육 대학원생들은 교육대학원 진학하는데 있어 내재적 동기가 가장 강하게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공 만족도에서 재학생과 졸업생 모두 높은 평균을 보였다. 재학생의 경우 4.00, 졸업생은 4.02로 재학생과 졸업생 간 전공 만족도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교과내용 만족과 외재적 인식 만족에서의 차이 또한 찾아볼 수 없었다. 넷째, 이 세 변인 간 상관관계에 있어 높은 상관관계는 전공 만족도와의 관계였다. 재학생의 경우 진로결정수준과 전공 만족도와의 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외재적 동기와 전공 만족도의 관계가 가장 낮았다. 졸업생의 경우 또한 내재적 동기와 전공 만족도 간 관계가 가장 높았으며, 진로결정수준과 외재적 동기가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진로결정수준과 교직 선택 동기가 전공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음악교육 대학원생들의 진로결정수준, 교직 선택 동기, 전공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는 의의를 가지며,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음악교육 대학원생들의 진로유지와 내재적 동기, 이타적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지기를 기대한다.

      •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연구동향 분석 :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왕현수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최근 6년(2010년~2015년)간 전국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3,160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차후 음악교육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 교육대학원 및 음악교육전공의 설치여부를 조사하고, 국회도서관과 각 대학교의 도서관 사이트를 통하여 음악교육전공 논문 3,160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논문은 문헌연구를 통하여 정립한 분류기준에 따라 17개의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각 영역은 음악교육론, 교육과정 및 교과서·지도서, 특수음악교육, 음악교육공학, 교수·학습 방법, 통합학습 및 기타지도, 가창, 기악, 감상, 창작, 국악, 다문화, 유아음악교육, 음악교육평가, 음악교사, 국가정책, 기타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역 내에서 세부항목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또한 영역에 의한 연도별, 지역별, 학교별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의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역별 연구동향 분석에서는 기악 영역이 382편(12.1%), 교육과정 및 교과서·지도서 영역이 375편(11.9%), 통합학습 및 기타지도 영역이 361편(11.4%)으로 상위 3개 영역에 집계되었다. 가창, 기악, 감상, 창작, 국악 등 실기 연구의 여러 영역은 음악교육론과 같은 이론 연구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영역에 의한 연도별 연구동향 분석에서는 2010·2011년에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지도서 영역이, 2012·2013년에는 통합학습 및 기타지도 영역이, 2014·2015년에는 기악 영역이 그 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영역에 의한 지역별 연구동향 분석에서는 15개 지역 중 서울의 논문편수가 1,173편(37.1%)으로 가장 많았고, 대구 259편(8.2%), 충북 253편(8%), 부산 228편(7.2%)의 순으로 논문이 배출되었다. 영역에 의한 53개교의 학교별 연구동향 분석에서는 한국교원대학교가 193편(6.1%)으로 1위, 경희대학교가 173편(5.5%)으로 2위, 이화여자대학교가 163편(5.2%)으로 3위를 차지하였다. 또한 100편 이상의 논문을 배출한 학교는 수도권에서 8개교, 비수도권에서 3개교로 권역 간 교육적 격차를 보였다.

      • 아동소설 Jake Drake Bully Buster 읽기를 활용한 아동학습자의 읽기 및 쓰기교육

        엄지윤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듣기와 말하기 위주의 음성언어를 강조했던 7차 교육과정을 지나 읽기?쓰기의 문자언어의 중요성이 대두된 2007 교육과정 이후의 아동학습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초등학교 5학년에 해당하는 아동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영미아동소설인 Jake Drake 시리즈 중 Bully Buster편을 읽기교재로 선정하였다. 아동중심 소설을 활용한 읽기 및 쓰기의 통합활동이 학습자들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변화를 미치는지 알아 보고자 한다. 실험수업 중 교사는 아동학습자에게 문학을 교수하는데 있어서 언어기능이 통합된 총체적 학습법을 이론적 배경으로 삼고 주제중심 학습법을 통해 학습자의 선험지식을 확장하는 활동을 하고자 한다. 실험수업 전 학습자들의 정의적 측면 및 수업 중 다루게 될 주제를 노출하여 학습자의 배경지식을 알아보는 사전 설문 및 면담을 실시한다. 사전 설문 후 5주간 10차시의 수업을 진행하면서 Jake Drake-Bully Buster에 대한 읽기 및 쓰기 교육을 진행하게 된다. 실험수업을 마치고 학습자의 자율적 독서활동을 알아보기 위해 일정시간 이후인 약 한달 뒤 실험에 참여한 학습자 중 5명을 재 섭외하여 능동적 독서를 진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수업 이전과 수업 이후의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알아 보고자 한다. 학습자들이 발달이 진행과정에 있는 학생들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어 배경지식의 활성화와 함께 학습과정 중 겪게 되는 어려움을 교사 또는 또래 학습자들과의 조력을 통해 극복할 수 있으리라는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의 영역을 접목하는 수업과정을 적용한다. 학습과정 중 교수자는 학생들이 가지게 될 문제상황을 예측하고 도움이 되는 스캐폴딩의 단계를 주제와 관련한 영상자료와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학습자들이 친숙함을 느끼는 주제를 모티브로 담고 있는 읽기텍스트를 선정하였고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읽기교육을 진행한다면 아동소설을 활용한 읽기학습이 아동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기대감을 다음과 같이 예상할 수 있다. 첫째, 이번 연구수업에서 교수자와 학생의 관계는 지식의 유무를 일방적으로 확인하는 수직적 형태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텍스트를 미리 읽는 과정을 거친 후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선험적 지식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가 읽기 중 부딪혔던 언어적 문제를 교사가 들려는 스토리텔링과 또래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해결함으로써 목표언어에 대한 자신감을 높일 수 있다. 둘째, 학습자는 친근한 주제를 담고 있는 아동소설 Jake Drake-Bully Buster를 통해 자신의 경험과 새로운 지식을 연관 지어 이해할 수 있고 자신에서 주변세계로 경험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다. 자신과 비슷한 주인공이 등장하는 아동중심 소설을 통해 학습자는 주인공을 이해하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아직 경험해 보지 못한 세상을 이해하는 경험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능동적으로 책 읽기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아동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창의적인 내용을 갖추고 있는 작품이면서도 아동이 이해할 수 있는 단순한 언어와 실제의 삶 속에서 접촉하는 내용이 담긴 생활용어가 아동문학의 주요어휘로 선택되어 져야 한다는 신헌재 외 공저(2007)의 의견에 동의한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독자를 고려하여 쉽고 단순하게 쓰였지만 진정성 있는 언어학습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학습자의 긍정적인 경험이 자발적면서도 지속적인 읽기 과정으로 연결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끝으로 아동문학이 가지는 장점을 뒷받침하는 적지 않은 근거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교육과정에서의 아동문학이 반영되는 예를 국정교과서에 찾아보기 어렵다. 그 이유 중 하나를 현재 초등교육과정에 제시하는 학년별 어휘 수가 500 낱말 이내임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아동문학을 활용한 언어교육의 장점 중 하나인 진정성(authentic language)있는 언어를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학년별 어휘의 제한은 아동문학을 교육과정으로 구성하는데 한계상황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문자교육을 강조하는 교육과정의 긍정적 변화와 함께 본 논문에서는 아동문학 텍스트를 현재의 교육과정에 긍정적으로 검토되기를 염원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주제친밀도를 높이는 학습과정안을 통해 학습자의 이해를 높이고 다양한 읽기 및 쓰기 활동을 통해 문학작품을 이해하고 타 교과와의 통합적 학습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연구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서울시 고등학교 관악부 실태조사 및 지도방법

        김선영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 문 초 록 서울시 고등학교 관악부 실태조사 및 지도방법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김 선 영 이 연구는 고등학교 관악부 활동이 본래의 창조적이고 협동적인 인간 교육의 기능을 다하고, 어려운 교육 현실 속에도 더욱 발전하기를 바라는 바램으로 서울시 학교 5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운영실태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설문조사를 토대로 관악부 활성화를 위한 운영방법과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관악합주단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될 자료를 통한 문헌연구에서 관악의 변천과 학교 관악부의 역사와 역할, 관악 교육의 중요성을 알아본다. 또한 관악기의 선택을 위한 각각의 신체적 조건, 사람의 성격과 악기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관악 합주의 악기편성 등에 관한 조사를 한다. 서울시에서 특별활동 관악부 운영이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는 대표적인 5곳의 고등학교(남학교3곳, 여학교 2곳)의 관악부 실태를 설문조사와 교사 면담을 통해 여러 가지 문제점과 장애요소를 찾는다. 설문결과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인 희망의 의지대로 관악부에 들어왔다 하더라도 요즘 학생들은 조금만 힘들면 무엇이든 쉽게 포기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힘든 관악교육을 잘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도교사가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연습시간은 효율적인 시간관리를 통해서 운영의 기술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교육 방법 중의 하나인 합주를 통해 최소한 학생들에게 본인의 재능이 무엇인가를 빨리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관악부 활동의 큰 장점이다. 넷째, 모든 것은 단계적으로 교육하여 학생들이 재미있고 자율적으로 연습을 많이 할 수 있도록 이끌어 나가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지도교사들은 학생들의 심리적인 상태뿐만 아니라 진로지도, 가정환경, 경제적인 여건, 학습에 대한 성취도와 생활 지도의 전반에 걸쳐 학생 지도가 요구되고 있다. 여섯째, 다양한 악기 구입에 따른 예산의 확보, 연습실 및 합주실의 확보가 제대로 이루어 져야 관악부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관악부의 운영실태와 문제점을 조사하면서 학교에서 예술교육 자체를 다룬다는 것 또한 한계성이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좀 더 많은 예산과 노력 및 협력체제가 있다면 관악부는 더욱 활발히 운영 될 것이다. 학교의 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이 좀 더 긍정적으로 바뀌고 관악부에 대한 많은 관심과 사랑이 요구된다.

      • 올바른 문장 쓰기를 위한 국어 지식 교육 연구 : 제7차 교육 과정의 『문법』을 중심으로

        신진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63

        일반적으로, 국어 교육의 목표는 국어 사용 능력의 신장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따라서 국어 교육의 하위 영역인 국어 지식 교육도 이러한 목표를 지향하여 구성되어야 한다. 본고는 이 점에 주목하여, 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국어 지식 교육을 연구하였다. 쓰기는 국어 교과에서는 물론이거니와 타교과에서도 필요한 범교과적 언어 활동으로 학습자에게 긴절한 국어 능력이다. 그러나 학습자가 비문법적인 문장을 사용하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으므로, 올바른 문장 쓰기를 위한 국어 지식 교육이 절실할 때이다. 본고는 인지적 영역, 심동적 영역, 정의적 영역 간의 총체적 발전을 기대하면서, 논의를 위한 내용을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 인지적 영역 '국어의 문장 성분과 구조를 이해한다' '국어 문법 요소의 기능과 그 의미를 이해한다' '국어 문장의 여러 가지 짜임새를 이해한다' ● 심동적 영역 '문법에 맞는 문장을 사용한다' ● 정의적 영역 '국어 사용에서 발견되는 문제 양상을 파악하여 국어를 바르게 사용하는 태도를 지닌다' 이러한 내용은 제7차 교육 과정의 『문법』 을 토대로 한 것이다. 제7차 교육 과정의 『문법』 은 기존의 주입식, 설명식, 암기식 교육의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해, 흥미로운 탐구 활동을 교수-학습 방법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에 따라 본고는 선정한 내용의 탐구 학습의 실제를 보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온 학습자의 흥미 상실이라는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아울러, 국어 지식 교육이 인지적 영역, 심동적 영역, 정의적 영역 간에 서로 긴밀하게 이루어짐을 통해, 쓰기 능력신장은 물론이거니와, 올바른 쓰기를 위한 태도와 마음가짐이 내면화되어 국어 사랑으로 이어지는 학습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The purpose of Korean Education, in general, has been focused on the expansion of the ability to use Korean. So the knowledge of Korean grammar, which is the branch field of Korean Education, should not be contrary to the purpose. Now this thesis was researched into the Knowledge of Korean to increase the ability of writing. The writing, which is important to Korean text books as well as other books, is the essential ability to Korean language learners of Korean for the activity across the curriculum.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a learner uses the grammatically wrong sentences, so it is very important for a learner to have the Knowledge of Korean education to write proper Korean language. As the thesis is expecting the whole development of cognitive domain, psycho-motors domain and affective domain, the follow content of each domain is selected as follows. ● Cognitive domain : 'The comprehension on the component and the structure of sentence' 'The comprehension on the function of Korean grammar and its meaning' 'The comprehension on the various compounds of sentence' ● Psycho-motors domain : 'The use of correct sentence in right grammar structure' ● Affective domain : 'The attitude to use Korean correctly after fixing mistakes that can be found in using Korean' These contents are based on Grammar of the 7th Curriculum. Grammar of the 7th Curriculum proposed the exciting Quest Activity a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to improve the cramming education. This thesis showed the real examples on the quest learning of the contents which were discussed above. It is expected that the problems, which can lose the learner's interest, can be solved with examples that are presented. Additionally the Knowledge Education of Korean is expected to expand the writing ability through the organic interaction among cognitive domain, psycho-motors domain and affective domain. Having an attitude of mind for right writing will lead the Love of Korean language.

      • 문제 중심 학습단계에 따른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음악과 생활' 교과서 기악영역 비교 분석

        김성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10 different types of high school textbooks, ‘Music and Life’,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PBL).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on balanced instrumental education at school. This study explored the proportions of instrumental music pieces, techniques, types of instruments, the proportion of melody/rhythm instruments, the proportion of foreign/Korean instruments, and instruments with technique performance in the 10 textbooks.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techniques of four instruments ? guitar, gayakeum, drum, and samulnori ? that were commonly covered in the 10 textbooks. Also, performance activities for the four instruments were investigated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proportions of instrumental music pieces, Contemporary Music had the highest rate with 28.91%, whereas Pakyoungsa had the least rate with 12.94%. Second, the most balanced textbook for having both instrument-only music pieces and instrumental pieces with vocal parts was Music and Life, with 7 pieces respectively. Achimnara only had instrumental pieces with vocal parts, whereas it had no pieces for performance only with instruments. Third, overall, music textbooks focused on Korean instrumental pieces more than foreign ones, 42.93% to 57.06%. However, in terms of Kumsung, MiraeN, Pakyoungsa, and ChunJae, foreign instrumental pieces occupied more than Korean ones. Fourth, findings showed that among foreign instrumental pieces, instrument ensembles accounted for the greatest part (27 pieces), whereas pieces of 3-part chorus proportioned the least (1 piece). Among Korean instrumental pieces, pieces of instrument with unison accounted for the greatest part (50 pieces), and pieces of 2-part chorus and 3-part chorus did not exist. A total of 9 textbook except MiraeN had more solos than ensembles. Fifth, overall, music textbooks concentrated on foreign instruments more than Korean instruments, 76.08 % to 23.91%. However, in terms of Music and Life and Contemporary Music, Korean instruments accounted more proportions than foreign ones, 60% to 40%. Sixth, most of the textbooks covered both melody and rhythm instruments with balance. However, the textbook published by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contained a total of 11 melody instrumental pieces but only one rhythm piece. The findings imply that students who use the textbook of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re exposed relatively less to rhythm instruments. Seventh, results showed that a total of 46 types of instruments were provided. Also, foreign instruments were used more than Korean instruments. Among 46, a total of 22 types of instruments had techniques to perform. Specifically, foreign instruments were more used than Korean instruments. In addition, techniques of rhythm instruments were provided less than those of melody instruments. Eighth, the study examined techniques provided in activities based on 7 steps of Problem-Based Learning. All technique activities for samulnori covered 5thstep or 6thstep which in cluded group activities. Inparticular, the Kyohaksa textbook provided all 7 steps, including Summary and Evaluation. Meanwhile, most technique activities for drum involved first 4 steps. In terms of melodic instruments, activities for gayageum (Korean instrument) and guitar (foreign instrument) consisted of 4 steps as well. In su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7thstep, Summary and Evaluation, was not suggested in most activities. Given that Summary and Evaluation is critical for examining course objectives and students’ achievement, studies on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that consider all the 7 steps are needed.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음악과 생활’ 교과서 10종을 기악연주법을 중심으로 문제 중심 학습(Problem-Based Learning)단계에 따라 비교·분석함으로써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교과서의 사용에 있어 균형잡힌 기악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10종 교과서의 전체 수록곡 중에서의 기악곡의 비중과, 교과서 별 기악곡의 연주 형태, 교과서 10종의 기악곡에 사용된 악기, 가락악기와 리듬악기의 비중, 외국악기와 한국악기의 비중, 연주법을 제시한 악기를 알아보았다. 공통적으로 가장 많이 다룬 악기인 기타, 가야금, 드럼, 사물놀이의 연주 방법에 대해 비교분석 하고 문제 중심 학습 방법에 제시한 활동 부분이 해당하는 단계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수록곡에서 차지하고 있는 기악곡의 비율은 현대음악이 28.0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12.94%로 박영사가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둘째, 순수기악곡과 가창을 겸한 기악곡이 균형 있게 수록되어 있는 출판사는 각 7곡으로 비율이 50% : 50%인 음악과 생활이고, 아침나라는 가창을 겸한 기악곡이 100%이고 순수 악기만을 위한 곡은 없다. 셋째, 외국기악곡과 한국기악곡의 비율은 42.93% : 57.06%로 한국기악곡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있으나 교과서별로는 금성출판사와 미래엔, 박영사, 천재교육은 외국기악곡이 더 많이 차지하고 있다. 넷째, 외곡기악곡 중에는 기악합주가 27곡으로 가장 많고 3부 합창 기악합주가 1곡으로 가장 적다. 한국기악곡의 연주 형태는 제창기악이 50곡으로 가장 많았고, 2부 합창 합주곡과 3부 합창 합주곡은 수록되어 있지 않았다. 독주곡과 합주곡의 비율에서는 미래엔을 제외한 9종은 독주곡의 비중이 높았다. 다섯째, 외국악기와 한국악기의 비중은 76.08% : 23.91%로 외국악기에 편중되어 있다. 그러나 음악과 생활과 현대음악 교과서는 한국악기를 사용한 비율이 60%로 더 높았다. 여섯째, 가락악기와 리듬악기의 비중은 50% : 50%를 차지한다. 그러나 경기도 교육청교과서는 가락악기가 11개, 리듬악기는 1개만 수록되어 있어 비율의 차이가 많이 났다. 일곱째, 교과서 10종의 기악곡에서 제시된 악기는 총 46종류이고 한국악기보다 외국악기를 더 많이 제시하였다. 연주법을 제시한 악기는 총 22종류로 외국악기를 더 많이 사용하였으나 리듬악기 연주법이 부족했다. 여덟째, 문제 중심 학습 방법으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사물놀이는 모든 교과서에서 6단계로 제시되었다. 드럼, 가야금 기타의 연주법은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4단계까지만 제시되어 있다. 4종의 활동내용을 비교해 본 결과, 대부분의 활동이 7단계는 제시가 되어 있지 않았다. 정리 및 평가는 수업의 목적과 의도 등, 학생들의 학습 달성도를 확인하고 점검 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균형이 잡힌 기악교육을 위해서는 1단계부터 7단계 까지를 고려한 교과서의 내용과 지도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

      • 북한 고등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 및 음악교육 실태 조사

        이혜수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북한의 고등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과 새터민 인터뷰를 통하여 북한의 음악교육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향후 통일교육에 대비하는 밑거름이 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북한의 교육과정은 2012년 개편되었지만 아직 교육과정이 공개되지 않아 개편 이전의 교육과정을 수록하였고 교과서도 북한자료센터에 소장된 2002년 출판된 1∼5학년 음악교과서를 대상으로 외형분석과 내용분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외형분석은 판형과 지질, 활자, 삽화와 사진, 쪽수, 표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내용분석은 활동영역이 명확히 제시되어 있는 북한 음악교과서의 기준에 따라 영역별로 가창·시창·감상·기악·기악과노래·음악이론·창작 7개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정치사상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북한음악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가창·기악·시창·감상 영역에 나온 곡을 중심으로 가사와 곡의 주제를 분석하였다. 인터뷰는 보다 실증적인 연구를 위해 북한에서 음악교육을 받은 사람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의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형분석 결과, 5종 모두 동일한 판형을 가지고 있으나 지질, 활자의 크기, 인쇄상태가 불량하였다. 또한 삽화와 사진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며 수록되어있는 삽화는 학습의 효과를 주는 시각적 자료로는 활용되지 않는다. 둘째, 내용분석 결과, 활동영역중 가창과 시창이 61%로 가사중심의 곡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가사·곡 내용은 주로 김부자 찬양, 조국찬양, 충성에 대한 내용이 72%를 차지하는 것을 보아 주체사상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북한의 곡은 선율보다는 언어의 매개체가 되는 가창곡(가사)에 중요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가창을 위한 시창교육도 체계적으로 학습 되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외 다른 영역은 본래의 각 활동영역이 추구하는 목적보다는 정치사상교화의 기능적 목적을 갖고 학습되어지도록 구성되어있다. 북한은 음악교육을 통해 학생의 잠재력을 개발하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창의성을 기르고 삶의 질을 높이며 음악을 애호하고 즐기는 태도를 갖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인터뷰 결과, 교육환경면에서는 무상의무교육이지만 수업료만 없을뿐 학교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개인이 구입해야하며 교육기자재 파손, 시설낙후로 인해 악기나 음향시스템이 없어 시설 면에서는 열악한 조건이다. 음악수업은 주로 가창과 시창활동 위주로 이루어지며 수업내용은 김부자 찬양에 관한 곡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는 전문 예술학교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기악수업은 악기보급의 문제로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경제적인 여유가 있는 학생들은 소조활동, 과외활동을 통해 접하게 된다. 음악평가에 있어서는 악기의 유무에 따라 달라 타당하지 않은 모습을 볼 수 있으며, 학생들은 정규수업시간에도 농촌활동에 동원되어 학습권을 박탈당하고 있다. 학생들은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의무교육임에도 불구하고 학교교육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 농촌일을 하거나 장마당에 나가 출석률이 많이 떨어진다. 졸업 후 진로는 생계선선에 뛰어드는 학생이 더 많아 대학진학률이 낮다. 이처럼 교과서분석과 인터뷰를 통해 북한에서는 음악과 관련된 모든 요소즉, 교육환경, 학습내용, 학습목표 등 모든 것이 사상성을 가지고 주체사상을 뒷받침하는 수단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분석 결과로 남·북한 상호간의 입장을 서로 이해하며, 양국 체제의 다름에 따른 이질성과 한민족으로서의 동질성이라는 양면성을 인지하고 남북이 서로 공유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분을 탐구 하여야 한다. 통일을 대비하여 남·북한이 서로 다름을 이해하고 각자의 전통을 인정하며 화합할 때 비로소 같은 음악적 뿌리로부터 남과 북의 다양한 민족음악유산이 탄생하고 계승 될 수 있을 것이다.

      • 고등학교 영어회화 교과서 비교 분석

        이금주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현행 고등학교 영어회화 교과서를 7차 교육과정의 목표에 근거하여 비교분석하였고 교사들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대상은 영어회화 교과서 5종이며 설문조사는 교과서를 사용하고 있는 교사 48명과 학생 315명으로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 목적, 연구 방법과 절차, 연구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영어과 7차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영어 교과서 평가 기준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Skierso의 교과서 분석 기준에 기초한 교과서 구성체제와 언어기능, 소재, 내용, 문화, 의사소통 활동과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4장은 결론과 제언으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체제에 있어 각 교과서에 나타난 공통된 의사소통 기능은 기호, 비교하기, 의견 교환, 동의표현, 제안 등 5가지이며 소재가 가장 다양한 교과서는 <교육미디어>이다. 둘째, 언어 기능면에서 '듣기'는 들은 내용에 관한 그림을 고르는 유형과 대화의 주제를 찾는 유형이 많이 사용되었고 '말하기'에서는 '대치 연습'과'역할 놀이'가 가장 많았다. 셋째, 내용면에서 각 교과서마다 많이 제시된 소재는 일상 업무에 관한 것과 외국문화의 이해에 관한 것이었고 우리문화의 이해에 관한 소재를 많이 제시한 교과서가 적었다. 넷째, 설문조사 분석결과 '영어회화'교과서에 관한 교사들의 만족도는 높지 않았고 교사들은 수업의 75%를 영어로 진행한다고 응답했다. <능률영어사>교과서를 사용하는 교사는 수업시간에 비해 교과서의 분량이 많다고 응답했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만족도가 높은 교과서는 <한국 교육미디어>와 <대한교과서>였다. 위의 결과에 비추어 '영어회화'교과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한다. 고둥학교 영어회화 교과서는 학습자들의 흥미 있는 영어학습을 위해 다양한 구성을 갖추어야 하고 소재의 고른 분포가 이루어지도록 개선되어야 하며 웹을 이용한 수업 방식의 도입도 필요하다. Today English education in Korea focuses on developing communication skills. It shows that English Education in Korea has changed from Grammatical abilities with structural syllabus to communication abilities with notional-functional syllab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five versions of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on the 7th curriculum.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In the view of structure, there are five common communicative functions in each textbook such as greetings and introduction, expressing and so on. 2) The teaching contents designed for two of the language skills -listening skills and speaking skills- were various, but didn't dynamic ones. In Listening, 'listen and answer' and 'selecting the topic' were mainly used. In speaking, 'pattern practice' and 'role play' were mainly used. 3) Many students want to study English conversation with more various methods and some students want to learn more English words. Based on the results, my suggestions are as follows : First, the amounts of the testbooks should be reduced for teachers and students, Second, textbook writers have to consider interesting contents and audio-visual aids to increase the students' coomunicative competence. Third, teachers have to study and try to adopt the proper ideas to the actual classroom teaching. Finally, I hope that this study would be of help to the next curriculum textbook wri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