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의 기초문해 능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류채윤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심리 · 상담및특수교육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5577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on the influence of basic literacy ability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among children. The subjects include 84 elementary school children using service at eight local children's centers in Seoul. The specific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basic literacy ability of the subjects and found that they scored percentile mean points of 22.2%ile, 17.6%ile, and 23.8%ile in reading fluency,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ing fluency, respectively. They recorded 58.3%, 66.7%, and 57.2% for the risk level of basic literacy,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ing fluency,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children at the risk level of basic literacy threefold was 31.0%. They scored 2.22 points(on a 5-point scale) and mean 3.64 points(on a 5-point scale) in stress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respectively. Second, there were high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low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reading comprehension and stress, low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eading comprehension & writing fluency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low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tress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basic literacy ability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about 10% explanatory power was found and reading comprehension, one of its subvariabl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Reading fluency and writing fluency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it. Fourth, the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between basic literacy ability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found that stress had mediating effects only between reading comprehension of its subvariables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se finding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study claims its significance by demonstrating that reading comprehension, which is a subvariable of basic literacy ability having direct impacts on academic achievement, had effects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that reading fluency and writing fluency having no direct impacts on academic achievement had no effects on it. Secondly, it is meaningful to verify the mediating pathway of stress in the process of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in basic literacy ability affecting school life adapt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made the following proposals to increase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life: first, reading comprehension of children's basic literacy ability should be improved to increase their adjustment to school life. Secondly,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enhancement of reading comprehension would lower stress from study and accordingly have positive influences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refore, reading comprehension needs to be explored in terms of relieving stress of children. As for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one should be careful to generalize its conclusions since its subjects were children using a local children's center. The study also used inventories to measure children's basic literacy ability in a restricted manner, conducting no test on their overall basic literacy ability. Finally, there is regret that I have not studied other variables besides stress in using mediating variables.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기초문해 능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8개 지역아동센터에 다니는 아동들이었으며, 센터 이용 아동 중 초등학교 아동 84명이 본 연구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 아동의 주요변인의 수준을 살펴보면, 읽기유창성의 평균 백분위 점수는 22.2%ile, 읽기이해의 경우 17.6%ile, 쓰기유창성의 평균 백분위 점수는 23.8%ile이었다. 기초문해 능력의 하위변인별로 위험 수준에 속한 아동을 살펴보면 읽기유창성 58.3%, 읽기이해 66.7%, 쓰기유창성 57.2%이었다.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쓰기유창성 모두에서 위험 수준인 아동은 전체의 31.0%이었다. 스트레스의 평균은 2.22점(5점 척도)이었으며, 5개의 스트레스 하위변인 모두 평균 수준 이하인 아동은 12명으로 전체의 15.5%이었다. 반면, 학교생활적응은 평균 3.64점(5점 척도)이었다. 둘째, 기초문해 능력의 하위변인 간 상관관계는 읽기유창성이 읽기이해와 높은 정적 상관이었고, 스트레스는 읽기이해와 낮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학교생활적응은 읽기이해 및 쓰기유창성과 낮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스트레스와 낮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초문해 능력의 하위변인인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쓰기유창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결과를 살펴보면, 약 10% 정도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읽기이해는 학교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었던 반면, 읽기유창성과 쓰기유창성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넷째, 기초문해 능력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기초문해 능력의 하위변인 중 읽기이해만 스트레스를 매개하여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기초문해 능력의 하위변인 중 읽기이해 능력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읽기이해가 학업 성취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이며, 읽기유창성과 쓰기유창성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은 학업성취 집적적인 관련이 크지 않기 때문임을 나타내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읽기이해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존재한다는 것을 검증했다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들의 학교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학교생활적응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아동의 기초문해 능력 중 읽기이해를 향상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읽기이해 능력의 향상은 학업으로 인해 받는 스트레스를 낮추어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읽기이해 능력은 아동의 스트레스 해소라는 관점에서도 탐구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참여 대상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들이었기에 연구의 결론을 일반화하는 데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기초문해 능력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RA-RCP 중 읽기유창성, 읽기이해만은, BASA 쓰기 검사 중 정략적 평가 지표만을 사용하였다. RA-RCP 검사는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외에 단어인지나 인지처리검사를 포함하여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검사를 포함하여 전반적인 읽기 능력을 평가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쓰기 능력 또한 정량적인 평가인 쓰기유창성 평가만 수행하고 정성적인 측면을 살펴보지 못하여 전체적인 기초문해 능력을 살펴보는 데는 미흡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변인을 사용함에 있어서 스트레스 외에 다른 변인들을 포괄적으로 살펴보지 못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다.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및 대인관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곽아홍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심리 · 상담및특수교육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5775

        본 연구는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및 대인관계가 대학생활합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한 정책개발에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연구문제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중국인 유학생이 한국에서 문화적응 유형(동화, 통합, 분리, 주변화)에 따른 분포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및 대인관계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가 매개하는가? 이를 위해 총 246명의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적응척도(Vancouver Index of Acculturation: VIA), 대인관계척도(Relationship Change Scale: RCS), 대학생활적응척도(Student Adaptation College Questionnaire: SACQ)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문화적응 유형별 차이검증을 위해서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대인관계가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응 유형 척도를 활용해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문화적응 유형의 두 하위요인인 중국문화유지와 한국문화수용의 평균점 수를 기준으로 연구 대상자를 '동화', '통합', '분리', '주변화'의 총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연구에서 통합유형이 전체의 30.5%로 비율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분리유형(29.3%), 주변화유형(28.0%), 동화유형(12.2%)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부분도 있으나 차이가 있는 부분도 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통합유형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도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대인관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통합유형이 대인관계에 대한 영향력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동화유형, 분리유형 순이었으며, 주변화유형이 가장 낮았다. 통합유형과 동화유형이 주변화유형, 분리유형과 다른 특징은 한국문화수용 정도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중국인 유학생들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통합유형이 대학생활적응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동화, 주변화유형 순이었으며 대학생활적응의 점수가 가장 낮은 유형은 분리였다. 통합유형의 특징은 분리유형, 주변화유형과 다르게 한국문화를 수용하였다는 것이므로 중국인 유학생의 전반적인 대학생활적응에서 한국문화수용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문화적응의 하위요인인 한국문화수용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대학생활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하위요인인 중국문화유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한국문화수용도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중국인 유학생의 대인관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대인관계와 대인관계의 하위요인 모두 대학생활적응과 정적인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수용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대인관계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문화수용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대인관계를 통해서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중국문화유지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는 대인관계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인관계와 대학생활적응에 있어 한국문화적응이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확인시켰다. 다시 말해 한국문화로의 적응이 대인관계를 낮추고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유학생활을 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 중 비율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해 알아본 것에 대한 의의가 있으며, 문화적응의 이차원 모델을 적용하여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유형별 차이를 알아본 것에 대한 의의가 있다. 또한 문화적응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를 추가해서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가 되겠다. This study is helpful to the development of school life adaptation policies for Chinese students by observing the influence of cultural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adaptation on college life adaptation.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Question 1. What is the distribution of Chinese students' cultural adaptation types(integration,assimilations,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in Korea? Question 2. Can cultural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Chinese students have a meaningful impa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Question 3. Do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play a media role in the influence of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on college life adapta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46 Chinese students on the scale of cultural adapt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llege life adapt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detect the differences in the categories of cultural adaptation, unary variable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understand whet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s media func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cale of cultural adaptation types. Through the two main factors of cultural adaptation type- Chinese culture maintenance and Korean cultural adaptation's average score, the research object is divided into "integration", "assimilation", "separation", "marginalization" four types. In the study, the integration type accounted for 30.5% of the total, followed by the separation type (29.3%), the marginalization type (28.0%), and the assimilation type (12.2%).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leading research,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most of the leading research, the highest proportion of integration types is also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econdly, according to the different types of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personal relations. The integration type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 followed by assimilation type, separation type and marginalization typ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ntegration type and assimilation type and the separation type and the marginalization type show that Korean cultural adaptation is very important. According to the different types of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lege life adaptation. Integration type is the type with the highest score of college life adaptation, followed by assimilation type and marginalization type, while the type with the lowest score of college life adaptation is separation type. Integrative type and separation type and marginalization type difference is Korean cultural adaptation. Therefore, in the process of Chinese students' comprehensive adaptation to college life, we can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Korean cultural adaptation. Thirdly, the influence of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on college life adapta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among the sub-factors of cultural adaptation, Korean cultural adapt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ollege life adaptation. Another sub-factor is the maintenance of Chinese culture, which h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adaptation of college life. That is, the higher the degree of Korean cultural adaptation, the higher the degree of college life adaptation. The influence of Chines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college life adjustmen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ub-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ollege life. Four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plays a media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and their college life adaptation. That is, Korean cultural adaptation can have a direct impact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indirectly influence college life adaptation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hip. Howev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s no media role in maint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culture maintenance and college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once again the importance of Korean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to interpersonal relations and college life. In other words, the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will reduc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college life adaptation of the largest proportion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are of great significance. By using the dual model of cultural adaptation,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different types of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In addition, the increase of interpersonal rela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will be the basic data for subsequent studies.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지능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곽정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심리 · 상담및특수교육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5775

        본 논문은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지능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실증적인 방법으로 현재 서울에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연구에 적합한 데이터임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지능, 자아탄력성, 대학생화적응 간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문화지능의 하위요인인 초인지적 문화지능, 인지적 문화지능, 동기적 문화지능, 행동적 문화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호기심, 긍정적 태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Chinese students' cultural intelligence and ego-resilience on college life adaptation. To improve ego-resilience and increase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culture, to help Chinese students to live a good school life in Korea,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hina as a whole. The question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intelligence, ego-resilience and college adjustment. And the influence of cultural intelligence and ego-resilience on college adaptation. The data of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survey of 264 Chinese students in Korea. Using an SPSS 20 computer to process organized dat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intelligence, ego-resilience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programs that can grow and change. Education must be provided to schools and schools for a variety of courses. Improving students' cultural intelligence and ego-resilience can help them better adapt to college life.

      • 전문대학생의 성격요인 및 심리사회적 변인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양은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심리 · 상담및특수교육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55775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bring light on what kind of relationship junior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traits of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have with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n examine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with the goal of creating an effective plan to promo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this, this study adopted the personality traits of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and social support as independent variable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as mediator variabl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a dependant variable, with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being explor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junior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traits of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do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serve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junior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traits of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and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this research,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freshmen enrolled to junior college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nd used a final selection of 774 copies of the questionnaire. As for the collected data, SPSS 21.0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on its subvariables, and the structural model was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program of AMOS 24.0 to te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cientiousness has proven to have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reover, as the partial mediation effects through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were confirmed, it has proven to have a direct and/or indirect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lthough there were no separate mediation effects through career adaptability,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have proven to sequentially double-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cientiousn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openness has proven to have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but it does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owever, as it showed full mediation effects through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and double-mediation effects of mediating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in a sequential manner, openness has proven to have an indirect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social support has proven to have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and a direct negative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urthermore, as it showed partial mediation effects through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and double-mediation effects of mediating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in a sequential manner, social support has proven to have direct and/or indirect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s proven to have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have a indirect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diated by career adaptability.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the career education for junior college students should be implemented not just to help their job preparation but support them from life time⦁integrated perspectives including supports that cover individual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and careers after their graduation. Besides, career education at school should be implemented in such a way that students may increase their self-efficacy and adaptability through career preparation.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ensure their successful career transition, students should pursue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in a balanced manner,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and contextual resources.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성실성, 개방성 성격요인,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이 진로준비행동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규명하고, 나아가 변인 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전문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성실성, 개방성 성격요인과 사회적 지지를 독립변인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을 매개변인으로, 진로준비행동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고,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성실성, 개방성 성격요인,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은 전문대학생의 성실성, 개방성 성격요인,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1학년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774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하위변인들의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AMO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실성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통한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어 직․간접적으로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적응성을 통한 개별 매개효과는 없었지만 성실성과 진로준비행동 사이에서 진로결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이 순차적으로 이중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방성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진로준비행동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을 통한 완전매개효과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나 진로준비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진로준비행동에는 직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을 통한 부분매개효과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나 진로준비행동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진로결정효능감은 진로적응성과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적응성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전문대학생들의 진로교육을 단순한 취업준비를 돕는 측면이 아닌 각 개인마다의 대학생활 적응, 진로탐색 및 준비, 대학졸업 이후의 진로까지 포함한 생애적․통합적 관점의 지원이 진로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했다. 또한 학생들이 진로준비과정에서 효능감과 적응성을 높여갈 수 있는 방향으로 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와 함께 성공적인 직업세계로의 전환을 위해 학생들은 자신의 개인적 특성과 환경․맥락적 자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진로탐색 및 진로준비를 균형적으로 수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