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중·일 3국간 해상을 통한 전자상거래 활성화 방안 연구

        김태정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71

        오늘날 정보통신기술 발전을 배경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이룩하고 있는 전자상거래 시장은 국경의 장벽을 무의미하게 만들고 있다. 특히 소비자들에게 더 다양하고 경쟁력이 뛰어난 제품들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시킴으로써 전통적 유통시장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해외 직구 및 역직구 합계 금액 기준으로 2014년 2조 3,262억 원에서 연평균 15.1%의 성장을 통해 2022년에는 7조 1,657억 원을 기록했다. 이렇듯 새로운 세계적 소비 트렌드가 된 전자상거래는 중국이 그 거대한 시장을 바탕으로 전 세계 전자상거래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고 일본 또한 우수한 구매력을 바탕으로 전자상거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국경 간 전자상거래 시장의 성장은 필연적으로 관련 물류역량의 수요로 이어진다.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중국과 일본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두 국가의 전자상거래 시장 확대는 우리나라 물류산업에 큰 기회를 가져다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중·일 3국간 국제 전자상거래 시장을 중심으로 현재 항공운송에 의존하고 있는 전자상거래 물류를 해상운송으로의 전환 및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국경 간 전자상거래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물류비 절감을 위해 전자상거래 물류의 해상전환에 대한 연구와 서비스 시도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우리나라도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위해 관련 과거 실적기록 및 문헌, 전문가의 자문 등을 기반으로 한·중·일 3국간 전자상거래의 현황을 분석했다. 또한 해상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중요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위해 물류산업에 현재 종사중인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해상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중요 요인을 도출하여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해상특송 통관 역량 강화, 둘째 해상 전자상거래 인프라 개선, 셋째 인적역량 강화가 그것이다. 해상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해선 가장 먼저 통관 역량을 강화가 필수적이며 세부적으로는 추가적인 해상특송 통관장 설치, 물류플랫폼 연계 통관제도 마련, 전자상거래 특화구역 지정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인프라 개선 문제에 대해서는 우리나라 최대 수출입 항만인 부산항과 연계가 가능한 가덕 신공항의 조기착공, 물류센터 자동화 도입 지원, 내륙 배송 연계 네트워크 강화, 글로벌 전자상거래 기업 유치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마지막으로 산업 발전에 따른 인력 수급을 위해 전문 인력 집중양성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Keywords : 국가 간 전자상거래, 해상통관 특송장, 가덕신공항, 전문 인력

      • 차량반출입예약시스템 사용자 만족과 지속적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최부경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Busan Port is facing a chronic issue of decreased productivity and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the concentration of the vehicles during specific times. In an effort to address this issue, Busan Port Authority has introduced a Vehicle Booking System. However, despite the positive effects of the system, the reservation rate remains low due to reservation burdens and inter-company relationships, making it difficult to activate the system.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of the Vehicle Booking System and an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s and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 results reveal that factors such as the will of the chief executive, reliability, and convenience, extracted as determinants of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IT infrastructure did not exhibit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erms of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e the need for additional research to explore various factors beyond those identified in this study that influence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the Vehicle Booking System. Additionally, the survey sample size during data collection was limited, potentially making it challenging to represent the opinions of the entire user and stakeholder community. 효율적인 컨테이너 터미널 야드 운영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만성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특정 시간 집중되는 반출입차량으로 인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도입된 차량반출입예약시스템 사용자 만족과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사용자 만족과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이론 및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추출하였으며, 사용자 만족이 지속적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개념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023년 10월부터 약 2주 동안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94부의 유효 설문지를 확보하여 이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차량반출입예약시스템 사용자 만족 요인 간의 인과관계 및 사용자 만족이 지속적 사용 의도의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각각의 요인들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을 실시했으며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된 요인들을 대상으로 가설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차량반출입예약시스템 사용자 만족 결정요인으로 추출된 요인 중 최고 경영자의 의지, 신뢰성, 편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이러한 요인들이 차량반출입예약시스템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통계적으로 검증됐다. 둘째, 추출된 결정요인 중 IT 인프라 수준은 사용자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측정 방법의 편향이나 표본의 한계 등의 이유가 있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IT 인프라 수준이 차량반출입예약시스템 사용자 만족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셋째, 사용자 만족은 지속적 사용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차량반출입예약시스템 사용자 만족이 지속적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기존 선행연구와도 일치한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첫째, 차량반출입예약시스템 사용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최고 경영자의 의지, 신뢰성, 편의성, IT 인프라 수준 등을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제시했지만, 이 외에도 다른 여러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조사 및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데이터 수집 시 차량반출입예약시스템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설문 대상 수가 제한적이어서 결과가 전체 이용자 및 관계자 의견을 대표하기 어려울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운송사와 컨테이너 터미널만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선사와 정부를 포함하여 연구 대상을 확장하여 선사와 정부 간의 차이에 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물류창고 안전사고 사례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유정훈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In Korea, the influence of the logistics industry is quite high.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a safety culture was established throughout the industry and an awareness and atmosphere was created to prevent fatal accidents, but personnel accidents and cargo accidents still occur. In 2021, 248 people (234 cases) died in workplaces with 50 or more workers, while in 2022, 256 people (230 cases) died. This is a trend in which the number of deaths is increasing. In the logistics industry, accidents cannot be reduced simply by enforcing laws that include punishment, and the same types of safety accidents continue to occur. Therefore, research is needed on measures that can reduce accidents that occur in logistics warehouses. In this study, we conduct a case study of safety accidents that actually occurred in domestic logistics warehouses to analyze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accidents for each work process in the warehouse and establish preventive measures. Through this, we aim to protect lives and reduce accidents through various improvement measures that can be reflected in logistics warehouses.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improvement measures for a total of 14 disaster accidents that actually occurred at domestic logistics company “A”. Among the personnel accidents, the cause of four collisions was a forklift, and three of the fall accidents occurred with external drivers. It was confirmed that collisions and falls are the most common types of personnel accident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reduce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in logistics warehouses, it must be basic for workers to wear safety protective equipment themselves, and at the request of shippers or forwarders, truck and tractor drivers entering the warehouse must voluntarily wear safety helmets from the start of work to the end of work. Continuous efforts to provide guidance are needed at workplaces with the right organization and personnel. Key words : Logistics warehousing, port hinterland, logistics industry, safety, case study

      • COVID-19이후 역물류의 서비스 만족도 영향 요인 연구

        장성철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Allied Market Research의 보고에 따르면, 2020년에는 약 6,350억 달러에 달 했던 역물류 시장이, 2028년에는 1조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러 한 급격한 변화의 주요 동력은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자 선호도의 변화가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 코로나-19 펜데믹 영향으로 비대면 소비패턴의 가속화가 되었고, 이러한 변 화로 인해 이커머스 및 온라인 거래에서의 반품 규모가 확대되었으며, 역물류 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기업 경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 며, 미국 Supply Chain Quarterly에서도 역물류를 ESG 경영 중 환경 부문의 핵심 요인 중 하나로 평가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기업의 사회적 및 환경적 책임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역물류가 비대면 시대에서 물류 기업의 경쟁력 관건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하였다. 역물류는 제품의 재사용, 재활용 및 재가공을 통한 자원 효율성 증진과 환 경 보호에 기여하고, 이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영향을 미 치는데, 서비스 만족도에는 어떤 요인변수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 해서 본 연구는 역물류에 대해 조사하고 역물류 서비스 이용시 고객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 직업, 성별, 학력별, 연령별, 월 지출액별, 지역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역물류 만족도에 영향 요인을 도 출하였으며 독립변수는 합리적인 관리시스템, 적시성, 경제성, 재활용, 활용요 인 및 지속 가능성으로 다섯 가지를 분류하였고 종속 변수는 서비스 만족도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역물류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설문지 통한 조사를 진행하여 표 본 자료 수집을 진행하여 총 설문지 204부를 회수하였으며 해당 설문지를 통 해서 얻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적합도 및 구조방 정식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역물류 서비스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활용 요인 및 지속 가능성> 관리 시스템> 적시성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역물류 서비스 만족도가 높기 위해서는 활용 요인과 지속 가능성이 큰 영향을 미치고 관리 시스템과 적시성 적절히 활용하 였을 때 서비스 만족도가 높아 이를 활용하여 고객 중심적인 방향으로 발전해 야 함을 시사하며, 해당 역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혁신적인 전략과 효과적인 서비스 만족도 관리의 중요성을 염두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 다.

      • 디지털트윈을 활용한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 제고에 관한 연구

        이영권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글로벌 물류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컨테이너선사는 경쟁력 강화와 운송 효율을 이유로 대형화된 컨테이너 선박을 경쟁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반면, 컨테이너터미널은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에 따라 생산성은 낮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디지털트윈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발달로 기존의 시스템과 융합되면서 스마트 항만 구현을 위해 그 활용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컨테이너터미널의 운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최적화하여 컨테이너 관리와 장비 및 화물의 위치 추적하고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터미널의 안전 및 보안 측면에서 디지털트윈은 위험 상황을 신속하게 감지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컨테이너터미널 운영 전반에 걸쳐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 및 비용 절감을 이루면서 기업 경쟁력 제고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디지털트윈 기술을 기반한 컨테이너터미널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활용하여 다양한 조건의 항만장비 투입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 한 결과을 바탕으로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 제고할 수 있는 방안에 제시하였다. The global logistics industry is rapidly evolving with the introduction of larger container ships to improve economic efficiency and competitiveness. However, the productivity of container terminals is decreasing due to the larger ships, necessitating measures to adapt to these changes. The integration of digital twins, driven by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s expanding the concept of smart ports. Digital twins monitor and optimize container terminal operations in real-time, managing containers, equipment, cargo, and resource allocation through automation. They also enhance safety and security by quickly detecting risks and improving productivity and efficiency while reducing costs. This study presented way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container terminals based on the results of simulating port equipment input scenarios under various conditions using a container terminal simulation system based on digital twin technology.

      • 한국 지배선대량이 선박관리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상배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Korean fleet and managerial performance of ship management firms. As it is self-evident is that industries in upstream and downstream are inter-related, managerial performance of ship management companies in Korea is likely to be affected by the size of national fleet.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he Korean fleet size on growth, profitability, leverage and liquidity of ship management firms. Performance of 10 ship management companies for the period 2012-2022 is examined by panel data regress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ize of national fleet has a positive impact on asset and sales growth of ship management firms. Specifically, the size of Korean-flagged fleet is the most critical factor, while that of foreign-flagged has no significant impact.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impact on other managerial performance indexes. The findings in this study can provide valuable implications for managerial decision-making of ship management companies as well as policy-making for shipping and its related industries. keywords: Ship management, National Fleet, Managerial Performance, Growth, Korean-flagged fleet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지배선대량과 선박관리기업의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후방 산업의 연계관계에서 추론할 수 있듯이, 우리나라 선박관리기업의 경영성과는 지배선대의 크기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배선대가 선박관리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성장성, 수익성, 부채비율 그리고 유동성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2012년-2022년 기간 동안 재무제표가 공개된 선박관리기업 10개사의 경영성과를 패널데이터회귀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지배선대량은 선박관리기업의 매출액증가율 및 총자산증가율 등 성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배선대 중 국적선의 규모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외국적선은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장성을 제외한 기타 경영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선박관리기업의 경영의사결정 및 해운연관산업의 지원정책수립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주제어 : 선박관리산업, 지배선대, 경영성과, 성장성, 국적선대

      • 글로벌 해운기업의 사업다각화에 관한 연구

        신형환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In the midst of global uncertainties such as the aftermath of the COVID-19 pandemic, Russo-Ukrainian war, Israel-Hamas warfare, and the China-Taiwan tension, the maritime shipping industry is encountering heightened market volatilities. Recently, leading global shipping Carriers are not only emphasizing traditional maritime transport but also diversifying into integrated logistics servic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versification trends of Global shipping carriers and contemplate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Korean shipping companies entering the integrated logistics business. By examining a plethora of textual data released by global shipping carriers over the past decade, this study identifies the major issues pertaining to business diversification, particularly focusing on integrated logistics strategies. Furthermore, case studies of select global shipping carriers, including MSC, MAERSK, COSCO, CMA-CGM, and HAPAG-LIOYD, were carried out by collecting annual reports and press releases, followed by topic modeling using the NetMiner 4.5 software. The results reveal that global shipping carriers are diversifying their operations into logistics services and ESG management. Six main topics emerged: strengthening the logistics industry, cold chain fulfillment, Ocean alliance and terminal management, digital transformation (DX), diversification of transportation modes, and sustainable and eco-friendly management. Subsequent to identifying the main topics, this study compared the integrated logistics initiatives undertaken by maritime compani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their ventures into comprehensive logistics. It suggests that while Korean shipping carriers should not focus solely on traditional shipping, they might benefit from benchmarking certain global strategies, always ensuring they respond sensitively to the maritime market environment and keep pace with the trend, mitigating potential risks. Key words : Integrated Logistics, Text Mining, Business Diversification, Risk Management, Maritime Industry Trends.

      • 완성차 판매물류 종사자의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인식수준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준혁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산업혁명 이후 산업과 기술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여 인간은 편리하고 편안 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산업현장을 들여다보면 근로자들은 여러 가지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더욱 안전한 환경 구축 및 근로자의 안전 확보를 위하여 2022년 1월 27일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었다. 중대재해처벌법의 효과적 시행 및 근로자 안전확보를 위해서는 중대재해처벌 법에 대한 인식수준을 고취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안전의식, 안전행동, 안전교 육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리고 중대재해처벌법과 관련하여 항만, 건설 분야 등의 연구는 존재하나 완성차 판매물류 종사자들을 특정하여 진행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완성차 판매물류 종사자들의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인식수준이 안전의식, 안전행동, 안전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 해 본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완성차 판매물류 종사자들의 안전행동을 촉진하며 안전문 화 형성을 도와 완성차 판매물류 간 발생하는 중대재해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대재해처벌법과 안전의식, 안전행동 에 관한 이론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중대재해처벌법 및 안전의 개념과 특징 을 파악한다. 둘째, 완성차 판매물류 프로세스에 대해 정의하고 공정 간 발생 하는 안전사고의 유형에 대해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완성차 판매물류 종사자 들을 대상으로 중대재해처벌법의 인식수준과 안전교육이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정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는 잠재변수 2개(중대재해처벌법 인식수준, 중대재 해처벌법 안전교육), 매개변수 1개(안전의식), 측정변수 1개(안전행동)로 총 4 가지 변수들이 사용되었다. 이들 변수 간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구조방정 식모형을 구축하고 총 5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정을 위하여 국내 A 사 완성차 판매물류 종사자를 대상으로 2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196부 (관리자 81부, 현장 근로자 115부)를 회수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위해 S PSS 23.0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기 위해 Smart-PLS 4.0 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 응답자 전체, 관리자, 현장 근로자 등 3집 단으로 나누어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검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관리자, 현장 근로자 모두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인식 수준은 안전의식에 정(+)의 인과관계를 나 타내었다. 둘째, 전체 및 관리자에게서는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인식 수준과 안전행동 간에 정(+)의 인과관계를 나타내었으나, 현장 근로자에게서는 부(-) 의 인과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전체, 관리자, 현장 근로자 모두 중대재해처 벌법 안전교육은 안전의식에 정(+)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넷째, 전체, 관리 자, 현장 근로자 모두에게서 중대재해처벌법 안전교육은 안전행동에 정(+)의 인과관계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전체, 관리자, 현장 근로자 모두에게서 안 전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안전행동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 인하였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과 관련하여 안전 의식, 안전행동, 안전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실증 연구를 수행한 점이다. 더불어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중대재해처벌법 인식수준, 안전교육, 안전의식으로 구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가설을 검정하고, 변수 간의 영향을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에서 개선해야 할 과제를 도출하고 그에 따른 해결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대재해 예방 및 재해 대응력 강화 를 위하여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인식을 고취할 필요가 있다. 중대재해처벌 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인식수준을 강화하는 것은 근로자 및 사업장의 안 전, 나아가 사회 전반적 안전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①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관련 직접적 교육의 기회 를 제공하며, 요약집을 배포한다. ②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된 사례집을 만들 어 법에 대한 이해도 향상을 돕는다. ③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전담 인원을 구성하여 법적 의문점을 적시에 해결해준다. 둘째, 관리자와 근로자 간의 안전 에 대한 인식의 간극도 좁혀야 할 과제 중의 하나이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기업에서는 안전한 사업장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직접적인 처 벌을 받지 않는 근로자들의 변화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서 ① 근로자 업무 특성을 고려한 맞춤식 정기 안전교육을 통해 안전의식을 향상시켜야 한 다. ② 두 집단 간 소통의 활성화를 위하여 근로자 중심 안전 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 ③ 안전에 대한 관심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우수 안전행동 근로자에 대한 보상이 필요하다. ④ 근로자 중심의 안전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근로자 에게 안전관리 권한을 부여하여 근로자 주도적 안전관리가 필요하다. 이는 결 과적으로 관리자와 근로자 간의 간극을 좁히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industries and technologies rapidly advanced, enabling humans to lead convenient and comfortable lives. However, when we look into industrial settings, it's evident that workers are exposed to various risks. To establish a safer environment and ensure the safety of workers,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was enacted on January 27, 2022. To effectively implement this act and secure worker’s safety, it's essential to enhance awareness of the act. This necessitates underpinning it with safety consciousness, safety behavior, and safety education. While research exists on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in areas like harbors and construction, there is a lack of studies specifically for automotive sales logistics workers. Henc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the awareness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among these workers influences safety consciousness, safety behavior, and safety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nticipated to foster safety behaviors among automotive sales logistics workers, contributing to the promotion of a safety-first culture and preventing severe accidents within this industr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o grasp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and safety based on theories and previous research on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behavior; secondly, to define the processes in automotive sales logistics and identify types of safety incidents occurring in these processes; Finally, to empirically test through surveys on how the awareness level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among these workers and safety education impact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 behavior. This study employed four variables: two latent variables (awareness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and safety education related to the act), one mediating variable (safety consciousness), and one measured variable (safety behavior). These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ategorizing 196 participants into three groups: overall participants (196), managers (81), and field workers (115). Surveys were distributed to 220 employees of Company A's automotive sales logistics sector, with 196 responses collected (81 managers and 115 field workers). SPSS 23.0 was used for demographic analysis, while Smart-PLS 4.0 was employed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o summarize the study results: first, for all group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and safety consciousness. Second, while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and safety behavior for overall participants and managers, a negative correlation was identified for field workers. Third, safety education exhibi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afety consciousness for all groups. Fourth, safety education exhibi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afety behavior for all groups. Finally, higher safety consciousness was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safety behavior for all groups. The scholarly implication of this study lies in conducting empirical research on factors influencing safety consciousness, safety behavior, and safety education concern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Moreover, it is significant to differentiate factors affecting safety behavior into levels of awareness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safety education, and safety consciousness, testing hypothese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analyzing the influence among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dentified areas for improvement in practical applications and the corresponding solutions are as follows: Firstly, to enhance the prevention of serious accidents and strengthen disaster response, there is a need to heighten awareness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Enhancing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this act can improve the safety of workers and workplaces, consequently enhancing societal safety consciousness. To achieve this goal: ① Provide opportunities for direct education and distribute summaries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② Create a compendium of cases applying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to enhance comprehension of the law.③ Establish a dedicated team to address legal uncertainties related to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in a timely manner. Secondly, narrowing the gap in safety perceptions between managers and workers is another crucial task. Despite efforts by companies to create safer workplace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there's been limited change among workers who do not directly face penalties. To address this issue: ① Improve safety consciousness through tailored periodic safety education considering the nature of workers' tasks. ② Establish worker-centric safety consultation groups to enhanc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③ Consider offering incentives for exemplary safety behavior among workers to increase their interest in safety. ④ Develop a worker-centered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grant workers the authority for proactive safety management. This would help narrow the gap between managers and workers in terms of safety perceptions.

      • 국제물류주선기업의 고객관계관리전략 유형에 따른 관계결속에 관한 연구

        윤수만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During OCIVID-19, domestic exporters and importers suffered a lot due to u nprecedented logistics chaos. A lot of effort was made to find ships that coul d be exported, and the importance of logistics costs increased due to the incr ease in logistics costs, and the criteria for re-examining the logistics system o f the company and selecting an international logistics brokerage company cha nged. This paper deals with research on customer relations management strategies of international logistics companies and aims to present directions on how to establish customer relations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international logistic s industry, such as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logistics environment,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logistics brokerage, and types of customer relations ma nagement strategies. It was concluded that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establishing customer relations management strategi es for the international logistics brokerage industry, and data were collected by analyzing the types of customer relations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in ternational logistics brokerage industry and conducting surveys based on them. Through this, it was conclud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establishing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international logistics brok erage industry are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through relation ship binding. It is expected to serve as basic research data for establishing a sales strate gy to attract customers through customer relations strategies in such a changi ng environment. Keywords: 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Strategy, Customer Sati sfaction, Relationship Bonding, International Logistics Leading Co mpany, International Logistics Service.

      • 자동차 정비 및 영업소 서비스 품질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 : 자동차 정비 & 영업소 서비스 품질에 대한 고객 충성도 비교 분석

        정태운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act of automobile maintenance and serv ice quality on customer loyalty. As competition is increasingly fierce i n the automobile industry, maintaining customer loyalty is a key task. I n this regard, this paper compares the impact of automobile maintenance and sales service qualiti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and exp lor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types of service. To this end, prio r research was reviewed to identify key aspects of service quality and t heir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results indicate t hat both automobile maintenance and sales office service qualities have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However, detaile d analysis shows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of service. It is fou nd that rapid service and technical capabilities, especially in automobi le maintenanc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 yalty. On the other hand, for the quality of sales office, it is reveale d that interaction with customers and service experience has a significa nt influence on customer loyalty. The findings in this study offer valua ble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service strategy in the automobile ind ustry. In order to increase customer loyalty, it is important to improve car maintenance and service quality at the office, and focusing on the q uality aspects required for each service type would be an effective stra tegy. keywords :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loyalt y, automobile industry, maintenance ser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