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서관 건축에 있어서 베리어프리 적용현황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대학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김채이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사용)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소재 4년재 대학 중 장애학생 수가 가장 많으며, B.F 인증제 도 시행이전에 신축 완공된 국립대(전남대학교 도서관), 사립대(조선대학교 도서관) 2 곳을 분석대상으로, 현재시점에서 B.F 인증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조사 분석해 보았 을 때, B.F 항목의 적용 여부 및 인증기준과의 차이점을 파악하고, 그 분석결과를 노 후시설의 증·개축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 연구로써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장별 연구의 흐름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장은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한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방법을 기술하였으며, 제2장에서는 선행연구 고찰 국내·외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기준, 일반적 특성 등을 통해 연구의 방향 및 변별성, 일반적인 특성 등을 포괄적으로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정의와 도서관 공간에 대한 장애인 이용행태, B.F 인증 기준항목을 통한 분석의 틀을 정리하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대학도서관 건축에 있어서 B.F 인증기준에 따라 전남대학교, 조선대 학교 도서관시설의 현황을 분석하고, 매개 시설, 내부시설, 위생 및 안내시설로 나누 어 분석하였다. 전남대와 조선대의 B.F 인증기준에 따른 종합 비교분석을 통해 두 학교의 차이점을 알 수 있다. 제5장은 본 연구의 결론과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연구의 과 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전남대와 조선대의 매개시설을 분석한 결과 기존 접근로의 유효폭은 1,800mm 이상이 최우수 기준값으로 평가되는데, 두 학교 모두 기준치 이상으로 분석 되었다. 경계라인은 차도와 보도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었으며, 특히 보행통로와 차도 는 눈에 띄는색상으로 구분하는 등 두 시설 모두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만 재 질 및 마감에 있어서 조선대는 석 재질을 사용한 반면, 전남대는 아스팔트로 마감하 였고, 두 학교 모두 보행 및 장애물은 없었다. 장애인 주차장은 조선대가 더 많았고 주차공간도 규격에 맞았다. 유도 및 표시, 보행안전통로를 만들어 시각장애를 가진 사람도 주차장 이용의 어려움이 없었다. 주 출입구는 조선대가 전남대보다 유효폭과 활동공간이 훨씬 넓었으며, 전남대는 여닫이문으로 설치되었으나 조선대는 자동문으 로 설치되어 B.F 기준에 적합한 요소가 더 많았다. 둘째, 전남대와 조선대의 내부시설을 분석한 결과 출입문은 1m 이상, 단차는 없었 고, 전면 유효거리는 조선대 1.8m 이상, 전남대 1.5m 이상으로 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손잡이 및 점자표지판은 일반 기준을 만족하여 출입문은 B.F 인증 기준에 모두 충족하고 있었다. 복도 및 통로의 유효폭은 조선대가 1.8m 이상, 전남대 1.2m 이상으로 확보하고 있어 기준값을 충족했고, 계단은 두 학교 모두 보행장애물 은 없었고, 조선대가 유효폭이 1.5m 이상으로 넓은 면적을 유지하였고, 전남대는 1.2m 이상으로 일반 기준에 속하였다. 디딤판, 챌판은 두 학교 모두 일반 기준에 속 하였고, 전남대학교가 좀 더 낙후되고 불편함이 많아 보였다. 승강기의 크기는 두 시 설 모두 큰 차이가 없었으며, 활동공간은 조선대가 전면 1.5m x 1.5m 이상으로 최우 수 조건을 만족하였고, 전남대가 1.4m x 1.4m 이상으로 우수한 편에 속한 것으로 조 사되었다. 셋째, 전남대와 조선대의 안내시설로 점자블록의 규격 및 색상은 0.3 x 0.3m 황색 으로 모두 우수한 기준에 속하였으며, 조선대학교는 도서관시설은 시각장애인 안내설 비인 음성 안내장치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전남대학교 도서관시설에는 시각장애인 안 내설비가 없었다. 반대로 청각장애인 안내설비는 두 학교 모두 설치되어 있어서 최우 수 조건을 만족하였다. 위의 내용을 종합 정리해 보면 두 시설 모두 인증평가 이전에 준공된 시설임도 불 구하고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B.F 인증평가 기준항목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 사 분석되었다. 다만 조선대학교에 비해 전남대학교시설이 1990년 건축물로 오래된 점을 고려할 때 장애인주차구역이 부족한 점, 복도 및 통로가 좁고은 점, 구 도서관 시설에서 장애인 화장실이 없는 건물이 있는 점, 일부 접근로가 경사진 곳에 있는 점 등은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향후 연구 과제 본 연구는 도서관 시설의 B.F 적용현황에 관한 연구로써 광주광역시내 2곳의 대학 을 중심으로 B.F인증제도 시행 이전에 완공된 시설이 현재의 B,F인증제도 기준에 어 느정도 충족하는지 여부와 어떠한 차이점과 문제점들이 있는지를 살펴보자 하였다. 이를 통해 노후공공시설의 리모델링 시 B.F인증기준에 맞도록 시설개선을 유도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출발점이라 여겨지며, 본연구의 의미가 여기에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한정된 지역과 범위로써 분석의 다양성 을 확보하지 못한 점, 문제점으로 제기된 공간의 개선안을 제시하지 못한 점 등의 문 제는 연구의 한계로 들 수 있겠다. 따라서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노후 공공시설에 대 한 다양한 건축유형별 연구와 그에대한 개선안에 대한 결과물까지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와 더불어 B.F에 대한 지속적인 정책검토와 제언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 광주광역시 민간 오케스트라에 대한 고찰 : 분석을 통한 발전적 제언

        이용화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21세기는 문화예술적 창의성이 개인과 지역, 국가의 발전을 위한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광주광역시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건립과 더불어 지역문화예술의 진흥을 위한 기반조성을 지원하고 국내외 문화예술 활동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시민들의 자생적인 열정과 노력으로 만들어 활동하고 있는 민간 오케스트라는 지역문화예술 진흥과 시민들의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증진하는 데 충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간 오케스트라에 대한 지원은 여전히 열악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지역민들이 함께 만들고 향유하는 지역문화예술 진흥이라는 명제 아래 광주광역시 민간 오케스트라를 활성화하는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는 데 그 목표가 있다. 연구의 내용은 광주광역시 민간 오케스트라의 역사를 고찰하고, 그들의 현황과 활동에 대해서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광주광역시 민간 오케스트라의 역할을 모색하고 문제점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민간 오케스트라를 창단하고 운영하고 있는 관련자들을 만나 그들의 현황과 활동을 인터뷰, 소장 자료, 그리고 홈페이지의 내용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1975년 광주에서 실내악단을 창단한 후 최근까지 활동하였거나 현존하는 민간 오케스트라는 ‘광주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모나무르 심포니 오케스트라’, ‘로고스 심포니오케스트라’, ‘광주여성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카메라타 꼴레기움 오케스트라’, ‘스쿨피아 오케스트라’, ‘광주내셔널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베누스토 오케스트라’ 등으로서 열악한 재정과 인프라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순전히 그들의 열정적인 헌신과 노력의 결과로 현재의 모습으로 발전해온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 광주광역시 민간 오케스트라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케스트라 단원의 인적 자원 부족, 둘째, 오케스트라 운영재정 확보의 미흡, 셋째, 오케스트라 연습 공간 및 공연장의 부족, 넷째, 오케스트라의 연주 역량 미달, 다섯째, 시민의 자발적인 문화예술의 향유 부족 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한 명의 연주자가 적어도 2~3개의 오케스트라단에서 활동하고 있었던 점은 적은 비용이나마 연주자들이 연주비를 받는 활동 거점이 많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광주가톨릭대학교 대건문화관, 호남신학대학의 예음홀 등, 소규모 공연장의 증가와 관심의 증대는 긍정적인 현상이다. 2014년 완공 예정인 광주교육대학교 풍향문화관의 공연장, 2015년 완공되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대극장과 중극장 등은 전문 연주홀이 부족한 광주에 문화예술적 환경을 조성할 것이다. 셋째, 음악대학이 없는 광주광역시의 부족한 문화예술교육을 위해서 ‘전문예술강사’ 국가 자격제도 시행에 따른 전남대학교 예술대학의 ‘전문예술강사’ 연수교육 유치는 대단히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넷째, ‘베누스토 오케스트라’와 같은 아마추어 연주자들로 구성한 오케스트라는 생활 속에서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다는 긍정적인 방향을 시사한다. 광주지역 민간 오케스트라의 문제점에 토대한 발전적 제언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문화예술진흥을 위해서 문화예술 인프라를 확충해야 한다. 둘째, 안정적인 재정확보를 위해서 관련 기관의 지원 정보 습득과 더불어 전문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연습 공간 확보와 부족한 공연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역사회와 다각적인 협력을 해야 한다. 넷째, 자기 단체만의 강점을 살리고 특색 있는 장점으로 자신의 오케스트라를 브랜드화 해야 한다. 다섯째, 몇 개의 오케스트라가 서로 연계하고 연합하여 시설을 공유하고 오케스트라 용품들을 공용으로 사용하는 것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시민의 자발적인 문화예술 향유의식이 증대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 고찰한 광주광역시 민간 오케스트라의 활성화는 지역민들이 함께 만들고 향유하는 지역문화예술 진흥이라는 명제를 이루어 나가는데 커다란 역할을 할 것이며 광주에서 추진되고 있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에도 일조할 수 있으리라고 확신한다.

      • 1인 가구 주거현황 및 만족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홍희숙 광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에서 거주하고 있는 2030세대를 대상으로 하여 1인 가구 주거실태와 주거환경 만족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2030세대 증가에 따른 삶의 질 향상과 주거환경 개선 방안에 있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5개구 중 원룸과 다세대 및 다가구 주택이 집중되어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2030세대의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주거환경 만족도에 대한 분석하였다. 또한, 광주광역시 1인가구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통계청 2005년부터 2020년까지 각 년도의 「인구주택총조사」를 활용하여 1인 가구의 증가 추이와 인구변화 증가 추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1인 가구의 주거실태현황을 보면 직업은 자영업자/서비스직, 대학/대학원생, 전문직/관리직이 많았으며, 학력은 대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은 150만원~200만원미만이었으며, 총자산은 1천만원~3천만원미만이 가장 많았다. 1인 가구 주거종류를 보면 대부분 오피스텔, 다세대/연립, 단독주택(다가구)에 거주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월세 또는 전세에 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거주규모는 30~50㎡미만(9평~15평)에 주로 살고 있었으며, 1인 가구의 주거비용은 20만원~50만원미만 가장 많았고, 1인 가구의 주거입지의 만족도는 그다지 높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희망하는 주거형태로는 전세로 거주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주규모는 30~66㎡(9~20평)정도이며, 주거비용은 10만원~30만원미만 정도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속성별 만족도 차이 분석결과 성별 만족도 직업별 만족도, 학력별 만족도, 총자산별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거주지별 차이는 전체 만족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사후 분석을 한 결과 광주대학교 인근, 조선대학교 인근 순으로 높았다. 연령별 만족도는 물리적 요인만 유의하였으며, 20세~25세 미만이 3.03로 가장 높았고, 사후분석 결과 유의한 결과가 없었다. 월평균 소득별 만족도는 물리적 요인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50만원~100만 원 미만이 3.0154로 가장 높았지만, 사후검정을 한 결과 유의하지 않았다.

      • 지역별 문화시설의 분포 및 규모에 관한 연구

        윤계영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는 경제가 발전되면서 삶의 질을 가늠하는 문화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국가의 경쟁력을 평가하는 척도가 기술과 물질에서 창조력과 상상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문화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양적․질적 측면에서 관련 문화정책이 점점 더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시와 건축과 관련된 이러한 문화정책의 대표적인 형태는 ‘문화도시’ 혹은 ‘문화중심도시’ 관련 정책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듯 세계의 많은 나라들은 도시의 활성화를 위해 각 국의 문화가치와 목적에 맞게 문화시설을 조성하며 문화도시로 변화를 준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국가정책으로 과거 예향이라고 알려진 광주광역시를 대상으로 아시아문화중심도시의 조성을 통해 광주시의 전체적인 발전과 함께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도시로의 변모를 시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문화시설이 타 지역에 비해 문화시설별로 어느 정도 구축되어 있으며 광주광역시 권역별로는 어떤 시설을 중심으로 조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새로운 문화시설 조성에 기초자료로 사용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시설 분류기준에 따라서 공연시설, 전시시설, 지역문화복지시설, 문화보급전수시설, 그리고 도서관 등 총 5개 부문으로 분류하고 이를 다시 12개 부문으로 세분하여 문화시설의 시설수 및 건축연면적과 인구수 대비 문화시설 건축연면적, 재정 대비 문화시설 건축연면적 등을 분석하였다. 지역별 문화시설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전국을 1개 특별시, 5개 광역시 그리고 8개 도 등 16개 행정구역으로 분류하였으며 광주광역시내 권역별 문화시설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동구, 서구, 남구, 북구, 그리고 광산구 등 5개 권역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1. 광주광역시에 조성된 문화시설의 수는 191개로 전국 4.726개의 5.5%이며, 건축연면적은 305,117 ㎡로 전국 17,212,978 ㎡의 1.77%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광주광역시 문화시설은 시설 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건축연면적이 1/3 정도로 매우 적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인구수대비 문화시설수는 1.85배로 많은 반면 건축연면적은 0.60배로 매우 적음을 알 수 있다. 2. 전국대비 광주광역시에 조성된 공연시설, 전시시설, 문화보급전수시설, 그리고 도서관의 시설수와 건축연면적을 살펴본 결과, 각각의 시설수는 평균값과 유사하였으나, 도서관의 건축연면적은 전국대비 2.2%로 크게 나타난 반면 그 외 시설의 건축연면적은 1% 정도로 매우 작게 나타났다. 3. 광주광역시에 조성된 문화시설의 인구대비 건축연면적을 살펴본 결과, 2,143.6㎡/만명 로 전국 3,588.4 ㎡/만명의 0.6배로 평균에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4. 광주광역시에 조성된 문화시설의 총예산대비 건축연면적을 살펴본 결과, 80,626.7 ㎡/원 으로 전국 85,578.3 ㎡/원의 0.9배로 평균 정도임을 알 수 있다. 5. 광주광역시의 문화시설을 시기별로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문화시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공연시설이 타시설에 비해 많이 건축되었으며 이중 상업적인 성격이 강한 영화관이 118개로 광주광역시 문화시설의 절반인 52.6%를 차지하고 있다. 영화관 시설수는 1993년 29개에서 2007년 118개로 4배의 증가를 보이며 성장하였으나, 건축연면적은 1993년 19,230㎡에서 2007년 27,071㎡로 1.4배 증가한 사실로 인해 영화관이 갈수록 소규모화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광주광역시 문화시설 중에서 도서관은 시설수가 1993년 22개에서 2007년 32개로 1.4배 증가하였지만, 건축연면적에서는 1993년 94,300㎡에서 2007년 233,680㎡로 2.4배 증가하고 있으며, 전체 문화시설의 연면적의 52.2%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6. 광주광역시의 문화시설을 권역별로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문화시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서구와 광산구의 문화시설이 타지역에 비해 많이 건축되었다. 이 중에서 종합공연장 및 일반공연장과 같은 순수 공연시설과 미술관, 박물관과 같은 전시시설은 동구와 북구에만 위치해 있다. 공연시설 중 영화관은 동구에서 서구와 광산구로 확장건축되는 추세이며 도서관은 대학도서관의 증축으로 인해서 남구에서 건축연면적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7. 또한, 광주광역시 문화시설의 건축 경향을 시기별, 권역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① 공연시설은 대부분 동구와 북구를 중심으로 위치해 있으나, 최근에 동구와 북구가 유동인구와 거주인구가 감소하고 서구의 상무지구, 광산구의 첨단지구 등 새로운 주거 및 행정 지역이 개발되면서 상업적인 성격이 강한 영화관이 신축되는 추세에 있다. ② 전시시설 역시 대부분 예술의 거리가 위치한 동구와 광주박물관, 비엔날레전시관, 시립미술관이 밀집되어 있는 북구를 중심으로 위치해 있으며, 동구는 예술의 거리를 중심으로 갤러리등이 계획되고, 북구는 용봉 문화벨트지역을 중심으로 편중되어 각종 전시시설이 신축되는 추세에 있다. ③ 지역문화복지시설은 초기에는 서구와 북구에 계획되었으나, 최근에는 광산구에 청소념시설이 건축되어 서구와 광산구를 중심으로 증가추세에 있다. ④ 문화보급전수시설은 초기에는 광산구에만 계획되었으나, 1995년 행정구역 개편에따라서 이중 일부가 남구로 편입되고, 서구에 빛고을국악전수관이 건축되면서 현재에는 광산구, 서구, 남구에 골고루 위치해 있음을 알 수 있다. ⑤ 도서관은 지역도서관의 경우, 동구와 북구에 건축되어 있으며 대학도서관의 경우, 권역별로 각각 1-2개씩 건립되어 있다. 최근 남구의 광주대학교와 송원대학교, 광산구의 호남대학교와 남부대학교의 도서관이 신축되면서 해당지역의 도서관의 건축연면적이 크게 증가하였다.

      •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 이용현황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박상균 광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많은 인구가 대도시로 유입되었으며, 대도시내 높아지는 인구밀도를 해소하기 위한 하나의 방책으로 한정된 토지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아파트라는 형태의 주거가 탄생하였다. 이러한 주거형태는 산업화를 더욱 촉진시켰고 산업화가 진전되면서 아파트도 함께 발전되어졌다. 우리나라의 경우 1962년에 최초로 단지형태의 마포아파트가 건설되면서 점차 아파트는 대량의 공급이 시작되었고 2000년 이후에는 아파트가 우리 삶의 주된 주거유형으로서 자리매김을 하였다. 2015년 인구주택 총 조사에 따르면 전체 주택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59.9% (981만호)로 절반이 넘는 비율을 차지하고, 김두희, "거주자 평가를 통한 브랜드 아파트 커뮤니티 시설에 관한 디자인 연구󰡒(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8.7.), p.1. 아파트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택유형으로 사회패러다임이 변하였고, 삶의 질에 대한 요구와 공동체 의식의 필요성에 대해서 대두되고 있다. 강희선, "지역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공임대아파트 커뮤니티시설의 계획 연구󰡒(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2016.7.), p.1. 특히 아파트가 도시민의 대표적인 주거형태로 자리 잡으면서, 주거환경의 단조로움, 주거유형의 획일화, 이웃과의 단절, 옥외공간의 부족 및 지역 커뮤니티 단절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삶의 질 저하와 이웃 간의 갈등 증가가 새로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김민정, "관계 중심적 아파트 커뮤니티 공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2017.1.), p.1. 이와 같은 아파트 주거단지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의 해결하고 획일화되어 가는 아파트 공동생활을 바꾸고, 주민들 간의 정보 교환의 장소, 교제를 위한 소통의 장소, 문화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문화공간의 장소로 이용할 수 있는 복합공간이 단지 내에 커뮤니티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 커뮤니티시설의 경우 집합주거 전체에 개성을 부여하고, 공동체로서의 이미지를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하고, 물리적인 환경의 제공뿐만 아니라, 도시거주자들의 건강한 커뮤니티 생활의 유도와 공동체를 활성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최영주. "아파트 거주자의 커뮤니티센터 시설 및 프로그램 만족도 : 광주광역시 아파트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2009.2.), p.2. 이와 같이 커뮤니티시설은 아파트 주거단지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의 해결점을 찾고, 주민들 간의 상호 교류의 장소로써 중요시되고 있다. 2013년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55조의 주민공동시설 총량제에 따라 지역특성 및 주민수요 등을 고려하고 융통성 있는 주민공동시설 계획 및 설치가 가능하도록 세부 설치면적 대신에 설치 총량면적을 제시하였다. 또한, 필수 시설에 대해서는 의무적으로 설치를 규정하고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지방자치단체 조례에 의무설치 시설의 종류와 면적을 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총량면적을 설정하되 150세대상∼300세대미만인 경우 어린이놀이터, 경로당, 300세대이상∼500세대미만인 경우 어린이놀이터, 경로당, 어린이집, 500세대이상 경로당, 어린이집, 어린이놀이터, 작은도서관, 주민운동시설을 설치하도록 법정 의무시설을 규정하여 그 시설의 가변성에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2000년대에 들어서 본격화된 공동주택 단지 내 커뮤니티센터시설이 200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커뮤니티 시설의 복합화·대형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런 시설의 계획 방향은 삶의 표면적인 질을 높이는 것에 크게 기여하고 있지만, 이웃 간의 소통과 교류를 바탕으로 하는 커뮤니티 자체의 활성화에는 그 한계점을 갖고 있다. 정희선,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아파트단지 내 커뮤니티시설 실내디자인 계획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2020.8.), p.2. 또한, 아파트 커뮤니티시설 경우 건설사 및 시행사의 분양에 대한 이점과 거주민들의 주거의 질을 높이고, 대부분 아파트의 보편적인 편의시설로 설치되었으나, 각 프로젝트별로 거주자의 구성, 금액, 입지 등의 조건들이 매우 상이하고, 커뮤니티 시설을 설치하는 생산 주체들의 설계방향에도 차이가 있어서 거주자들의 유대관계 증진으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명확한 해답은 형성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가 앞으로 특정 지역을 넘어서 대중화가 되거나 오히려 대중화 되지 못하고 커뮤니티센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 채 단순 시설 이용으로 남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아파트의 지역적 특성과 입주민의 특성에 따라 커뮤니티시설을 차별화하여 계획하는 성향을 보이고 있으나, 공동주택 보급의 최대 단점으로 꼽히는 공동체의 붕괴를 막기 위한 대안으로 마련되었던 커뮤니티센터의 순기능인 지역주민 간의 융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면 공동주택에 대한 좋지 않았던 의식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대규모 아파트단지를 선정하여 커뮤니티시설에 대한 이용현황 및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계획될 아파트의 커뮤니티시설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 초등미술교육에서 광주교육대학교 판화수업사례를 통한 손쉬운 색채표현학습방안 : 프로타주, 데칼코마니, 스펀지스탬핑, 실물찍기, 스텐실 등을 중심으로

        문여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초등미술교육현장에서 아이들에게 보다 풍부한 색채 감수성과 함께 폭넓은 색채 경험의 기회가 제공될 수 있도록 광주교대의 판화수업사례를 바탕으로 표현활동 중심의 색채학습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우선 여러 문헌을 통해 색채 교육에 관한 이론을 고찰하고, 현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총 26권의 초등미술교과서를 출판사별로 비교·분석하면서 색채표현학습에 대한 구체적 문제점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2019년부터 2020년까지 광주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박정환 교수의 ‘미술과 교육3’의 판화수업사례에서 실효성이 있는 색채학습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하여 초등학교에서 적용할 수 있는 색채표현학습의 방향과 실제적 방안을 손쉬운 판화활동 중심으로 새롭게 제시할 수 있었다. 즉 용어 중심적이고 지식 위주로 진행된 학습과정을 미술활동을 통한 탐색적 학습과정으로 개선하고자 ‘색채표현학습을 위한 학습과정’을 4단계의 큰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활동 과정이나 그 결과물을 통하여 색채를 탐색할 수 있도록 판화 활동별로 다양한 주제와 활동을 모색하고, 수준이나 상황에 맞게 변형 적용할 수 있는 16가지 주제별 색채표현학습방안을 개발하였다.

      • 老人의 社會參與를 위한 敬老堂 活性化 事業에 關한 硏究 : 광주광역시 서구를 중심으로

        조덕선 광주대학교 경상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23

        노인을 위한 사랑방으로 시작된 경로당은 1970년 말, 80년대에 확산되기 시작하여 2000년에는 전체 인구의 7%를 넘어서고 있다. 경로당은 노인들이 동년배들과 손쉽게 어울릴 수 있는 자연스런 모임의 장이고, 대화 및 취미, 오락, 정보교환을 통해 소외 및 고독에서 벗어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경로당의 문제점으로는 시설의 협소와 노후화, 운영경비의 부족, 프로그램 및 전문가의 미비, 지역사회와의 연계 결여, 전달체계의 문제 등이 지적되고 있다. 노년기의 긴 여가시간을 어떻게 보낼 것인가는 성공적인 노년을 결정하는 중요한 열쇠이다. 현재의 노인들은 경제적 안정, 건강 등이 여가보다 중요시되고 있으나 앞으로의 노인세대에게는 점점 더 노년기의 여가활동이 중요시 될 것이다. 그러므로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여 노인들이 적극적으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을 조성하고 이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하는 것은 우리 사회의 주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가장 보편화된 여가시설이자 생활공간인 경로당의 운영실태에 대해서 조사연구를 하였다. 경로당의 운영실태를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함에서 있어서 노인들의 사회참여 활성화를 위하여 어떻게 정책대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인가를 주된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광주광역시 그 중에서도 서구 지역사회를 연구의 지역적 범위로 한정하여 진행하였다. 조사연구에 필요한 자료의 수집은 문헌조사를 통한 선행연구와 광주광역시와 서구청 노인복지 관련부서의 내부자료를 많이 활용하였다. 나아가 서구청 관내에 소재하고 있는 경로당을 일부 현지 방문하여 경로당 운영책임자와 거기에 계시는 노인 분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광주광역시 서구관내 경로당 운영실태 조사에 의하여 120여 개의 경로당은 평균 27.72평 규모를 보이고 있고, 구청이 직영하는 곳은 29개소에 이르며, 1일 평균 이용규모는 경로당별로 차이는 있지만 적게는 20-30명에서 많게는 130여명에 이르고 있다. 한편 노인들이 집안 일과 건강이 좋지 않아서 경로당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도 많았다. 금전출납장부는 대부분 비치하고 있으나 그 이외에 경로당 일지는 거의 없었고, 경로당이 종래의 사랑방 기능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경로당 임원은 대부분 회원들의 투표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었는 바, 각 경로당 회장과 총무 등의 교육도 필요하다고 본다. 정부는 1992년부터 노인복지사업지침에 의거 시·군·구에 등록된 경로당에 일정액인 난방연료비와 운영비를 매월 정기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서구청의 2000년도 경로당 운영비 및 난방비 지원은 115개소에 개소당 운영비 11만원, 난방비 25만원이었다. 다만 정부보조금의 규모에 대해서는 대부분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대부분 경로당의 경우 정부의 보조금은 경로당 건물의 운영비에 부족한 실정이었다. 다양한 프로그램의 운영 등 경로당의 질적 향상을 위한 비용이 턱없이 모자람을 느끼고 있었다. 한편 경로당과 지역사회와의 연계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사회의 경로당에 대한 지원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명절 등 특별한 일정이 있을 때 부정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경로당 프로그램 운영 상황은 전체적으로 매우 취약했다. 즉 노인들은 주로 바둑·장기·화투나 라디오청취·TV시청으로 소일하고 있었다. 경로당에서 지역사회를 위한 사회봉사활동도 활발하지 못한 편이었다. 노인들은 저렴한 비용으로, 접근하기 쉬운 곳에서, 원하는 프로그램들은 이용할 수 있는 여가시설을 기대할 것이다. 경로당의 활성화를 위하여, 나아가 새로운 노인 여가 문화의 정립을 위하여 경로당 운영상의 문제점을 토대로 한 개선안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노인들 스스로의 자각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고, 어떻게 노년기를 긍정적으로 보람있게 지낼 수 있는 여가활동의 필요성, 여가활용방법 등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음으로 현 경로당의 불편한 시설이나 설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경로당에 대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 시급하며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고, 지역사회 또한 경로당 지원에 대하여 일정한 부분의 몫을 담당해야 할 것이며, 지원금도 경로당 운영책임자 등이 원래 제공 목적대로 사용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할 것이다. 또한 모범 경로당 시상제도를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행정기관이 지원해주는 재원에 의존하기 보다 경로당에서 재활용품 수집 등 자체 수익사업을 도모하는 것도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지역사회와 경로당을 연계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지역사회 내에서의 경로당의 존재의의와 필요성을 지역 주민들에게 알리고,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주민들의 공간으로서 경로당의 이미지를 쇄신해야한다. 학생들이나 동네 아파트 부녀회에서 적극적으로 경로당을 찾아 유대관계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오늘날 노인들은 여가활동에 대한 욕구를 강하게 나타내고 있으며, 프로그램에 있어서 단순한 취미, 오락활동만이 아니라 자신을 개발시키는 교양강좌나 문화적 활동, 봉사활동 등 다양한 것을 요구하고 있다. 경로당의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그 시설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경로당 프로그램은 노인복지회관과 같은 보다 큰 이용시설의 프로그램의 일부를 그대로 실시 할 수도 있고, 지역별로 몇 개씩 경로당을 통합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도 바람직 할 것이며, 모범노인정제도를 확대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것이고, 경로당의 사업과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경로당 사업법인"을 별개의 기관으로 설립 운영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법인에서는 전문가를 고용하여 경로당의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지도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노인들을 위한 실버 인터넷 교육, 경로당 운동기구 보급, 등으로 단순 소일 오락기능에서 탈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서구청에서 한것처럼 노인복지회관을 주체로 시범 경로당을 선정하여 각종 프로그램과 사업비를 지원함으로써 경로당 활성화에 기여할 수도 있을 것이다. As the life span increases and society is industrialized, urbanized and structured into nuclear families, the elderly undergo various problems. Unlike the past that the need for them was satisfied within a family, their activity becomes a critical social task outside family due to the change of the traditional family function. Thus, the elderly have experienced more and more poverty, disease, alienation and role loss. Since the introduction of local autonomy System, The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e elderly welfare has gradually increased. In addition, The elderly leisure program is being spread through various institutions, or broadcasting media. We can face to build senile people's pavilions, which are the most accessible for elderly, every corner of the country and the number of them is being increased day by day. However, in spite of the increasing rate, their function and role doesn's be met with the expected promotion of desire of the elderl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operation of senile people's and to suggest the activation of them. The scope of this study was concentrated on SeoGu District, KwangJu Metropolitan City. We are interested in 120 Senior Centers located in the region of SeoGu to find out how they are operated, especially programs, and We use Interview Technique as the Method of study. As the results of survey and interview of 120 pavilions located in SeoGu, the problems and solutions to those are as follows : First, it should be solved that senile people's pavilions are used by the lower rate, especially mainly by the lower middle class with lower living standard. Second,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facilities are mostly small or obsolete. So, the criteria of facilities should be made strict and instituted. Third, senile people's pavilions are financed currently by a combination of government subsidy, membership fees, community businessmen's donation and reserve money. However, due to small amount of government subsidy and irregular donations, the pavilion's financial condition is poor. Local goverment's subsidy for senior centers fails to meet their working expenses. but goverment continues to increases the number of senior center under this condition, which eventually decrease the effect of senior center operation. The government policy that emphasizes only increasing the number of senior center shall be reconsidered, it is also necessary to integrate smaller facilities and reinforce the standard of senior center facilities, and Senile people's pavilions' fiancial condition should be improved through the trial of senile people's pavilions' users for themselves as well as the expansion of community sponsorship. The elderly who use the senior centers must try to activate the facilities for themselves. Because the facilities will not develop, as long as they just want government or social group to do something for them. Therefore the Senior centers ought to develop various income programs such as collecting and sailing of recycling products, cultivating of idle land etc. Fourth, senile people's pavilions are specialized by each program. Volunteer service or use of common workshop is done very poorly. The most leisure time of the elderly is spent in playing Baduk, chess or flower card or watching TV with no specific program, and The senior center just plays a role as a reception room for the elderly without meeting their need for leisure.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antonomous bodies have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the elderly welfare hall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progarm that is not available for each senior center and fostering expert personnel for elderly welfare. Especially in the age of the Informatization Society of 21th Century, The Aged need to adapt to Compuer based Internet Program. Finally, for these solution, senile people's pavilions should reinforce the relation to community in many respects. Furthemore, if the network among institutions or groups in community is shaped, a senile people's pavilion can function as a complex for the welfare of the elderly.

      • 父子家庭 子女의 生活狀態 및 福祉欲求에 關한 硏究 : 光州廣域市 低所得 父子家庭 靑少年中心으로

        정윤남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23

        가정은 유아는 물론 청소년의 성장발달에 영향을 주는 기본적인 집단이며 인지적ㆍ정서적ㆍ사회적ㆍ신체적인 면에서 지대한 영향을 주며, 가정의 구성원이나 부모의 사회 경제적 지위는 청소년들의 학업성적이나 행동발달에 큰 영향을 준다. 그런데 가정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어머니가 없는 부자가정의 문제는 매우 심각한 처지에 놓여 있다. 부자가정 자녀들은 열악한 가정환경과 어머니가 안 계심으로 가사까지 분담해야하는 부담이 있고, 동일시의 부재로 인해 인격형성과 정서적 불안정을 초래하였고 사춘기에 있는 청소년들이 이성문제로 고민이 있을 때 주로 아버지, 형제자매(조부모 등)와 의논한다지만, 청소년들이 혼자서 해결한다는 응답도 19.2%이었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5개 구청 저소득 부자가정 재가보호대상자 가정 중에서 청소년이 있는 부자가정 자녀들의 생활상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들의 복지욕구가 무엇인지 파악하여 정부차원의 지원방안과 대책을 모색하는데 있다. 광주광역시 저소득 부자가정 재가보호대상 169가정 중에 청소년이 있는 66가정 6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응답자 56명중에 설문응답이 불성실한 4명을 제외한 52명을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수집된 자료를 계량한 후 SPSS/PC+를 사용 처리하여 빈도측정과 교차분석을 하였다. 부자가정과 그 청소년들로부터 나타난 문제점과 복지욕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부자가정의 부의 학력은 대부분 고졸이하였고, 직업은 단순노무직이 절반이상이었으며, 부의 학력과 부의 직업에는 유의한 차가 있었으며, 부자가정이 된 기간은 6.4년이었다. 2. 부자가정이 된 이유는 부모의 사별(22.6%)보다 생별(77.4%)이 3배 이상 많았다. 3. 부자가정 청소년의 가정생활은 가사분담의 부담이 있었고, 용돈이 매우 적었고, 그 사용 처는 주로 학용품과 생활용품에 사용하고 있었다. 4. 아버지로부터 매 맞아 본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67.3%이었고 그 이유는 본인의 잘못 때문이라고 대부분 인정하고 있었다. 5. 장래비전(희망)은 매우 밝아 보였고, 최종 학교목표도 전문대이상이 3분의 2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비행에 관련해서는 87.2%가 '거의 없다'고 하였다. 6. 자원봉사자 필요 유ㆍ무에서는 '불필요하다'가 '필요하다'보다 3배로 많았다. 7. 복지욕구는 생계비지원과 학자금 지원이 전체 70%이상이었고, 복지관 이용은 활발하지 못했다. 상기와 같이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은, 첫째, 빈곤가정이 파괴되지 않도록 빈곤가정에 대한 빈곤대책으로 고용기회확대와 융자제도를 구축해야 한다. 둘재, 이미 해체된 부자가정에 대해서는 생활보호 대상 우선 가구주로 배려와 이에 상응한 복지조치가 되어야 한다. 셋째, 모자가정중심 여성복지정책에 편승하여 부자가정을 지원하고 있는 현 정책에 「부자가정복지 법」을 제정하여 모ㆍ부자 가정을 동등한 위치에서 지원해야 한다. 넷째, 정부와 민간사회복지 재단과 협력하여 부자가정 청소년들에 대한 사회복지 전문요원과 연계 구축하여 사회복지 프로그램에 의한 다양한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부자가정 '부'모임이나 가족상담원 설치, 부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부가가사와 자녀양육 등 모의 역할을 익숙하게 대처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The family is the basic group that influences on children's and teenagers' growth and development and greatly influences on their recognitive, emotional, and physical aspects. And the members of the familiy and parents' economic conditions greatly influence on teenagers' scholar and activity development. Therefore the father-children family without the mother who plays a central role on the family are be in big danger. The father-children family's children lie in inferior family circumstances, are loaded with household affairs and have emotional instability, there not being mother. When the teenagers at puberty of the father-children family's are worried about the other sex problem, they mainly consult with brothers and sisters (and grandparents), but 19.2% of them solve it for themselves. This study is to catch hold of living condition and problems of the low income father-children family's children belonging to 5 district offices of Gwangju City, to understand what their welfare needs are, and to explore the support ways of the government level and countermeasures. After making up questionnaries for the 66 persons of the 66 families with teenagers of the 169 low income father children families in Gwangju, the 52 persons except the four persons answering unsincerely of the total 56 respondent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method was : first, measuring the collected data, second, using and managing SPSS/PS, third, measuring frequency and analyzing with cross. Summarizing the problems and the welfare needs of the father-children families and their teenagers were : 1. Most father's scholastic ability of the father-children family was mainly under high school graduating and over the half of them were simple labourers. That is, there was notable difference between father's scholastic ability and their jobs. 2. As the cause of the father-children family occuring, parents' living seperation(77.4%) was three times as high as seperation by death. 3. The father-children family's children were loaded with household affairs and used quite a little pocket money and even used the pocket money for school things and neccessities. 4. The 67.3% of the teenagers had been hit by their fathers and most of them recognized that the reason they suffered a whip was from their fualts. 5. Their hopes for the future looked bright and over two thirds of them aimed at over junior colleges and 87.2% of them were little concerned with misdeeds. 6. In needing volunteering helpers, they said "No" three times as much as "Yes". 7. In needing welfare, over 70% of them wanted living cost support and school expense support, but little walfare facilities using. The counter measures for solving the problems above are : First, enlarging employment chance and establishing loan system that the poor families may not be destructed. Second, considering the father-children family that had already been taken to pieces as above everything families of livelihood protection and taking appropriate welfare steps for them. Third, instead of the present policy of supporting the father-children family taking advantage of the women's welfare police focusing on the mother-children family, supporting the mother and the father-children family equally as establishing "Father-Children Family welfare Law". Fourth, with the government and private social welfare foundations cooperating with the experts of social welfare, providing various social welfare services for the father-children family's teenagers according to the social welfare program. Fifth, making the fathers proficiently cope with their roles such as household affairs and bringing up hildren and so on through "Fathers" meeting of the father-children family or the depostion of the family counselors or the program for the fathers.

      • 창업보육사업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노재형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23

        IMF의 경제관리라는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정부의 정책방향이 대기업 위주의 수출지향정책방향에서 중소·벤처기업 육성정책으로 바뀌고 있다. 정부는 이중벤처기업에 대한 지원시책으로 벤처기업에게 직접금융의 활성화, 기술인력공급 및 입지공급의 원활화 등의 적극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이에 대한 일환으로 정부의 각 부서 및 지방자치단체 등이 각각의 특징과 성격에 맞추어 창업보육센터를 설립하여 지원하고 있다. 창업보육사업이란 새로이 창업하여 자생력이 미약한 중소기업을 입주시켜 도와주는 사업이다. 창업보육사업은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들이 벤처기업의 창업 및 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가장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로는 기술혁신 결과의 촉진 및 신산업창출, 고용창출 등을 통한 세수증대 등 지방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중심 발전방식의 중요한 수단으로 창업보육사업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많은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지방자치단체인 광주광역시의 창업보육사업에 대한 지원은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업보육사업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 미약한 원인으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로, 지역의 중점현안사업에 대한 과대 투자사업비 책정을 제시하였고 둘째로, 광주광역시의 빈약한 제정자립도를 제시하였으며 셋째로, 정책담당자의 중요성 인식부족으로 인한 투자우선순위 하위배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두 가지 측면으로 제시하였는데 첫째는 인식제고의 측면으로 창업보육사업에 대한 투자우선순위 상위 배정을 제시하였고 둘째는, 제도적 측면으로 자금지원의 적극화와 민관 「파트너쉽」강화, 벤처육성 종합관리센터의 설치 촉구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개선방안을 통해 창업보육사업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 강화된다면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편백 혼합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선호도에 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김혜림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사용)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의 향을 이용한 뷰티 관광 상품 개발을 위해 지역민의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인식과 편백 에센셜 오일을 포함한 가지 아로마 에센셜 6 오일의 향 선호도를 파악하고 감성 요인을 이용한 지역 이미지 분석을 통해 광, 주광역시의 관광 상품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광주광역시 지역민 중 세 이상의 성인 중 신체 건강한 자를 대상으로 편입 20 표본 수집하였으며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 설문조사를 실, 2023 10 06 2023 10 26 시하였다 설문조사 장소는 광주광역시 내의 지하철역 광주여자대학교 광주광역. , , 시 지역 내의 사회복지관 등에서 직접 대면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아로마 에센셜 오일 인식에서는 아로마 향 경험 여부와 식물의 , 10 순수 정유 인지 여부 아로마 에센셜 오일 사용 경험 여부 아로마 에센셜 0% , , 오일 사용 주기에서 성별과 직업에 따라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감성 요인을 . 이용한 광주와 어울리는 향기 이미지에 대한 인식에서는 전반적으로 향기 요소‘ ’ 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강도 요소 느낌 요소 순으(M=3.66) , ‘ ’(M=3.52), ‘ ’(M=3.49) 로 나타났으며 지역민의 광주와 어울리는 향기 이미지에 대한 인식은 평균 , 3.56 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라 느낌 요소의 차분하다 강도 요소의 . , ‘ ’, 은은하다 경쾌하다 부드럽다 향기 요소의 꽃향기가 난다 물 바다 향기가 ‘ ’, ‘ ’, ‘ ’, ‘ ’, ‘ / 난다 달콤하다 에 대해서 직업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요소 ’, ‘ ’ , ,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정 의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로마 에(+) . 센셜 오일의 향기 선호도 조사에서 단일 향은 번 레몬 이 가장 높게 ‘1 ( )’(M=3.88) 나타났고 번 자스민 번 제라늄 번 라벤더, ‘6 ( )’(M=3.26), ‘5 ( )’(M=3.25), ‘3 ( )’(M=2.83), ‘7 번 편백 번 카모마일 로만 번 카모마일 저먼( )’(M=2.74), ‘2 ( )’(M=2.26), ‘4 ( )’(M=2.09) 순으로 나타났으며 단일 향에 대한 평균 선호도는 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2.90 . , 혼합 향에 있어서 번 레몬 편백 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번 라벤더‘1 ( + )’(M=3.32) , ‘3 ( + 편백 번 자스민 편백 번 제라늄 편팩 번 카)’(M=3.25), ‘6 ( + )’(M=3.15), ‘5 ( + )’(M=3.13), ‘2 ( 모마일 로만 편백 번 카모마일 저먼 편백 순으로 나타났+ )’(M=3.07), ‘4 ( + )’(M=2.96) 으며 혼합 향에 대한 평균 선호도는 점으로 나타났다 그 외 번 제라늄 편, 3.15 . 5 ( + 백 과 번 자스민 편백 향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6 ( + ) .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역민의 아로마 에센셜 오일 인식도 조사를 통한 지식 정도와 경험 유무 감성 요인을 이용한 지역 이미지를 이용하여 향을 이용한 뷰, 티 상품의 마케팅에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편백과 가지 아로마 에센셜 . , 6 오일의 선호도 조사는 남부지방에 식재하고 있는 천연자원인 편백나무의 이용을 증진하여 지역 관광 상품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 경제 . 활성화와 뷰티 산업 발전을 위한 방안 중 관광 산업은 꾸준히 주목받고 있는 산 업이다 건강과 환경을 중요시하는 현대인들에게 천연자원을 이용한 지역 관광 . 상품 개발 연구는 더욱 다양하게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develop beauty tourism products using the fragrance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aims to ascertain the local residents' awareness and preference of six aromas of essential oils, including cypress. Among the resident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physically healthy individuals aged 20 or older, an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06, 2023, through October 26, 2023. The face-to-face surveys were conducted at subway stations in Gwangju, Gwangju Women's University, and social welfare centers in Gwangju. Meaningful results were found depending on gender and occupation in aroma essential oil recognition in 100% pure essential oil recognition of plants, experience with aroma essential oils, and cycle of aroma essential oil use. Overall, "fragrance factor" (M=3.66) was the highest in terms of scent image matching Gwangju using emotional factors, followed by "strength factor" (M=3.52) and "feeling factor" (M=3.49), and the local residents' perception of scent image matching Gwangju averaged 3.56.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depending on occupation and gender in terms of "calm", "light", "soft", "scent of flowers", "water/sea", and "sweet", and all correlations between the factors are found to be positive (+). In the aroma essential oil scent preference survey, 'Lemon' (M=3.88) was the highest, followed by 'Jasmine' (M=3.26), 'Geranium' (M=3.25), 'Lavender' (M=2.83), '7 (cypress)' (M=2.74), '2 (chamomile roman)' (M=2.26), and '4 (camomile german)' (M=2). As for mixed scents, 'No. 1 (lemon + cypress)' (M=3.32) was the highest, followed by 'No. 3 (lavender + cypress)' (M=3.25), 'No. 6 (jasmine + cypress)' (M=3.15), 'No. 5 (geranium + cypress' (M=3.13), 'No. 2 (camomile roman + cypress)' (M=3.07) and 'No. 4 (camomile German + cinoki)' (M=2.96).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in the scents of No. 5 (geranium + cypress) and No. 6 (jasmine + cypres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data for marketing beauty products using fragrances utilizing local images using knowledge, experience, and emotional factors through the aroma of essential oils. In addition, the preference survey for cypress and six kinds of aroma essential oils is expected to promote the use of cypress, a natural resource in the southern region, and provide basic data for local tourism product development. Among measures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develop the beauty industry, the tourism industry is steadily attracting attention. For modern people who value health and the environment,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local tourism products using natural resources needs to be explored more divers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