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평생교육 참여자의 평생교육사 자질에 관한 기대수준 연구

        이범형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the purpose to contribute to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lifelong educator training program by classifying the lifelong educators' qualification through their roles like planning, processing, analysis, evaluation and teaching activities which were described in the present "Lifelong Education Law",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participants' expectation level about this. Firstly, after searching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the lifelong educators' qualification and competence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relevant pilot study was considered. Next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targeting the participants in the educational program organized by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3 universities within the Gyeonggi-province in April, 2014 and the learners who have passed the program in the past 6 months. And then the statistics process was taken. For the statistics process the Simple Frequency Analysis and Crossover Analysis were used in accordance with responden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SPSS Windows Ver. 21, and t-Test, one way ANOVAS(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expectation level of lifelong educators' qualification. The research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is following; Fir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awareness of the lifelong educators' qualif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gram participants' personal background, female by gender, married person by marital status and 60~69 ages by age have higher awareness level of the lifelong educators' qualification in the fields of the planning.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awareness of the lifelong educators' qualif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gram participants' personal background, female by gender, married person by marital status, 40~49 ages by age and the respondents with over 3 years of the program participation experience have higher awareness level of the lifelong educators' qualification in the fields of the processing.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awareness of the lifelong educators' qualif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gram participants' personal background, married person by marital status, vocational college graduates by educational background and respondents with over 6 months~1 year of the program participation experience have higher awareness level of the lifelong educators' qualification in the fields of the analysis. Four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awareness of the lifelong educators' qualif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gram participants' personal background, married person by marital status, vocational college graduates by educational background and respondents with over 6 months ~ 1 year of the program participation experience have higher awareness level of the lifelong educators' qualification in the fields of the evaluation. Fif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awareness of the lifelong educators' qualif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gram participants' personal background, female by gender and married person by marital status have higher awareness level of the lifelong educators' qualification in the fields of the teaching activities.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results we have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ly, the high age group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participants has higher expectation level for the planning, processing and teaching activities than analysis and evaluation. In future this is could be helpful to organize the educational program of the training course for the lifelong educators. Secondly, the participants with the longer participation period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have higher interest in the fields of processing,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program. Therefore, we should not overlook the fact that the participants with the longer study term have higher interest in the general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Thirdly, there are not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bove 5 fun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participa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average monthly inco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et the lifelong educators who are responsible for practicing the lifelong education understand their position and pay attention to the requests by the learners taking part in the present program. Together with such conclusion and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earch results, we would like to propose as following; The role and qualification development for the lifelong educators who have responsibility for the lifelong education became the main task, as the state-led policy projects on the lifelong education are expanding together with the coming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Therefore, the professional lifelong educators should be educated nationally, through which the competent lifelong educators should be assigned in order to plan, process, analyze, evaluate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to play the role as a trainer at the same time. Besides the lifelong educators should devote constant effort to pursue their studies, too. 본 연구는 현행 『평생교육법』에 제시되어 있는 평생교육사의 역할인 기획, 진행, 분석, 평가 및 교수활동으로 평생교육사의 자질을 구분하고, 이에 대한 평생교육 참여자들의 기대수준을 조사ㆍ분석함으로써 평생교육사 양성 프로그램 편성과 운영에 기여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평생교육 참여자의 특성, 평생교육사의 자질과 역량을 살펴본 후에, 관련 선행연구물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2014년 4월 현재 경기도 관내 3개 대학교의 부설 평생교육원에서 운영하는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수강생들과 최근 6개월 이내에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통계처리를 하였다. 통계처리방법은 SPSS Windows Ver. 21을 이용하여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단순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하였고, 평생교육사의 자질에 대한 기대수준을 분석하기 위해서 독립표본의 t-Test와 one-way ANOVAS(일원변량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획 분야의 평생교육사 자질을 높게 인식한 응답자는 30세에서 69세의 기혼 여성으로 나타났고, 진행 분야의 자질을 높게 인식한 응답자는 40세에서 49세의 기혼 여성이면서 현재 프로그램 참여기간이 3년 이상인 자였다. 둘째, 분석 분야의 평생교육사 자질을 높게 인식한 응답자는 전문대학을 졸업한 기혼자로서 현재 프로그램 참여기간이 6개월~1년 미만인 자로 나타났으며, 평가 분야의 자질을 높게 인식한 응답자는 전문대학을 졸업한 기혼자로서 현재 프로그램 참여기간이 6개월~1년 미만인 자였다. 셋째, 2009년 개정된 평생교육법에서 평생교육사의 역할로 추가된 교수 분야의 평생교육사 자질을 높게 인식한 응답자는 기혼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높은 연령층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평생교육사의 기획, 진행 그리고 교수역할에 대한 기대수준이 분석과 평가기능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향후 평생교육사 양성과정의 교육과정을 편성하는 작업에 참고가 될 만하다.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기간이 길수록 프로그램의 진행, 분석 그리고 평가역할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랜 기간 동안 학습에 참여할수록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편성 및 운영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간과하지 말아야 함을 알려준다. 셋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학력이나 월 평균수입이 평생교육사의 5대 기능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점으로 미루어 보아, 평생교육의 실천을 책임지고 있는 평생교육사로 하여금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생략) 현재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들의 요구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상의 결론과 더불어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평생학습사회의 도래와 함께 국가 주도의 평생교육 정책사업이 확대됨에 따라 평생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평생교육사의 역할과 자질함양은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국가적인 차원에서 전문성을 지닌 평생교육사를 양성함으로써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기획, 진행, 분석, 평가하는 동시에 교수자의 역할까지도 수행하는 능력 있는 평생교육사가 배치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평생교육사들 역시 부단한 자기연찬을 위한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 부모와 보육교사의 성역할 태도에 따른 영·유아기 양성평등교육에 관한 연구

        윤미순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영·유아기 부모와 보육교사의 성역할 태도와 양성평등교육에 관한 부모와 보육교사의 차이를 알아보고, 부모와 보육교사의 성역할 태도가 양성평등교육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영·유아기 성역할 태도 및 양성평등교육에 있어서 부모 및 보육교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바람직한 양성평등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부모와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성역할 태도와 양성평등교육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부모와 보육교사의 성역할 태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부모와 보육교사의 양성평등교육에는 차이가 있는가? 넷째, 부모와 보육교사의 성역할 태도와 양성평등 교육 간에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유아 부모 및 보육교사 중 부모 179명, 보육교사 17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응답자의 일반적인 사항을 묻는 문항과 성역할 태도 및 양성평등교육 실태에 관한 설문지로 구성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 / windows for 16.0 program을 통한 통계처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배경에 따른 부모와 보육교사의 성역할 태도와 양성평등교육에 관한 연구결과 부모인 경우 전문기술직을 가진 부모가 성역할 태도와 양성평등교육에 있어서 양성성 성역할 태도와 양성평등교육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인 경우 권위, 기회에 있어서는 미혼이 기혼보다 양성성 성역할 태도를 보였으며, 학력에서는 고정관념에 있어서 대학원졸 이상이 가장 양성성 성역할 태도 및 양성평등교육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사기관에서는 국공립에 종사하는 보육교사가 권위, 성별분업, 전체성역할에서 가장 양성성 성역할 태도 및 양성평등교육을 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둘째, 부모와 보육교사가 모두 평균적으로 바람직한 성역할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성역할태도 총점이 부모의 성역할 태도 총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부모와 보육교사 모두 바람직한 양성평등교육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시간 영·유아를 돌보고 교육 하는 보육교사가 더 양성평등교육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와 보육교사의 성역할태도와 양성평등교육은 집단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부모와 보육교사의 성역할태도가 양성성일수록 실제 가정에서나 교육현장에서 양성평등 교육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가정 및 보육시설은 교육 및 연수회 참여를 통해 양성성 성역할 태도 및 바람직한 양성평등교육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정부 또한 보육시설의 보육과정에서 운영 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분석과 성차별적, 성 고정 관념에 입각한 기존의 자료에 대한 수정 보완 작업이 이루어져 보급하는데 앞장서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or daycare workers) on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for infancy/toddlerhood, to emphasize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role after reviewing the relationship of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and also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about proper performance of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There are four objectives in this study. At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according to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background. At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gender role attitudes? At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At fourth,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79 parents and 171 health care providers who responded surveys at Daycare Centres in Goyang-si, Gyeonggi-do, Korea. Research tool consists of surveillance studies by participants on general questionnaires and realities of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All data were analyzed by SPSS / windows for 16.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t first, the research results on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according to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background show that parents who have professional career seem to give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more than unprofessional career parents to their children. Single health care providers appear to perform gender role attitudes more than married health care providers. In terms of stereotypes based on academic background, postgraduates have strongly performed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Among the daycare centres, health care providers at national daycare centres appear to have the most positive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regarding prestige, gender division of labor, and unity role. At second, all of participants on average seems to have desirable gender role attitudes, but total score of health care providers is higher than that of parents. At third, both of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appear to have desirable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However, long-time care workers such as health care providers have performe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to the children more than parents. At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depending on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For example, the more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have positive mind on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the more they achieve the education of gender equality. Based on those results,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should attend training sessions as well as conferences to achieve desirable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The Government should perform the analysis of supportive materials such as on-line multi-media education based on a systematic curriculum. Also, it should play an crucial role as a hub for distributing and redesigning supportive models for gender equality by modifying information related to gender discrimination and sexual stereotype.

      •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성인 영어교육 활성화 방안

        김정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To explore direction that the adult English education will need to advance, with judging that the adult English education needs to be re-illuminated in the aspect of lifelong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and analyze the needs for English education centering on adult learners at the university-attach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and is to seek for a plan of vitalizing the adult English education of the university-attach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through considering adult learners' characteristic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guidance strategy.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it examined 6 kinds of learners' demand variables in the needs for participation, recognition of necessity, English-learning motivation, English-learning strategy, institution, teacher․instructor, targeting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 in English education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attached to university where is located in Gyeonggi-do Province.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given examining learners' demand level, the high demand level was shown in items for ‘taking part in English education often,’ ‘thinking that anyone needs to learn English, which is the official language in international society,’ ‘desiring to be get closer to people in the English cultural area,’ ‘thinking that the instruction of reading loudly for adult learners is the effective English learning strategy,’ ‘seeing that it is proper for the demand and supply of native-speaker professors and teachers․instructors to reinforce the quality of adult English education,’ and ‘seeing that the education with intimacy between learners and teachers․instructors is being progressed in adult English education, which is progressed now.’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learners' need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female attendees were indicated to have higher demand level for language learning motivation, English learning strategy, institution, teacher and instructor, than male attendees. Also, according to learners' age, the demand for learning strategy, institution, and teacher ․ instructor was indicated to be higher in the older age level. According to med tal status, the medried were indicated to have higher demand for teacher ․ instructor than the unmedried. According to level of taking lesson, the demand for participation can be known to be indicated more highly in the higher level of taking lesson. Accordingly, the whole learners' demand level for university-attach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can be known to be higher in female attendees than male attendees. To be vitalized the adult English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re is necessity for establishing sustainable English program over the whole life in line with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society, to train excellent teaching staffs, and for establishing an educational system suitable for this. Thus, it will need to be the university-attach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which arranges a place of qualitative foundation in English education. 본 연구는 평생교육 측면에서 성인 영어교육이 재조명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성인 영어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하고자 대학부설평생교육원의 성인학습자를 중심으로 영어교육에 대한 요구를 조사 분석하고, 성인학습자의 특성, 학습동기, 학습지도전략 고찰을 통해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성인영어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영어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참여, 필요성 인식, 영어 학습동기, 영어 학습전략, 기관, 교사․강사에 대한 요구의 6가지 학습자의 요구 변인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습자의 요구 수준을 살펴보면 ‘영어교육에 자주 참여하고 있다’, ‘국제사회의 공용어인 영어를 누구나 배워야 한다고 생각 한다’, ‘영어 문화권 사람들과 친해지고 싶다’, ‘성인학습자에게 소리 내어 읽기 수업은 효과적인 영어 학습전략이라 생각 한다’, ‘성인영어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원어민 교수 및 교․강사 수급이 적절하다고 본다’, ‘현재 진행되는 성인영어교육에서 학습자와 교․강사간의 친밀도 있는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항목에서 높은 요구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학습자의 요구를 살펴본 결과, 학습자의 성별에 따라서는 여자 수강생이 남자 수강생보다 영어 학습동기, 영어 학습전략, 기관, 교사 및 강사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의 연령에 따라서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영어 학습전략, 기관, 교사․강사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고, 혼인 여부에 따라서는 기혼이 미혼보다 교사․강사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수강레벨에 따라서는 수강레벨이 높을수록 참여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 대한 전반적인 학습자의 요구도는 여자 수강생이 남자 수강생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성인 영어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급변하는 국제사회에 걸맞게 전 생애에 걸쳐 지속가능한 영어 프로그램의 확립, 우수한 교원의 양성과 이에 알맞은 교육 체제의 확립을 통해 영어교육의 질적 토대의 장을 마련하는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이 되어야 할 것이다.

      •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의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 경기도 내 10개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재묵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의 역할수행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및 개선점을 탐색하여 평생교육원 운영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법과 문헌연구를 병행하였다. 우선,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수강하고 있는 16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하여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개설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의견을 수합하였다. 다음으로, 경기도 내 10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개설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김진화 외 3인(2010)에 의해 제시된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6대 영역-학력보완교육, 성인기초ㆍ문자해득교육, 직업능력향상교육, 인문교양교육, 문화예술교육, 시민참여교육-으로 분류하여 각 영역별로 고르게 개설되었는지를 비교해 보았다. 개설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설문결과와 프로그램 개설 상황에 대한 자료의 처리는 실태조사 차원에서 빈도수와 백분율 그리고 순위를 확인하는 수준의 기술통계로만 정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논의할 수 있다. 첫째, 대학부설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개설 프로그램에 대해 내린 평가는 비교적 긍정적이었다.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주된 목적이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추는 것이라는 반응과 함께 프로그램 참여자 10명 중 7명 정도가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개설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평생교육 6대 영역과 연계시켜 볼 때에 특정영역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평생학습자들은 매우 만족하고 있었다. 경기도 내 소재 10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개설하고 있는 368강좌를 분류한 결과 ‘직업능력교육’과 관련한 프로그램이 151개(41.0%)로 가장 많은 반면, 가장 적게 개설되는 영역은 ‘시민참여교육’(1개-0.3%)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의 제역할 수행 여부를 점검하는 것이며, 프로그램의 편중된 개설 부문에서는 다소 부정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는 반면, 평생학습 참여자들에게는 만족감을 주고 있어서 제기능을 다하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 프로그램은 전문성과 함께 더욱 개방된 열린 교육공간으로서의 이미지를 통해 지역 주민들과 어울려 평생학습사회를 선도하는 교육기관이 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actice of the role of the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and from the result probe the problems and possible solutions, so that we can find out the ways to activate running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research method used are questionnaire and bibliography. First,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62 students in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to collect the opinions about the programs established by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affiliated to universities. Second, the programs established by 10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compared to find out whether the establishment ranges evenly in 6 educational aspects: scholarly attainments, adults' basic and literacy comprehension, job-related improvement, humane studies, culture and art, and civil participation. All the data from the questionnaire and the situation in the program establishment are used only for fact-finding and as technological statistics to identify the frequency, percentage, and ranking. The research result can be discussed in two aspects. First, the evaluation about those established programs is relatively positive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affiliated to universities. They respond that the main purpose of taking part in those programs is to be equipped with the qualifications for social activities. In fact, 7 out of 10 show the response of satisfaction. Second, relating to 6 aspects of lifelong education, the programs established by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affiliated to universities are disproportionate to some specific aspects, but the participating learners are highly satisfied. Out of 368 programs established by 10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yung-gi province, 151(41.0%) programs are related to ‘job-related improvement’ while only 1(0.3%) program is about ‘civil participa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actice of diverse roles in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affiliated to universities. Though it is somewhat negative in that the programs are disproportionate to specific aspects, the conclusion is reached to be positive since the programs provide participants with satisfaction. Therefore, the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the leading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lifelong learning society, with the involvement of local residents, through the image of open educational institution charged with professionalism.

      •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에 관한 연구 : 신규 기간제 교사를 중심으로

        양승기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신규 기간제 특수학급교사의 교직적응 상황을 자세히 파악하여 명시하고 각각의 교직적응 영역에서 발견되는 문제를 기술하고 문제를 해결해가는 교직적응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신규 기간제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현황에서 나타나는 교직적응의문제점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학교 신규 기간제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을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신규 기간제 특수교사의 교직적응 현황의 문제점과 적응방안을 위해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심층면담의 완성도를 높이고 연구의 체계를 갖추기 위하여 심층면담 전에 질문을 연구대상에게 미리 전달하였다. 심층면담을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과 같이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의 특수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신규 기간제 특수교사 중 교육경력 3년 미만 5명에게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크게 교직적응영역의 문제점과 교직적응 방안으로 구분된다. 다음은 교직적응영역의 문제점이다. 첫째, 교육과정 운영자역할에 대한 문제점이다. 특수학급 운영계획에 대한 이해의 부족과 작성의 어려움, 교육실천에 있어 학부모의 비정기적이고 과도한 참여로 겪는 어려움, 법정정원 이상의 과밀학급의 비 규칙적인 교육 시간 운영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개별화교육프로그램(IEP :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을 운영하면서 비 통일된 서식과 작성방법 그리고 특수학급 교육과정과 개별화교육프로그램에 적합한 교재․교구 및 참고서적 선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통합교육을 운영하면서 신규 기간제 특수교사들은 장애이해수업의 실시를 위한 학교 관리자와 통합학급 교사와의 협력과 지원에서의 어려움, 학기중간에 특수학급을 맡으면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장애이해수업을 해야 하는 어려움, 다양한 형태의 장애이해수업을 할 수 없는 학교일정과 풍토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둘째, 특수학급 경영자역할에 대한 문제점이다. 특수학급 경영 업무외의 다른 업무를 하거나 추가 입급 관련 문제, 학생 특성에 따른 교육실천과 교육적용의 범위 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인적․물적자원을 경영하면서는 학급경영에 지나치게 참여하는 보조원으로 인해, 통합교육의 실천을 막고 있는 통합반 교사와 행정실직원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셋째, 인간관계역할에 대한 문제점이다. 관리자와의 인간관계에서 참여하지 않고 특수학급을 전적으로 맡기는 방임형 관리자, 연가사용에 있어서 특히 조퇴 신청에서의 어려움, 출신대학별 차별을 두는 관리자의 모습, 방학 중 근무 및 관리자와의 불공정한 계약으로 호봉승격과 퇴직금수령에 제한을 받는 문제가 있었다. 동료교사․행정실직원․보조원과의 인간관계에서 특수교사는 특수학급과 특수교육지원팀을 실질적으로 운영하면서 관리하거나 협력을 구하고 소통하여야 할 인원이 너무 많았고 그들로부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일반 교사들은 특수교사의 업무태도를 오해하고 잡무 처리를 부탁하고 있었고 일부 통합학급 교사들은 특수교육대상아동들을 자신의 학생으로 생각하고 있지 않거나 시험성적에 포함 되지 않으니 시험당일 배제는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특수교사의 지원을 부담스러워 하기도 하고 연수나 대학원에서 특수교육을 경험한 원반 선생님은 장애에 대한 이해가 더 부족하거나 특수교육의 위험한 전문가처럼 자신의 주장을 강하게 드러내 보이기도 했다. 더 큰 어려움은 기간제 특수교사의 가장 든든한 지원자인 정식 특수교사 중에는 명령, 지시, 감독을 하여 누구보다도 기간제 특수교사를 힘들게 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특수교사와 함께 근무하는 보조원은 특수교사처럼 근무하고 학부모를 상담하는 등의 자격외의 행동을 보이기도 하였다. 특히, 행정실 직원들은 업무처리가 생소하여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신규 기간제 특수교사를 하대하며 교사로서의 대우를 해주지 않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학부모와의 인간관계에서 학부모들은 젊어 보이거나 기간제 신분인 특수교사는 무시하고 시도 때도 없는 연락으로 사생활에 피해를 주며 자신의 요구가 교육내용에 우선 반영되길 바라고 요구를 들어주지 않을 때는 흉을 보고 이것을 다른 학부모와 공유하는 문제가 있었다. 넷째, 사무 관리자역할에 대한 문제점이다. 문서관리에 있어서 공문서, 학급의 기타 문서들과 관련된 업무를 해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학교현장에서 업무처리에 애로사항이 많았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 있었다. 간혹 특수학급이 복수 이상인 학교에서 근무하는 기간제 특수교사는 문서관리를 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런 경우 일반적인 학교의 업무를 맡게 되면서 수업진행에 방해를 받기도 하였다. 신규 기간제 특수교사들은 학급운영에 관한 모든 재정 수입과 지출을 담당하며 근무하기 전 혹은 근무 중이라도 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understand the current teaching job adaptation status of new short-term special class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to objectively specify it, to describe possible problems found in each teaching job adaptation area, and to present proper methods for adapting to teaching jobs. For this, I set some studying tasks as follows: First, what are possible problems in adapting to teaching jobs that may occur in the current teaching jon adaptation status of new short-term special class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Second, what are proper methods for adapting to teaching jobs of new short-term special class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 I tried to perform a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in-depth interviews to find possible problems in and proper methods for adapting to teaching jobs of new short-term special class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sent the questionnaires to the subjects before the in-depth interviews in order to enhance the completeness of in-depth interviews and to systematize this study. Actually, I performed the in-depth interviews for five persons who had less than 3 years in their educational career and difficulties in adapting to teaching jobs among new short-term special class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special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including Seoul, Kyunggi-do and Incheon, and analyzed the study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s the problem in adapting to teaching jobs. New short-term special class teachers had difficulties as an operator of curricula concerned such as lack of understanding and difficulties of preparing plans for operating special classes, difficulties due to parent's casual and senseless participation in practicing education and difficulties due to overcrowded classes that surpasses legal fixed number of students and irregular class schedules. They did not properly grasp children's characteristics who first experienced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IEP), prepare for and practice it according to the schedule set by schools within the fixed periods, and they also had difficulties such as ununified document forms and preparation methods of IEP, and difficulties in selecting proper texts, education tools and reference books for special classes' curricular and IEP. Moreover, in the course of operating the integrated education, new short-term special class teachers had some more difficulties such as the difficulties related to the cooperation between school managers and teachers of the integrated classes and school's supports for performing classes for understanding the disability, difficulties of having to perform classes for understanding the disability under the circumstance that they didn't prepare for special classes because they took the classes during the semester, and difficulties related to school's schedules and customs that they cannot perform the various kinds of classes for understanding the disability Furthermore, for the role as a manager of special classes among teaching job adaptation areas, they had difficulties that they had to perform other businesses or additional payment related matters except for their original tasks with respect to the practice and application of education according to student's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they had to experience the difficulties to play two roles as a teacher of integrated classes and administrative staff, which is actually blocking the practice of integrated education in terms of the management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For the role related to human relationships among teaching job adaptation areas, new short-term special class teachers had some problems such as the presence of a noninterference typed manager without allowing any participation in human relationships with school managers, difficulties relating to the application of a vacation or especially an early leave, manager's discrimination of their affiliated universities, works during vacations and limitation with respect to the promotion of salary classes and receipt of severance pays due to unfair contracts with managers. In human relationships with their colleagues, administrative staff and assistants, special class teachers had too many persons to manage, ask for help and communicate in the course of actually operating special classes and special education teams, and thus, had a difficulty of collecting various opinions from them. General teachers would ask special class teachers to take their miscellaneous businesses because they misunderstood the attitude of special class teachers, and further, some integrated class teacher did not regard those children who had to take special education as their students or they would take if for granted to exclude special class teachers on examination days because test results shall not belong to regular academic performance. Original class teachers who felt so burdened about the applica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or already experienced special education in training or graduate schools lacked an understanding of the disability more than special class teachers or strongly revealed their assertions like dangerous experts about special education. A bigger difficulty is that some of regular special class teachers who have to be the strongest supporters of short-term special class teachers make them to be more difficult to perform their duty than anyone else. Assistants who work together with special class teachers sometimes behave like special class teachers by consulting parents beyond his call of duty. Especially, administrative staff would treat new short-term special class teachers contemptuously who were not familiar with their business and undergoing trial and error and did not treat them as teachers. In human relationships with parents, there were some problems that parents ignored young short-term special class teachers; damaged them by

      •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교육 프로그램의 고용효과 분석 연구

        김서리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교육 프로그램의 고용효과와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취업에 도움이 될 것인지에 대한 기대효과를 분석ㆍ제시함으로써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활로 모색에 일조하고자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지역에 소재한 K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이수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 참여 중인 원생 18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포하여 전량 회수하고, 그 중 성실하게 답변하지 않은 질문지 2부를 제외한 183명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설문결과는 SPSS Windows Ver.12를 이용하여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접근하였는데, 응답자 특성은 빈도분석만을 실시하였고,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경험, 고용효과, 취업 기대효과를 분석하는 데에는 t-Test와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와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Likert식 척도를 사용하여 “매우 그렇다”는 5점, “대체로 그렇다”는 4점, “보통이다”는 3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는 2점, “전혀 그렇지 않다”는 1점으로 정하여 평균을 나타내도록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교육 프로그램이 취업에 도움이 되는지의 여부를 분석한 결과, 응답자의 93.0%가 취업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취업에 효과가 있었다고 응답한 수강생만을 대상으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교육 프로그램이 취업과 관련하여 어느 영역에서 얼마만큼 도움이 되었는지를 7개의 고용효과 변인을 내세워 질문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 결과, 6개의 변인은 ‘매우 그렇다’에 반응한 인원이 가장 많은 반면, “면접을 포함한 전형 자체” 라는 변인은 ‘보통이다’에 가장 많은 인원이 응답하고 있어서, 평생교육원의 프로그램이 취업을 위한 전형 그 자체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반응이었다. 그리고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향후 취업에 대한 기대 효과를 질문한 부문에서는 변인 9개 중에서 ‘직장 내 상사 및 동료와의 인간관계’, ‘응시방법과 서류작성 등의 절차와 방법’ 그리고 ‘현재보다 더 많은 보수’ 순으로 나타나서 매우 현실적인 문제에 대해 기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고용효과 및 취업 기대효과에서 나타난 것처럼 면접을 포함한 전형 자체에 대한 평생교육 만족도가 낮은 점을 포함하여 평생학습 참여자들이 취업과 관련하여 어떤 기대효과를 가지고 있는지를 면밀히 분석하여 이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평생교육의 방향과 프로그램을 보완하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The research is aimed at to investigate the education program’s employ effect of university subsidiary lifelong educator and the expectation effect that benefit for the participant’s employ. Meanwhile, the research explore the survival pattern of university subsidiary lifelong educator. Questionnaire was used on the research and 185 lifelong educators or the persons who have been employed by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 of K university in Gyeonggi-do were surveyed. Among the 185 piece of questionnaires, there are 183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o analysis. SPSS Ver.12 for window was used in the research. At the same time,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 and Analysis of Variance(one-way ANOVA),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sis the academic experience, employ effect and vocational expectation of lifelong education. Meanwhile, Likert scale which including “Totally agree” 5 likert, “mostly degree” 4 likert, “Generally degree” 3 likert, “not particularly” 2 likert, “absolutely don’t degree” 1 likert, was used to get a average value. According to the data results, “totally agree” occupies the most among 6 variables, on the contrary, most respondent give the “generally agree” when face the option that “typical ego including interview”. An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have not a helpful function in individuals occup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At the same time, the departments were asked the expectation effect about occupation when after participated education program, and the below realistic expectations among 9 variables,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superior and colleagues”, “coping approach and institution of materials” “increase payment” were successively appeared. Hence, the following two points, one is the low satisfaction attitude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aspect of employ effect and occupation expectation effect, and another one os the intimate connection between lifelong learning participants’ occupation and the expectation effect, are the development directions and persevere requirement of lifelong education.

      • 이야기 나누기를 통한 반편견 교육활동이 장애유아에 대한 일반유아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명숙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Currently more and mor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being educated in inclusive settings with general children. However negative and biased riew on people with disabilities has a great effect on an education. There fore the anti-bias education is needed to increase a positive attitude towards disorders in the period of childhood when a prejudice has not been formed. This study executed the Anti-Bias education to form a positive view towards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sharing conversations to increase an attitude that can accept children with disabilities positively and to prepare an efficient guidance plan to attempt awareness changes of general children. According to such research objectives,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were established: 1) Does the anti-bias education through sharing conversations cause any awareness changes of general children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 2) What kind of awareness changes of general children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use by anti-bias the education through sharing conversa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42 children under the ages of 5 who reside in Yongin and Gwangju area. 22 children were provided with the anti-bias education as a participating group and they also had participated the prior and the posterior examinations. 20 children of controlled group were not provided with the anti-bias education but only had participated the prior and the posterior examinations. For the result, t-tist was conducted by using the SPSS program to see if there were any awareness changes after conducting the anti-bias education. For the more answers of children about the open-type questions from a survey conducted in the prior and the posterior examination were arranged to see what kind of awareness changes were occurred. To summarize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general children were lack of awareness towards handicapped children in the prior examination. However, they began perceive about children with disabilities after conducting the anti-bias education and their awareness towards handicapped changed to positive. Second, sharing conversation and conducting the anti-bias education in a kindergarten effects positively for general children to underst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노인 자살 예방에 대한 평생교육학적 접근 : 서울특별시 강동지역을 중심으로

        이철영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As it becomes aging society, Korea has increasing concern for the elderly and, thus, addresses rapidly-changing elderly suicide very seriously on a social basis. The elderly can run into an emotional wall from home and society, suffer from depression and distress, and become faced with financial difficulties, personal pessimism, and pressure from family, consequently feeling suicidal.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derly suicide prevention among many problems related to the elderly, examine its actual state to provide relevant education, and lay the groundwork for various kinds of educational service.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03 people aged 60 years and older, regardless of gender, who resided in Gangdong-gu, Seoul; the results were analyzed for elderly suicide preven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by using the SPSS 17 version. Since elderly suicide is a source of trouble to Korea and problem to solv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goals to prevent elderly suicide: First, what causes elderly suicide and what are the suicidal impulse factors for the elderly?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se causes and factors by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Second, what efforts and approaches were made and experienced to prevent elderly suicide? How do these efforts, approaches, and experiences differ by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ird, have they ever received education about elderly suicide prevention and how effective was the education?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is educational experience and effectiveness by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Fourth, what is demanded by the lifelong-education approach to prevent elderly suicide?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is demand by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is study aimed to see differences by these characteristics and present a lifelong-education approach in a new way related to elderly suicide prevention. In this respect, the elderly in the district of Gangdong-gu wanted elderly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supervised by a senior welfare center and financially suppor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t is necessary to assign a professional counselor who will provide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Now Korea is generally developing as advanced policies as other countries. In addition, alternative plans for the aged population or some institutional improvements are suggested to make a lifelong-education approach to elderly suicide prevention in order to increase educational distance, examine many issues related to elderly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such as educational directions, supervisors, places for the preventive education, financial burden, and the number of educational sessions, and improv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What family members can do to prevent the elderly from committing suicide is to listen attentively to and sympathize with them. This study actually reported that the elderly most of all wanted to be listened to and sympathized with. It is just necessary to listen to them, rather than doing anything special, in order to help prevent them from committing suicide. It is not so difficult to show affection and concern for the elderly, who are faced with financial difficulties in worse health and live a lonely life, and listen to them. Unfortunately, these can be basic matters of course, but are distorted and neglected in the changing society. This study directly shows that the elderly generation is faced with poor quality of living. They suffer from such problems as poverty and worsened family relationships and fail to cope well with the problems, and cannot but commit the extreme act of killing themselves. It can be said that what matters is their extreme act; however, it is impossible to jump to that conclusion with ease in consideration of the social conditions and context around them. For this reason, it is believed that relevant education can effectively prevent the elderly from committing suicide.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y knew the need of elderly education but rarely made efforts to approach elderly suicide prevention. The elderly need to be able to determine if they feel lonely or depressed for themselves. It is also necessary to devise a new approach for presenting roles of the elderly and how to live as an elder. Most of all, the government needs to take more interest in elderly education and increase policy considerations. Now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have no new specific plan or program for elderly education. In other words, they make insufficient efforts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Since lifelong education can make a comprehensive approach in diverse ways with diverse contents, education about elderly suicide prevention can meet the educational need of the elderly. That is, elderly suicide also needs to be prevented through a lifelong-education approach. This study made a lifelong-education approach to elderly suicide prevention, analyzed the areas, programs, and operating systems for the preventive education to determine the causes and impulses of suicide, and determined what efforts were made in terms of prevention. 우리 사회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인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와 관련되어 급하게 변화되는 노인 자살은 사회적으로 매우 심각하게 거론되고 있다. 가정과 사회로부터 정서적인 벽이 생기고 우울증이나 괴로움을 느낄뿐더러 생활고나 신변 비관, 가족에 대한 부담감을 갖게 되면서 노인들은 자살 충동을 느끼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노인에 관련한 여러 가지 문제들 중 노인 자살 예방을 연구하고 그에 따른 교육을 하기 위해 실태를 파악하여 다양한 교육적 서비스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이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서울시 강동구에 거주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303명으로부터 자료를 받아 SPSS 17버전을 사용하여 노인 자살 예방에 관련된 사항을 평생교육학적인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노인 자살은 우리 사회의 고민거리이며 해결해야 할 과제이기에 노인 자살 예방을 하기 위해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자살의 원인은 무엇이고 노인 자살의 충동요인은 무엇인가? 그리고 이러한 원인과 요인은 노인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노인 자살 예방을 위하여 어떤 노력과 접근 방법을 시도하고 경험하였는가? 그리고 이러한 노력과 접근 방법 그리고 경험은 노인의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노인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으며 그 교육이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는가? 그러고 이러한 교육경험과 효과는 노인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넷째, 노인 자살 예방을 위한 평생교육학적 접근으로 무엇을 요구하고 있는가? 그리고 이러한 요구는 노인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위 특성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 노인 자살 예방에 관한 새로운 방법으로 평생 교육학적 접근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강동구 지역의 노인들이 원하는 노인 자살 예방 교육은 노인 복지관이 주관하고, 비용은 중앙 정부가 지원하기를 원했다. 우리는 이에 따르는 전문 상담원을 배치하여 자살 예방 교육을 시행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도 다른 나라 못지않게 전반적으로 선진적인 정책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맞춰 고령인구에 대한 대안 방안이나 일부 제도 개선이 제안되어 노인 자살 예방에 대한 평생교육학적 연구를 하게 됨으로써 교육의 거리를 확대시키고, 교육의 방향, 주관처, 예방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장소, 비용 부담, 교육의 횟수 등 노인 자살 예방 교육에 관련한 여러 가지 사항들을 알아보고 평생교육 기관의 교육 효과를 높이고자 한다. 노인 자살 예방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가족 구성원들이 노인들의 이야기를 경청 해 주고 공감 해 주는 것이다. 실제로 노인들이 공감과 경청을 가장 원한다는 결과가 이 논문을 통해 보고되었다 노인 자살 예방을 위해 도움 줄 수 있는 것은 특별한 것이 아니라 단지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 뿐이라고 말했다. 경제적인 어려움에 직면하고, 건강이 악화되고, 마음이 외로운 노인들에게 사랑과 관심을 보여주고 이야기를 들어주는 일들은 그리 어렵지 않은 일들이다. 필자는 어떻게 보면 당연하다고 보여 지는 이런 기본적인 것들이 사회가 변화되면서 왜곡되어지고, 소홀 해 지는 것 같아 마음이 편치 않았다. 이번 조사는 노인 세대의 삶의 질이 열악하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노인들은 경제적 빈곤, 가족 관계 악화 등의 문제들에 고통당하고 있고,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해 스스로 목숨을 끊는 극단적인 행동을 취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 되어버렸다. 어떻게 보면 노인의 극단적인 행동이 문제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노인들을 애워 싸고 있는 사회적 환경과 맥락을 바라보면 감히 그렇게 단정 지을 수만은 없다. 그래서 필자는 노인 자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 예방 교육이라고 판단하였다. 설문지 조사 결과에 따르면 노인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알고는 있지만 노인 자살 예방에 접근하려는 노력은 거의 없었다. 노인들이 자신 스스로 외로움이나 우울 증상을 가지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교육을 통하여 노인들의 역할과 노인으로 살아가기 위한 길을 안내하는 새로운 접근 방법을 모색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정부가 노인 교육에 관한 관심과 정책 배려가 강화되어야 한다. 현재 정부나 지방 자치단체에서는 노인 교육에 대한 구체적이고 새로운 계획이나 실행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지 않다. 즉 노인을 위한 평생교육학적 노력이 부족하다. 평생교육은 다양한 방식으로, 다양한 내용을 가지고 포괄적으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노인 자살 예방에 대한 교육을 한다면 노인들의 교육적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노인 자살도 평생 교육학적인 접근을 통하여 예방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필자는 노인 자살 예방을 평생교육학적으로 접근하여 예방 교육의 영역과 교육프로그램, 운영 체제를 분석함으로써 자살의 원인과 충동을 알아보았으며 그에 따른 예방 차원에서 어떻게 노력했는지 조사하였다.

      • 경기지역 평생교육기관의 평생교육사 배치현황에 관한 연구

        배봉균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평생교육 관련 법규에서 명시하고 있는 기준의 평생교육사를 경기도내 각종 평생교육기관에서 채용하고 있는지 그 실태를 조사하여 보고함으로써 평생교육사의 양성과 배치 그리고 이들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성인의 평생학습활동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의 방법은 경기도 내의 평생교육기관의 평생교육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2013년 6월 현재 등록되어 있는 기관 253개소를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를 배포하였다. 질문지는 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평생교육사의 배치현황 그리고 평생교육사의 역할수행 등 3개 영역에 총 20문항으로 구성하였는데, 배포한 질문지를 회수하였으나 회수된 질문지의 응답에 대한 성실도 면에서 차이가 많이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미처 회수되지 못한 질문지도 있어서 실제 본 연구에는 배포량의 43.8%에 그치는 110부만을 연구자료로 삼았다. 응답자의 반응결과는 SPSS 프로그램에 의해 단순 빈도분석으로 결과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개관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기관의 평생교육 담당자들 5명 중 3명에 가까운 인원(63명-57.3%)이 평생교육법에 의한 평생교육사 배치기준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평생교육사를 배치하고 있는 기관은 전체의 50.0%로 절반이었고, 그 중에서도 1명만을 배치한 곳이 대부분이었다. 둘째, 평생교육사 배치 기준을 준수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로는 평생교육사의 배치기준을 잘 모르고 있다(39명-81.22%)거나 재정적 어려움(23명-48.2%) 그리고 배치기준 만큼 필요하지 않기 때문(39명-81.2%)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반면에, ‘평생교육사 확보가 어렵기 때문’, ‘평생교육사의 역량이 부족하기 때문’ 그리고 ‘평생교육사에 대한 고용주나 상사의 부정적인 생각 때문’ 등의 세 가지 질문에는 공통적으로 4명(8.2%)만이 응답하고 있었다. 셋째, 현재 평생교육기관에서 평생교육사가 담당하고 있는 중점 업무가 어느 영역이냐는 질문에는 진행(32.3%)→기획(29.6%)→교수(14.8%)→분석(12.7%)→평가(10.6%)의 순으로 나타났고, 향후에 평생교육사를 채용할 경우에는 어느 영역을 고려하여 채용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기획(32.6%)→진행(24.5%)→분석(19.9%)→평가(15.3%)→교수(7.7%)의 순으로 선발하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열린교육사회ㆍ평생학습사회’를 지향하는 국가 차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평생교육기관의 담당자가 평생교육사 배치기준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점, 평생교육기관에서 평생교육사 자격소지자를 배치하지 않고 있는 기관이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점은 연수와 인력양성 및 배치에 관한 관계 법규를 엄격히 적용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법령에 명시된 평생교육사 배치기준을 준수하지 못하고 있는 큰 이유가 재정적인 어려움이라는 점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며, 평생교육기관에서 요구하는 평생교육사의 역량이 ‘기획’과 프로그램 ‘진행’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는 점을 평생교육사 양성기관에서는 간과하지 않아야 한다. The research is aimed to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and investigate the standard stipulated in lifelong laws and regulations and adopted in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in Gyeonggi-do. Moreover, the study makes a contribution to provide materials about lifelong educators’ effective cultivations and active personnel allocation. Questionnaire was used in the study and 253 lifelong educators who work in Gyeonggi-do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were selected as the interviewee. There are 3 factors and 20 questions in questionnaire that including interviewee’s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lifelong educators’ processing function. There in a large differences in honeys degree of interviewees, and also have a portion of unrecovered questionnaires. Then, 110 recovery(43.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in the study and examined by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SPSS program. The outline of study as following : Firstly, 57.3% lifelong educators have not a good understanding about personnel allocation and over fifty percent organizations have professional educators. But in each of those organizations there is only one professional educator. Secondly, the reason why educators don’t adhere the allocation standard is successively including “have not a good knowledge of allocation standard”, “financial difficulties” and “unnecessary of allocation”. Otherwise, the other three reasons “the guarantee of the lifelong educators is difficultly”, “insufficient ability of educators” and “negative thinking of superiors” occupy 8.2% in the result. Thirdly, now the posts holed by the lifelong educators mainly concentrated in the fields of processing(32.3%), plan(29.6%), professor(14.8%), analysis(12.7%) and evaluation(10.6%). And the employment fields mainly focused in plan(32.6%), processing(24.5%), analysis(19.9%),evaluation(15.3%) and professor(7.7%). As a result, it’s better to make great efforts in the nation dimension “Open education society, Lifelong learning society” and the laws about training and personnel allocation should be adopted strictly at the following two aspects, one is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lifelong educator’s allocation standards and the other is boarding the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and more than half organizations where the educators owned the qualifications. In addition, the reason why lifelong educators don’t obey the personnel allocation rules is fiscal difficulties. The government and local organization should pay close attention to the above situations. And lifelong education cultivation organization should take seriously in the demand that expanding the proportion of “plan” and “processing” program about lifelong educators ability.

      •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 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실태 및 교사교육 요구에 대한 탐색

        최은진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반한 영아 놀이중심 보육과정의 운영실태와 교사교육 요구를 파악하여 국가 수준에서의 보육과정 적용에 대한 효과적인 방안과 교사교육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반 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실태는 어떠한가? 2. 영아반 놀이중심 보육과정 교사교육 실태 및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영아반에 재직 중인 교사 200명 대상으로 네이버 폼을 활용하여 설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빈도와 백분율, 변인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t 검증과 One way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대부분(92.5%)이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놀이 중심 보육과정을 실천의 어려움은 교사 대 아동 비율이 높아서, 교사 간 놀이중심 보육과정에 대한 관점과 해석이 서로 다르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중심 보육과정에 대한 교사교육의 필요성은 인식하였으며, 교사교육 방법으로는 대면, 비대면 혼합 선호하였다. 대면 교사교육 시 전문가를 초청하는 원내 자체 연수를 원하였으며, 비대면 교육에서는 실시간 화상강의가 가장 선호되는 방식이었다. 교육내용으로는 놀이와 배움을 지원하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놀이교수법, 운영을 위한 지원은 보육과정 컨설팅에 대한 요구로 나타났다. 영유아교육 분야에서는 시대적 변화로 인해 양질의 영아보육을 위한 필수적인 시점에 도달하였다. 또한 놀이중심 개정에 대한 학문공동체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보육현장에서의 편성과 운영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현시점에서 개정 표준보육과정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현직 영아교사들이 교사교육을 통해 역량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놀이중심 보육과정을 더욱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영아 교사교육 방향이 마련되는데 이바지할 수 있기를 시사한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operation status and teacher education needs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4th daycare center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It can provide effective measures for the application of childcare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and basic data necessary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operation status of the play-oriented childcare curriculum in the infant class? 2. What is the demand for teacher education in the play-centered childcare curriculum in the infant class? Data on the survey were collected from 200 teachers working in infant classes at daycare centers nationwide using Naver Form. For data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reliabilit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variables using the SPSS 28.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92.5% of respondents said they are implementing the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for daycare centers. Practicing play-oriented childcare curriculum has a high teacher-to-child ratio, There are difficulties because teachers have different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s of the play-centered childcare process. Teacher education on the play-centered childcare course was recognized as necessary, and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mixed preferred as a teacher education method. In face-to-face teacher education, they wanted their own training to invite experts, and real-time video lectures were the most preferred method for non-face-to-face education. As for the educational content, there was a demand for specific and practical play teaching methods that support play and learning, and childcare course consulting for support for operation. Therefore, educational support plans and improvements were derived for teachers by referr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the operation of the infant class play-oriented childcare curriculum, It is hoped that the infant-centered and play-oriented childcare process will be settled stab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