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문 저널리즘으로 본 한국고고학의 흐름과 대중화

        조혁연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335

        지금까지 한국고고학은 일반대중을 만날 수 있는 통로로 ‘신문 저널리즘’을 상대적으로 선호해 왔다. 그러나 한국고고학계에는 이를 다룬 학위논문이나 학술서가 존재하지 않고 있다. 신문에 난 고고학 기사는 ‘타자가 기록한 한국고고학 일지’로 볼 수 있어, 객관성 확보 차원에서도 이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번 논문은 여러 신문 중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살펴봤다. 이는 역사가 가장 오래 됐고, 인터넷 키워드 검색 환경을 가장 잘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조선일보는 1920~2007년까지 ‘16만건’ 정도의 기사를 생산했다고 자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중 고고학과 관련된 기사를 전수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검색창에 아래 키워드를 입력했다. X축에는 유물, 유적, 고분, 패총, 왕릉, 청자, 금관, 성곽 등 50여개 키워드를 입력했다. 반면 Y축에는 선사,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고려, 조선 등 시대성을 지닌 키워드를 입력했다. 이런 방식을 취한 결과, 대부분의 기사들이 가상의 X, Y축에서 만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렇게 추출된 기사를 데이터 값을 얻기 위해 발굴, 파생, 기타 기사형 등 크게 3형식으로 분류했다. 그리고 발굴은 연대에 따라 다시 일제강점기-1950년대-1960년대-1970년대-1980년대-1990년대-2천년대(2000~2007) 순으로 배열했다. 이는 고고학 물질에는 시간성이 있음을 전제로 한 것이다. 또 지역성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 충북, 전북, 경북, 등 15개 광역단체로 분류했다. 이는 고고학 물질에는 장소성이 있음을 전제로 한 것이다. 그 결과, 조선일보 1920년대 신문 발행 이후 총 3001건의 고고학 내용을 기사화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총 노출수 16만여건의 대략 1.8%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중 발굴기사 1천38건, 파생 127건, 기타-기사형 1천836건 등으로. 기타-기사형이 발굴보다 798건 더 많았다. 이를 종합하면 곡절이 있었음에도 불구, 신라가 260건으로 1위, 그 다음은 고려(111건), 백제(104건), 조선시대(76건)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 역시 시대와 흐름을 같이 해 경북이 296건으로 1위를 차지했다. 기사유형은 단순전달, 기타, 화제형 순서로 많은 가운데 학술형은 4위를 차지했다. 신문 저널리즘에 노출된 고고학 관련 기사는 한국고고학 80여년사의 흐름을 상식선에서 반영하고 있으나 그 행간에는 의미 있는 사례가 많이 관찰됐다. 고고학 기사가 1면 톱기사로 가장 많이 올라간 때는 박정희 전 대통령 통치기간인 1970년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문에 보도된 내용으로만 보면 1970년대가 한국고고학의 최성기였던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당시 발굴과 보도 태도는 외양성, 공예성, 명품성 위주의 발굴을 지나치게 추구하면서 문화해석·복원에 게으른 면을 노출시켰다. 특히 당시 조선일보는 정치권력을 자발적으로 의식하면서 고고학 현장에 과도하게 개입했고, 외양이 화려한 명품유물만 너무 부각시켰다. 한국고고학은 90년대를 기점으로 무덤유적에서 빠져 나와, 생활유적 발굴을 중시하기 시작했다. 신문 저널리즘도 이 시기를 전후로 이른바 비주얼 편집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이는 고고학을 재미있는 학문, 세련된 학문, 생활적인 학문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면서 대중화에 기여했다. 그러나 한국고고학은 난해한 용어, 한문투 표현 등 상아탑 안에 그대로 안주하면서 그들만의 리그, 그들만의 토론회, 그들만의 조사위원회라는 소리를 듣고 있다. 궁극적으로 한국고고학이 국민들의 사랑을 받으려면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그 저변이 더욱 확대돼야 한다. 그래야 한국 사회가 필요로 하는 학문, 현재의 학문으로 거듭날 수 있다. The archaeology in Korea has met the public through‘Newspaper Journalism’ relatively more than any other type of media journalism. However, the Korean archaeology has never had theses or academic books dealing with it. Therefore, it is the time to study archaeology journalism to achieve the popularization of archaeology. Especially, the articles on archaeology in newspapers can be regarded as a typed journal of Korean archaeology so that it is needed to strengthen relativity by studying archaeology journalism. The selection of Chosun-ilbo for this study is because it is the oldest newspaper in Korea and also has a well-organized internet keyword-searching tool. Chosun-ilbo self-confirmed that it had released 160,000 articles from 1920 to 2007. To implement a complete survey among them, I put the 50 key-words related to remains such as historic sites, cultural properties, crowns, castles, and celadon porcelain on the axle X(horizontal) of the searching window, and words related to era or times such as Koguryo, Packje, Shinla, and Chosun on the axle Y(vertical). Such empirical tests resulted that the most of the articles are met in the hypothetical space between X and Y. Some omitted articles were returned to the other axle to realize the unification of data in X and Y. Then, those data were categorized to three parts such as the type of excavation, the type of derivation, and the type of other articles to get scores of data. In addition, the type of excavation was re-ordered in turns of times such as Japanese Occupation period, 1950s, 1960s, 1970s, 1980s, 1990s, and 2000s(2000-2007). There is an assumption that Archaeological materials have characteristics of time in themselves. With respect to the regional aspects, data were categorized to 15 metropolitan areas such as Seoul, Chungbuk, and so on, which was assumed that archaeological materials have characteristics of place. These tests showed that Chosun-ilbo released total 3001 articles related to archaeology since 1920s, which represents 1.8 % of total articles of this newspaper. Among them, the type of excavation explained for 1038 articles, the type of derivation for 127, and the others for 1836. Therefore, the others represent 798 articles more than the type of excavation. Meanwhile, in terms of orders based on times, articles related to Shinla were 260, the most, Korea 111, Backjae 104, and Chosun 76. In terms of region, articles related to Kyungbuk were 296, the most, and it is consistent with those related to times. With respect to types of article, simple delivery of information, others, topics, and finally academic type in order. Articles related to archaeology exposed to Newspaper journalism reflect 80 years old history of Korean archaeology in the level of general knowledge, but at the same time, show some meaningful examples implicitly. The time in which the most archaeology articles were taken to headlines on newspapers was 1970s - Mr. Jeonghee Park󰡐s era. Therefore, if simply based on the frequencies of article release, the period was the best for Korean archaeology. However, in that time, unfortunately reports of newspapers focused more on material aspects than cultural interpretation and restoration. Most of all, Chosun deliberately tried to intervene activities of Korean archaeology for political issues and emphasized only masterpieces too much and external aspects. As a result, it is still blamed in the name of newspaper archaeology.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ore seriously whether the archaeology fields should be influenced by the politics. In addition, many statistical evidences are observed in terms of intervening of regional sentiments to articles on archaeology. The Korean archaeology began to lay stress on excavating living remains, with staying away from focusing on tomb-remains from the 90’s. Newspaper journalism took a visual editing method to reflect such change. These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archaeology by making the public accept archaeology as a attractive, accomplished, and life-friendly study. However, the Korean archaeology is blamed for its isolation from the public because it has enjoyed such as its obscure terms, Chinese style of expression, and too many foot-notes for itself. It has been told that it exists and studies for itself. In other words, it has lack of channels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t is necessary that the base for Korean archaeology should be more enlarged from little kids to adults so as to be loved by the public. Only if so, the Korean archaeology can be developed to what Korean society need, and the contemporary study.

      • 考古學과 ICT 融合活用 硏究

        안형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32335

        정보 통신 기술로 알려진 ICT 기술은 우리 사회를 급속도로 디지털화하고 있다. 학문, 산업 등 여러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고고학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현재 디지털 장비들의 도입은 고고학 연구와 현장조사의 질적 · 양적 발전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다. 2000년대 초중반 이후 급속도로 도입되기 시작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조사 및 연구방법들의 활용사례는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고고학과 디지털의 융합은 지속적으로 시도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해서 기존의 고고학 연구방법이나 조사방법이 비판받거나 급격히 변화해야만 된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다만 현재와 같이 디지털 기술들이 도입되는 현상이 앞으로도 계속되는 이상 고고학계에서 디지털 기술이나 IT · ICT에 대해 조금 더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IT와 ICT와 같은 디지털 분야에 대해 이해하고 관련 기술들을 어떻게 고고학에 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는 분야를 소위 ‘디지털 고고학(Digital Archaeology)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고고학은 고고학 분야에서 사용되어지는 디지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그리고 그것을 이용해서 작성된 고고학적 결과물, 콘텐츠, 제작과정과 이러한 작업들을 실시하기 위해 수반되는 연구들까지 포함한다. 이에 따라 최근 유적이나 유물의 3차원 디지털 스캔이나 VR, AR을 활용하여 고고학과 ICT 기술을 융합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시도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일선 발굴기관이나 연구소, 관련 학과에서는 학제적인 공조나 기술도입, 교육에 대한 노력은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고고학과 ICT 같은 디지털 기술을 어떻게 융합시키고 함께 발전시켜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그러나 ICT 기술의 경우 초기 도입비용이 많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현재 고고학계에서도 ICT 기술에 대해 연구할 만한 인력은 부족한 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는 인문학인 고고학이 ICT와 같은 상이한 학문과 어떻게 융합될 수 있는지 고민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 글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개의 단락으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ICT의 정의와 디지털 기록의 이해에 관해 서술하였다. ICT는 우리가 흔히 접하는 IT(Information and Technology)에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을 포함시킨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문화재 분야도 예외는 아니어서 매년 다양한 분야의 IT · ICT 기술이 고고학 · 문화재 · 박물관 등에 접목되고 있다. 박물관은 증강현실(AR)이나 가상현실(VR)과 같은 ICT 기술을 도입하여 관객들에게 흥미를 유발하는 전시를 도입하고 있으며, 고고학 현장에서도 3D 스캔이나 사진실측, 드론과 같은 기술들을 이용해 발굴된 유적이나 유물을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기록물로 제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변화에 알맞게 디지털 유산이라는 개념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고고학, 역사학 등에서 의미하는 디지털 유산을 정의한다면 발굴된 유구와 유물을 포함한 유적 전체의 디지털 자료와 관련된 실측도나 그래픽 결과물, 영상물과 같은 디지털 기록물, 그리고 과거 아날로그로 기록된 자료들로부터 디지털화된 것 일체를 의미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로 고고자료를 바탕으로 디지털 기록의 생산과 관련된 내용이다. 문화재청과 국립문화재연구소와 같은 정부기관에서 주도된 디지털 기록 사업은 고고학계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에 2000년대 이후 많은 매장문화재 발굴기관에서는 발굴된 유적이나 유구를 대상으로 디지털 기록 및 디지털 기록물을 획득하려고 시도하였다. 본고에서는 디지털 기록의 확보수단으로 사진실측 및 2D 도면을 기반으로 한 3D 모델링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지형도를 이용하여 제작한 디지털 기록과 고지형환경분석을 이용하여 과거의 지형복원 활용방법에 대해 소개하였다. 이와 같은 지형 복원을 바탕으로 과거 지형의 전체적인 지형을 복원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적의 발굴 · 보존 · 정비 · 복원 · 활용의 중장기계획 수립 및 정책연구 기반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고고학과 ICT 기술의 융합에 대해 소개하였다. AR(증강현실), VR(가상현실), 3D 프린터, 빅 데이터 등 최신 ICT 기술이 어떻게 고고학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ICT 전문가나 관련 교육을 받지 못하더라도 손쉽게 ICT 관련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과 장비, 방법 등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소개하였다. ICT 기술을 이용한 고고자료의 활용은 대중들의 고고학에 대한 이해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고학과 ICT 기술 융합의 목표인 문화콘텐츠 및 고고자료의 문화콘텐츠화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문화콘텐츠의 정의와 고고학 관련 문화콘텐츠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고고자료를 소재로 한 문화콘텐츠의 확산을 위한 방법을 고민해 보았다. 먼저 대중고고학을 이용하여 일반인들에게 적극적인 접근을 할 필요가 있으며 고고학 소재의 콘텐츠에 고고학계가 자문과 같은 행동을 함으로써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방법이 있다. 다른 하나의 방법은 전문적인 고고학 지식을 가지고 ICT 기술과 같은 디지털 분야를 활용할 수 있는 인재의 육성이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 교육의 다양화를 이야기 할 수 있다. 기존의 학제를 유지하는 동시에 2 트랙 전략으로써 IT · ICT와 같은 과목을 학습하여 새로운 기술에 대한 이해와 동시에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는 능력과 사고를 기르는 것이다. 이것은 체계화된 고고학적 이론 교육을 바탕으로 IT · ICT의 실용적 지식에 대해 교육을 받음으로써 인문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함이다. 이런 2 트랙 전략은 고고학뿐만 아니라 새로운 분야로 도전할 수 있는 동기를 학생들에게 부여해 줌으로써 고고학 관련 전공자들의 졸업 후에 있어서 폭넓은 진로설정 및 취업선택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디지털 기술을 교육받은 고고학 전공자가 있다면 디지털 데이터 획득 및 연구과정에서 고고학자들이 충분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학제 간 통합 · 융합연구를 위한 상호보완적인 피드백으로 더욱 발전적인 교육과 연구를 지향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들어 일어나고 있는 대중고고학에 대한 관심은 우리나라의 고고학은 그동안의 발굴조사에 치우쳤던 것에서 벗어나 새로운 역할을 찾아야만 한다는 것에 대부분의 고고학자들의 암묵적인 동의라고 볼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ICT 기술은 고고학에 대한 대중의 관심일 끌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이며, 고고학에 대한 흥미를 지속시킬 수 있는 방법은 콘텐츠일 것이다. ICT라는 새로운 기술을 가져도 그 밑바탕에 고고학적 요소가 있어야만 수준 높은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고고학계도 이를 위해 적극적으로 체질을 변화시켜야만 된다고 생각한다. 발굴전문기관들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대중들과 소통하여 고고학이라는 학문적 활동을 이용하여 얻은 지식과 가치를 널리 퍼트려야 할 것이다. 고고학계도 기존의 박물관 위주였던 콘텐츠 제작에서 벗어나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에서는 고고학적 지식과 ICT 기술을 가지고 문화콘텐츠 발달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여 다양한 분야에 고고학적 지식을 가진 재원을 공급해야 한다. 대중성을 갖추지 못한 학문은 사장될 수밖에 없다. 고고자료의 문화콘텐츠 개발은 대중들에게 고고학이라는 학문이 무엇인가를 알릴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자 고고학을 중흥할 수 있는 새로운 기폭제가 될 수 있다. 앞으로 고고학계의 다양한 논의와 관심, 그리고 관련 분야에 대한 연구와 투자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 백제 국가형성기 농업 연구

        이희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2287

        농업은 고대의 생업 기반일 뿐만 아니라 생필품과 위세품을 마련하기 위한 수단이자 부와 권력을 확보하고 강조하는 수단으로, 국가형성기의 경제적 변화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정치적, 사회적 변화까지 이해할 수 있는 핵심적 주제라 할 수 있다. 본고는 백제 국가가 형성되고 발전하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변화의 맥락에서 농업 생산 양상은 어떠했으며, 어떠한 특징의 변화가 일어났는지, 그리고 변화가 발생한 원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농업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중부지방의 고고학 유적에서 출토된 중요 농업 자료인 작물유존체와 철제 농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 연구하였으며, 백제 국가형성기에 이르러 생산성 증대를 목적으로 채택될 수 있는 네 가지 농업 전략들, 즉 노동 집약화, 혁신, 전문화, 다양화 전략과 연관하여 나타날 수 있는 방식들을 모델로 제시한 후에 이를 분석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어떠한 특징의 농업 전략들이 나타나는지 파악하였다. 궁극적으로는 농업 자료 이외의 다양한 고고학적 증거들을 검토함으로써 국가형성기의 제 변화들이 새로운 농업 전략을 채택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는지에 대해서도 밝히고자 하였다. 이 논문의 핵심은 작물유존체를 대상으로 식물고고학 방법론을 활용하여 작물조성과 크기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작물 재배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재배 작물의 종류와 비중 변화를 분석한 결과, 중부지방 전반적으로 고대 한반도에서 재배 가능한 여러 종류의 작물을 재배하면서 잡곡과 두류를 주요 작물로 이용하는 양상이 시대와 상관없이 유지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환경 적응력이 높은 작물을 주로 재배하고 적응력에 차이가 있는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여 기후 변화와 같은 위기에 대처할 수 있는 방식으로, 위험도를 낮추고 생계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중시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전반적 지속성에도 불구하고 각 취락별로 살펴보면 재배 작물의 종류나 구성에서 변화가 나타나, 경기 남부를 중심으로 쌀의 재배가 늘어나고, 영서지역에서 쌀, 보리, 피의 재배가 시작되며, 일부 유적에서 두류 재배가 증가하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단위 면적당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쌀, 두류의 특성이나, 재배 계절을 연장하여 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 맥류의 특성으로 보아, 백제 국가형성기 중부지방에서 새롭게 채택된 농업 전략은 생산성 증대에 상당히 기여하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되었다. 유적 간 콩과 팥의 크기를 비교 분석하여 재배 기술 발달상의 중요한 측면이나 고고학적으로 파악되지 못하였던 작부체계에 대해서도 밝힐 수 있었다. 맥류가 출토되는 유적들에서 맥류가 출토되지 않는 유적들보다 소립(小粒)의 두류 종자들이 출토되는 것을 확인하여, 백제 국가형성기에 이르러 맥류에 뒤이어 콩과 팥을 재배하는 맥후작(麥後作)을 시행하면서 두류의 생육 시기가 부족해져 크기가 감소한 정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소립과 대립(大粒)의 두류가 함께 출토되는 양상에서 대립 종자를 생산할 수 있는 단작(單作)이 병행되었을 가능성을, 콩과 팥의 크기 감소가 동일하게 나타나는 양상에서 맥류 재배 이후에 두 작물이 혼작(混作)되었을 가능성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연구 대상 시기 중부지방에서는 맥후작을 포함하여, 단작, 혼작 등 다양한 작부체계를 병행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재배 계절을 연장하거나 공간 활용을 다양화하는 작부체계들을 활용하여 생산량을 늘리고 특정 시점과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처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맥후작의 채택 시기는 지역에 따라 달라 경기지역에서는 원삼국시대부터, 영서지역에서는 한성기부터 시작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식물고고학적 연구에 국한하지 않고, 철제 농기구의 분석을 통해 생산 기술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성기에 이르러 철제 삽날, 주조괭이, 겸 모두 출토 비율이나 범위가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특히 주조괭이는 이용이 크게 늘면서 생산의 효율과 질을 높여 생산성 증대에 일조하였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농기구의 소유 양상 또한 변화하여, 주조괭이는 백제 도성 주변의 취락에서 이용도가 높아져 백제 국가가 생산 및 유통을 관장하였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경기 북부 및 강원 영서지역에서 주조괭이가 특정 유구에 집중되거나,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삽날과 철겸이 상위 계층에 의해 주로 소유되는 양상을 통해 농기구의 소유가 더 제한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을 가능성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작물 재배 방식과 기술, 농기구 이용 양상에서 변화가 관찰되며, 본고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백제 국가형성기 농업 변화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경기지역에서는 경기 남부를 중심으로 수전 농경의 확대에 따른 전문화의 가능성이, 백제 도성 주변의 유적들에서 주조괭이의 이용도가 급증하는 혁신으로 볼 수 있는 변화가 나타나, 높은 비용이나 노동력의 투입이 필요하여 위험도가 높을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생산 과정이 질적으로 개선되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들이 채택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영서지역에서는 대체로 철제 농기구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면서 쌀, 보리, 피가 추가되는 노동집약적인 다양화 전략이 강화되는 양상이 나타나, 초기에 높은 비용이나 집중적 노동력의 투입은 필요하지 않고 위험도도 낮지만 효율성 또한 낮은 전략들이 채택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지역 간에 농업 전략의 특징에 차이가 있으며, 이는 두 지역의 전통적인 농업 방식, 환경적 조건, 경제적 기반과 같은 요인들이 농업 생산의 채택 과정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마지막으로는 국가 형성 및 발전 과정에서 농업 생산 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적, 정치적 변화들과 연관된 고고학적 자료들을 검토함으로써 새로운 농업 전략이 나타나게 된 원인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인구 밀도의 변화, 전문 생산 체계의 형성, 계층화 심화와 관련된 고고학적 증거들이 농업 변화가 발생한 유적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파악하여, 인구와 자원 간 불균형에 대처하기 위해서, 새로운 생산 체계 형성에 따라 등장한 물품 확보를 위한 경제적 수단을 마련하기 위해서, 그리고 계층화 심화에 의한 엘리트의 작용에 따라 농업 양상에 변화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었다. 백제 국가형성기에는 농업 생산 양상에 많은 변화가 발생하며, 변화가 나타난 유적에서 두드러진 백제와 연관된 증거로 보아 국가 형성이라는 정치적 변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즉 백제 국가 형성에 따라 경제적, 사회적 변화들이 발생하였고 이러한 제 변화가 새로운 농업 전략을 채택하게 하는 직간접적 원인으로 작용하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추정된다. 하지만 본고에서 밝혀진 농업 변화는 기존에 국가 형성이라는 정치적 변화와 연관되어 주로 논의되던 획기적인 기술적인 발달이나 대규모 생산 체계의 형성과는 다른 것으로, 전통적인 농업 생산 체계의 틀을 유지하면서 재배 작물의 종류나 구성, 작부체계에 변화를 두는 형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의 새로운 농업 전략은 각 지역이나 취락의 농업 전통, 환경 및 경제적 조건에 따라 다르게 채택된 것으로, 백제 국가형성기 중부지방에서는 이를 토대로 국가 형성 및 발전 과정에서 발생한 생산량 증대의 필요를 해결하고 농업 생산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Agriculture was not only the foundation of ancient subsistence; it was a means to provide daily necessities and prestige goods, and a way to secure and assert wealth and power. Agriculture is crucial to understanding the economic changes that occur during the state formation period of ancient civilizations, and even sheds light on the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of that era. By focusing on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ontexts of the state formation period of Baekje, this dissertation seeks to explore the nature of Baekje’s agricultural production, changes in its production, and the causes of that change. To identif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Baekje’s agriculture, this study analyzes crop remains and iron agricultural implements that were excavated from archaeological sites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This data is then examined against four agricultural strategies commonly implemented to increase productivity during the period—intensification, innovation, specialization and diversification—in order to discern the key aspects of Baekje’s agricultural strategies. By reviewing various archaeological evidence in addition to agricultural data, the study ultimately seeks to understand whether the many changes that happened during Baekje’s state formation period initiated the adoption of new agricultural methods. Central to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crop remains through paleoethnobotanic methods. By tracking changes in crop composition and size, the study demonstrates that among the various products harvested in the central region of ancient Korea, cereals and legumes remained dominant throughout the ages. This strategy—focusing on crops that are highly adaptable to environmental change while also farming plants with various degrees of adaptability—appears to be a measure to cope with crises such as climate change, and indicates an emphasis on reducing risk and increasing stability. Despite the overall continuity, certain regions displayed distinct characteristics in crop type and composition. Rice cultivation tended to increase around the southern Gyeonggi region; rice, barley, and barnyard millet cultivation started in the Yeongseo region; while legume cultivation increased in certain sites. Considering the high productivity per unit area of rice and legumes and the extended growing season brought by barley-legume rotations, the study posits that these new agricultural strategies implemented in the central region during Baekje’s state formation period contributed to significant increases in production. By comparing the size of soybeans and adzuki beans found in different excavation sites, the study also presents new findings on ancient cropping systems that were previously unaccounted for by conventional archaeological methods. Compared to excavation sites without barley remains, excavation sites with barley remains were more likely to yield legumes of smaller grain sizes, indicating that the introduction of barley–legume rotations during Baekje’s state formation led to shorter rearing periods and thus smaller grain sizes. Moreover, sites that excavated legumes of both small and large grain sizes denoted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single cropping systems that were capable of producing large legumes. Signs of mixed cropping were even found in sites where the decrease in bean sizes matched the decrease in red bean sizes, suggesting that the two legumes were farmed together after the harvesting of barley. Namely, multiple agricultural methods such as single cropping and mixed cropping were adopted in parallel to barley–legume rotations during this period, which led to increased production by extending the growing season and providing provisions against environmental risks. Meanwhile, the time line for adopting barley–legume rotation differed across regions, e.g., it began during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for the Gyeonggi area while the Yeongseo region adopted it during the Hanseong period. This dissertation is not limited to paleoethnobotany, but incorporates the analysis of iron agricultural implements to explore changes in agricultural technology. Iron spade blades, iron hoes, and sickles from the Hanseong era were excavated across broader areas and in increased quantities. The increase of iron hoes is especially considered to have advanced productivity by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quality of production. Patterns in farming equipment ownership also changed. The increase of iron hoes in hamlets near the capital city suggest Baekje’s state control over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ools. Also, the concentration of iron hoes in specific features excavated in the Northern Gyeonggi and Youngseo area, and the propensity for iron spade blades and sickles to be mainly owned by the upper class also indicate that the possession of farming equipment may have been restrict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identifies several key aspects of the agricultural changes that happened during Baekje’s state formation. The Gyeonggi region displayed signs of specialization following the expansion of paddy field farming in its southern areas, and the iron hoes excavated around Baekje’s capital city pointed towards innovation. Namely, the Gyeonggi region adopted high-risk strategies that require high initial cost and labor but ultimately improves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the production process. Meanwhile, as the use of iron agricultural implements was limited in Yeongseo, the region adopted the labor-intensive strategy of diversification by also farming rice, barley, and barnyard millet. This strategy does not require any initial costs or labor but lacks in efficiency. In other words, each region selected distinct agricultural strategies, and their differences were likely based on factors such as regional farming traditions,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economic base. Lastly, this dissertation examines archaeological data related to the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of the era. Evidence of shifts in population density, the introduction of specialized production systems, and increased social stratification were all prominently found in excavation sites where agricultural changes also occurred. This points to the possibility of agricultural change as a method to manage the disproportionate growth of population, to provide economic means for securing goods that emerged from a new production system, and to respond to the rise of elites following increased social stratification.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economic and social changes that arose during the formation of Baekje triggered the adoption of new agricultural strategie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only focused on groundbreaking technological developments or the introduction of large-scale production systems when dealing with the political context of state formation, this dissertation delineates agricultural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and cropping systems that still maintain the framework of traditional agricultural production. The new agricultural strategies adopted across the central region of Korea became the foundation of Baekje’s stable agricultural production, and enabled Baekje to match the increased need for resources during its process of state formation.

      • 조선 전기 읍성의 축조기법 변화 연구

        진수형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32271

        본 논문은 조선 전기 읍성의 축조기법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그동안 조선시대의 읍성에 대한 연구가 문헌사, 고고학, 지리학, 건축학 등 여러 분야에서 진행되었지만, 대부분 일정한 지역에 한정된 것들이 많았다. 그러나 이후 읍성에 대한 발굴조사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이전에 비하여 고고학 자료가 많이 축적되었다. 따라서 읍성이 활발하게 축조되었던 조선 전기의 문헌 기록과 현재까지 조사된 고고학 자료를 비교 및 검토하여 읍성의 축조기법에 대하여 명확히 밝힐 필요성을 느꼈다. 특히, 그중에서도 조선 전기의 국가 표준 축성법이라고 할 수 있는 1438년(세종 20)에 반포된 ‘축성신도(築成新圖)’에 주목하였다. 조선 세종 시기에는 집권체제가 강화되면서 성곽 축조에 대한 여러 논의도 진행되었다. 그 결과 ‘축성신도’가 반포되었는데, 이는 현재 전하지 않지만, 그 폐단으로 인하여 보완책을 제시한 겸성균주부(兼成均注簿) 이보흠의 상소문을 통하여 그 내용을 대략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축성신도’ 반포를 전후로 하여 조선 전기 읍성의 변화 양상을 고고학 자료를 통하여 살펴보고, 그 원인을 당시의 문헌 기록을 통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고고학 자료를 통한 분석 결과, 조선 전기 읍성은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가장 먼저 고려시대에 축조된 토성을 고려시대 말기 혹은 조선시대 초기에 들어와서 석성으로 개축한 경우, 두 번째는‘축성신도’의 규식에 맞추어 축조된 경우이고, 세 번째는 이보흠의 상소에 따라 새롭게 축조되거나 개축된 경우, 네 번째 그 이후에 내벽을 수직 형태가 나타나는 사례로 나누어볼 수 있다. 이를 현재까지의 고고학 자료와 문헌 기록을 바탕으로 종합하여 3개의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를 구분 짓는 가장 큰 기준 역시 ‘축성신도’이다. ‘축성신도’의 큰 특징은 내벽이 계단식으로 조성되었다는 것으로 현재까지 발굴조사 된 자료를 살펴보면, 계단식 내벽이 조성된 것 중 가장 이른 것은 1417년(테종 17)에 축조된 하동읍성이다. 이를 통해 볼 때, 축성신도 반포 이전부터 그 모델이 되는 읍성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축성신도의 규식에 맞추어 석재로만 내벽을 계단식으로 조성한 것과 이보흠의 상소에 따라서 계단식 내벽에 흙을 덮은 것이 있는데 그 변화가 짧은 시간 안에 발생하였고, 석축만으로 조성된 사례 또한 극소수이므로, 고고학 자료상으로는 쉽게 구분 짓기 어려워 하나의 시기로 구분하였다. 1451년(문종 1)에 축성된 고현읍성부터는 수직 형태의 새로운 형태의 내벽이 확인되는데, 이 시점 이후로 새로운 시기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성을 축조하는데 들어가는 시간을 줄이고, 빗물에 대비하여 좀 더 견고하게 만들기 위한 조치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조선 전기의 읍성은 성마다 세부적인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외부는 석축으로 견고하게 쌓고 내부는 흙으로 경사지게 덮는 등 공통적인 축성방식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축성신도’의 반포를 병조, 즉 정부에서 관장하였고, 그를 관리하고 감독하는 관청을 통해 읍성 축조를 국가적인 사업으로 진행했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nges in the construction methods of early Joseon Town walls. While research on Joseon-era Town walls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historical records, archaeology, geography, and architecture, most of them have been limited to specific regions. However, with the active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of Town walls in recent years, a significant amount of archaeological data has been accumulated. Therefore, there was a need to clarify the construction methods of Town walls by comparing and reviewing the historical records of Town walls construction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and the archaeological data gathered so far. In particular, attention was paid to the 'Chukseong Sindo' promulgated in 1438 (Sejong 20),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national standard construction method of the early Joseon period. During King Sejong's reign, discussions on Town walls construction were held as the royal authority strengthened. As a result, the 'Chukseong Sindo' was promulgated. Although it is not currently extant, the content can be roughly understood through a petition letter by Lee Bo-hum, who presented measures to improve it due to its shortcomings. Based on this,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construction of Town walls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before and after the promulgation of the 'Chukseong Sindo' using archaeological data and contemporary documentary records to identify the reasons behind these changes. The analysis of archaeological data revealed that the Town walls of the early Joseon period could be broadly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Firstly, there were earthwork Town walls that were initially built during the Goryeo period and later transformed into stone Town walls in the late Goryeo or early Joseon period. The second category consisted of Town walls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tions of the 'Chukseong Sindo.' The third category included Town walls that were newly built or rebuilt based on Lee Bo-hum's petition. The fourth category comprised cases where vertical walls appeared after the aforementioned periods.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existing archaeological data and historical records, these Town wall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major periods, with the primary criterion being the 'Chukseong Sindo.' One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the 'Chukseong Sindo' was the construction of stepped walls. Among the excavated materials, the earliest example of stepped walls was found in Hadong Town wall, constructed in 1417(Taejong 17). This suggests that Town wall models with stepped walls existed before the promulgation of the 'Chukseong Sindo.' Additionally, during this period, there were cases where only stone walls were built in a stepp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of the 'Chukseong Sindo,' while in other instances, earth covering was added to the stepped walls. The transition occurred within a relatively short period, and cases of solely stone construction were rare, making it difficult to distinguish them easily in archaeological data, thus they were categorized as one period. From the construction of Gohyeon Town wall in 1451 (Munjong 1) onwards, a new form of vertical walls was observed, marking a distinct period. These changes were interpreted as measures aimed at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Town wall construction and strengthening them against rainfall. In conclusion, although there were specific variations among Town walls, it was confirmed that the basic construction method of early Joseon Town walls involved solid stone outer walls and sloping earth-covered inner walls. This indicates that the promulgation of the 'Chukseong Sindo' was supervised by the government and conducted as a national project through administrative offices responsible for its management and supervision.

      • 江陵地域 廢寺址의 性格 硏究 : -역사고고학적 자료 검토를 중심으로-

        김진한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271

        A Study on the nature of ruined temples in Gangreung area. Jin Han, Kim Department of History Graduate School of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ummary This article has been intended to find some Buddhist remains since the establishment of Buddhism and its collapse in Gangreung area. Based on the purpose, we have tried to reveal the culture and thoughts of Buddhism, the foundation and transition of temples, the mutual relationship, and the approximate period of destruction, as well as the reason for it. To do so, we have comprehensively researched and analyzed bibliographies, archeological data, some of Buddhist remains and a variety of relics. In the middle of nine century of Gangreung area, a powerful family regarded as Gulsanmoon is Kim Ju won series, one of Gusansunmoon, supported to roughly estimate by overflow to build many temples. Since then, many stone works and the other remains showing the excellence of Buddist culture have been in existence throughout the history. It is estimated to be thirty seven places where the temples have been ruined in Gangreung area. One identified temple arrangement includes one tower and one temple ceremony, and no tower and producer of four-sided construction. The former one has been simplified by omitting inner gate and hallways. The latter one has been identified on the original place and is assumed to be the small one. Most of coalition formation of stone works in Gangreung area have been identified to be made in the former period of Koryeo dynasty and some other remains through investigation have been excavated, and most of them have been also identified to be made in the former and middle period of Koryeo Dynasty. Therefore, it is assumed to be the most active time to build temples in Gangreung area in the former and middle of Koryeo Dynasty. It has also been identified to be more than two attached map and tower and monument as we found Stupa material, the turtle base of a stone monument, and piece of memorial stone through our archeological achievement. We assume that most of the temples were destroyed or burnt down by the invasion of the Kitan in the thirteenth century as we tried to find the main reason for the temples to be ruined through our bibliographical and archeological research. Since then, we have yet to find any evidence of rebuilding but merely maintaining the Buddhist in a way of small hermitage. Gulsansa temple is assumed to be completely ruined during the second or third quarter of the fifteenth century, and the other ones have been estimated to be done so between the former and middle period of Chosun Dynasty as well. Throughout many bibliographies, stone works, and archeological data, it appears that Gangreung area has its Buddhism based on Zen Buddhism, Huayan School, and the myth of Ode mountain. The estimated period of Buddhism to spread out all over Gangreung area appears to be the former period of Goryo dynasty. However, as we have found some stone stupa and evidence of lack of stone pagoda excavated in Ok chun dong, we assume the end of united Shilla Dynasty to be the most active age to build many temples. Unfortunately, we have yet to find any similar remains which are related to the assumption. This article may leave a lot of holes for critics since we have limited our research on bibliographies and some of remains which scientific studies had been already made. For this reason, it may be essential to continuously make thorough bibliographical and archeological research more often to find out more information that this article may remain open to questions. If then, we assume that it will give a lot of support for more detailed investigation and the culture of Budhism in the eastern coast area including Gangreung. 江陵地域 廢寺址의 性格 硏究 金 鎭 韓 江陵原州大學校 大學院 史學科 考古學專攻 본고는 우리나라로 유입된 불교가 강릉지역으로 전래됨으로써 조성되었던 사찰이 몰락하여 현재 전해지는 불교유적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강릉지역의 불교문화와 사상, 사찰의 창건과 변천, 상호관계, 그리고 폐사시기와 원인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종합적인 특성을 고찰하여 그 역사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자료와 고고자료, 현재 남아있는 불교유적과 다양한 유물을 종합적으로 정리·분석하였다. 강릉지역은 9세기 중엽에 구산선문 중 하나인 굴산문이 김주원계로 생각되는 강릉지역 호족들의 도움으로 범일에 의해서 개산되었고 이후 많은 사찰이 형성되었으며, 당시 다채로운 불교문화 수준을 보여주는 석조물을 비롯한 많은 유물이 현존하고 있다. 문헌과 학술조사를 통해 강릉지역에서 확인되는 사찰 및 폐사지는 총 37개소로 추정된다. 강릉지역 폐사지에서 확인되는 가람배치는 1탑1금당식과 무탑식 산지중정형의 두 가지 형식이 확인되며, 1탑1금당식 가람은 입지에 따라 중문과 강당이 생략된 간소화한 방법으로 조성하였다. 무탑식 산지중정형의 입지는 모두 산지에서 확인되며, 규모가 비교적 작은 암자 형식의 사찰로 보인다. 강릉지역에서 확인되는 석조물의 조성연대는 대부분 고려전기에 집중되어 있고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유물들의 중심연대 역시 고려 전기에서 중기로 확인된다. 이를 통해서 강릉지역에서 가장 활발하게 불사가 진행된 시점은 고려전기에서 중기로 파악된다. 굴산사지에서는 고고학 성과로 부도재와 귀부, 비신편이 확인되어 각각 2기 이상의 부도와 탑비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찰들이 폐사된 원인과 시기는 문헌자료와 고고자료로 미루어 볼 때 13세기 전반 거란의 침입으로 강릉지역 전체가 큰 타격을 받을 당시 대부분의 사찰도 함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보인다. 이후 중창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작은 암자 형식으로 그 법맥을 유지하다가 굴산사는 15세기 2/4분기 또는 3/4분기에 완전히 폐사된 것으로 보이며, 다른 사찰들 역시 조선전기에서 중기에 폐사된 것으로 확인된다. 강릉지역은 선종과 화엄종, 오대산신앙이 어우러진 불교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었음이 문헌과 석조물, 고고자료 등을 통해서 확인된다. 불교가 강릉 전 지역으로 확산된 시점은 고려전기부터지만 굴산사지에 남아있는 석조부도와 옥천동에서 수습된 석탑부재의 양식으로 보았을 때 통일신라시대 말기부터 활발한 불사가 진행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유구가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본고는 현재 확인되는 문헌과 학술조사가 진행된 유적에 한하여 검토하였기 때문에 많은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 철저한 문헌조사와 더불어 지속적인 고고학적 조사가 병행되어 본고에서 밝히지 못한 문제들에 대하여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강릉지역을 비롯한 동해안일대의 불교문화와 유적 연구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 全南東部地域 複合社會 形成過程의 考古學的 硏究

        이동희 成均館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32271

        전남동부지역은 전남서부지역인 영산강 유역권과 비교하여 자연조건이 상이하다. 즉 영산강유역은 큰 산줄기가 없이 평야지대가 발달하였고, 인접 지역들이 상호 긴밀히 연결된다. 반면에 전남동부지역은 평야지대가 드물고, 산줄기에 의해 지역이 세분되어진다. 이러한 자연지형은 複合社會로의 轉換에 적지 않은 영향력을 끼친 것으로 판단된다. 본고는 전남동부지역이라는 한정된 공간을 대상으로 위계화가 진전되기 시작하는 지석묘사회부터 국가단계인 백제에 편입되는 시점까지의 複合社會의 형성과 발전에 대하여 고고학적 자료를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複合社會에 대한 접근에 있어서는 1960년대 이후 제시된 新進化論的인 사회발전단계모델을 援用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Ⅰ장에서는 지석묘 축조의 경제적 배경인 농경사회의 성립, 전남동부지역의 지석묘 편년, 단위지역(여수반도)에서의 지석묘사회의 분포와 권역․축조집단의 계층성․사회발전단계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남지방의 지석묘가 축조된 주된 시기는 기원전 6세기부터 기원전 2세기대로 보인다. 전남동부지역 가운데에서도 여수반도는 지리적으로 내륙지방과 구분되면서 지석묘가 밀집한 지역이다. 여수반도에서 발굴조사된 지석묘의 數․上石 무게․立地․副葬遺物 등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예외적인 경우는 있지만, 대개 지석묘의 수가 많아 집단이 크고 상석이 대형이며 입지가 곡간 평지나 구릉의 하단부에 자리잡은 집단이 부장유물이 풍부한 중심적인 집단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 지석묘 사회의 발전단계에 대한 견해는 평등사회론과 계급사회론으로 양분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학설들을 비교 검토하면서 여수반도에 적용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는데, 결론적으로 지석묘사회는 單純族長社會에 진입하였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Ⅱ章에서는 전남동부지역에 있어서 鐵器文化의 流入에 따른 馬韓의 形成과 邑落․小國의 成長過程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전남지방의 철기시대의 上限은 기원전 2세기말로 추정되는데, 馬韓은 이러한 새로운 철기문화를 바탕으로 성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전남동부지역의 墓制와 住居址의 형식 등은, 영산강유역의 마한문화와 동일하지 않다. 전남동부지역에서 서해안지역의 마한 묘제와 양상이 다른 것은 지석묘가 비교적 늦게까지 잔존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 전남동부지역에서 마한의 중심지와 지석묘의 밀집지는 대체로 일치하고 있다. 청동기시대의 사회의 기본단위가 촌락이라면 마한사회에 와서는 邑落과 小國이 형성되고 있다. 전남동부지역에서 마한 소국으로 비정되는 곳은 득량만권, 순천만권, 보성강유역권 등으로 구분되어 자연지형별로 소국의 범위가 결정되어진다. 전남동부지역에 있어 馬韓의 小國은 구분되는 2가지 입지, 즉 해안가의 평야지대(낙안, 조성․득량)와 보성강유역권(복내 일대)으로 나누어진다. 해안에 인접한 소국이 내륙에 위치한 집단보다는 대외교역을 통하여 선진문물을 접할 기회가 많아 좀 더 우월한 집단으로 성장한 듯하다. 전남동부지역은 4~5세기에 영산강유역이나 경남서부지역과 달리 독자적인 묘제나 토기문화가 성립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전남동부지역은 독자적인 지역연맹체를 형성할 만한 주체적인 역량을 갖추지 못하여 5세기후반이후에 가야의 영향력하에 놓이게 된 것으로 보인다. 사회발전단계상, 마한사회는 數萬에 달하는 인구수와 더불어 지역사회(村落) 위에 邑落과 國邑이라는 두 단계의 계층화가 보이기에 복합족장사회로 간주할 수 있다. Ⅲ章에서는 전남동부지역에서 5세기-6세기전반기에 빈출되는 가야계토기와 고분을 근거로 역사적 성격, 특히 후기가야연맹체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최근의 활발한 조사로 인하여 전남동부지역은 인접한 경남서부지역과 거의 동일하게 아라가야계, 소가야계, 대가야계 토기 뿐만 아니라 가야계 고총고분도 확인되고 있다. 4세기말에서 5세기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아라가야계 토기와 소가야계토기(前期)는 섬이나 해안, 강변에서 간헐적으로 출토된다. 아울러 생활유적에서 재지계토기와 공반되므로 일시적인 교류나 교역의 산물로 판단된다. 한편, 5세기 후반이후의 소가야계 토기(後期)는 출토 유적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분묘유적의 비율이 급증한다. 소가야계 묘제와 토기가 전남동부지역에 확산되는 후기에는 한시적으로 소가야연맹체에 속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 중심연대는 5세기후엽으로 추정된다. 현재까지의 고고학적 자료로 보면 전남동부지역에서 대가야계 토기의 출현은 500년을 전후한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이 무렵에 전남동부지역은 대가야 토기와 고분이 출토되는 지역거점의 수장층이 고령의 대가야와 연맹관계를 맺은 대가야연맹체의 일부로 볼 수 있다. 5세기~6세기초엽의 전남동부지역사회는 가야와 연맹체관계에 있었다고 하지만 중심부가 아니라 주변 집단이므로 복합족장사회에 머물러 있었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Ⅳ章에서는 6세기대 백제 영역화단계의 고고학적 양상을 살펴보고, 百濟郡縣의 설치와 土着勢力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전남동부지역은 그 지리적, 사회․경제적 요건으로 말미암아 복합족장사회에서 국가로의 자체적인 발전을 이루지 못하고 백제에 병합되었다. 백제의 영역화 시기는 문헌자료와 최근의 고고학적 성과에 근거해 보면 6세기 전반기로 볼 수 있다. 전남동부지역에 비정되는 百濟 郡縣은 대개 4郡 14縣이며, 각 郡縣에는 관련된 百濟山城과 古墳群이 확인되고 있다. 全南東部地域 百濟 郡縣의 治所(百濟城)와 土着勢力의 中心地(國邑 혹은 邑落)와의 유기적인 관련성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유추해 볼 수 있다. 즉 경남서남부지방과 마찬가지로 전남동부지역에서 거점 首長層의 근거지에만 확인되는 대가야토기 출토지는 백제산성의 위치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대가야토기의 출토지점은 대개 국읍이나 읍락의 중심취락과 관련될 것이며, 이들 지점은 先史時代 이래 중요유물이나 유적이 분포하고 있어 계기적인 연속성을 가진다.

      • 섬진강·금강·남강 상류에 분포하는 구석기유적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고고학적 잠재력 : 조선대 박물관 지표조사유적을 중심으로

        박상준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271

        The eastern part of Jeollabuk-do is the region where the Seom-jingang River, Geum-gang River, and Nam-gang River originate and is the point where the Paleolithic culture of Jeollanam-do and Chungcheongnam-do meets along the river. The Chosun University Museum discovered 53 remains in this area for about 20 years, from 2000 to the latest, and collected many stone tools and archaeological data while excavating two of them. However, most of the data was not organized. More than half of the remains found have not been reported to academia, and they cannot take advantage of the archaeological value of data.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a database of 53 Paleolithic ruins distributed in the upper reaches of the Seomjin-gang River, Geum-gang River, and Nam-gang River. The Chosun University Museum surveyed the data to improve this problem and summarize these ruins' archaeological results. The surrounding area of the remains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cretaceous period, and thus, the late Paleolithic stone tools made of acidic volcanic rocks are identified in many remains. These stone tools are estimated to be the period after 25,000 B.P., when stone tools appeared in Korea, referring to the dates of the Haga ruins and the Jingeuneul ruins, which were measured through excavation. Stone tools that appear to have been made earlier are found in several ruins, mostly made of quartz and quartzite. Handaxes made of acid volcanic rocks are also found in the Haga, Seulchi, and Duryu ruins. These relics are currently partially damaged by farmland, cemeteries, submerged districts, and houses without special protection measures. It is urgent to take preventative measures to protect the ruins before further damage occurs. The most realistic solution is to register the information about the remains in the administrative system, such as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nd management map manag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is plan is expected to be very effective for the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most relics. In this regard, building a database for the remains will provide data such as the archaeological value of the site, the scope of the sit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site can be managed and preserved more efficiently.

      • 漢城期 百濟土器의 生産과 流通 및 使用에 대한 硏究

        정수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2255

        本研究は、社会の変化を反映している土器を多様な観点から検討、その特徴を明らかにし、各特徴ごとに見られた有機的な関係および変化様相を詳察することで、漢城期の百済における土器文化様相の把握を行うことにある。これまで韓国考古学会における土器研究は、形態分析を通じた編年研究に重きが置かれていた。近年、実験考古学を通じたより本質的な土器研究が行われ始めたが、実験考古学や民族誌考古学など学際間の連結がうまく果たされていないため、各々の個別研究もしくは分析に限定されている。このような点を克服するため、土器が‘生産―流通―使用―廃棄’する過程を総合的に検討することで、百済の社会像を明らかした。 本稿の研究対象になる土器の時間的範囲は、原三国時代後期~百済漢城期である。空間的範囲はソウル・京畿地域を中心とした住居・生産・墳墓など133の遺跡である。また空間的範囲は分析の容易性という観点から、漢江中心の漢城中央圏域、京畿北部圏域、京畿南部圏域、京畿西部圏域に区分し、地域性に対する検討内容も反映させた。検討した土器資料は総7,642点である。 漢城期の百済土器の生産部分を見ると、まず器種別に胎土の混入剤を区別して選択しており、用途による分類という点で注目される。成形方法では、タタキ、ナデ、ケズリが主な製作技法であったことを確認した。漢城期は原三国時代より各製作工程が複雑化し、製作者の分業化が行われた。 焼成法は器種別に酸化焼成と還元焼成を並行しているが、これは窯での焼成を調節して生産されたことを示す。還元焼成で生産した土器は、軟質系と硬質系とに分類できるが、軟質系には配膳器や儀礼用器が、硬質系は貯蔵器が多くを占めている。煮炊器は覆い焼きで焼成されたが、漢城Ⅱ期に還元焼成に変化することを確認した。このような漢城期の百済土器の焼成は、製作技術の未成熟によるものではなく、土器の用途を充足するための技術系統の所産であると理解できる。窯運営においては、生産地における窯焼成と各集落単位での煮炊器などを生産する覆い焼きであった。窯は大きさにより大・中・小に分けられ、形態も楕円形や長楕円形など多様である。これらは時期差を反映するものではなく、窯の規模により生産器種を区別して生産されていたことを意味する。 流通は日常容器の場合、中央と地方で別途の生産地を持ち、隣接地域に供給した。漢城中央様式土器の場合、京畿南部地域と土器流通網を共有するが、京畿北部地域や西部地域では在地で生産した。 漢城期の百済土器の生産と流通は、新しい製作技術の普及と消費地の需要増加などで大量生産体制に移行する過渡期にあったため、非常に複雑な生産体制の様相を帯びている。 次に漢城期の百済土器の使用法について検討した。使用法を推論するにあたり、土器の形態、出土位置、内外面の痕跡を最も主要な要素とした。漢城期の百済土器は、用途別に配膳器、貯蔵器、煮炊器、儀礼用器に分類できる。 配膳器は深度、口径幅などの分析から、盌類・皿類・杯類に区分した。多様な配膳器はまさに食文化の変化を意味している。中国から多様な器種の影響を受けた点もあろうが、カマドの普及による多様な食物の調理も配膳器の多様化に影響を与えた。貯蔵器は短頸壺、大壺、大甕など形態と容量が多様化した。貯蔵竪穴が急増している点も注目される。 ‘硬質無文土器と炉跡’の組み合わせから‘タタキメ煮炊器とカマド’の組み合わせに変化する。このような煮炊器と炊事施設の変化は、調理法の変化を意味する。単純な煮沸は炊事施設の変化によって、蒸すという行為が追加された。これは多様な調理法によって食を向上させたことにより、多種多様な土器の需要が急増した結果と思われる。 儀礼用器は器種と儀礼行為の変化が確認できた。器種別に見ると、漢城期初期の祭祀遺構では直口壺類だけが出土するが、漢城Ⅱ期には高杯、三足土器、蓋、直口短頸壺、磨研土器など多様化する。儀礼行為では祭祀遺構や竪穴遺構で、土器の特定部位を意図的に打ち欠いた痕跡が見られる。 このように漢城期の百済土器における製作技術の発達は、タタキ、ケズリ、回転台の普及で製作時間が短縮され、大量生産の基盤となった。焼成技術の発達により、窯焼成と重ね焼き、高温焼成が可能になり、器種による生産方式も複雑化した。また黒色磨研土器という特殊な器種も生産可能になった。流通網は中央産と地方産に区分でき、圏域内にいくつもの生産地が存在した。用途別による機能分化もあった。配膳器の発達は食様式を確立させ、儀礼行為に使用される儀礼専用土器が生産された。超大型貯蔵器の生産は剰余生産物の増加、超大型煮炊器の登場は宴会や儀礼行為用として使用された。そして甑、長卵形土器、カマドによる蒸す行為の普及は、酒や餅などの製造を意味する。 漢城期における百済土器の技術発達と使用は、需要の増加によるもので、これら土器が社会像に大きな影響を与えたと考えられる。 最後に漢城期百済と東アジアの土器文化交流様相について検討を行った。 漢城期の百済土器の形成過程は、3期にわたった対中国との土器文化交流から影響を受けた。1期は原三国時代で、京畿北部と京畿西部地域を中心とした楽浪系遺物が多数出土しており、北方の扶余、高句麗、楽浪、諸馬韓圏域、嶺南地域との交流痕跡も見られる。 2期は漢城Ⅰ期に該当する時期で、漢城中央では施釉陶器が大量に出土し、京畿南部地域では楽浪の製鉄技術集団が移住した痕跡を確認できる。特に2期における楽浪の製陶と製鉄技術集団の移住は、漢城期の百済土器生産技術を促進させる契機となった。 3期は漢城Ⅱ期で、中国江南地域との交流が本格化し、政治的にも安定する時期である。漢城中央地域を中心に西晋や東晋代の青磁、青銅鋪首などの遺物が出土する。これは漢城Ⅰ期から触発された土器生産技術が安定し、新しい中国江南地域の物質文化が流入する契機となった。 漢城期の百済土器は漢城Ⅱ期を起点に、生産技術の発達、生産力の増加、中国陶磁器の模倣品製作が行われた。そして社会的には配膳と食文化、酒、宴会、祭祀など多様な中国文化が吸収されていたと思われる。漢城期の百済土器が形成された過程は、一時的なものではなく、漸進的な交流過程によって有機的に形成されたのである。 本文は漢城期の百済土器の生産と使用法を究明することにあった。これを説明し論証する過程で参考にした復元実験資料や民族誌資料は時期的・地域的にも差があるため、多少無理な解釈があったと思う。しかし本研究は全体の土器文化像を理解する上で、土器に残存する様々な痕跡を解釈し、研究モデルを設定するために、多様な視角で迫った。そして漢城期における百済土器の循環過程という大きな枠で土器を説明したため、省略された部分や相対的に内容が多くなった部分については、今後の研究の方向性としたい。 本文研究目的在于从多种角度研究反映当时社会变化的土器(陶器)、查明其特征,并观察其特征间的关联性及变化迹象,以此认知百济汉城期土器文化。在韩国,既往的土器研究,一般是基于类型学展开的考古学研究。近年来,虽然通过实验考古开始了更加深入性的研究,但实验考古学、民族考古学等学科间的分歧、对立仍未打破,各学科仍停留于各自的研究领域。通过完善这一点,全面地讨论了“生产-流通-使用-废弃”的过程,从而揭开了当时社会的面貌。 本文的研究时间范围为原三国后期到百济汉城期,地域范围以首尔、京畿地区为中心,以居住、生产、坟墓等总共133个遗址为研究重心。而且,为了便于分析,还将探讨区域性的检讨内容分为以汉江为中心的汉城中央区域、京畿北部区域、京畿南部区域、京畿西部区域、京畿南部区域。分析的土器资料共有7642件。 从汉城期百济的生产土器部分来看,首先按类型的不同,胎土中选择了不同的混合物,这是根据用途分类的,因而备受关注。在成型时,可以确认打捺技法、用水拉坯、削裁修整是主要的制作手法。而且,随着时代变化,要比原三国时期的制作工艺更加复杂,可以看出已经进行了制作者的分工化现象。 烧成方式可分为氧化、还原两种,是调节了陶窑内烧制氛围后生产的。 以还原方式生产的陶器分为软质系和硬质系两种,软质系土器多用于礼仪容,硬质系土器多用于存储。炊事容器采用盖式烧制方式生产,到了汉城Ⅱ期之后以还原烧制方式生产。此类汉城期土器的烧成方式并不是因为制作技术的不成熟,而是为了满足土器的用途造成的,应视作技术系统的产物。陶窑的运营可以分成两种,一种是生产基地模式的陶窑烧制方式,一种是以个别村落为单位的,以生产炊事容器等的方式。陶窑类型多样,按大小可以分为大型、中型、小型,按其形态也可以分为椭圆形、长椭圆形。陶窑的形态,并非反映了时间的差异,而是根据陶窑的用途,不同大小的陶窑里生产了不同类型的土器。 流通方式是指日常生活中的土器,在中央和地方分别设有专门的产地,并供应给邻近地区。汉城中央类型土器,从土器流通上共有与京畿南部地区。此外,在京畿北部和西部地区, 该地区自主生产。 汉城期百济土器的生产和流通,由于新的制作技术的普及,导致了大量的生产体制产生了变化,因此,形成了极为复杂的生产方式。其次,对汉城期百济土器的使用方式进行了讨论。在推论过程中,最主要的是土器的形态、出土位置、痕迹观察等。汉城期百济土器按各种用途,可以分为餐具器、存储器、炊事容器、礼仪容器。 餐具器按深度及口径,可以分为碗类、盘类、杯类。各种餐具器的发现意味着饮食文化的变化。虽然有的土器是受到了中国的多种类型土器的影响,但随着灶台的普及,食物的烹调方式多样化也造成了各种各样土器的生产。存储器、短颈壶、大壶、大瓮等形态和容量变得多样化。储藏量猛增也是值得关注的事情。 “硬质无纹土器和炉址”的组合变身为"灶台和打捺纹炊事容器"的组合。这样的炊事容器和炊事设施的变化意味着烹调方法的变化。这意味着在单纯的煮制方式上添加了煮熟的方式。据分析的结果表明,这是随着多样的烹调饮食的发达,随之而来的各类土器的需求量激增。 礼仪容器器形的变化,可能源于礼仪行为的改变。从不同种类土器来看,百济汉城初期的祭祀遗迹中,只发现有直口壶类,但到了汉城Ⅱ期,则有三足器、盖、直口短颈壶、磨光土器等各种各样土器。在礼仪行为方面,在祭祀遗迹或灰坑遗迹中可以发现土器上毁器的痕迹。 汉城期百济土器制作技术的发达得益于打捺技术、削裁修整技术、车轮盘的普及,从而缩短了制作时间,奠定了批量生产的基础。随着烧成技术的发展,可以看出陶窑烧制、重复烧制、高火度烧制等皆可使用,按照土器类型的生产方式进行复杂的经营。另外,它还能生产出一种黑色磨研土器的特殊器形。流通网分为中央生产和地方生产两种,区域内设有多个生产地,并根据用途产生功能分化。通过配食器的发展确立了饮食习惯,并生产了用于礼仪行为的礼仪专用土器。超大型存储器的生产显示出剩余产品的增加,超大型炊事容器一般用于宴会、礼仪行为。此外,利用甑、长卵形土器、炉灶煮制料理方法的普及意味着当时已可以制造蒸酒、糕点等。 笔者认为,随着技术的发达和陶器使用度的提高,从而导致汉城期百济土器的需求不断增加,并使得器物对社会的影响力大大增强。 最后,论文探讨了百济汉城期和东亚陶器的文化交流。 汉城期百济土器的形成过程受到了3次与中国的土器文化交流的影响。第1期是原三国时期,大多数出土器物以京畿北部、京畿西部地区为中心。包括北方的扶余、高句丽、乐浪,也可以发现与马韩地区及岭南地区的交流痕迹。 第2期相当于汉城第Ⅰ期。这时期在汉城中央地区出土了大量的瓷器,京畿南部地区也有乐浪的炼铁技术集团的迁徙痕迹。特别是第2期引入乐浪的政治制度、炼铁技术,这可以视为促进汉城期百济生产技术的契机。 第3期相当于汉城第Ⅱ期。正是开始于中国江南地区的交流的时期,也是政治稳定的一个阶段。以汉城中央地区为中心,出土了西晋、东晋时期的青瓷、青铜铺首等遗物。在这个时期,随着汉城第Ⅰ期开始触发的土器生产技术得以稳定,成为了新的中国江南地区物质文化流入的契机。 汉城期百济土器以汉城第Ⅱ期为始发站,开始了生产技术发展、产量增加、中国仿制品制作。而且,餐具、饮食、酒、宴会、祭祀等多种的中国文化被吸收。然而汉城期百济土器的形成过程并非一蹴而就,而是在渐进式的交流过程中逐渐形成的。 本文试图阐释汉城期百济土器的生产和使用方式。 在阐述、论证过程中,参考了考古实验与民族志资料,但这些资料在时间、空间方面存在一定的差异性,从而使得论证结果存在部分不确定性,存在进一步考察的余地。但在解释整个土器文化的过程中,注意到土器上留存下来的痕迹,设定了研究模式,并试图从多种角度接近历史真实。在汉城期百济土器较大的循环过程中,试图说明土器的发展过程,有一部分的内容或相当一部分内容存在不确定性,留待将来予以深入研究、考察。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ckje society throughout the analyses of the potteries from various perspectives during the Hanseong Backje period. Research on potteries in Korean archaeology has been dominated by a chronological analysis. Recently, various new attempts such experimental works have been made, but such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with experimental works and application of ethnoarchaeological research could not successfully produce integrated interpretations beyond the individual analysis and research. Thus this paper attempts to review the entire life cycle of the Hanseong Baekje pottery ‘production-distribution-use-discard’ and to identify the social aspects reflected on them. The data material used for analysis belong to the period spaning from late proto-Three Kingdoms to Baekje Hanseong phases. The spatial boundary of the data material is the Seoul-Gyeonggi region with the 133 sites of the residence, production and burials. The study area is subdivided into the central region, the northen Gyeonggi province region, the southern Gyeonggi province region, and the western Gyeonggi province region. The total number of the potteries used for analysis is 7,642. It appears that different tempers were used, depending on the shapes closely related to functions. The main manufacturing techniques include the paddle and anvil, washing, and cutting surface methods. Complicated production processes enhanced more specialized manufacturing at each stage tha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Both oxidized and reduced firing methods were used, depending on the shape types by controlling temperatures and firing conditions. Potteries produced by reduced firing are divided into the soft and hard types. Dining wares and ritual potteries were made as the soft types and the hardened types were used for storage jars. Cooking pots were produced by the cover-up firing technique in field kilns. The reduced firing technique was adopted in the Hanseong Ⅱ phase. However, a delay in adopting the reduced firing technique can be explained as the consequence of keeping the traditional technology intentionally rather than the immature pottery production technique of that time. It is thought that there was a dual pottery system comprising of mass production at the major kilns and the small-scale village workshop for cooking pots with the cover-up firing at the field hearth. In addition, there were various scales of the kilns such as small, middle, and large size with varied outlines such as round and elongated. Varied types of the kiln do not reflect the time period, but also the fact that the sizes of the kiln were associated with specialized production of certain pottery type. Daily used potteries were distributed from production centers of the capital and provincial regions to the adjacent areas. Hanseong type potteries representing the capital style were distributed through the shared network with the southern Gyeonggi province while potteries were locally produced in the northern Gyeonggi province or the western province. Presence of such complicate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of the Hanseong Baekje can be explained in that this is the transition period to the mass production system by the spread of new production technologies and the increased demand. Use of Hanseong Backje potteries was also analysed. Functions and use of potteries are suggested from the analysis with variables such as the shapes of potteries, excavated context, and remains and marks shown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Use of potteries can be classified into dining wares, storages, cooking and ritual pots. Dining wares are classified into bowls, plates, and mounted dishes,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body and the width of the rim. Diversified dishes may indicate the fundamental change of the dining scene. Not only did the cultural influence from China, but also varied cooking methods enabled by the popularized earthened overground hearth had contributed to the diversification of the dishes. The shape and size of storage jars such as short necked pots, large pots and large jars, are greatly varied. It is noticeable that the storage pits had increased in number. Combination of hard plain potteries and hearth turned into that of the overground hearth and imprinted cooking pots by paddles and anvils. Such a change reflects the change of cooking methods. It had shifted from the simple boiling to the steaming method. Such a change on the combination of cooking pots and hearth helped to develop various cooking methods and the demand of various potteries had increased accordingly. Ritual pots reflect the change of their shapes and ritual practices. Only upright lip pottery was found from the early Hanseong Backje sites. In the Hanseong Ⅱ period, the increased diversity of the mounted potteries, tripod dishes, lids, short necked jars with upright lip and burnished potteries are observed. Evidence of intentional breakage of the pottery from the ritual or pit features, is also found. Development of production techniques on Hanseong Backje potteries made the mass production possible due to reduction of manufacturing time helped by paddle and anvil technique, cutting surface method, and use of wheel. Development of firing technique enabled use of the kiln, multiple layers of pot stacking, and the high temperature firing while specialized production systems based on shapes was operated. In addition, very particular black burnished potteries could be produced. A duel distribution system consisting of the central and local centers and various small-scale production sites in each region was established. Pottery use was diversified, depending on functions. Development of dining wares shaped the mode of dining and ritual vessels exclusively used for ceremonies were produced. Production of extra large storage pots were used for the increased extra yields, and extra large pots were used for feast and ritual ceremonies. Distribution of steamer, large potteries, popularized steaming method using an earthened pots indicate production of alcohol beverages and rice cakes. Such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use of pottery reflects the increased demand of Hanseong Baekje pottery and their impact on the society. Lastly, Hanseong Baekje and the cultural exchange with the East Asian countries is discussed. Formation of Haseong Baekje pottery was greatly affected by the cultural exchange with Chinese dynasties over three phases. In the first phase,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various Lelang potteries were excavated in the northen and southern Gyeonggi provinces, and the cultural exchange with the northen Buyeo, Goguryeo, Lelang and various Mahan confederacy and Yeongnam regions. In the second phase corresponding to the Hanseong Ⅰ period, many incipient glazed potteries were excavated in the central region. It is suggested by the presence of a migration group with iron technology from Lelang area found in the southern Gyeonggi province. In particular, in the second phase, it appears that migration groups with pottery production and iron production technologies stimulated the development of Hanseong Baekje pottery production system. In the third phase corresponding to the Hanseong Ⅱ period, the cultural exchange with the Southern region of China was very active and Baekje became politically stabilized. Western Jin and Eastern Jin celadons and bronze handles were excavated. During this phase the pottery production technology, which was initiated in the Hanseong Ⅰ period, had advanced which provided an opportunity to adopt material cultures from the southern Chinese region. Hanseong Baekje pottery in the Hanseong Ⅱ phase marked by development of production technology, increase of pottery production, and imitating chinese potteries. In social aspect, various Chinese influences in dining wares, cooking, alcohol, feast, rituals were introduced and adopted. Thus formation of Hanseong baekje pottery was not a rapid process but occurred through a gradual and long-term interaction. This research aims for identifying production systems and use of Hanseong Baekje potteries from various perspectives, although careful application in citing experimental data and ethnographic observations are required due to the time gap and different geographical conditions. I regret that the attempt to fit various evidence remaining in potteries into a large framework to understand the cycle of Hanseong Baekje potteries inevitably produces rough explanations. It will be supplemented and improved in future works. 본 연구는 당대의 사회 변화를 잘 반영하고 있는 토기를 다양한 관점에서 검토하여 그 특징을 밝히고, 각 특징별로 나타나는 유기적 관계 및 변화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한성기 백제의 토기문화 양상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한국고고학에서 토기연구는 형태분석을 통한 편년 연구에 집중되어 왔다. 최근에 실험고고학을 통해 보다 본질적인 토기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했지만, 실험고고학, 민족지고고학 등의 학제간 접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각각의 개별연구 혹은 분석에만 그치고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토기가 ‘생산-유통-사용-폐기’ 하는 과정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당대 사회상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본고의 분석대상이 되는 자료의 시간적 범위는 원삼국 후기부터 한성기 백제까지 출토된 토기를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공간적 범위는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주거, 생산, 분묘 등 133개 유적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공간적 범위는 분석이 용이하도록 지역성에 대한 검토 내용을 반영하여 한강중심의 한성중앙권역, 경기북부권역, 경기남부권역, 경기서부권역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검토한 토기자료는 총7,642점이다. 한성기 백제토기의 생산부분을 살펴보면, 우선 기종별로 태토의 혼입제를 다르게 선택 했으며, 이는 용도에 따른 분류라는 점이 주목된다. 성형방식에서는 타날기법, 물손질, 깎기정면이 주요한 제작기법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원삼국시대보다 각 제작공정이 복잡해지면서 제작자의 분업화가 진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소성방식은 기종별로 산화소성과 환원소성 방식을 병행했는데, 이는 가마내 소성분위기를 조절해서 생산한 것이다. 환원소성방식으로 생산한 토기는 다시 연질계와 경질계로 구분되는데, 연질계에는 배식기나 의례용기가 많았고, 경질계는 저장용기가 많이 차지하고 있다. 취사용기는 덮개형소성 방식으로 생산하였고 한성Ⅱ기에 들어서야 환원소성방식으로 변화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한성기 백제토기의 소성방식은 제작기술의 미성숙이 아니라 토기의 용도를 충족하기 위한 기술계통의 소산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가마운영에 있어서는 생산지에서 생산하는 가마소성 방식과 개별 마을 단위로 취사용기 등을 생산하는 덮개형 노천소성방식으로 운영되었다. 그리고 가마는 크기가 대․중․소로 나뉘고, 형태도 타원형, 장타원형 등으로 다양했다. 이들 가마는 시기차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가마의 규모에 따라 생산 기종을 구분해서 생산했음을 의미한다. 유통방식은 일상용기의 경우에는 중앙과 지방에서 별도의 생산지를 갖추고 인접지역으로 공급했다. 그리고 한성중앙양식토기의 경우에는 경기남부권역과 토기유통망이 공유되며, 경기북부나 서부권역에서는 재지에서 생산했다. 한성기 백제토기의 생산, 유통은 새로운 제작기술의 보급, 소비지의 수요 증가 등으로 대량생산체제로 이행하는 과도기에 있었기 때문에 매우 복잡한 생산체제 양상을 나타냈던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한성기 백제토기의 사용방식에 대해 검토했다. 사용방식을 추론하는데 있어 토기의 형태, 출토 위치, 내외면에 관찰되는 흔적이 가장 주요했다. 한성기 백제토기는 용도별로 식기, 저장용기, 취사용기, 의례용기로 분류된다. 식기는 심도, 구경폭 등을 분석해서 완류, 접시류, 배류로 구분이 가능했다. 그리고 다양한 식기는 곧 식사문화의 변화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중국으로부터 다양한 기종이 영향을 받은 점도 있겠지만 부뚜막의 보급에 따른 다양한 음식물의 조리도 배식기의 다양화 영향을 미쳤다. 저장용기는 단경호, 대호, 대옹 등 형태나 용량이 다양해졌다. 저장수혈도 급증하고 있는 점도 주목된다. ‘경질무문토기와 노지’ 조합 관계에서 ‘부뚜막과 타날문취사용기’ 조합 관계로 변화한다. 이러한 취사용기와 취사시설의 변화는 조리법의 변화도 의미한다. 단순한 끓이는 취사방식에서 찌는 방식이 더해진 것이다. 이는 다양한 조리 음식을 발달시켰고, 그에 따른 다양한 토기의 수요가 급증한 것으로 해석된다. 의례용기는 기종의 변화와 의례행위의 변화가 확인되었다. 기종별로는 한성백제 초기 제사유구에서는 직구호류 정도만 확인되지만 한성Ⅱ기에는 고배, 삼족기, 뚜껑, 직구단경호, 마연토기 등 다양하다. 의례행위에서도 제사유구나 수혈유구에서 토기의 일정부위에 의도적으로 타결한 흔적이 관찰되었다. 이상과 같이 한성기 백제토기에서 제작기술의 발달은 타날기술, 깎기정면, 회전대의 보급으로 제작시간이 단축되어 대량생산화의 기반이 되었다. 소성기술의 발달에 따라 가마소성과 중첩소성, 고화도소성이 가능해 졌고, 기종에 따른 생산 방식으로 복잡하게 운영하였다. 또한 흑색마연토기라는 특수기종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유통망은 중앙산과 지방산으로 구분되고 권역 내에 여러 개의 생산지가 운영되었다. 용도별 기능 분화도 있었다. 배식기의 발달은 식사양식을 확립했고, 의례 행위에 사용되는 의례용 전용 토기가 생산되었다. 초대형 저장용기의 생산은 잉여생산물 증가, 초대형 취사용기의 등장은 연회, 의례행위용을 사용되었다. 그리고 시루, 장란형토기, 부뚜막에 의한 찜조리법의 보급은 술, 떡 등이 제조되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기술발달과 토기의 사용은 한성기 백제토기는 수요의 증가에 따른 것이며, 이들 토기가 사회상에 크게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파악된다. 마지막으로 한성기 백제와 동아시아의 토기문화 교류양상을 검토하였다. 한성기 백제토기의 형성과정은 3기에 걸친 對중국과의 토기문화 교류를 통해서 영향을 받았다. 1기에는 원삼국시기로 경기북부, 경기서부권역을 중심으로 낙랑계유물이 다수 출토되고 있으며, 북방부여․고구려, 낙랑, 여러 마한권역, 영남지역과의 교류 흔적도 나타난다. 2기는 한성Ⅰ기에 해당하는 시기로 한성중앙에는 시유도기가 다량 출토되었으며, 경기남부권역에서는 낙랑의 제철기술집단의 이주한 흔적도 확인된다. 특히 2기에는 낙랑의 제도․제철기술집단의 이주는 한성기 백제토기 생산기술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3기는 한성Ⅱ기로 중국 강남지역과의 교류가 본격화된 시기이며, 정치적으로도 안정화된 시기이다. 한성중앙권역을 중심으로 서진․동진대 청자, 청동포수 등 유물이 출토된다. 이는 한성Ⅰ기부터 촉발된 토기생산기술이 안정화되면서, 새로운 중국 강남지역의 물질문화가 유입되는 계기가 되었다. 한성기 백제토기는 한성Ⅱ기를 기점으로 생산기술의 발달, 생산량 증가, 중국 모방품 제작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사회적으로는 식기와 식문화, 술, 연회, 제사 등 다양한 중국문화가 흡수되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같이 한성기 백제토기가 형성되는 과정은 일시적으로 진행된 것이 아니라 점진적인 교류 과정에 의해서 유기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본 논문은 한성기 백제토기의 생산과 사용방식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설명하고 논증하는 과정에서 참고한 복원실험자료나 민족지자료가 시기적으로나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어 다소 무리한 부분은 있었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전체 토기문화상을 해석하는데 있어 토기에 남아 있는 여러 흔적들을 해석하고 연구모델을 설정하는데 있어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해보고자 한데 있었다. 이러한 소략해진 부분이나 혹은 상대적으로 내용이 늘어진 부분들은 향후 연구 방향으로 설정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