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인 예비 대학원생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예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고원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50783

        As the foreign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Korea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have been increasing, the demand of Korean education focusing on the foreign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 increases also. Especially, high level of Korean proficiency and knowledge related to the major are very necessary for the study in the graduate school. However, many foreign students whose Korean proficiency is not very skillful and still need time to cultivate Korean proficiency and academic ability have been admitted to the universities. Under this current situation, foreign students meet many difficulties in several aspects and concerns about their Korean ability are emerging. On one h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need to write many reports and master’s thesis. On the other hand, high wiring ability with good Korean proficiency is essential in finishing the assignments and thesis. Owing to their lack of wiring ability, the foreign graduate students feel very stressful in academic wiring. Accordingly, the writing education for them should not be ignored and it is very necessary to develop related textbooks and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propose Korean writing textbook development plan for Chinese learners who will study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for the master degree, by focusing on the report writing and master’s thesis writing according to the major.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divided into the development of writing textbooks with academic purpose for the foreign students and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 for the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major relate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Afterward, the academic Korean writing education, the principles of Korean textbook development, Korean textbook study and related theoretical background were examined. The content structure of existing academic writing textbooks were investigated. The survey of the demands of the students and professor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the graduate school were conducted. As for the results, Chinese students wrote the most often demonstration reports and summary reports. The writing types which they need the most were thesis, demonstration reports and summary reports. The writing types which they feel the most difficult were thesis and demonstration reports. In addition, when writing reports and thesis, Chinese students faced difficulties in expressing their thoughts logically, using the expressions accurately in the academic writing, constructing the content relevantly and the writing of previous studies. The standard of textbook analysis was established by referring to the previous studies and textbook analysis was conducted. As for the results, the advantages of the textbooks can be summarized that it helps the students to get familia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ing types, with the genres and processes as focus and that contents related to writing of each phase were well presented. However, most of the textbooks leaned too much on the learning contents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 presentation of contents related to thesis writing for the graduate students was not enough. In addition, the learning contents were not well desig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s. The contents assessing the degree of learning, sufficient text examples were not well present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required survey and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the composition principles of writing textbooks were designed. It is divided into “basic” part and “practical” part. The learning contents were selected and the syllabus was made. After setting up the content structure of each unit, the model of the content structure for the demonstration unit which is the most difficult for the learners was propos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necessity of the Korean textbook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major by dividing the students into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Korean academic writing textbooks for the foreign students and the survey on the demands of Chinese students and university professors. Through demand survey, the writing types which Chinese students do not very well or feel difficult in when doing the academic writing in the graduate school, the insufficient ability and parts were examined. The development plans of Korean writing textbooks for the Chinese students who are going to study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were proposed. However, there are also limitations in this study. In the demand survey, the opinions of more many professors and students who’ major in addi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were not considered much. The content model only presented contents of one unit. Moreover, the studying effect of the textbook development plan was not practically verifie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se aspects in the future studies. 한국의 대학 및 대학원에서 학업을 수행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증가함에 따라 학문 목적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 가운데 대학원에서 공부하기에 높은 수준의 한국어 능력과 전공 관련 지식이 필요한 반면에 충분한 한국어 및 학술적 능력을 갖추지 못하여 대학원에 입하한 외국인 학습자가 많다. 이러한 실정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업 수행에 여러 방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그들의 한국어 능력에 우려를 많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 외국인 대학원생들이 많은 보고서 과제와 학위논문을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숙달된 한국어로 글을 쓰는 능력을 필수적인데 실제적으로는 외국인 대학원 학습자들이 미숙한 쓰기 능력으로 인해 학술적 글쓰기 과제 작성에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그들을 위한 한국어 글쓰기 교육은 간과할 수 없는 영역이고 관련 교재나 교육과정의 개발에 대해서는 중요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전공별 보고서와 학위논문 작성에 초점을 두어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에 진학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해 한국어 쓰기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최종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이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쓰기 교재 개발과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전공별 학문 목적 쓰기 교육을 나누어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이어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과 한국어 교재의 개발 원리, 한국어 교재 연구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고 기존 학문 목적 쓰기 교재의 내용 구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중국인 학습자와 국어국문학과 교수에 대해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국인 학습자들이 평소 논증보고서와 요약보고서를 가장 많이 작성하였고 가장 필요로 하는 글쓰기의 유형은 학위논문과 논증보고서, 요약보고서이었고 가정 어려워하는 글쓰기의 유형은 학위논문과 논증보고서이었다. 또한 중국인 학습자들이 보고서와 학위논문을 작성할 때 논리적으로 생각을 표현하기, 학술적 글쓰기 작성에 사용된 표현으로 정확한 글쓰기, 연관성 있게 내용을 구성하기, 선행연구 작성하기 등 방면에서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 후 기존 연구를 참고하여 교재 분석 기준을 설정하여 교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교재 대부분이 장르와 과정을 중심으로 하여 글쓰기 유형의 특징을 익히고 단계별 글쓰기 작성을 유도하여 글을 쓸 수 있도록 내용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으나 대다수의 교재가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학습 내용에 편중되었는데 대학원 학습자를 위한 논문 관련 내용을 충분히 제시하지 않았다. 또한 교재는 전공 특성에 의해 학습 내용을 설계하지 못했고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내용과 텍스트 예문을 충분히 제시하지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마지막으로는 요구 조사와 교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쓰기 교재 구성 원리를 설계하였고 ‘기초’편과 ‘실제’편을 분류하여 교재 내용을 선정하여 교수요목을 작성하였다. 이어서 교재의 세부적 단원 내용 구조를 설정한 후에 학습자에게 가장 어려워하는 논증 능력 관련 단원 내용 구성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어국문학과의 중국인 학습자와 교수에 대한 요구 조사와 유학생을 위한 기존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의 분석을 통해 외국인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나누어 전공별로 한국어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 요구 조사를 통해 대학원에서 학술적 글쓰기를 적성함에 있어 중국인 학습자들의 쓰기 기능의 부족과 어려워하는 글쓰기 유형, 미흡한 능력 및 부분 등을 알아보았다는 점, 국어국문학과 예비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쓰기 교재의 개발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요구 조사에 대해서는 더 많은 교수와 한국어교육학 전공 외에는 국어국문학과 기타 전공의 학습자의 의견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점과 한 단원 정도만의 교재 내용 구성 모형을 제시하였고 실제적인 교재 개발 방안의 학습 효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다소 아쉬워 더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2009 개정 중학교『국어』교과서의 문법 영역 실현 양상 연구 : 통합적 문법 교육을 중심으로

        최지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통합적 문법 교육에 대한 이론을 검토하고,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제작된 14종의 중학교 국어 교과서 ①, ②가 통합적 문법 교육을 잘 실현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교과서의 문법 영역 실현 양상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과서는 학습자가 문법이라는 학습 내용과 만나는 통로이자 학습의 매개체이다. 따라서 철저한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의 논의가 어떠한 형태로 실현되었는지 확인하고, 통합형 교과서와 독립형 교과서로 분류하였다. 문법 교육에서‘통합’의 개념은 적절한 수준에서의 ‘분절-통합의 균형’을 의미한다. 따라서 통합적 문법 교육은 문법을 교육하는 데 있어서 다른 영역의 것을 통합적으로 교육하는 것을 뜻한다. 이에 본 연구는 통합적 문법 교육이 침체된 교실 수업 상황에 학습자의 흥미를 존중하는 문법 교육 내용의 재구조화를 가져 올 것이며, 통합적 문법 교육을 토대로 문법 교육의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한다면 문법 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은 기존 교육과정의 형식을 탈피하여 새로운 시도를 많이 하고 있었다. 특히 통합적 문법 교육의 기반이 되는 학년군이나 학교급을 고려하는 통합의 방안과 문법과 듣기․말하기․읽기․쓰기의 통합, 읽기와 쓰기의 통합 등 성취 기준 수준의 통합, 아울러 내용 요소 차원의 통합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교육과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2013년부터 사용된 14종의 중학교 국어교과서 ①, ②의 문법 영역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우선 교과서의‘음운’관련 단원과‘품사’관련 단원을 거시적으로 분류하여 대단원의 통합 양상을‘영역 간 통합 단원’, ‘영역 내 통합 단원’, ‘독립 단원’으로 나누었다. 또한 소단원 구성이 각 영역의 성취기준을 통합하여 제시하는지, 단독으로 제시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후 미시적 분류로 본문의 제시 방법이 설명 단독의 설명구조인지, 활동을 포함한 설명 구조인지, 학습활동만으로 학습하는 구조인지 분류하였다. 그 다음 학습 활동의 통합 유형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보충학습에서의 통합 유형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통합적 문법 교육이 잘 실현되고 있는 통합형 교과서와 문법 영역만을 위주로 학습 내용을 전달하는 독립형 교과서로 분류할 수 있었다. 통합형 교과서는 비교적 영역과 내용이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있으며, 문제 해결 방식에 있어서 적절한 곤란도로 학습자의 의욕을 높이고, 탐구력 신장과 창의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고 있었다. 또한 언어 자료도 비교적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맥락에서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어 통합적 문법 교육을 위한 교과서로 적합해 보였다. 반면에 독립형 교과서는 영역과 내용이 연관성이 없는 형식적인 통합에 그치거나 전혀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암기에 의존하여 해결할 수 있는 단답형 학습 활동이 주를 이루었다. 또한 언어 자료 역시 단편적이고 탈맥락적인 자료들이 주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분석 연구에 그쳤다면, 본 연구는 2013년에 사용된 2009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 ①, ②의 문법 영역 실현 양상을 실제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교과서의 문법 영역의 실현 양상을 바탕으로 이상적인 형태의 통합적 문법 교육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해 보지 못한 점과 중학교 교과서 ①, ②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교육과정이 해를 거듭하며 개정되고 있고, 내년부터는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한 중학교 국어 교과서 ③, ④도 교육 현장에 적용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통합적 문법 교육’의 방향성을 밝히고, 현행 교과서의 문법 영역 실현 양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통합 양상 연구

        박혜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67

        이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나는 통합의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통합적 국어교육의 실천태를 점검해 보고자 한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국어 교과서가 통합형 교과서로 편찬되어 교과서 차원의 통합이 개발 단계에서부터 적극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새롭게 시도되는 ‘통합적 국어 교과서’의 면모를 제대로 살펴보기 위해 일차적으로는 교과서 단원의 목표 및 학습 활동에서 구현되는 통합 요소와 유형의 양상을 분석하고 이차적으로는 통합 단원의 적절성을 검토해 본다. 이를 통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통합적 국어교육이 교과서에서 제대로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먼저 통합적 국어교육의 배경과 개념, 성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통합적 국어교육이란 일상생활에서 언어가 유기적으로 관련되어 사용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기능을 분리하지 않고 실제 삶과 통합적인 연결 고리를 가지고 학습하여 학습자의 국어사용 능력을 신장하도록 하는 교육관으로 정의하였다. 통합적 국어교육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국어 교과서의 통합 원리와 통합 요소, 통합 유형을 밝힐 필요가 있다. 먼저 국어 교과서의 통합 원리는 통합적 국어교육의 지향점과 관련하여, 단원 성취 기준 배치의 적절성, 학습 목표의 통합적 제시, 활동 중심의 통합, 실제 강화의 원리로 설정하였다. 또한 통합 요소를 언어 사용 기능의 관련성에 따라 의사소통 과정과 의사소통 수단으로 분류하였고, 내용 요소, 실제, 장르, 맥락, 경험 등의 여섯 가지로 범주화하였다. 그리고 통합 유형은 국어과 내적 통합과 외적 통합으로 나누되, 국어과 내적 통합은 영역 내 통합과 영역 간 통합으로 나누었다. 그런 다음 실제 국어 교과서에 드러나 있는 통합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학습 목표 층위와 학습 활동 층위로 나누어 각 층위에서 드러나는 통합 요소와 통합 유형을 분석하였다. 먼저, 통합 요소와 통합 유형의 빈도를 산출하여 양적으로 분석하고, 통합 요소와 통합 유형이 잘 드러난 단원을 예로 들어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단원 통합의 양상이 적절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통합의 원리에 비추어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2009 개정 국어 교과서는 목표 층위와 활동 층위에서 통합 요소와 유형이 매우 복합적이고 다양하게 드러났으며, 학습자가 실제 상황에서 언어 사용 경험을 하도록 교과서를 구성했다는 특징이 있었다. 그러나 일부 단원의 경우에 표면적인 통합의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있었으며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실제’와 ‘태도’가 다소 미약하여 이를 강화할 필요가 있었다. 이상의 논의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첫째, 통합의 대상이나 방법에 대한 이론이 제대로 정립이 되지 않은 현실에서 통합의 근거와 원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둘째, 현행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실제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통합적 국어 교과서의 면모를 검토하였다. 끝으로 본고에서 살핀 통합 원리와 통합 요소, 통합 유형이 차기 국어 교과서를 개발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자연과학계열 유학생을 위한 선행 한국어 학습어휘 선정 연구

        송명선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67

        This study was aimed to construct appropriate teaching materials in order to aid academic students in the pursuit of successfully completing their studies. Overseas students who make up the majority of tho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y with specialized, field-specific materials and need to be attended to in order to ensure that they are properly handling their studies. They are also burdened with the fact that they have to study Korean, a foreign language, while studying the major of their choice. In order to achieve this, to facilitate the study of a major field of education in a foreign language,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an academic purpose was the major subject chosen for this study. This study looked at this problem from a perspective of providing academic aid by using appropriate study materials to teach them the language and the knowledge simultaneously. This study aims to deal with these problems and feels the need to develop appropriate educational materials for them. These students don’t have many problems in everyday situations, but tend to show difficulties when starting their major studies. Humanitarian, social and business related subjects have had a comparatively high amount of research done related to their language aspects. As the number of overseas students wanting to specialize their majors in Korea, the fact of the matter is that the demand for materials for language education is on the rise while there is a continued lack in supply, and this is also true for natural science major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find a remedial solution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studying natural sciences, with respect to the fact that the number of natural science majors is on the rise and that there is a definite need for an answer to this problem. The study can be regarded as the beginning to the development and search of effective materials that can help students to utilize Korean while studying, and suggested a new research method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Prerequisite Academic Korean Vocabulary” Prerequisite has the meaning of an occurrence happening precedent to another, and is used as a term to describe prerequisite education or learning. This study redefines the concept of prerequisite academic Korean vocabulary, meaning vocabulary that can aid in major studies. In order to achieve this, Chapter I clarified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and took a look into other relative studies and research paper. Paper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cesses for academic purposes and research papers on the needs of said students were studied and analyzed focusing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after which, research related to major specific vocabulary selection was analyzed.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variety of research into the matter has increased but there is still a lack in discussions to provide a solution to overcome the issue. Therefore, by analyzing the needs of students majoring in natural sciences, educational materials to aid them in achieving their academic purpose can be developed. Chapter II observed the overall concept of academically purpo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viewed its changes over time. Changes in vocabulary education, and the purpose and method of education were identified. Since students speak of difficulties in major studies, resolving their problems are of the utmost priority. Based on the findings, a new concept of “Prerequisite Academic Korean Vocabulary” was introduced. “Prerequisite Academic Korean Vocabulary” carries the purpose to be used as a tool to be used as a bridge for students to succeed in their major studies. Chapter III analyzed the needs of natural science majors to clarify their academic needs, the academic differences between Korean students and overseas students, and the difficulties in major studies. Participants were invited to take part in a preliminary survey, a main survey and an interview, and using the results of the needs analysis and the vocabulary classification index from chapter II were utilized to construct a method and standard to select the academic Korean vocabulary. The contents of chapter III were compiled in chapter IV to finalize the list of prerequisite vocabulary for natural science majors studying in Korea. It also suggested plans and methods for the practical real-world use of the compiled vocabulary. Chapter V was focused on resolving problems for overseas students majoring in natural science in Korea using the compiled vocabulary and on suggesting the need to compile educational materials for various different major fields. This study was focused on identifying the difficulties students have in successfully studying their majors and to resolve these problems. Needs analysis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issues while the results were used to compile educational materials for the same purpose. As specialized major studies increase, the number of students wanting to specialize in these fields are also increasing, and the educational processes are also changing to follow suit. For this, understanding what is to be taught was highly necessary, and according to the findings, a list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overseas students majoring in natural science was compiled which gives high hopes for it to be used as a useful tool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성공적인 학업 수행에 목적을 둔 학문 목적 학습자의 다양한 전공 분야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 자료를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 교육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유학생은 대학에서 전문적인 분야를 학습하게 되므로 그들이 학교 안에서 자기 수업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또한 학문 목적 학습자는 자연스럽게 자신이 선택한 전공 지식과 더불어 한국어 학습까지 병행해야 하는 부담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언어적 문제를 고려하여 전공 학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교육이 본고에서 대상으로 삼은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한 부분이라 보았다. 학문 목적 학습자는 성공적인 학업 수행의 교육 목표에 맞게 교육 방법이 변화되고 새로운 틀의 교육과정이 도입되고 있다. 그렇다면 본고는 이들을 위해 어떠한 교육 자료를 활용해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가의 관점으로 바라보았다. 언어를 알게 하고 지식을 알게 하는 이 두 가지를 교육하는 것이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교육으로 보았다. 본고는 이에 해당하는 교육 자료의 필요성을 느끼고 이를 다루고자 한다. 학문 목적 학습자들은 일상적인 생활에서 큰 어려움이 없지만 본격적인 전공 수업을 시작할 때 대체로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실제로 인문, 사회, 경영계열의 전공 어휘 선정 연구는 타 계열에 비해 지금까지 많은 양의 연구들이 진행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국내 대학에서 다양한 영역을 전문적으로 학습하고자 하는 유학생은 매년 증가하고 이와 마찬가지로 자연과학계열의 학습자도 꾸준히 증가하는 데 반해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 자료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고는 자연과학계열을 전공하는 유학생의 증가에 따라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 자료가 마련되어야 함을 연구 문제로 보고 그들의 상황을 고려하여 학업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처방적 차원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때 성공적인 전공 수업을 수행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교육 자료가 필요한데 본고는 그 시작을 하고자 한다. 이에 본고는 ‘선행 한국어 학습어휘’의 개념을 도입해 새로운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선행 한국어 학습어휘의 ‘선행’은 시간적인 차원에서 먼저 일어나는 것을 뜻하며 주로 선행학습의 의미로 활용되어 사용한다. 본고에서는 이를 응용하여 ‘선행 한국어 학습어휘’의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였다. ‘선행 한국어 학습어휘’는 이미 알고 있거나 새로 배우는 것으로 미리 알고 있으면 전공 학습에 도움이 되는 어휘를 뜻한다. 이를 위해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및 학습자 요구 분석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분석하고 이후 다양한 전공 영역별 어휘 선정과 관련 된 연구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앞선 연구들을 통해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가 다양해짐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그들의 궁극적인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는 논의가 아직까지는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자연과학계열 학습자의 요구분석을 통해 그들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그들의 성공적인 학업 수행의 목표를 도달하기 위해 활용 가능한 교육 자료가 필요하다. 본고는 그 시작을 하였다. Ⅱ 장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개념을 살펴보고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다양해진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 따라 어휘 교육은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는지, 교육 목표, 교육 방법은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학문 목적 학습자의 경우 전공 수업의 어려움을 대체로 토로하기 때문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 가장 급선무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선행 한국어 학습어휘’의 개념을 새롭게 도입하였다. ‘선행 한국어 학습어휘’는 학문 목적 학습자가 본격적인 전공 수업에 가교 역할을 위한 도구로써 그들의 성공적인 학업 수행에 목적을 두고 있다. Ⅲ 장에서는 자연과학계열 학습자의 요구 분석을 실시하여 전공 학습의 필요성, 한국 학생과 유학생의 학습 격차, 전공 수업의 어려움 등을 확인 하고자하였다. 예비 설문조사, 본 설문조사, 인터뷰로 나누어 설문을 실시하였고, 요구분석 결과와 Ⅱ장에서의 어휘 분류 기준을 활용하여 선행 한국어 학습어휘 선정 방법과 선정 기준을 구축하였다. Ⅳ 장에서는 Ⅲ장의 내용을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자연과학계열 유학생을 위한 선행 한국어 학습어휘 목록을 선정하였다. 또한 선정 된 선행 한국어 학습어휘의 자료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실질적으로 응용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Ⅴ장에서는 ‘선행 한국어 학습어휘’를 활용하여 자연과학계열 유학생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앞으로 다양한 전공영역별 교육 자료가 구축되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성공적인 학업 수행에 목적 둔 학문 목적 학습자의 전공 수업의 어려움을 확인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그들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아보기 위해 요구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반영하여 교육 자료를 구축함에 의미가 있다. 다양한 전문적 지식을 다루는 영역이 많아지고 이를 전공하기 위한 학습자가 증가됨에 따라 그들을 위한 교육과정도 발맞춰 변화되고 있다. 이를 위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어떠한 내용을 교육할 것인가’이다. 이에 따라 자연과학계열 유학생을 위한 교육 자료를 목록화 하였고 이후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 중학교 국어 교과서 연극 단원 교육 방안 연구

        노수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67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초・중・고 전반에 걸쳐 연극이 정식으로 도입됨에 따라 초등학교 5~6학년 국어 교과에 활동 중심의 연극 대단원이 개설되었고, 중학교 국어 교과에 연극 소단원이 마련되었으며, 고등학교 예술 교과군의 일반 선택에 연극 과목이 신설되었다. 이는 미래 사회에 필요한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연극의 ‘종합예술’이라는 특성에 주목하고, 소통과 배려를 바탕으로 하는 집단 지성의 역량을 기르기 위해 연극이 지닌 ‘협력예술’로서의 가치를 활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으로 볼 수 있다. 본고는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신설된 연극 단원의 활용 실태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에서의 연극 단원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우선 연극의 교육적 효용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바탕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연극이 도입된 배경 및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초-중-고로 이어지는 전체 연극 교육의 흐름 속에서 중학교의 연극 교육이 지향해야 하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학년과 영역 및 성취기준이 명확한 초등학교와 달리 중학교에서는 학년의 구분 없이 연극을 통해 다양한 성취기준을 달성할 수 있도록 보다 열린 지침을 제시하였다. 고등학교의 연극이 국어과를 벗어나 독립된 교과로 신설되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초・중・고의 연극 교육이 교과와 내용 면에서 점차 확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주제로 친구들과 협력하여 연극을 공연하고 다른 사람의 삶과 세상을 이해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같이 개인의 자아를 실현하고 주변 세계를 폭넓게 탐구하는 것을 중학교 연극 교육의 목표로 삼는 것이 적절하다. 서울시교육청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인 중학교 협력종합예술활동에서는 연극 분야의 교육 내용으로 연극 장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공연 준비 및 실행 과정에서의 공동 창작 활동, 연극 체험과 감상을 통한 자아 실현과 진로 탐색 등을 안내하고 있다. 중학교 협력종합예술활동은 교과 또는 창의적 체험 활동 영역에 여러 형태로 편성할 수 있어 학교별로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다. 교과 간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거나 특정 교과의 시수를 집중적으로 편성하는 방식, 창의적 체험 활동을 담당하는 교과의 시수 활용 등이 그 예이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교육과정과 연계한 문화예술교육 및 교과 간 융합교육의 다양한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중학교 3개 학년 중 국어 교과서의 소단원 하나를 통해 체험 중심의 연극 활동을 진행한다는 교과서 개발 지침에 따라 9종의 검정 국어 교과서에 연극 관련 활동이 매우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9종의 교과서에 나타난 연극 관련 내용을 단원 구성의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다시 단원의 배치, 관련 영역과 성취기준 및 학습목표, 활동 내용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교과서 대부분이 연극 활동을 통해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을 기르기 위해 협력과 존중을 강조하고 있다. 다양한 성취기준을 융합하거나 타 교과의 학습 요소를 활용한 연극 활동이 폭넓게 다루어지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교과서의 학습활동은 과정 중심의 연극 수업을 지향하고 있으며, 정형화된 교과서의 편집 방식에서 벗어나 과감하게 변형을 시도하는 등 연극의 창의적 속성을 교재로 구현하고자 노력하였다. 다음으로는 중학교 국어 교사 1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극 수업의 실태와 문제점을 점검해 보았다. 교사들의 연극에 대한 기본 인식, 연극 지도와 관련된 경험, 국어 교과서의 연극 단원에 관한 인식, 연극 교육 교재화 방안에 대한 의견 등 다양한 문항을 통해 중학교 연극 교육의 현주소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중학교 국어 교사들은 연극의 교육적 효과와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체로 공감하고 있으나 국어 교과의 성격을 벗어나는 요소에 대해 지도의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가 부족하다고 생각하며, 연극 지도와 관련하여 교과 전문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었다. 설문을 통해 중학교의 연극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업 자료의 개발과 보급 뿐 아니라 연극의 필요성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처럼 교육과정 및 교과서, 연극 수업의 운영 실태에 대해 파악한 내용을 바탕으로 중학교 연극 수업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우선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연극 수업의 차시별 내용을 설계하고, 교과서의 내용을 재구성한 교수・학습 자료의 예를 제시하였다. 15차시의 연극 수업 설계는 학교와 교사의 재량에 따라 변형 또는 재조합하여 운영이 가능한 형태로 제안하였으며, 교수・학습 자료 역시 교과서와 함께 쉽고 재미있게 활용할 수 있는 학습지와 PPT 양식으로 개발하였다. 또한 교육 현장의 변화되는 상황을 반영한 창의적 수업 방법을 다양하게 모색하여 현장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연극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학생들은 연극 교육을 통해 연극이 지닌 종합예술로서의 특성을 이해하고, 실제로 연극 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사회적 능력을 함양하게 된다. 여러 문제 상황이나 학습 과제를 해결하는 힘을 기르고 자아 성찰 및 진로 탐색의 기회로 삼을 수도 있다. 중학교 연극 교육이 본연의 목표와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꾸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본고에서 제시한 교재화 방안과 교육 방법을 실제 수업 상황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지 못한 한계와 아쉬움이 있으나,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신설된 연극 관련 단원에 관한 관심을 높이고 교사들이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연극이 지닌 교육적 효용과 가치가 학교 현장 수업 내에서 더욱 활발하게 증명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교사 양성 한국어교육 과정에서 교사화법 교육의 교수요목에 관한 연구

        양결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교사 양성 한국어교육 과정에서의 교사화법 교육에 대한 교육 주체로서의 한국어 교사와 한국어교육 전공을 하는 재학생의 현황 및 인식을 분석하여 교사화법 교수요목을 도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한국 사범대학교와 교육대학교에 운영하고 있는 국어교육과와 달리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원 제도에 따른 한국어교육과는 각 대학에서 대통소이한 교육과정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한국어 교사는 중요한 요건으로서 교사의 화법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한국어 교사의 특수성을 맞출 수 있는 교수요목을 설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교수요목 모색에 있어 현황 및 요구조사가 꼭 필요한 단계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국어교육과에 개설된 교사화법 및 화법 관련 강좌를 참고하여 분석하기를 통해 한국어교육과에 적용할 수 있는 교사화법 교수요목을 모색하고자 했다.  교사 양성 한국어교육 과정에서 교사화법 교육의 필요성을 밝히기 위해 먼저 교사화법에 대한 교육 현황 및 인식을 알아보고 교사화법 능력 테스트와 같이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는 교사화법 교육의 필요성을 뒷받침하고 교사화법 교수요목에 설계해야 할 요소에 대해 고려할 때 시점이 되는 것으로 보였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 분석 결과와 비교분석을 토대로 하여 교사 양성 한국어교육 과정의 예비 한국어 교사를 위한 교사화법 교육 목표 및 내용을 제안하고 교수요목을 마련해 보았다. 본 연구는 양각적인 조사와 비교분석을 통하여 현재 한국어교육 과정에서의 교사화법 교육의 현황, 인식을 알아보고, 필요성을 입증하고 교수요목을 설계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또한 교사화법 교수요목을 제안하여 앞으로 예비 한국어 교사의 자질을 향상시키고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 기대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teacher's speaking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 It is aimed at the Korean language teacher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undergraduates as the main bod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the syllabus of the teacher's discourse course. Unlik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run by the Korean Normal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of Educati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department that follows the Korean Language Teacher System of the National Language Institute is similar to the education courses offered and operated by universit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an crucial point.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speaking skills, it is very important to design a syllabus that is compatible with the particular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process of exploring such a syllabus, conducting a survey of the status and needs is considered a necessary procedure. Moreover, by referring to and analyzing the teacher's speaking skills course and the speaking skills related courses that already offered by the Korean language major, the syllabus of the teacher's speaking skills that can be applied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is explored. In order to clarify the necessity of teachers' education in the process of cultiva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ly, we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s' speaking methods. At the same time, we can test the teacher's vocabulary ability.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provide supports for the necessity of teacher's dialect education, and also become the starting point of the elements that need to be designed in the teacher's syllabu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and comparative analysis, in order to prepare a Korean language teacher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proposes the teaching objectives and content of teacher speaking methods education, then formulates a syllabus.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eachers and students, this study comprehends the current situation and cognition of teacher speaking methods education in the proce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oves the necessity of it. In addition, it has significance in designing the syllabus. This study proposes a syllabus for teacher's words, and expect it's valuable to improve the qualification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 한국어문화교육을 위한 속담 교육 연구 :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Hema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67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Korean proverbs in the prospect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for the Indian learner of Korean language. A better understanding and proper use of the Korean proverbs not only helps to learn Korean language effectivily but play an imprortant role to learn about korean culture. Proverbs reflect the characterstics of a nation, It has been pass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contains a general piece of wisdom, truth, morals and traditional views, as a mirror Its reflects the thought of citizens and the socio- cultural aspects of the nation at that time. Therefore, this study has provided a model on what proverbs should be taught and how learners can understand Korean proverbs effectively as well as easily.The content of this study can briefly summarized by the following chapters. Chapter 1 introduces the aim and methods of the study and performs literature review to find out the status of proverbs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re are many studies availabl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proverbs 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in the field of comparison study of Chinese, Vietnamies, English proverbs etc with Korean proverbs but, no study was found on the method of Korean proverbs teaching for the Ind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So this sttudy has a purpose to search efficient and systemetic teaching method on proverbs for Ind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Chapter 2 examines the theoritical background which explains the concepts and characterstics of the proverbs and presents the importance of proverb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rospects of communication, culture, intercultural and vocabulary teaching. In chapter 3 I examines the present status of Korean proverbs by analyzing Korean language text book used by various universities in Korea and University of Delhi and some other proverbs teaching books and also TOPIK exam pattern since their inception. As a result I found out ther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and finally I collected the list of 64 proverbs which are used repeatedly in the text books and TOPIK more than thrice. On the basis of analytical contents the listing and instruction of proverbs in Korean language materials were presented. In chapter 4 I examined the selection and arrangment of the educational use of proverbs on the basis of frequency and understanding level. First I collected the list of proverbs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ir use in Korean language materials such as text books used by many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s in Korea and India and I also analyzed the question patterns from 1~15 times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Langugae. After selecting proverbs list, I confirmed and compare this list with other previous studies. In selecting and arranging the lists, I applied many different criteria including the frequency of the use of proverbs, comparison and contrast between Korean and Hindi proverbs, and surveyed to measure their understanding level of prover thorugh native Korean language instructors. Secondly, for classifying this list according to the students understading level first I Compared the difference and the similarities between Hindi and Korean proverbs in the aspect of social and culture view of the both nations. The classification were made for the proverbs of Korean and Hindi into those proverbs with the same meaning and same expression, those with the same meaning but different expressions, and those who only exits in Korean laguage . This classification was based on Clifford Prator (1967) pattern of comaparative analysis study method. And in the next procedure I did a survey to measure their understanding level of proverbs thorugh native Korean language instructros. And finally I divided proverbs for education purpose in 3 level as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 In chapter 5th based the result of the survey which was done in part 4 by native Korean language instructors, I proposed a method for teaching Korean proverbs effectively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prospects to Ind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한국어 교육에서는 속담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가 국어교육적 측면뿐만 아니라 한국어 교육적 측면에서, 그리고 언어권별 비교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속담교육 연구나 한국어와 힌디어의 속담을 구체적으로 비교하는 연구는 아직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한국어 자료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속담을 선정하여 한국어와 힌디어의 속담 비교를 통해 양국의 문화와 사회적 특징을 비교하고,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용 속담을 선정 및 배열 목록을 만들었고 한국어 속담교육의 다양한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속담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1 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 방법과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속담교육과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봤다. 2장에서는 속담의 개념과 특성, 그리고 한국문화 교육에서 속담이 어떠한 중요성을 갖는지에 대한 살펴봤다. 한국어 교육에서 속담 교육의 중요성를 의사소통 측면, 문화적 측면과 비교문화교육 측면, 그리고 어휘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봤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속담의 실태를 파악하고 교육용 속담을 선정하기 위해 6개의 한국 내 교육기관의 한국어교재, 한국어 교육용 속담 교재3개와 인도 델리대학교의 한국어 교재, 한국어 능력 시험에 제시된 속담을 분석하여 그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보았고, 한국어교재와 1~15회까지의 한국어 능력시험에서 나타난 속담을 분석한 후3번 이상 중복된 속담64개를 선택하여 사용빈도를 실펴봤다. 한국어교육 자료에서 살펴본 속담교육의 몇 가지 문제점을 정리하면, 첫째, 교재마다 단계별로 제시되어 있는 속담의 수가 적절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한국어 자료를 분석하여 중복 비율이 높은 속담을 선정하여 단계별 교육용 속담 60개를 선정하였다. 둘째, 어떤 교재는 속담의 문화적 배경이 잘 제시되어 있지만 어떤 교재들은 매우 부족했다. 이러한 이유로, 학습자에게 한국어 속담 교육을 할 때, 학습자의 숙달도에 맞는 다양한 과제와 보충자료를 함께 사용하여 문화적인 배경을 잘 이해할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졀론을 내렸다. 본고의 4장에서는 사용빈도와 난이도를 고려하여 교육용 한국어 속담 선정 및 배열에 대해서 살펴봤다. 사용빈도는 살펴보기 위해서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능력시험에서 3번 이상 중복된 속담을 중심으로 목록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 목록의 순위는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만들였다. 한국어 자료를 분석하여 제시한 사용빈도 조사 결과에서 선정한 64개의 속담은 다른 교육용 속담 선정 연구에 제시한 사용빈도가 높은 속담들 중에 존재하는지 살펴봤고 결국으로 본 연구에서60개의 속담을 교육용 속담으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학습자의 발달 단계에 맞는 속담을 제시하기 위해 난이도를 두 번째 기준으로 선정했다. 본 연구의 선정한 60개의 속담의 난이도를 파악하고 속담 배열 목록을 만들기 위해서 다음의 두 가지 즉 ①한국어 속담과 힌디어 속담의 대조 분석, ②한국인 교사 난이도 평가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선정한 60개의 한국어 속담을 힌디어 속담과의 대조분석을 Clifford Prator (1967)에 소개한 6 단계 범주의 난이도 구분을 활용하여 대조분석한 것이다. 그 후, 이 목록을 한국인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통해 직접 속담의 난이도를 평가했다. 이러한 두 가지 방법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단계별 교육용 속담을 선정하고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본고의 4장에서 분석한 한국인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고려하여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속담교육의 다양한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쓰기 지식이 고등학생의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최일남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67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 쓰기 지식 검사 도구는 현재 학습자가 겪고 있는 어려움을 진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절한 피드백을 부여할 수 있는 매우 좋은 수단이다. 전남 강진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쓰기 지식 검사를 실시한 후 쓰기 수행을 알아보기 위해 쓰기 수행을 실시하고 이를 3명의 평가자에 의해 결과를 정리했다. 이를 바탕으로 쓰기 지식과 쓰기 수행 능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쓰기 지식을 바탕으로 쓰기 수행 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지 회귀 분석을 시도했다. 우선 검사 도구의 하위 구인을 정하기 위해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다. 쓰기의 개념과 쓰기 교육의 목표에서는 작문 혹은 쓰기로 불리는 국어 교육의 하위 요인이 교육적 대상으로서 어떤 특징이 있는지 밝히고 국어 교육으로서의 쓰기는 고등사고 기능을 바탕으로 한 의미구성 행위 혹은 사회적 소통 행위의 측면에서 접근해야 함을 제시했다.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쓰기 지식에서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화 내용 및 취지에 대해 살펴보고 개정된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쓰기 지식의 내용을 고찰했다. 이를 바탕으로 쓰기의 본질, 글의 유형, 예상 독자, 글 요인, 쓰기의 과정과 전략이라는 쓰기 지식 구성 요인을 설정했다. 앞의 논의를 바탕으로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쓰기 지식 검사 도구를 개발했다. 우선 연구 대상으로 전남 강진군에 소재한 강진고등학교 1학년 학생 124명을 선정했다.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개발된 기존 연구의 검사 도구를 적극 활용했으며 기존 검사 도구에 없는 매체의 활용 부분은 새롭게 제작해서 사용했다. 이미 타당성과 신뢰도를 거친 도구이므로 사용할 때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다만 전문가 검토에 따라 문항에 대한 보완 작업을 했다. 쓰기 수행을 측정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논설문 과제를 부여하고 이를 국어 교사 3인에 의해 채점을 하게 했다. 내용에 대한 지식 차이가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전에 토론을 통해 접했던 주제를 선정하여 글을 쓸 수 있도록 했고, 이를 6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국어 교사를 위촉해 채점을 실시해 이를 학생 수행 능력으로 활용했다. 이렇게 모아진 데이터를 SPSS 20 for windows 한글판을 이용하여 신뢰도 검증, 기술 통계, 상관 분석, 회귀 분석을 실시했다. 기술통계를 해 본 결과 쓰기 지식은 만점 32점에서 평균은 18.487로 나타났다. 상관분석의 결과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쓰기 지식과 쓰기 수행 능력의 상관도는 .467로 나타났다. 요인별로 보면 쓰기 맥락이라고 할 수 있는 글 요인이 .431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예상 독자 요인으로 상관도는 .380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회귀분석의 결과 쓰기 지식의 베타는 .467로 분석되었으며, 상수는 58.183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쓰기 지식은 쓰기 수행 능력에 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설명력은 21.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논의가 가능하다. 첫째, 강진고등학교는 같은 지역에 위치한 두 개의 중학교 학생이 진학하는 비교적 동질적인 집단인 점을 감안하면 동일한 교육을 받았음에도 쓰기 지식에 대한 정도의 차이가 생각보다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쓰기 교육이 학생의 현재 수준을 고려한 개별적인 방식으로 이뤄져야 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쓰기 지식의 점수가 높을수록 쓰기 수행의 하위 요인인 내용, 형식, 표현, 형식과 어법 등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쓰기 지식의 하위 요인 중 쓰기의 본질, 매체의 활용 등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임에도 상관관계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회귀 방정식의 설명력을 보면 21.1%로 나타났다. 쓰기 지식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결정 변수가 존재함을 말하는 것으로 쓰기 수행이 매우 복잡한 요인에 의해 이뤄짐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쓰기 지식이 쓰기 수행 능력에 미치는 정도를 보여주는 베타가 .467로 생각보다 쓰기 지식의 영향력이 크지 않았다. 쓰기 지식은 쓰기 수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쓰기 지식 교육은 지식 그 자체의 학습에서 나아가 지식을 실제 수행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 중심의 쓰기 지도를 병행해야 함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연구의 의의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 쓰기 지식 검사 도구를 개발해 이후 학습자들의 쓰기 지식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검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피드백을 부여해 쓰기 수행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데 있다. 다만, 쓰기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하고 복잡한 변인들에 대한 통제가 쉽지 않다는 점과 쓰기 수행 능력을 측정할 때 문종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의의와 한계에도 불구하고 쓰기 지식이 쓰기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음을 인지하고 교육 현장에서는 쓰기 지식을 체계적으로 교육하면서 쓰기 지식과 전략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과정 중심 쓰기 지도를 병행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한 쓰기 검사 도구와 연구의 결과가 교육 현장의 쓰기 교육이 질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자양분이 되길 기대한다.

      • 국어지식 영역 문장론 관련 단원의 연계성과 적절성 연구

        박지연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논문은 현재 중학교 생활 국어와 고등학교 국어, 문법 교과서의 국어지식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국민공통 기본 교육과정과 심화교육과정 사이의 문법 교육에 대한 연계성과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국어 지식 영역 중에서도 문장론 관련 단원들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연구하였다. 이는 문장이 의사소통에서 가장 기본 단위이므로 문장을 잘 이해하고 잘 사용 하는 것은 국어사용능력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국어지식 영역 중 문장론 관련 단원을 대상으로 삼아 연구하는 것은 국어사용능력신장에 가장 필요한 연구라 할 것이다. 따라서 국어 지식 영역 중 문장론과 관련된 단원들의 계열적 관계 형성에 초점을 두어 연계성을 분석하고, 내용의 난이도나 교육과정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적절성 분석의 기준으로는 1)교육 과정과 학습목표를 실현하기에 적절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2)학습자의 학년을 고려하여 난이도는 적절한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연계성의 기준으로는 유무, 반복, 심화의 개념을 사용하였다. 교과서별로 분류하기보다 문장론 관련 영역을 세분하여 각 문법 요소별로 11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순서는 8학년부터 교육과정상 등장하는 순서를 따랐다. 이와 같이 세부적으로 연계성을 검토해 본 결과, 현재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국어지식 교육의 허술한 부분이 적지 않았다. 유무의 기준으로 살펴 본 결과 11개의 문법 요소 중 3개의 요소는 한 번씩만 등장하고 있었고 그 중 2개의 요소는 없는 이유가 타당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복의 경우는 8개의 문법 요소에서 2학년 이상에 걸쳐서 등장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내용에서 기본 개념을 중심으로 반복, 심화되고 있었으나, 문장의 성분은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과 심화 교육 과정 사이의 심화의 정도가 매우 커서 연계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기 어려웠다. 적절성의 검토는 학년 별로 세분하여 총 23개의 영역을 검토한 결과 본문이나 예문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는 8개(34.7%), 활동의 난이도나 본문과의 연결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는 10개((43.4%)로 상당히 많은 예문과 활동이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것은 교육 과정 중 교과서의 의존도를 생각할 때 상당히 심각한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그동안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단원 배열이나 학습 목표만을 비교하고 내용의 적절성이나 활동의 난이도의 적절성에 대한 연구는 얼마나 미흡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일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주로 중학교 생활 국어 교과서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의 내용을 검토하였는데, 이 검토는 앞으로 새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를 편찬하는데에 참고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를 위해 문장론 외의 국어 지식 영역에 대한 검토도 필요할 것이며, 그러한 작업의 바탕 위에서 국어지식 영역 교과서 내용 개선이 이루어져야만 적합한 국어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연구는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문장론 관련 단원만을 분석하였다는 한계를 갖는다. 과거의 문법 교육이 음운론과 문장론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최근 다른 영역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을 볼 때 다른 영역들에 대한 검토도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examines the continu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linguistic knowledge betwee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xt book. This study was done specifically about topics that are related to sentences in paragraphs. This is because is the most basic part of the language, and understanding sentences wel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language. Thus study of sentences related to paragraphs is the most necessary part of the language study. And so using the level of education process as the main theme of the study, we researched on creating relationships between sentences and paragraphs, in our topic of the language study. Firstly, as the basis of determining the validity, we studies whether it was appropriate to process the education methods and goals of the study, and second we determined whether the difficulty was appropriate regarding the learner's level. As for the relationship studies, we looked at the existence, repeat and the level of study. Instead of dividing between text books, we divided into different types of study regarding its relationship between sentences. we put them in order or raising grades, from the 8th grade. As a result that we have examined the association in detail, current education of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to korean-knowledge was quite weak under the conditions of existing factors appears merely once, the reason for the omission other of 2 factors ( among them ) are unreasonable. Language repetition are shown in 8 grammar factors during 4 semitist from the second years most of aspects are reiterated and depend on the basis of basic concepts, but it is hard to claim that the components of sentences are linked well due to the gap between the basic education course and the advanced one. The investigation of adequacy in 23 areas by an academic year reported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examples and activities were not appropriate: improper texts and examples (34.7%), the inapt levels of activities and impertinent connection with texts. This indicates that our korean education is grave as far as the dependence of education process on textbooks is concerned. This is the best example that we have only considered the education process, the arrangement of units in textbooks and the aim of learning, yet the adequacy of contents and the level of activity. The research studied mainly regarding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and high school grammar textbooks, it would be utilized for compiling textbooks according to new education process as reference materials. In order to this, of course, it is required a study of korean-knowledge area as well as syntax. In other words, proper korean education would be improved based on those work, the modification of textbook contents.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has a limit only analysing the units concerned syntax. Past grammar education focused on phonology and syntax, however, taking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other areas into account, researches concerned should be conducted first.

      • 2009 개정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대한 교사 인식 및 활용 연구 : 3, 4학년을 중심으로

        정연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2009 개정 초등학교 3, 4학년 국어 교과서를 교사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17개의 문항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2009 개정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대한 교사 인식과 활용을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국어 교과서를 모범이 되는 자료로서의 교과서 권위를 인정하면서도 재구성할 필요가 있고, 하나의 자료로 보고 있었다. 또한, 국어 교과서 재구성 정도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그에 따라 수업에서 교과서를 주로 이용하고, 다른 자료를 보충해서 이용한다는 응답이 많았고, 여전히 학습량이 많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2009 개정 국어 교과서의 특징에 대해 교사들은 통합적인 언어 활동을 강조한 교과서, 학습자의 능력과 흥미에 부합하는 교과서라는 응답이 많았다. 또한, 단원에서 통합의 구현, 단원 구성, 교과서의 활동과 제재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교과서 외형 체제를 현재처럼 주 교과서와 보조 교과서의 체제에 대해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기도 하지만, 1권 또는 2권의 체제를 적절하다고 보는 의견도 상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국어 활동>의 자기주도적 장치를 통한 안내가 자기주도적 학습에 도움을 준다는 인식이 많았고, <국어> 수업과 연계하여 필요한 경우 수업시간 틈틈이 필요한 내용만 활용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반면, <국어 활동>의 모든 내용을 적극적으로 학습한다는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데, 이는 학습량이 과다하다고 인식될 수 있어 연수나 교과서 편성의 변화로 보완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국어 수업에서의 통합 지도는 통합 대상에 따른 수업 유형이 통합 기제에 따른 수업 유형의 2배 정도 되었다. 통합 대상에 따른 수업 유형은 차시 통합, 영역 통합, 다른 과목과의 통합 순이었고, 통합 기제에 따른 수업 유형은 주제중심 통합, 활동중심 통합, 단원중심 통합 순이었다. 여섯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년군제 운영은 학년제 운영과 같다는 인식이 많았다. 그 이유는 학년, 학기 단위로 개발된 교과서와 학교 교육과정이 학년 체제로 이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년군제는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국어과에서의 지속적 적용은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009 개정 국어 교과서는 통합형 교과서로서 국어 교육에 큰 변화를 주고 있다. 개정 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에 관한 연구는 새교과서의 개발에 시사점을 주고 있어 앞으로도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