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과학적 건물종합관리가 건물사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수만 극동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36383

        국문 요약 건물은 건축공학의 지원에 의하여 건축되었으므로 건물종합관리 역시 건축공학의 기술지원을 받아 과학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또한 건물은 건축공학 기술에 의한 기술적 관리와 함께 건물의 복합성 개념에 따라 경제관리(경영관리)와 법률관리, 행정관리와 환경관리 그리 고, 위험관리 등의 관리를 해야 함으로 건축공학적 기술과 함께 경제학, 경영학, 법학, 행정학, 환경공학, 안전공학 등의 과학적 이론과 원리의 지 원을 받아 과학적 방법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그러나 건물종합관리 현장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해 본 결과 시 설관리 시스템과 규모를 가지고 있는 일부의 대형빌딩관리 현장에는 건축설비와 건축시설물의 유지관리는 건축공학의 기술 지원을 받아 과학 적 관리방법으로 관리되고 있으나, 대부분 현장의 경우 건물관리 종사자 의 경험과 상식 및 직관에 의하여 주먹구구식 방식으로 운영관리 되고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건물은 과학적 기술과 원리에 따라 건축한 건축물이므로 유지관리 단계 에서도 과학적 관리 방법에 의하여 유지관리 되어야 함이 당연한 일이나 현장 실증분석에서 조사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과학적 기술에 의하여 유지관리 될 뿐 전반적으로 과학적 기술과 원리에 따라 유지관리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로 인하여 시설관리 서비스와 환경위생관리 서비스 및 경비 보안 및 안전관리 서비스 등 건물종합관리의 품질 문제 로 건물사용 만족도가 높지 못하게 나타남에 따라 건물사용자의 불만이 표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건물종합관리의 품질 문제로 표출되는 건물사 용자의 불만을 학문적으로 연구해 보기 위하여 “과학적 건물종합관리가 건물사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의 논제로 건물종합관리가 건물사용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논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9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이의 분석 틀 로서 연구 모형을 구축하여 이를 토대로 설문지 조사를 설계하고 수거한 설문지 응답 중 신뢰성이 확보된 설문 응답지 200부의 응답 자료를 표본 으로 추출하여 SPSS/WIN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Cronbach's α를 사용하여 척도의 신뢰도 검사를 하였고, 요인분 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인 사항, 건축물 실태에 대한 빈도, 백 분율, 평균, 표준편차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사용하였다. 셋째, 건축물 관리방식에 따른 과학적 관리 영향도, 과학적 관리 수준 평가, 건물사용 만족도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일원변량 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넷째, 과학적 관리 영향도, 과학적 관리 수준 평가, 건물사용 만족도 변 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검증(1∼ 9)을 위해서 과학적 관리 영향도가 과학적 관리 수준을 매개로 건물사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순회귀 분석과 다중회귀 분 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분석 방법을 통하여 설정한 연구가설 9개의 가설 모두 채 택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연구 논제의 분석 을 위하여 설정한 9개의 연구가설의 채택은 시설관리 부문과 환경위생관 리 부문 그리고 경비 보안 및 안전관리 부문 등의 건물종합관리는 과학 적 관리 방법에 의하여 관리할 때 건물사용자의 건물사용에 있어서 만족 도가 향상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건물종합관리의 과학적 관리가 양질의 서비스를 생산하고 적절하게 건물사용자에게 제공하여 건물사용 만족도에 건물사용 만족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건물사용자의 건물사 용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건물종합관리 각 부문별로 주먹구구식 관리 방법을 지양하고 과학적 관리방법을 도입하여 건물종합관리 현장에 적용 하는 것이 건물사용자 관리에 적극적으로 활용함이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건물사용 만족도 향상이 사업의 관건이 되는 건물종합관리서비스 시장과 건물임대시장에서 건물종합관리 서비스 사업과 건물임대사업의 성공을 위하여 건물종합관리의 과학적 관 리방법의 도입과 현장적용이 사업성공에 매우 유용한 방법이 될 것을 시 사하고 있다.

      • 건물위생관리업의 현황과 발전요인에 관한 연구

        이재훈 극동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36367

        건물위생관리업은 건물의 사용과 이용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건물 위생관리 전문기업에 의하여 주로 생산되고 건물사용자와 이용자 들에게 제공됨으로서 건물의 최 유효 사용과 수익을 가능하도록 지원하게 된다. 따라서 건물위생관리 서비스를 생산하는 기업은 기업경영에 문제가 없어야 한다. 이는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전문 기업만이 건물의 사용자와 이용자에게 필요한 양질의 건물위생관 리 서비스를 생산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건물위생관리 전문기업과 시장 및 사업장을 중심으로 실 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매달 수백 개의 건물위생관리 전문기업의 창업이 우후죽순처럼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외부적으로 법적 제 도적 문제 및 금융 세제상의 문제, 내부적으로 경영상의 문제, 기 술력의 부족과 기업의 영세성 등의 요인에 의하여 국내 건물위생 관리 서비스시장의 무한 생존경쟁에 적응하지 못하고 스스로 폐업 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건물위생관리업의 문제로 대두되 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물사용과 이용 등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양질 의 건물위생관리업무 활동을 통한 서비스의 생산 주체인 국내 건 물위생관리기업의 발전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한 다. 또한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여 건물위생관리업 의 발전에 요구되는 영향요인을 제시할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 다. 건물위생관리업의 선행연구 논문이 전무하여 참고문헌과 전문기 업의 경영자들과 중간 관리자로 사업장관리를 직접 담당하고 있는 실무전문가들과의 토론과 종사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그 결과 신뢰도가 높은 10가지를 건물위생관리업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삼아 임시 연구가설로 설정하였다. 가설 1 : 건물위생관리기본법의 제정이 건물위생관리업의 발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 건물위생관리업의 전문자격제도 도입이 건물위생관리업 의 발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 건물위생관리업의 허가 또는 등록제 전환이 건물위생관 리업의 발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 : 건물위생관리서비스의 품질검증 및 평가제도 의무화가 건물위생관리업의 발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5 : 건물위생관리업의 장기계속계약제도 도입이 건물위생관 리업의 발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6 : 건물위생관리업의 낮은 진입장벽이 건물위생관리업의 발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7 : 건물위생관리업에 대한 정부의 세제 및 금융지원이 건 물위생관리업의 발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8 : 건물위생관리업의 대형화가 건물위생관리업의 발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9 : 건물위생관리서비스의 표준화가 건물위생관리업의 발전 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0 : 건물위생관리업체 직원들의 근무환경 개선이 건물위생 관리업의 발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를 연구하기 위하여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설정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설문 조사지를 설계하여 지역별 업체 수에 따라 500개를 배분하고 무작위로 전문기업 500개를 선정하고 대표자들 에게 배포하였다. 그 결과 응답과 신뢰성이 담보된 473부를 추출 하여 표본으로 채택하고 다음과 같은 통계적 방법을 적용하여 설 정한 연구가설을 검증하여 건물위생관리업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적용한 통계분석 방법 중 5개 이상의 통계방법에 부합하는 경우에 건물위생관리업의 발전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한 통계분석 기법은 일반 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각 문항에 대한 신뢰도 검사와 타당도 분석 은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법과 제도요인, 경영 지원요인, 생 산성 향상요인에 따른 발전의 차이는 평균차이 검증방법인 일원변 량분석과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측정변인의 적합도와 구조방정식 그리고 변인들 간의 영향 관계를 위해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상과 같은 통계 분석결과 설정된 가설 10개 항목 중 가설 1, 가설 2, 가설 3, 가설 4, 가설 8, 가설 9, 가설 10 등 7개의 가설은 채택되었으며 가설 5, 가설 6, 가설 7, 이상 3개의 가설은 기각되 었으나 국내 건물위생관리업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법 과 제도요인과 경영 지원요인 및 생산성 향상요인으로 구분하여 건물위생관리업의 발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를 도출 하였다. 법과 제도요인, 경영 지원요인, 생산성 향상요인이 건물위생관리 업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첫째, 법과 제도요인이 건물위생관리업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독립된 건물위생관리기본법 제정 β=.155 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p<.001). 전문자격제도 도입 β=.171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p>.001). 품 질검증 및 평가제도는 β=.316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p<.001). 신고제를 허가 또는 등록제로 전환은 β =.035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p>.05). 회귀식의 설명력은 26%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법과 제도요인 하위변인이 건물위생관리업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에서, 품질검증 및 평가제도 도입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전 문자격제도 도입은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경영 지원요인이 건물위생관리업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장기계속계약제도와 세제 및 금융지원의 경우에 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낮은 진입장벽 β=.123으로 유의 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p<.05). 회귀식의 설명 력은 3%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영 지원요인이 하위변 인이 건물위생관리업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낮은 진입 장벽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생산성 향상요인이 건물위생관리업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을 살펴보면, 건물위생관리업의 대형화 β=.167로 유의한 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p<.001). 건물위생관리업무 표준화 β=.186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p<.001). 직원들의 근무환경 개선 β=.282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p<.05). 회귀식에 대한 설명력은 24%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생산성 향상요인 하위변인이 건물위생관리 업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원들의 근무환경 개선이 가 장 큰 영향을 미치고, 건물위생관리업의 대형화가 상대적으로 낮 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품질검증 및 평가제도 도입, 독립 된 건물위생관리기본법 제정, 전문자격제도 도입, 직원들의 근무환 경 개선, 건물위생관리업무의 표준화, 건물위생관리업의 대형화를 국내 건물위생관리업의 영업시장과 전문기업에 적용할 경우 건물 위생관리업의 발전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 다.

      • 청소서비스의 전문적 관리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 연구 : - 임대 건물을 중심으로 -

        정재현 극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6351

        청소서비스는 건물 임차인을 비롯한 입주자들이 입주한 건물을 입주 목적대 로 바람직하게 사용 수익을 하기 위해서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건물 유지관리 서비스다. 왜냐하면 사람들이 입주한 건물을 기반으로 생활하거나 업무를 수 행하기 위해서는 건물 공간 내 외부의 환경이 청결해야 하고 위생적이어야 하 며 깨끗하고 쾌적한 양질의 청소서비스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청소서 비스는 과학적 전문성과 기술을 바탕으로 수행해야 함은 물론 전문가의 항시 적 전문적 관리를 통하여 건물 입주자의 생활과 업무 활동에 도움을 주는 양 질의 서비스여야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청소서비스 현장을 대상으로 청소서비스 수행 업무 실태를 조사해 본 결과 다수의 현장에서 전문적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청소서비스 품질에 많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로 인하여 청소서비스 소비자 인 건물 입주자들과 이용자들의 불만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건물의 사 용과 수익에 요구되는 청소서비스의 품질이 임대건물의 임차인들에게 매우 중 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의 요구와 연구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본 연구자는 위의 임대 건물에서 제기되고 있는 청소서비스의 전문적 관리 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청소서비스의 전문적 관리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 향 연구’를 논제로 설정하고 청소서비스 관리 실태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문 적 관리에 의한 청소서비스가 소비자들에게 어떤 영향이 미치는가를 분석하기 로 했다. 이를 위하여 ‘청소서비스의 전문적 관리’를 독립변수로 하고 청소서 비스가 건물 입주자들에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는 입주자의 ‘건강 유지 및 향상’과 ‘업무 생산성 향상’, ‘건물 마감재의 기능과 색상 및 물리적 수명의 장기화’, ‘임차 수요의 증가’ 4개 항목을 종속변수로 하여 통계적 분석 방법으 로 검증한 결과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에 유의미한 인과 관계가 성립되었으며 이를 증명하는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청소서비스의 전문적 관리는 보건위생환경을 조성하여 실내 거주자의 건강 유지 및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은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 다. 청소서비스 수행 활동의 과학적 전문성과 기술을 바탕으로 전문적 관리를 수행하는 경우 양질의 보건성 위생성 청소서비스 품질이 생산되어 보건위생환 경이 조성되고 이를 매개로 건물 입주자의 건강 유지 및 향상에 유의미한 영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청소서비스의 전문적 관리는 청결한 근무 환경을 조성하여 건물 입주 자들의 업무 생산성 향상에 대한 영향’의 가설은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청소서비스의 전문적 관리를 통한 양질의 청결성 쾌적성 청소서비스 품질을 생산 제공하여 청결하고 쾌적한 근무환경을 조성하고 이를 통하여 건물 입주 자들의 업무 수행 환경에 심리적 안정감과 쾌적성을 제공함으로써 업무 생산 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청소서비스의 전문적 관리는 청소 대상 마감재의 조기 노후화 방지를 통하여 마감재의 기능과 색상 및 물리적 수명의 장기화에 대한 영향’의 가설 은 유의미한 분석 결과가 확인되었다. 전문적 관리로 생산 제공하는 양질의 청소서비스는 건물 마감재를 대상으로 수시로 먼지나 때 등의 오염물질의 예 방과 제거 활동 및 유지관리를 통하여 마감재 원래의 기능과 수명의 장기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가설 검증 결과 확인되었다. 넷째, ‘청소서비스의 전문적 관리는 건물 임차 수요 유인 요인으로 작용하여 임차 수요 증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설은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되 었다. 청소서비스의 전문적 관리는 청결성 위생성 보건성 미관성 쾌적성을 생 산 제공함으로써 기존 건물 입주자들을 장기적으로 체류하게 하고 임대 건물 의 이미지를 좋게 하여 신규 임차인을 유인하는 임차 수요 증가에 대한 영향 가설은 독립변수와 종속 변수 간에 인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청소서비스의 전문적 관리는 건물 입주자의 건강 유지 및 향상과 업무 생산성 향상, 건물 마감재의 기능과 색상의 장기화, 임대건물의 임차 수 요 증가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연구 결과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논제인 ‘청소서비스의 전문적 관리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 연구’ 는 ‘건물 입주자의 건강 유지와 향상’, ‘건물 입주자의 업무 생산성 향상’, ‘건 물 마감재의 기능과 색상 및 물리적 수명의 장기화’, ‘임대 건물의 임차 수요 증가’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청소서비스 전문 관리 방법론으로 인식되며 나 아가 청소서비스 효과의 극대화와 성공적인 임대건물의 운영과 유지관리를 위 하여 반드시 필요한 관리기법이 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 건물 입주자의 시설관리 서비스 만족도 개선방안 연구

        김화기 극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6351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of a building has a close correlation with the building occupants. It is because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is an essential element in order to conduct the building-based profit activities of building occupants. Therefore, building tenants purchase a high monthly rental fee, management fee, and usage fee in return for facility management services. It is necessary for building use and profit activities: high-quality air-conditioning and heating services, electric heating and lighting service, drinking water supply service, and elevator service. In addition, to receive services for using public facilities such as toilets under certain conditions and building management services, the building owner and the building tenant enter into a mutual lease agreement and are forced to fulfil it faithfully. In accordance with such a building lease contract, the building owner must produce high-quality facility management services and provide them appropriately to the building users based on the contract to satisfy the building occupants. However, as a result of an empirical survey on building facility management services for building occupants, it is investigated that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s produced and provided by most facility management sites are low satisfaction facility management services due to various factors. In order to analyze this, in a facility management service standardization study conduc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nd Standards (2006)stated that the satisfaction of building occupants with facility management was found to be 69.2% as a problem of facility management service quality. It implies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building occupants was low. Also, in other research literature surveys, the satisfaction of building occupants at the facility management site was found to be relatively low due to the quality of facility management servic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demand for improvement of the building occupants' dissatisfaction with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is increasing, centering on the occupants. The low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facility management of building occupants affects the building occupants' use of the building. As a result, it is believed to be a cause of dissatisfaction, impeding the use and profit activities of the occupied building, and the frequent occurrence of vacancies by moving to another building, impeding the rental income of the build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poor quality of facility management service, which is a factor that causes complaints about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of building occupants and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building occupants with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through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and verify the "Study on way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building occupants with facility management services" as a research topic, we conducted a discussion with building occupants who are dissatisfied with the building facility management service. By discussing the factors affecting dissatisfaction with facility management services that are negatively affecting people and analyzing them using statistical methods, a plan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facility management service of building occupants was derived. As a result of a discussion with building occupants and factors for dissatisfaction with facility management service, the factors negatively affecting the quality of high-quality facility management service, which are decisive for satisfaction with facility management service, are the low financial treatment of facility managers and poor working conditions of facility managers, low interest in building occupants' satisfaction with building owners, non-compulsory external audit of building management costs, and non-introduction of building occupant supervision system. A study in which five factors impeded the satisfaction of building occupants with facility management services was derived and analyzed to determine the five factors impeding the quality of facility management servic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improvement in satisfaction with facility management service of building occupants as a dependent variable.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s of building occupants by establishing a model, establishing a research hypothesis, and designing a survey to extract empirical data.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financial treatment of the facility manag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facility management satisfaction of the building occupants by improv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facility manager and producing a quality facility management service. Second, the improvement of the poor working environment of facility managers is confir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facility management services, whic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building occupants with facility management services. Third, an increase in the building owner's interest in satisfaction of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by the building occupants is confirmed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the building occupants with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mandatory implementation of an external audit of the building management cos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atisfaction of the building occupants with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by preventing waste and leakage of the building management cost and guaranteeing the quality of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Fifth,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building occupant's supervision system improved the quality of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an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satisfaction of the building occupants.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of the five research hypotheses established, it was analyze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facility management service satisfaction, which is the dependent variable. Therefore,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building occupants with facility management service, low financial treatment of facility managers and improvement of the poor working environment for facility managers are required.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supervision system and compulsory external audit of building management costs also affect the improvement of the facility management service satisfaction of the building occupan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inferred way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building occupants with facility management services and presented them to the related academia and industry. 건물 시설관리서비스는 건물입주자와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왜 냐하면 건물을 기반으로 하는 건물입주자의 건물사용 수익활동을 영위하기 위해 서는 시설관리 서비스가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건물임차인 건 물 입주자는 고액의 건물임대료와 관리비 및 사용료 등을 매월 지불하는 대가로 건물사용과 수익활동에 필요한 시설관리 서비스 즉, 양질의 냉난방 서비스와 전 열 조명 서비스, 음·용수 공급 서비스, 승강기 서비스 그리고 화장실 등과 같은 공용 시설 이용 서비스를 일정한 조건에 따라 공급받도록 건물주와 건물임차인 건물 입주자 간에 상호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고 이를 성실하게 이행하도록 강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건물 임대차 계약에 따라 건물주는 양질의 시설관리 서비스를 생산 하고 이를 건물 사용자에게 적절하게 제공하여 건물 입주자를 만족하게 해야 한다. 그러나 건물입주자를 대상으로 건물 시설관리 서비스에 대한 실증조사 결과 대부분의 시설관리 현장에서 생산 제공하는 시설관리 서비스가 여러 가지 요인 으로 인하여 저 만족도 시설관리 서비스인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를 분석하 기 위하여 국가기술표준원(2006)이 연구 발표한 시설관리 서비스 표준화 연구에 서 건물 입주자의 시설관리 만족도가 시설관리 서비스 품질 문제로 69.2%로 조사되고 있어 시설관리 서비스에 대한 건물입주자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다른 연구 문헌 조사에서도 시설관리 현장의 건물 입주자들의 만족도 가 시설관리 서비스 품질 문제로 비교적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건물입주자의 시설관리 서비스에 대한 불만에 대한 개선 요구가 건물 입주 자들을 중심으로 점증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낮은 건물 입주자의 시설관리 만족도는 건물입주자의 건물 사용에 있어서 불만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입주한 건물의 사용 활동과 수익활동을 저해 하고 있으며 타 건물로 이전하여 공실이 발생하는 현상이 자주 나타나 건물임 대 수입에도 지장을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물 입주자의 시설관리 서비스 불만 요인인 저질의 시설 관리 서비스 품질 문제를 개선하고 이를 통하여 건물 입주자의 시설관리 서비 스 만족도를 향상 방안 연구를 목적으로 “건물입주자의 시설관리 서비스 만족 도 개선방안 연구”를 연구 주제로 설정하고 이를 분석 검증하기 위하여 건물 시설관리 서비스에 대하여 불만을 가지고 있는 건물 입주자와의 토론을 통하 여 건물 입주자 시설관리 서비스에 대한 불만족의 주된 원인인 저 품질의 시설 관리 서비스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시설관리 서비스 불만 영향요인을 논 의하고 이를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건물 입주자의 시설관리 서비스 만족도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건물 입주자와 시설관리 서비스 불만 요인에 대한 토론 결과 시설관리 서비스 만족도에 결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양질의 시설관리 서비스 품질에 부정적으 로 작용하고 있는 요인으로 시설관리자의 낮은 경제적 대우문제와 시설관리자 의 열악한 근무 환경문제, 건물소유자의 건물 입주자 만족도에 관한 관심도 저 하 문제, 건물관리비에 대한 외부회계 감사의 의무적 미실시 그리고 건물 입주 자 감독제도 미 도입 등 5개 항목의 건물입주자 시설관리 서비스 만족도 저해요 인을 도출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도출한 시설관리 서비스 품질 저해요인 5 개 항목을 독립변수로 하고 건물입주자의 시설관리 서비스 만족도 개선을 종속 변수로 하는 연구모형의 구축과 이를 토대로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 자 료 추출을 위한 설문조사를 설계하여 건물 입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 과를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시설관리자의 경제적 대우 개선이 시설관리자의 직무 만족도를 개선하여 양질의 시설관리 서비스를 생산하게 함으로써 건물 입주자의 시설관리 만족도 개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시설관리자의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이 시설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 시켜 건물 입주자의 시설관리 서비스 만족도 개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건물주의 건물 입주자의 시설관리 서비스 만족도 관심제고가 시설관리 서비스 품질을 개선함으로써 건물 입주자의 시설관리 서비스 만족도를 개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건물관리비 외부회계 감사의 의무적 실시가 건물관리비의 낭비와 누수를 막아 양질의 시설관리 서비스 품질을 보장함으로써 건물 입주자의 시설관리 서 비스 만족도 개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건물입주자의 감독제도 도입이 시설관리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게 함으 로써 건물 입주자의 시설관리 서비스 만족도 개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설정한 5개항의 연구가설을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독립변수 가 종속 변수인 시설관리 서비스 만족도 개선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따라서 건물 입주자의 시설관리 서비스만족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시설관리자의 낮은 경제적 대우와 시설관리자의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이 요구되고 있으며 건물 소유자가 입주자 만족도의 관심도 제 고와 건물 관리비 회계감사의 외부기관에 의한 의무적 실시가 이루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 건물 입주자의 시설관리서비스 감독제도 도입 및 실시가 건물 입주자의 시설관리 서비스 만족도개선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 을 연구결과가 시사하고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건물 입주자의 시설관리 서 비스 만족도 개선 방안을 추론하고 이를 관련 학계와 업계에 제시 하였다.

      • 사무용건물의 시설관리직종별 적정관리인원 산정에 관한 연구

        박형준 극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6351

        현재 건물에 대한 인식은 이익을 극대화하는 대상으로 보고 있으며 건물의 유지관리에 있어 관리비용을 절감하고 관리품질을 적정 유지하는 것이 향후 건물자산관리의 경제화 및 관리업무 효율화이다. 그러나 건물자산관리의 경제화를 위한 인건비 절감에 대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이며 합리화된 시설관리 인원산정기준이 개발되어 있지 않아 시설관리서비스의 질적 만족도 와 양적 생산성이 감소하고 최유효 서비스 제공에 많은 난관 및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최적의 사무용건물 시설종합관리를 위해서는 유지관리비용의 경제화 및 관리업무의 효율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한 유지관리비용의 결정요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인건비 의 최적화를 위한 적정 관리인원 산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이를 과학적 방법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분석의 틀을 설정하였고, 이를 실증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설문조사는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3월 31일까지 3개월에 걸쳐 연구 범위에 충족하는 70개 사무용건물을 택한 후 동일한 설문내용으로 시설관리 위탁회사의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회수한 설문조사지 중 신뢰성이 있는 사무용건물 50개를 표본자료로 활용하여 시설관리직종별 적정 관리인원의 산정을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관리직의 경우 건물 연면적 대비 2.0%로 1개 건물이, 시설관리 기술직의 경우 건물연면적 대비 18.0%로 9개 건물이, 환경 미화직의 경우 건물 연면적 대비 30.0%로 15개 건물이, 미화 관리면적 대비 22.0%로 11개 건물이, 경비 보안직의 경우 건물 연면적 대비 28.0%로 14개 건물이, 포스트 수 대비 4.0%로 2개 건물이, 전체적으로는 28.0%인 14개 건물이 과다 건물로 분석되었으며 건물 연면적 대비 환경 미화직과 건물 연면적 대비 경비 보안직 의 과다건물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환경 미화직과 경비 보안직의 경우 건물 연면적 대비 적정관리인원 반영이 인건비 절감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유지관리비용 경제화 큰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관리직 및 시설관리 기술직의 경우 건물의 연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1인당 관리할 수 있는 면적이 증가 및 인당 양적 생산성을 증대하게 하여 시설종합관리에 있어 유지관리비용의 경제성이 증진된다고 볼 수 있다. 2차 설문조사는 2022년 5월 1일부터 2022년 7월 31일까지 3개월에 걸쳐 연구 범위에 충족하는 사무용건물의 시설관리 관리자 및 종사자등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250부를 실시하고 회수한 설문조사지 중 신뢰성이 있는 설문조사지 200 부를 추출하여 적정관리인원 실태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가 관리하고 있는 건물의 시설관리 투입 인원수가 적정하다 는 응답은 58.5%로 과반수 이상의 건물의 시설관리는 발주자와 시설관리위탁 회사간의 수년간 누적된 협의로 관리비용의 경제화를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시설관리 투입인원수가 과소할 경우 서비스 품질 유지에 정(+)의 영향 을 미치지 않는다는 응답은 71%로 과소 투입된 건물은 건물주 및 입주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기 어렵고 과도한 업무에 따른 이직률 상승 등 적정관리 인원으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시설관리 투입인원수가 과다할 경우 시설관리 비용 증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 같다는 응답이 63%로 과다 투입된 건물은 인건비 증가에 따른 시설관리 비용 증가로 시설관리 경제화에 저해하고 있으므로 적정관리 인원으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1, 2차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건물의 유지관리에 있어 과소 및 과다 인원 현장을 적정관리인원으로 개선함으로써 인건비 적정화를 유도하게 되고, 건물 사용자의 만족도 향상 및 경제적 적용 가능한 시설관리 인원의 설계기준과 산정방법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무용건물의 시설 관리직종별 적정관리인원 산정기준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무용건물의 시설관리직종별 적정인원의 산정기준을 제시하고 시설관리의 경제적 관리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건비 적정화를 통한 건물주 및 건물입주자가 원하는 시설종합관리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고 가장 경제화 및 효율적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사무용건물의 시설관리 경제적 관리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청소관리사 자격제도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김소연 극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6351

        입주한 건물이나 사용하고자 하는 시설물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내ž외 환경이나 공간이 쾌적하고 아름답게 유지되어야 한다. 건물의 위생적이고 깨끗한 환경과 공간 조성은 청소관리영역을 통 해서 만이 해결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완성된 건물이나 시설물을 최 유효조건으로 사용하기 위해 서 요구되는 시설관리 서비스나 경비 보안관리 서비스 및 환경위생관리 서비스(청소서비스)을 생산 제공하기 위해서는 건물 유지관리 영역별로 일정한 자격이나 기술을 보유한 인력을 필요로 한다. 다행히 건물종합관 리 3대 영역 중 시설관리 영역에서는 건물 유지관리 관련법령에 따라 전 기기사, 기계기사, 방송통신기사, 소방안전기사 등 일정한 국가 자격 소 지자들에 의하여 관리 되고 있으며, 경비 보안관리 영역 역시 경비업법 에 따라 국가자격인 경비 지도사 중심으로 경비 보안관리가 수행되고 있 다. 그러나 청소관리 영역인 건물환경위생관리 영역에는 공중위생관리법 이나 화장실 등에 관한 법률, 페기물 처리법 등 관계법령은 있으나 일정 한 기술 자격제도가 전무하며 청소 경력이나 기술 수준을 규정하고 있지 않아 양질의 청소 서비스 생산에 문제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계속 방치하는 경우 사용 목적 건물에 필요한 양질의 청소서비스를 생산 하고 제공할 수 없어 건물 사용자들에게 경제적으로 그리고 환경 위생적 으로 피해가 예상되고 있어 청소관리 자격제도의 도입과 적용이 시대적 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 현장 소장 11명을 대상으로 면담 조사를 실시해 본 결과 현장과 청소종사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부정 적 현상과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첫째, 서비스 생산을 담당하고 있는 청소 인력 채용 부분에서 취업 자 격이나 조건이 없어 아무나 누구나 신체 건강한 남녀를 대상으로 채용하 고 있어 양질의 청소서비스 생산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둘째, 초보자나 장기 경력자 임금이 대부분 최저 시급에 맞춰져 있어 종사자들의 경제적 처우개선을 가로 막고 있으며 기술 수준의 저하와 지 식의 부족, 종사자의 자기 확신과 효능감 저하, 청소직업의 안정성 저해, 종사자들의 직무 만족도가 매우 낮은 점 등이 현장 마다 현실적 문제점 으로 지적되고 있다. 셋째, 기술교육 기회가 전무 하여 자기 개발의 기회가 거의 없으며 관 리 능력의 저하로 청소의 양적 생산성과 질적 생산성이 선진국인 미국과 일본의 청소 생산성에 비하여 현저히 뒤떨어지고 있다. 넷째, 직업 안정성이 떨어져 이직율이 높은 편이며 장기 근속자가 상 대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제기 되고 있는 청소자격제도의 미비로 인한 부정적 현상과 문제점에 대한 연구와 개선의 요구가 본 연구의 배경으로 작용하 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 목적 건물의 최 유효 사용 목적을 위하여 반드 시 요구되는 양질의 청소서비스 생산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거나 문제가 되는 청소 인력의 부정적 현상과 문제점을 청소현장 소장의 면접조사를 통하여 도출하고 이를 개선하는 방안을 추론하여 관련 학계와 업계에 제 시 하는데 있다. 다시 말하면, 완성된 건축물을 유지관리 하기 위하여 제도적으로 설정 운영되고 있는 건물 종합관리 3대 영역의 자격제도를 고찰하고 자격제도 의 미비로 인하여 나타나는 청소영역의 부정적 현상과 문제점을 도출하 여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추론하고 제시 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건물 종합유지관리 3대 영역 중 유일하게 청소관리 분야에 만 자격 제도가 미비하여 이로부터 파생되는 부정적 현상과 문제점 개선 을 목적으로 청소관리사 자격제도의 도입 필요성 연구를 논제로 하여 청 소관리사 자격제도 도입을 독립변수로 하고 취업자격 설정 필요성과, 청 소종사자 처우개선 충족, 청소서비스 양적 생산성 향상, 청소서비스 품질 향상, 장기근속, 자기 확신과 효능감, 청소직무 만족도 등 7개의 항목을 종속변수로 하여 통계적 방법으로 단순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설정한 연구가설 7개 항목이 모두 채택되어 청소관리사 자격제도 도입의 필요성 이 존재하고 있음의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 건물시설관리 서비스 표준화의 건물사용자 만족도 영향 분석

        성한경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6351

        건물의 사용과 수익 및 처분의 목적을 합리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건물 시설관리 서비스가 필요하다. 시설관리 서비스를 공급받지 못하면 건물사용자와 소유자 등의 목적대로 사용 수익 할 수 없으며 양도차익을 실현하는 처분행위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건물을 합리적으로 사용 수익 및 처분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건물시설관리 서비스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건물사용자를 대상으로 건물사용 시설관리 평균 만족도를 조사해 본 결과 68.4.%로 조사되고 있어 시설관리 서비스의 품질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건물사용자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처럼 제기되고 있는 시설관리 서비스 품질 문제를 시설관리 서비스 품질 표준화를 통하여 건물사용자 만족 도를 개선할 목적으로 “건물시설관리 서비스 표준화의 건물사용자 만족도 영향 분석”을 논제로 설정하고 합리적인 건물의 사용과 수익 및 처분에 필요한 시설관리 서비스 만족의 필요조건은 무엇이며, 건물사용자 만족도를 저해하는 저해요인과 만족도 향상 영향요인을 함께 탐색하고 분석하였다. 건물사용자 불만요인 개선과 건물사용자 만족도 향상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건물시설관리 현장에서 건물사용자의 불만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시설관리 서비스 11개의 서비스 항목을 연구가설로 설정하고 이를 통계처리 방법으로 실증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신뢰도 검사와 빈도 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다. 시설관리 서비스 표준화 실태와 시설관리 서비스 만족도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One way ANOVA 및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설정한 연구가설 11개 가설을 회귀 분석방법으로 검증한 결과 설정한 가설 모두가 유의미하게 채택되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가설로 채택된 시설관리 서비스 11가지 항목은 첫째, 냉난방 서비스 둘째, 승강기 서비스 셋째, 전등·전열 서비스 넷째, 음 용수 공급 서비스 다섯째, 입주자 민원접수 및 처리 서비스 여섯째, 건물 안전관리 서비스 일곱째, 건물 환경관리 서비스 여덟째, 건물 내 공공시설 이용 서비스아홉째, 입주 및 퇴거 지원 서비스 열 번째, 에너지 공급 서비스 그리고마지막으로 열한 번째 건물사용자 만족도 관리 서비스이다. 결론적으로 시설관리 서비스 11개 부문의 시설관리서비스 표준화는 건물사용자 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건물사용자 만족도 향상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건물시설관리 서비스 실험집단(시설관리 서비스 표준화 건물사용자)의 건물사용자 만족도가 통제집단(시설관리 서비스 비표준화 건물사용자) 보다 높게 나타나는 현상이 확인됨으로써 건물시설관리 표준화가 건물 사용자의 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건물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건물시설관리 서비스 표준화가 필요하며 이의 도입과 적용이 필수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시설관리 서비스 비표준화 건물의 건물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키기위해서는 건물시설관리 서비스 표준화 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따라 시설 관리 서비스 품질을 표준화함으로써 건물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있다는 합리적인 추론이 가능하게 되었다. 건물사용자 만족도 향상에 요구되는 건물시설관리 서비스 품질 표준화 모형(안)을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설관리 서비스 프로세스 표준화 모형 Ⅰ” 과 “시설관리 서비스 기반구조 표준화 모형 Ⅱ”를 함께 개발하고 이를 시설관리 서비스 건물 사용자 만족도 향상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A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Building Facility Management Service Standardization on Building Users’ Satisfaction Sung, Han Kyung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Far East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Kim, Bum Suk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proper use, benefit and asset disposal of the building, facility management service is necessary. In the absence of appropriate facility management research and survey, buildings can’t be used as what the building users or the owners intended it to be used as. And furthermore, the sale of the asset becomes difficult. Therefore, to achieve the goal of proper use, benefit and asset disposal, better facility management services should be provided. However, according to a research conducted, building users satisfaction level remains at 68.4%, which shows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e quality of facility management service. This raises an argument that facility management service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study how facility management services can beimproved, the research topic “A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Building Facility Management Service Standardization on Building Users’ Satisfaction” was established. Research was also conducted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reduce or improve the satisfaction level of facility management service and the factors essential for building users satisfaction in terms of facility management. To establish a model on improvement in building users complaints and satisfaction level, 11 hypotheses were set up based on facility management items; and Statistical process was used for empirical test. Analysis method such as reliability test, frequency test, and technological statistics analysis were also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factor and the difference level between facility management standardization and satisfaction level, one way ANOVA and t-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11 hypotheses, simple regression was conducted and as a result all 11 hypotheses were adopted. Therefore, the research result as such is confirmed. 11 hypotheses proved to influence relevantly in improvement on building users satisfaction level. The 11 items selected as the hypotheses are: Air-conditioning (cooling and heating), elevator, light and power, water supply, process of treating occupant request, building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environment and sanitation management, use of public area, move in and out support, energy supply and lastly, building users satisfaction management. In conclusion, it is proved that building facility service standardization influences building users satisfaction in a positive way, and helps improve the building users satisfaction level. The satisfaction level of facility management experimental group (Facility management service standardized building user) i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Facility management service non- standardized building user). This indicates that to improve building users satisfaction level, facility management service standardization is essential and should be adopted and applied. This also indicates that to improve building users satisfaction level in non-standardized facility management buildings, service standardization model in facility management service should be established. From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a model has been established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rocess standardization model Ⅰ” and “Facility management service infrastructure standardization model Ⅱ” and this paper proposes a model to enhance building users satisfaction.

      • 건물화재피해 영향요인의 체계적 관리가 화재피해 최소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동욱 극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6351

        1960년대에는 초고층, 최첨단 대형건축물이 크게 존재하고 있지 않았으 나 1980년대의 진입하면서 아시안게임 및 올림픽 게임이 국내에서 개최 됨으로써 건축물다운 현대 건축물이 우후죽순처럼 건축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건축물 화재 사고도 급증하여 인적, 물적 피해가 증가되 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최근 2021년 12월 말 기준 국내 건물의 양적 팽창은 약 730만 동 이상으로 증 가하였으며 1년간 건물화재 발생 건수는 총 23,997건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인적 피해는 240명의 사망과 1,589명의 부상자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건 물화재로 인한 재산 피해는 무려 약 1조46억 원에 달하여 건물화재 피해의 예방 과 방지는 사회적으로 그리고 국가적으로 개선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관한 연 구의 요구가 시대적으로 요청되고 있다. 직접 건물시설관리자로 시설관리 업무에 종사함에 있어서 건물화재가 발생하게 되는 근본적인 원인을 찾고 화재 발생 예방에 만전을 기하여 화재피해가 발생하더라도 최소화 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제시하는 데 목 적이 있으며 그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건물피해의 방지와 예방으로 건물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를 수 행하여 건물피해를 최소화 방안을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7곳의 시설관리 방재 책임자 7명을 대상으로 건물화재 피해 영향요인을 조사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이 건물화재 영향요인이 조사되었다. 첫째, 건물화재관리에 있어서 화재경보 오작동의 체계적 관리가 화재경 보 신뢰성 회복 및 긴급 대피 유도를 매개하여 화재피해 최소화에 정 (正)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건물화재관리에 있어서 화재확산 방지시설의 체계적 관리가 화재 및 연기확산 방지를 매개하여 화재피해 최소화에 정(正)의 방향으로 영 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건물화재관리에 있어서 건물입주자 자율소방 훈련의 체계적 관리 가 신속한 피난 유도와 인명 구조를 매개하여 화재피해 최소화에 정(正) 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건물화재관리에 있어서 건물화재관리 매뉴얼의 체계적 관리가 화 재관리의 신속한 대응과 화재관리 업무 표준화를 매개하여 화재피해 최 소화에 정(正)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섯째, 건물화재관리에 있어서 건물 화재 점화원의 체계적 관리가 화재 발생의 원천적 차단을 매개하여 화재피해 최소화에 정(正)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여섯째, 건물화재관리에 있어서 건물 화재보험 및 영업배상 책임보험의 체계적 관리는 화재피해 보상 수단 확보를 매개하여 화재피해 최소화에 정(正)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조사된 건물화재 영향요인이 건물화재 피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조사 하기 위하여 조사된 영향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건물피해 최소화를 종속변수로 하는 가설 6개 항목을 설정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7곳의 시설관 리 현장 종사자 16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 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대상으로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해본 결과 다음과 같이 2개 항목의 연구가설은 기각되었으며 나머지 4개 항목의 연구가설의 독립변수는 종속변수인 건물화재 피해 최소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는 매일같이 발생하는 건물화재와 그 피해를 최소화 하 는 데 있어서 화재피해 확산방지 시설의 체계적 관리에 건물 소유자의 관 심도를 높여줄 것을 제안하며 또한 건물화재 피해 영향요인의 체계적 관 리를 통하여 건물화재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건물 소유자와 관할 소방서에서 소방훈련의 체계적 관리와 건물화재 점화원의 체계적 관리 그리고 화재보험 및 영업배상 보험 가입의 체계적 관리가 선행된다면 건 물화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