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the ASEAN-ROK Cooperation Fund (AKCF)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bilateral Aid

        Sieun Kim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198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asons why the ASEAN-ROK Cooperation Fund (AKCF) projects are continued even though the ASEAN Secretariat (ASEC) and the AKCF do not have typical characteristics of multi-bilateral ODA. Moreover, this study shows a positive direction for the AKCF by exploring examples of project-implementing agencies and other countries (Japan and Australia).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ossible application and direction of the AKCF from a multi-bilateral aid perspective. In this regards, this study answered three research questions : first, what are the limitations and potential of the AKCF compared to other multi-bilateral funds? Second, what are the limitations and potential of the AKCF compared to similar funds in other countries (Japan, Australia)? Third, what do proponents of AKCF expect from the fund relative to South Korea's bilateral ODA to ASEAN? This study found that, unlike other ODAs, the AKCF can include countries that are not in the development cooperation target countries among the ten ASEAN Member States (AMS) can include areas that have been neglected in ODA, and can utilize the network of the ASEC; therefore, it was easy to build a network targeting ten AMS. In addition, because of the various agreements established between AMS, it was difficult to find projects that did not align with ASEAN’s mission. In addition,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90, the AKCF has grown, so it was hard to find budget uncertainty. Meanwhile, this study also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greatly strengthen monitoring, strengthen PR, secure signature projects, and recruit personnel of AKPMT for the positive operation of the AKCF compared to other countries. 본 연구의 목적은 아세안사무국 및 한-아세안 협력기금이 타 다자성 양자원조 및 ODA의 전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한-아세안 협력기금 사업을 지속하는 이유를 분석하며, 사업 시행 기관 및 타 국가(일본·호주)의 사례를 통해 한-아세안 협력기금의 긍정적 방향성 제시하는데 있다. 관련, 본 논문은 ① 한-아세안 협력기금은 타 다자성 양자와 비교하여 한계점 및 가능성이 무엇인가. ② 한-아세안 협력기금은 타 국가(일본, 호주)와 비교하여 한계점 및 가능성이 무엇인가. ③ 한-아세안 협력기금 시행기관은 한국의 대 아세안 양자 ODA와 비교하여 한-아세안 협력기금에서 기대하는 것은 무엇인가 등 3 개의 연구 질문에 답하였다. 연구 결과 한-아세안 협력기금의 가능성으로는 여타 ODA와 달리 아세안 10개국 중 개발협력 대상국에 포함되지 않는 국가도 포함하고, ODA에서 소외된 분야도 포함될 수 있으며, 아세안 사무국의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어 아세안 10개국을 대상으로 하는 네트워크 구축 사업에 용이하였다. 또한, 아세안 간 기 구축한 다양한 합의를 이행하여 다자성 양자원조의 단점으로 지적되는 국제기구의 활동과 배치되는 사업을 진행하는 것은 쉽게 찾아볼 수 없었다. 또한, 1990년 구축 이래로 매년 기금이 증가되어 예산의 불확실성은 쉽게 찾아볼 수 없었다. 한편, 연구 결과 일본, 호주와 비교하여 한-아세안 협력기금의 긍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크게 모니터링 강화, 홍보 강화, 시그니쳐 사업 확보, 인력 충원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 Restorative design for a shool environment : assessing restorative effects of interior color and ceiling height via psychophysiological measures using EEG

        김시은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2 국내박사

        RANK : 231967

        사회적 불안과 스트레스가 만연한 현대사회의 사람들은 정서적으로 건강한 삶을 추구하려는 욕구가 크다. 사람들이 일상의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실내공간에서 편안함과 정서적 만족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을 통한 심리적 웰빙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감소와 웰빙에 기여하고 정서적 지원이 가능한 학교환경을 위한 회복디자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따라 학교 실내 휴식공간에서 사용자가 편안함, 휴식, 회복감을 느낄 수 있는 실내디자인 요소의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자연요소를 활용한 회복환경디자인 개념을 확장하여 실내색채와 천장높이의 공간디자인 요소에 따른 회복효과를 탐구하였다. 환경심리학과 신경건축을 융합한 다학제적 관점에서 뇌파를 활용한 심리생리반응 측정을 통해 실내색채와 천장높이의 회복 효과를 평가하고 실증적인 디자인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두 단계의 연구과정을 거쳤다. 첫번째 단계로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가상의 대학교 라운지 공간에 적용한 난색과 한색 각각 5개의 실내 색채에 대한 공간에서의 감정과 휴식공간 선호도를 조하는 1차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회복적 실내 색채의 특성과 공간에서의 감정을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라 난색과 한색 모두 저채도 고명도의 부드러운 톤은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색채조합으로, 고채도 중명도의 선명한 톤은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색채조합으로 설정하고 2차 심리생리반응 실험의 색채 변인으로 삼았다. 두번째 단계로 색채 요인과 천장높이 요인(3m의 낮은 천장과 6m의 높은 천장)이 혼합된 공간 이미지를 감상하고 뇌파 측정과 회복환경지각 설문조사를 하는 심리생리반응 실험을 수행하고, 색채와 천장높이에 따른 회복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은 총 50명의 참여자를 1차 조사 결과에 따라 휴식에 긍정적인 색채조합을 감상한 그룹 A와 부정적인 색채조합을 감상한 그룹 B로 나누어 각 그룹별로 4개 이미지를 감상하고 이미지별 상대 알파파와 상대 베타파를 측정하고, 주관적 회복감을 설문조사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번째, 휴식을 위한 공간의 색채는 난색과 한색 모두 채도가 낮고 명도가 높은 부드러운 톤의 색채환경을 선호하고, 이러한 공간에서 낮은 각성도와 편안한 감정을 느낀다. 반대로 채도가 높고 명도가 높은 선명한 톤의 색채환경은 높은 각성을 느끼게 되어 휴식 공간으로 선호하지 않는다. 두번째, 한색환경은 난색환경보다 회복과 휴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뇌파 결과에서 저채도 고명도의 한색은 난색보다 상대 알파파 비율은 높고 상대 베타파 비율이 낮게 나타나 이완상태를 보였으며, 주관적 회복감 또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같은 한색이지만 저채도 고명도 한색은 고채도 중명도 한색보다 주관적 회복감이 더 높게 나타났고 실내 색채의 채도와 명도에 따라 회복 효과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세번째, 천장이 높은 공간은 천장이 낮은 공간보다 회복과 휴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뇌파와 주관적 회복감 모두 공통적으로 색채의 속성과 관계없이 높은 천장 공간에서 상대 알파파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주관적 회복감이 더 높았다. 특히 뇌파 결과에서는 고채도 중명도 한색의 경우 높은 천장에서 천장높이 효과로 인해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색채 속성임에도 불구하고 이완 반응이 나타나 천장높이의 회복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천장높이가 색채에 비해 생리적, 심리적으로 회복에 우선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네번째, 천장이 높은 공간이 회복과 휴식에 긍정적 영향을 주지만 고채도 중명도의 난색과 조합될 경우 높은 각성의 생리적 반응을 유발하여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고채도 중명도의 난색은 천장이 높아지면 시각적 자극이 증대되어 높은 각성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뇌파의 생리반응 결과를 통해 심리반응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부정적인 각성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고, 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감정 반응 평가 시 주관적 심리반응 평가와 더불어 생리반응을 통해서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데이터에 근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다섯째,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학교환경의 회복디자인 시 색채계획은 채도가 낮고 명도가 높으면서 부드러운 톤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공간에서 편안한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하되 채도가 높고 명도가 낮은 선명한 색채의 사용은 각성이 높아지므로 지양하도록 한다. 난색보다는 한색으로 계획하는 것이 사용자가 심리생리적으로 이완상태에 이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천장높이를 2개층 정도로 높게 계획하여 사용자가 개방감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색채와 천장높이에 관한 모든 조건이 충족되었을 경우 이완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고, 높은 천장은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본 연구는 정서적 지원이 가능한 학교환경 조성을 위하여 EEG를 활용한 심리생리반응 측정을 통해 색채와 천장높이의 회복효과를 정량적으로 밝히고 실증적 근거에 따른 회복디자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가 회복과 휴식의 기능이 필요한 학교공간 설계와 정서적 지원이 이루어지는 학교환경 조성 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Given the rampant social anxiety and stress of modern society, people have a great desire to pursu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importance of emotional satisfaction, such as comfort, has increased for indoor spaces, where most of our time is spent. This study was motivated by the need for design that contributes to psychological recovery. A restorative design that can be applied to public spaces, such as educational facilities, that are regularly used by people was studied. The restorative school environment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supporting students’ health, wellbeing, and academic performance.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restorative effects of color and ceiling height through psychophysiological measurement using an electroencephalogram (EEG) from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that combined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neuroarchitecture. To this end, as first,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interior colors of a hypothetical university indoor lounge space, the color properties of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recovery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survey. Second, a quasi-experiment was performed to measure relative alpha and beta wave power of EEG and perceived restorativeness (PR) when viewing 3D images of the indoor university lounge space. The experiment combined the color factor with the ceiling height (low 3m and high 6m) factor, and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the color factors of the online survey results. As a results, the survey showed that the most preferred interior color for relaxation spaces had a subdued tone with low saturation and high brightness for both warm and cool colors, and people felt comfortable in these color environments. Conversely, vivid tones with high saturation and high brightness were not preferred as relaxation space, as they led to high arousal. These results were also verified through the psychophysiological experiments. In the psychophysiological experiment, the restorative effects of color and ceiling height were observed in both the EEG and PR evaluation for group A, which were assigned with interior color with low saturation and high brightness. In terms of color effects, higher relative alpha waves and lower relative beta waves were observed in cool colors indicating a relaxed state. Higher restorativeness was observed in cool colors with low saturation and high brightness. In terms of ceiling height effects, higher relative alpha waves and lower relative beta waves were observed for the space with a high ceiling, which also indicated a relaxed state and higher restorativen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ceiling height factor takes precedence over color. As an exceptional result, higher relative beta wave power was observed in warm colors of medium brightness and high saturation with a high ceiling, indicating arousal. This response, however, was restricted to the EEG resul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hysiological responses of users in the spatial evaluation. In conclusion, a space with a high ceiling and a cool color with low saturation and high brightness is recommended to provide psychological support to university students for recovery and relax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quantitatively clarified the restorative effects of color and ceiling height and suggests a restorative environmental design plan based on empirical evidenc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designing spaces in educational facilities that provide students with emotional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