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nstitutionalization and challenges of the petroleum fund in timor-leste

        Pinto Cardoso Manuel Soares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47359

        This thesis discusses “Institutionalization and Challenges of the Petroleum Fund in Timor-Leste." It rests on natural resource curse argumentation that countries with natural resource abundance tend to develop slowly and prone to generate overall negative development outcomes. A number of country in Africa and Latin America have proven that dependence on natural resources triggers political conflict apart from an increased level of corruption and fail to alleviate poverty. However, from optimistic views, natural resources might be useful to boost economic development, like most of the developed countries in their early stages of development. Nevertheless, heavily dependent on natural resources will bring about disaster given their status as non-renewable resources. Therefore, wise management is required to transform natural resources from “curse to blessing.” Timor-Leste highly depends on petroleum revenues. Most of the country’s development program is financed with petroleum income. As a new country under the process of institutional building, Timor-Leste is racing between “curse and blessing.” Born in the modern century, Timor-Leste strives to ensure that income from natural resources must be turned to “blessing” by adopting existing international best practices. A sovereign fund so-called Petroleum Fund was established in 2005, aimed at managing funds prudently for sustainable use. This endeavor can be considered as an institutionalization of natural resource income. For the sake of sustainability usage, Timor-Leste has set parameters about the maximum amount that can be withdrawn from the Petroleum Fund, investing in various forms including taking above the parameter to extract revenue from non-petroleum sectors. To achieve this goal, institutional performance is crucial. With a number of problems such as corruption, transparency, efficiency, and politics, the effectiveness of the institution's work is worth discussing through this study. 이 논문은 "동 티모르에 있는 석유 기금의 제도화와 도전"에 대해 논의한다. 그것은 천연 자원이 풍부한 국가들이 천천히 발전하고 전반적인 부정적인 개발 결과를 낳는 경향이 있다는 천연 자원 저주에 근거하고있다. 아프리카와 라틴 아메리카의 많은 국가들은 천연 자원에 대한 의존이 부패의 증가와는 별개로 정치적 갈등을 유발하고 빈곤을 완화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입증했다. 그러나 낙관적 관점에서 볼 때 천연 자원은 개발 초기 단계의 대부분의 선진국과 같이 경제 발전을 촉진하는 데 유용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연 자원에 크게 의존하면 재생 불가능한 자원으로서의 지위를 감안할 때 재난이 발생할 것 있다. 그러므로 자연 자원을 “저주에서 축복으로 ”바꾸려면 현명한 관리가 필요했다. 동티 모르는 대부분의 국가 개발 프로그램이 석유 수입으로 자금을 조달하기 때문에 석유 수입에 크게 의존하는 국가로, 본 연구는 특히 “석유 기금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Timor-Leste의 제도적 과제” 에 중점을 됬다. 제도적 건축의 과정에서 새로운 국가로서, 동티 모르는 “저주와 축복” 사이에서 경주하고 있다. 현대의 세기에 태어난 동티 모르는 기존 국제 모범 사례를 채택하여 천연 자원 수입이 “축복” 으로 돌아가도록 노력하고 있다. 지속 가능한 사용을 위해 신중하게 자금을 관리하기 위해 2005 년에 소위 석유 기금이라고하는 주권 기금이 설립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천연 자원 수입 제도화로 간주 될 수 있다. 지속 가능한 사용을 위해 Timor-Leste는 석유 기금에서 인출 할 수있는 최대 금액에 대한 매개 변수를 설정했으며 비 석유 부문에서 수입을 추출하기위한 매개 변수를 초과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투자했다. 이 목표를 달성하려면 제도적 성과가 중요했다. 부패, 투명성, 효율성 및 정치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 연구를 통해 기관의 효과에 대해 논의 할 가치가 있다.

      • Epidemiology and clinical outcomes of dengue fever among children in Dili municipality : a retrospective study of 2022

        Filomeno Pinto Moniz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 2024 국내석사

        RANK : 247358

        Background: Dengue fever is a growing health concern in Timor-Leste, especially among children in the Dili Municipality. However, there is a noticeable gap in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effects of this disease, specifically in the context of children, hindering the formulation of effective public health policies in Timor-Leste.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conducted in Dili, East Timor, utilized data from the Municipal Health Services Dili (SSM Dili)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22, a period marked by an unprecedented dengue epidemic. Results: Analyzing a broad sample of 3,459 people, the prevalence of Dengue Fever was 75.2%, with a strong concentration in the 0-4 age range, highlighting the need for focused public health initiatives. The association study of Dengue Fever and severe dengue indicates key linkages, particularly age, geographical area, diagnostic healthcare center, and time of diagnosis. The calculated incidence rate of roughly 3,137 cases per 100,000 people per year serves as a quantitative baseline, indicating the significant burden of dengue fever in the examined community. Conclusion: Future research should delve into environmental factors, healthcare disparities, and other unexplored variables to inform targeted interventions and public health strategies in combatting Dengue fever among children in Dili Municipality. Keywords: Dengue fever; Epidemiology; Children; Clinical Outcome 배경: 뎅기열은 동티모르에서 특히 딜리 지역 어린이들 사이에서 건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특히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이 질병의 역학 및 임상적 영향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에는 눈에 띄는 격차가 있어 동티모르에서 효과적인 공중 보건 정책 수립을 방해하고 있습니다. 방법: 동티모르 딜리에서 실시된 이 회고적 후향적 연구는 전례 없는 뎅기열 전염병이 발생한 기간인 2022 년 1 월부터 12 월까지 딜리 시 보건 서비스(SSM 딜리)의 데이터를 활용했습니다. 결과: 3,459 명의 광범위한 샘플을 분석한 결과, 뎅기열 유병률은 75.2%였으며 0~4 세 연령층에 집중되어 있어 집중적인 공중 보건 계획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습니다. 뎅기열과 중증 뎅기열의 연관성 연구는 특히 연령, 지리적 영역, 진단 의료 센터 및 진단 시간과 같은 주요 연관성을 나타냅니다. 연간 100,000 명당 약 3,137 건의 발생률로 계산된 수치는 정량적 기준으로 사용되며, 이는 조사 대상 지역사회에서 뎅기열이 상당한 부담을 안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결론: 향후 연구에서는 딜리 지역 어린이의 뎅기열 퇴치를 위한 표적화된 개입 및 공중 보건 전략을 알리기 위해 환경 요인, 의료 불평등 및 기타 미개척 논의되지 않은 변수를 조사해야 합니다.

      • Effects of Povidone Iodine (PVP-I) composite on elimination of bacterial biofilm

        Leonita Pinto Jer?nimo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358

        만성 비부비동염은 코막힘, 후각감퇴, 두통 등의 증상을 동반하여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유병률이 높아 치료에 막대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드는 중요한 질환이다. 수 많은 인자들이 만성비부동염의 발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중 세균성 바이오필름, 특히 포도상구균과 녹농균에 의해 생성된 바이오필름은 전신적인 항생제 치료에 저항을 보이는 만성비부비동염, 수술 전 심한 증상, 수술 후 증상의 재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비돈-아이오딘은 세균, 곰팡이, 그리고 바이러스의 박멸에 강력한 효과를 보이는 소독약이지만, 자극적이고 특유의 불쾌한 냄새와 맛 때문에 비강에 국소적으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포비돈-아이오딘 특유의 불쾌한 성질을 제거한 포비돈-아이오딘 조성물을 개발하였고 이 조성물이 세균성 바이오필름의 제거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세포독성여부를 관찰하기 위해 RPMI2650 세포주와 인간비강상피세포를 이용하여 MTT, LDH 그리고 LIVE/DEAD 염색기법을 시행하였고, 포도상 구균과 녹녹균에 의한 바이오필름 생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위해 crystal violet assay를 시행하였으며, 포도상 구균을 이용한 바이오필름 생성 마우스 모델에 포비돈 조성물을 비강 점적하여 바이오필름의 제거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마우스 비점막에 대해 H&E염색, 면역조직화학염색, SEM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포피돈 조성물은 실험한 농도에서 비점막상피세포에 대한 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포도상구균과 녹농균의 바이오필름의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마우스의 상악동에서 세균성 바이오필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포비돈조성물은 비강 점막에 세균성 바이오필름의 생성과 제거에 효과가 있으며 만성비부비동염환자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ovidone Iodine (PVP-I) has been well known as antiseptic and has extensive activity against various pathogens, including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organisms, anaerobe, fungi and viruses. However, because of its unique unpleasant nature, such as irritating and disgusting smell and taste, it could not be used locally in order to inactivate various sinonasal pathogens. We have developed the PVP-I composite which blocks unpleasant natures of PVP-I as using locally in sinonasal cavity. Thus,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in vitro and in vivo model of the biofilm formation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PVP-I composite on biofilm formation and elimin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toxicity effect of PVP-I composite on nasal epithelial cell lines at the given different concentration. In addition, PVP-I composite effectively inhibited bacterial biomass formed by P.aeruginosa and S.aureus in a dose-dependent manner. PVP-I composite also effectively eliminated S.aureus biofilm from mice maxillary sinus at tested concentrat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PVP-I composite is promising compound that can be used locally in order to prevent biofilms formation and to eliminate biofilms in the sinonasal cavity.

      • Reasons for move : Trends, impacts and reasons of the young Korean migration to Latin American countries

        Regalado Pinto, Johanna Gissela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358

        Korea has displayed stages of migration from the diaspora of the past to the new migratory flows today. This study aims to analyze a new flow of migration in which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Migration Organization people are generally migrating from Asia to start a new life in Latin America. The reasons and impacts caused by Korean migration were the subjects in this study. Moreover, it was observed that migration patterns have changed and it is common to observe how youth with high level of education is taking a decision to mig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factors that affects in the migration making decision of young Koreans. Results were obtained from surveys and interviews conducted by the author from young Koreans living in Korea and young Koreans living in Latin American countries.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projected a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ndicating that young Koreans are looking for “individualization” generated by more push than pull factors, such as self – development, better job opportunities in a developing labour market and a curiosity to explore a new culture, which all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migration. It is argued that while push factors affect to the youth society, is necessary to establish youth policies, thinking about a new labour market, population and reaching cultural-social projects which provide a new cultural structure where youth occupy more active roles into their own society. 한국은 과거의 디아스포라부터 오늘날의 새로운 이주의 흐름으로의 이주의 단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삶을 시작하기 위하여 아시아에서 중남미로 이주하고 있다는 국제이주기구의 기록에 따라 새로운 이주 흐름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한국인들의 이주 원인과 그에 따른 영향을 주제로 하며, 나아가 이주 패턴이 변화하고 높은 수준의 고등교육을 받은 청년들이 어떻게 이주 결정을 내리는지를 관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청년들의 이주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으로 저자가 한국과 중남미국가에 거주하는 한인 청년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통해 얻은 결과이다. 이 결과는 본 연구의 연구결과로 분석되고 투영되었는데, 이는 한국의 청년들이 유인요인보다 이주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자기개발, 부상하는 노동시장에서의 더 나은 일자리 기회 그리고 새로운 문화 탐험에 대한 호기심과 같은 더 많은 추진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개인화”를 기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추진요인들이 청년사회에 영향을 미치지만, 새로운 노동시장과 인구에 대해 고민하며, 청년이 자신의 사회에서 더 적극적인 역할을 차지하는 새로운 문화구조를 제공하는 문화사회 프로젝트에 도달하는 청년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주장한다.

      • Intracellular genetic network involving anti-microbial resistance expression in Klebsiella pneumoniae strains which acquire carbapenem resistance in-vivo and in-vitro

        Naina Adren Pinto Yonsei University 2018 국내박사

        RANK : 247357

        Antibiotic resistance is an important health crisis worldwide. It is predicted that by the year 2050, the number of deaths due to antimicrobial resistant bacteria is going to reach an all-time high of 10 million a year. The magnitude of impact of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on lives of people has forced us to find novel drug targets and mechanisms to control these pathogens at the earliest. The pace of resistance acquisition by the bacteria has surpassed that of finding newer antibiotics. Klebsiella pneumoniae, an opportunistic pathogen, is well-known for its nosocomial pathogenicity by displaying resistance to most antibiotics commercially available, thereby, limiting treatment options. The aim of my dissertation was to find novel resistance mechanisms in clonally related carbapenemase non-producing carbapenem-resistant K. pneumoniae strains obtained from a patient after meropenem treatment. In addition, finding a reliable method for porin detection in carbapenem-resistant K. pneumoniae strains. Chapter I provides a brief overview on the history of antibiotics, antibiotic drug targets and resistance mechanisms, along with β-lactams and mechanisms of carbapenem resistance in K. pneumoniae. Chapter II describes finding the cause of resistance in a carbapenemase non-producing carbapenem-resistant K. pneumoniae clinical isolate that showed strong three dimensional bioassay test positive indicating the presence of carbapenemase enzyme. Radiation mediated mutagenesis was used to render the resistant strain susceptible. The cause of positive 3D bioassay was attributed to the presence of blaCMY-10 gene in the plasmid of the isolate which is an AmpC β-lactamase gene. Complementation of blaCMY-10 gene into clinical isolates and outer membrane protein (OMP) mutants concluded that the carbapenem resistance occurrence in blaCMY-10-carrying K. pneumoniae isolates was due to the loss of both OmpK35 and OmpK36 porins. Chapter III illustrates novel mechanisms that bring about meropenem susceptibility in K. pneumoniae acquired carbapenem resistance in-vivo and in-vitro. The putative candidate genes were short-listed using whole genome analysis, transcriptome analysis and a functional gene network called KlebNet. Complementation of KPHS_33600 (MFS transporter) and KPHS_46730 (garL) genes showed decrease in meropenem MIC (from ≥32 µg/ml to 8 µg/ml) in in-vivo resistant strain K56, and in-vitro resistant strain K26M, respectively. The complemented strains did not show reduction in fitness when grown in LB broth and Galleria mellonella larvae successfully recovered when treated with meropenem when infected with the KPHS_33600 and garL complemented strains. Possible mechanism of action has also been illustrated using transcriptome data obtained from the complemented strains. Chapter IV compares the use of different methods for OMP detection i.e. MALDI-TOF MS, SDS-PAGE, WGS and transcriptome data analysis. At present, SDS-PAGE is the gold standard for OMP detection. We found discrepancy in OMP detection using SDS-PAGE in K. pneumoniae, therefore, we compared the results using the methods mentioned above. In addition, peptide sequencing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SDS-PAGE bands. OmpK35 could not be detected using SDS-PAGE and MALDI-TOF MS. However, the results obtained from both these methods were identical, concluding that MALDI-TOF MS can replace SDS-PAGE. RNA analysis could not accurately confirm due to lower level expression of mutated genes. Whole genome and/or PCR followed by Sanger sequencing could accurately detect the OMPs, thereby making them the most reliable methods for OMP detection of K. pneumoniae clinical isolates. In conclusion, this dissertation is focused on finding resistance mechanisms, cause of resistances and reliable detection method for OMPs in carbapenem-resistant K. pneumoniae clinical isolates. Since K. pneumoniae is not very well studied as Escherichia coli or PAO-1 of Pseudomonas aeruginosa, there are several uncharacterized genes that are of research interest. Characterization of KPHS_33600, one of such uncharacterized transporter gene, can provide further insight into its functional relationship with meropenem susceptibility.

      • A Study on the Financing of Public Infrastructure : The case of Bogotá

        Bárbara CARVAJAL PINTO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357

        Infrastructure and facilities development is an important economic and social cohesion tool for the improvement of physical linking and development, not only between municipalities or ports but also within urban areas. Infrastructure conditions impact on economic factors such as Gross Domestic Product (GDP), public deficit, inflation or employment; which are important in population welfare and economic growth. In general, public works, by their nature, are public goods by domain and use, and their ownership belongs to government, on its different levels, central, regional or local. Traditionally, planning, financing, construction, conservation and exploitation have been in in the sphere of the public sector. However, nowadays public works are available to be funded, built, operated and, exploited by the private sector as well; according to particular regulations and cases, under indirect management systems, normally concessions However, supplying of all urban infrastructure needed by public sector requires a huge budget and efficient government management system. Unfortunately, developing countries do not have enough funds to cover all infrastructure and facilities costs and in several cases governments are focused in short-term goals. Due to high cost in infrastructure supply, governments have to find innovative mechanisms to fund facilities and other kinds of urban needs. Lack in infrastructure means lack in development. Infrastructure development has to face several difficulties: technical problems, weak legislation, poverty, corruption, and especially shortage in financial resources. In this thesis financing management in public works and public infrastructure including the ways to get funding will be described. In Colombia, financial resources needed to build infrastructure are mainly financed by the government; which causes one of the main difficulties for urban infrastructure supply and, hence implementation of urban renewal and regeneration projects. Although such a difficulty is a general concern of governments,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financial mechanisms should be permanently evaluated to find ways to reduce deficits and fulfill urban need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urrent conditions and suggest a mechanism for achieving improved implementation of urban projects through regulations or financial tools that enhance the private role as funders to urban infrastructure in Bogota, specifically in the Central Station Project case study. In this research, innovative financial tools are analyzed, compared, and applied in a specific project, which will show new financial conditions to find limitations, weaknesses or strengths and help to choose an ideal tool that can be implemented in similar case projects. Findings on the topic have revealed that policies should be stronger than political conditions, and that government projects have to be the first independently than who rules. With correct regulations and financial tools, infrastructure development can find resources. In present research, collected data and information a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and comparative methods, with aim to evaluate financial condition for urban projects in Colombia, specifically in Bogotá taking Central Station, as a case study of public project to be implemented with private sector but that present delay due to particular condi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the Colombian government to expand financial resources necessary to improve the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Keywords: Urban projects, financial tools, Infrastructure, Finance Supply 인프라 및 시설 개발은 도시/항구 간뿐만 아니라 도시 내 지역 간의 물리적 연결성 개선 및 교차 발전을 위한 중요한 경제적∙사회적 결속 수단이다. 인프라의 상태는 국민 복지 및 경제 성장에 매우 중요한 국내총생산(GDP), 재정 적자, 인플레이션, 고용 등과 같은 경제 지표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공공 사업(인프라 및 시설)은 속성상 영역 및 용도가 공공재이며, 그 소유권이 각급 정부에 속한다. 전통적으로 계획, 자금 조달, 건설, 보존 및 개발은 공공 부문의 영역에 속해 왔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특별한 경우 규정에 의해(예: 간접 경영 체계) 민간 부문 또한 공공 사업의 자금 조달, 건설, 운영 및 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정부 허가의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공공 부문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도시 인프라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예산과 효율적인 정부 관리 체계가 요구된다. 안타깝게도 개발도상국의 경우 모든 인프라 및 시설의 비용을 감당할 만큼 충분한 자금을 보유하고 있지 못하며, 일부 경우에는 정부가 단기적 목표에 치중한다. 인프라 공급에 수반되는 높은 비용으로 인해 정부는 시설 및 다른 형태의 도시 필요물에 소요되는 자금을 마련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것은 개발이 부족하다는 의미이다. 인프라 개발에는 기술적 문제, 법률적 제도 미비, 빈곤, 부패, 자금원 부족과 같은 여러 가지 어려움이 수반된다. 본 논문에서는 자금 조달 방안을 포함하여 공공 사업 및 공공 인프라 프로젝트를 위한 재정 관리를 다룬다. 콜롬비아의 경우 인프라 건설에 필요한 재정 자원을 주로 정부에서 조달한다. 이는 도시 인프라 공급에 큰 어려움을 야기하며, 따라서 도시 재개발 및 재건 사업의 이행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어려움은 정부의 일반적인 문제이기는 하나(특히 개발도상국의 경우), 재정 관리 및 조달 체계를 지속적으로 평가하여 재정 적자를 완화하고 도시의 필요를 충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고타를 대상으로, 특히 중앙역 프로젝트(Central Station Project)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현재 상태를 분석하여 도시 인프라 개발의 자금원으로서 민간 부문의 역할을 강화하는 규정 또는 재정적 수단을 통해 향상된 도시 개발 사업 이행을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분석, 비교 및 적용된 혁신적인 재정적 수단(재정 여건)을 통해 새로운 재정 상태를 제시함으로써 제약 요소, 취약점 및 강점을 찾고 유사 프로젝트에서 이행 가능한 이상적인 방안을 선택한다. 이 주제에 대한 연구 결과, 정책은 정치적 상황에 관계없이 보다 강력해야 하며 정부 사업은 집권 세력과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이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바른 규정과 재정적 수단이 뒷받침된다면 인프라 개발에 필요한 자원도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콜롬비아 내 도시 프로젝트를 위한 재정적 조건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특히 보고타의 중앙역 프로젝트를 민간 부문과 함께 추진되었지만 현재 특정 조건으로 인해 지연되고 있는 공공 부문 사업의 사례 연구로 삼아, 설명 및 비교 방법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 및 정보를 분석했다. 주요 용어: 도시 사업, 재정적 수단, 인프라, 금융 공급/재정 지원

      • A Study on the Financing of Public Infrastructure – The case of Bogotá

        Bárbara CARVAJAL PINTO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357

        인프라 및 시설 개발은 도시/항구 간뿐만 아니라 도시 내 지역 간의 물리적 연결성 개선 및 교차 발전을 위한 중요한 경제적∙사회적 결속 수단이다. 인프라의 상태는 국민 복지 및 경제 성장에 매우 중요한 국내총생산(GDP), 재정 적자, 인플레이션, 고용 등과 같은 경제 지표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공공 사업(인프라 및 시설)은 속성상 영역 및 용도가 공공재이며, 그 소유권이 각급 정부에 속한다. 전통적으로 계획, 자금 조달, 건설, 보존 및 개발은 공공 부문의 영역에 속해 왔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특별한 경우 규정에 의해(예: 간접 경영 체계) 민간 부문 또한 공공 사업의 자금 조달, 건설, 운영 및 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정부 허가의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공공 부문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도시 인프라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예산과 효율적인 정부 관리 체계가 요구된다. 안타깝게도 개발도상국의 경우 모든 인프라 및 시설의 비용을 감당할 만큼 충분한 자금을 보유하고 있지 못하며, 일부 경우에는 정부가 단기적 목표에 치중한다. 인프라 공급에 수반되는 높은 비용으로 인해 정부는 시설 및 다른 형태의 도시 필요물에 소요되는 자금을 마련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것은 개발이 부족하다는 의미이다. 인프라 개발에는 기술적 문제, 법률적 제도 미비, 빈곤, 부패, 자금원 부족과 같은 여러 가지 어려움이 수반된다. 본 논문에서는 자금 조달 방안을 포함하여 공공 사업 및 공공 인프라 프로젝트를 위한 재정 관리를 다룬다. 콜롬비아의 경우 인프라 건설에 필요한 재정 자원을 주로 정부에서 조달한다. 이는 도시 인프라 공급에 큰 어려움을 야기하며, 따라서 도시 재개발 및 재건 사업의 이행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어려움은 정부의 일반적인 문제이기는 하나(특히 개발도상국의 경우), 재정 관리 및 조달 체계를 지속적으로 평가하여 재정 적자를 완화하고 도시의 필요를 충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고타를 대상으로, 특히 중앙역 프로젝트(Central Station Project)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현재 상태를 분석하여 도시 인프라 개발의 자금원으로서 민간 부문의 역할을 강화하는 규정 또는 재정적 수단을 통해 향상된 도시 개발 사업 이행을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분석, 비교 및 적용된 혁신적인 재정적 수단(재정 여건)을 통해 새로운 재정 상태를 제시함으로써 제약 요소, 취약점 및 강점을 찾고 유사 프로젝트에서 이행 가능한 이상적인 방안을 선택한다. 이 주제에 대한 연구 결과, 정책은 정치적 상황에 관계없이 보다 강력해야 하며 정부 사업은 집권 세력과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이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바른 규정과 재정적 수단이 뒷받침된다면 인프라 개발에 필요한 자원도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콜롬비아 내 도시 프로젝트를 위한 재정적 조건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특히 보고타의 중앙역 프로젝트를 민간 부문과 함께 추진되었지만 현재 특정 조건으로 인해 지연되고 있는 공공 부문 사업의 사례 연구로 삼아, 설명 및 비교 방법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 및 정보를 분석했다. 주요 용어: 도시 사업, 재정적 수단, 인프라, 금융 공급/재정 지원 Infrastructure and facilities development is an important economic and social cohesion tool for the improvement of physical linking and development, not only between municipalities or ports but also within urban areas. Infrastructure conditions impact on economic factors such as Gross Domestic Product (GDP), public deficit, inflation or employment; which are important in population welfare and economic growth. In general, public works, by their nature, are public goods by domain and use, and their ownership belongs to government, on its different levels, central, regional or local. Traditionally, planning, financing, construction, conservation and exploitation have been in in the sphere of the public sector. However, nowadays public works are available to be funded, built, operated and, exploited by the private sector as well; according to particular regulations and cases, under indirect management systems, normally concessions However, supplying of all urban infrastructure needed by public sector requires a huge budget and efficient government management system. Unfortunately, developing countries do not have enough funds to cover all infrastructure and facilities costs and in several cases governments are focused in short-term goals. Due to high cost in infrastructure supply, governments have to find innovative mechanisms to fund facilities and other kinds of urban needs. Lack in infrastructure means lack in development. Infrastructure development has to face several difficulties: technical problems, weak legislation, poverty, corruption, and especially shortage in financial resources. In this thesis financing management in public works and public infrastructure including the ways to get funding will be described. In Colombia, financial resources needed to build infrastructure are mainly financed by the government; which causes one of the main difficulties for urban infrastructure supply and, hence implementation of urban renewal and regeneration projects. Although such a difficulty is a general concern of governments,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financial mechanisms should be permanently evaluated to find ways to reduce deficits and fulfill urban need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urrent conditions and suggest a mechanism for achieving improved implementation of urban projects through regulations or financial tools that enhance the private role as funders to urban infrastructure in Bogota, specifically in the Central Station Project case study. In this research, innovative financial tools are analyzed, compared, and applied in a specific project, which will show new financial conditions to find limitations, weaknesses or strengths and help to choose an ideal tool that can be implemented in similar case projects. Findings on the topic have revealed that policies should be stronger than political conditions, and that government projects have to be the first independently than who rules. With correct regulations and financial tools, infrastructure development can find resources. In present research, collected data and information a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and comparative methods, with aim to evaluate financial condition for urban projects in Colombia, specifically in Bogotá taking Central Station, as a case study of public project to be implemented with private sector but that present delay due to particular condi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the Colombian government to expand financial resources necessary to improve the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Keywords: Urban projects, financial tools, Infrastructure, Finance Supp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