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북통일 시 문화통합을 위한 민족문화콘텐츠 개발에 관한 시론적 연구

        함재묵 대진대학교 통일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남북한 정치적·경제적 통합이 남북한 통합의 외적인 융합이라면, 남북한 문화통합은 남북한 통합의 내적인 융합을 의미한다. 민족공동체 구성원들의 감성적이고 생활적인 동질감을 지향하는 문화통합은 남북한 통합의 동력이자 최종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남북한 문화통합을 위한 남북한 문화 교류는 희미해져 가는 남북 동질성을 회복하고 새로운 ‘한민족 문화’를 세우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남북문화교류를 통해 공통의 문화적 정체성을 세우는 동시에 분단 이후 각각 다른 방향으로 나갔던 양쪽 문화를 결합해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남북한 문화통합을 위한 남북문화교류의 현실은 어떠한가? 지금의 남북문화교류는 상호문화에 대한 이해증진에 일정 정도 기여 한 것은 분명하지만 충분하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남북 문화교류는 주로 민간 사업자에 의해 단편적 개별적으로 사업이 추진됨에 따라 사업의 성과가 일회적인 것에 그치고, 남북한사이에 분쟁이 발생하였을 경우 책임 있는 해결 방안을 찾기 어려웠다. 또한 남북 문화교류의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남북한 문화계 사이의 실질적 교류는 발전하지 못하였고, 제도화 수준도 문제제기 수준에 머물러 있어 질적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남북문화교류에서 ‘민족문화콘텐츠 원형 발굴’은 민족의 정체성회복 차원에서도 필요하며, 분단 이후의 이질적사고관에 대한 동질성 회복차원에서도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민족문화콘텐츠 개발의 내용에는 민족문화 정체성이 확립돼야 하고 민족 고유문화원형의 실증적 소재로 개발해야 하며, 비정치적이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민족문화콘텐츠 원형발굴의 방향성은 창의력과 경쟁력의 보고(寶庫)의 문화원형을 테마별로 디지털콘텐츠화하여 문화콘텐츠산업에 필요한 창작소재를 발굴함으로써 문화콘텐츠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민족문화콘텐츠의 한류화(韓流化)는 ‘통일기반조성 시’와 ‘통일 후’ 라는 단계별 개발을 적용해야 한다. 통일기반조성 단계 시 한류문화콘텐츠의 개발 방향으로 첫째, 문화정책적인 개발이다. 남북 분단 이후의 문화 산물에 대한 상호교류는 남북한 간의 충분한 협의를 통해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남북공동으로 콘텐츠를 개발할 경우에도 가능한 비정치적인 부문을 우선적으로 협력대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문화원형을 활용한 한류문화콘텐츠 개발이다. 북한의 문화콘텐츠는 사상 교육적인 측면이 강하고, 오락성보다는 예술성을 표현하려는 경향이 짙기 때문에 리얼리즘의 성격이 두드러진다. 이런 특징을 잘 살리면서 남북한 문화콘텐츠교류와 공동제작을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는 분야가 바로 북한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사업이다. 지역에 산재해 있는 우리 문화원형에 관한 체계적인 분류체계와 디지털화 사업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셋째, 정책적·제도적 개발이다. 디지털문화콘텐츠 교류협력 추진위원회의 구성, 남북한의 해외전시회 공동참가 및 해외마케팅 수행, 온라인 체계구축 및 인력수급의 문제 해결, 문화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물자가 바세나르협정에 의하여 전략물자로 분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정부차원의 통상협상력이 요구된다. 통일 후 한류문화콘텐츠의 개발 방향으로 첫째, 통일문화콘텐츠 산업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재원을 안정적으로 조달할 수 있도록 통일정부가 창조산업 발전기금을 조성, 콘텐츠 기획·개발 단계의 지원을 확대하고 문화적으로 다양한 작품이 투자받을 수 있도록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콘텐츠 창작자 및 권리자가 자생할 수 있도록 저작권 보호체계를 구축하고 생활 속 저작권 인식을 개선시켜야 한다. 셋째, 통일국가 차원에서 통일문화콘텐츠 ‘스토리 창조학교‘를 설립하고 창작자를 전문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통일문화콘텐츠의 ‘기획-연구개발-산업화’가 연계되는 종합 통일문화콘텐츠 진흥체제를 구축하고 문화기술에서 창조기술로 R&D 범위를 확장해야 한다. 다섯째, 통일문화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실감형·지능형·인간지향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여섯째, 통일문화콘텐츠의 공동제작, 공동플랫폼 등 제작-유통-소비 전 단계에서 아시아, 유럽, 미주(美洲) 등 대륙별 공동의 시장을 구축하여 글로벌 콘텐츠 유통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If political and economic integr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is an external fusion, then the integr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culture means an internal fusion. The cultural integration which supports emotional and life sense of kinship of national community members is the dynamic power as well as final destin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n integration. In this context, their cultural exchange for the integration of the cultures will become an instrument to restore the homogeneity and establish a new 'Hanminjok Culture'. Through inter-cultural exchange they will establish a common cultural identity which went to a different direction after division, and be able to create a new culture by combining each other's. What is the reality of cultural exchange for the cultural integration of the South and North? The inter-cultural exchange now contributed surely in promoting inter-cultural understanding to some extent, however, it can not be said enough. Inter-cultural exchange is mainly fragmented by private operators, depending on individual business and being a mere one-off performance of the business, and it was hard to find a responsible solution when there is any conflict between the two Koreas. In addition, despite the quantitative growth of inter-Korean cultural exchange, a practical exchange between them was not developed and the foundation for a qualitative growth was not prepared while the institutionalization level was staying at a problem raising stage. In this context, this paper proposes that "excavating the prototype of national culture content" is necessary in terms of recovering national identity, and can play an important role of mediator in terms of recovering the homogeneity on heterogeneous thought views after national division. The contents of national culture development should establish the national culture identity with empirical materials in the traditional culture prototype and become non-political.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original form excavation of national culture content should promote the improvement of competitiveness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by excavation of creative material needed in the industry and digitizing prototype contents of creativity and competitiveness in a repository by themes. The Hanryu of national cultural contents should also be applied with a step-by-step development, 'during unification-based composition' and 'after unification. At the stage of unification-based composition, the direction of Hanryu cultural content development is , first, a cultural policy development. The mutual exchange on cultural products after the Korean Division should be adjusted through sufficient consultation.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jointly developing contents, setting a non-political sector as a prior cooperation target is needed. Secondly, it is development of the Hanryu cultural contents utilizing the cultural prototype. North Korean cultural content is strong in ideological education aspect rather than entertaining and artistic expression tendency, its nature of realism stands out. The field where cultural content exchange and co-production of the South and North can be smoothly promoted while still taking advantage of this feature well is a digital content business of North Korean cultural prototype. We should pay close attentions to systematic classification system of our cultural prototypes scattered around regionally and digitization business. Third, it is strategic and institutional development. Constructing cooperation committee of the digital cultural content exchange, joint participation of overseas exhibition and joint international marketing by two Koreas, constructing on-line system and solving manpower problems, and materials required for producing cultural contents can be classified as strategic materials by the Wassenaar Agreement. The trade negotiation power for these on the of government level i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Hanryu cultural contents after unification, first, the unified government should prepare a development fund of creative industry in order to stably supply financial resources needed for unified cultural content industry to grow, and expand supporting in content planning and development level, and improve conditions so that various works can be invested. Second, a copyright protection system for the content creators and copyright holders to survive should be constructed and the perception of the rights in life should be improved. Third, 'story creation school' of unified cultural contents in a unified nation level should be established and a management system under which creators can be professionally fostered should be constructed. Fourth, a comprehensive unified cultural content promotion system linked to 'planning-research and development-industralization' of unified cultural contents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R&D scope should be expanded from a cultural technology to a creativity technology. Fifth, a practical, intelligent and human oriented content which can realize a unified cultural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Finally, joint market by continent of Asia, Europe, North and South America, and etc. in all stages of production-distribution-consumption such as co-production of unified cultural contents and co-authoring platform should be established, and a global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should be constr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