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eal-Time Vehicle Detection Using CNN for Front Collision Warning : Real-Time Vehicle Detection Using CNN for Front Collision Warning

        표정환 광운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Front Collision Warning(FCW) is a critical safety function of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ADAS). Recently, many researches related to FCW systems which use monocular camera image processing have been introduce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FCW system for daytime highway environment based on vehicle detection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as a classifier. A triangle-shaped adaptive Region-of-Interest(ROI) is set using lane detection to enhance speed and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system. We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our vehicle and the detected vehicle in front by calculating the lane width ratio at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vehicle to our vehicle. Time-to-Collision(TTC) is used as a collision warning index. For FHD(1920x1080) black-box camera images taken in daytime highway environment, the detection rate of the proposed CNN is 99.36%, and the execution time of the system is 19.8ms per frame for PC environment.

      • 한국경찰조직의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 분권화와 자치경찰제,효과적인 교육훈련방안 중심으로

        표정환 한세대학교 경찰법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olice force should establish systems of which can deal with citizens promptly and adapt to the environmental change. To do this I offer that we should implement Municipal police system and decentralization for mobility, prompt feedback and efficiency. And we must make a lot of effort to develop human resources to strength our capabilities as well as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Not only do we must make a lot of effort to develop human resources to strength our capabilities, but introduction of CS(Customer Satisfaction) will gain public trust. Currently, the government consider a dual management of Local and National Police Agency while retaining National Police System and founding Municipal police system. It is reasonable to presume that Municipal police system is expanded after going through a trial run across upper-lever local government. It is considered that Major role of local police is public security but it should be discussed in earnest. Public see the society from micro view to macro view. Decentralization is indispensable to society which is becoming segmentation. Furthermore Decentralization in dual system is the most efficient. that is,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To develop police training system, we should improve strong service mind in customer relations through TQM(Total Quality Management). 6-months Concentration education should be reformed as well. Under present 6-months Concentration education, trainees is easily fallen into mannerisms and lost the hands-on experience. Therefore we should discuss how to directly apply the theory trainees are trained for not just long-term training. In conclusion, there should be sense of "with public" in basis of police organization. Police organization must pay attention to the opinions of the people and be prompt in dealing with the changes of the society. In addition, Police organization should keep on trying to have long-term visions and ability to solve many social problems actively such as predicting the future and preparing for that ahead of time.

      • 경찰에 대한 대학생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표정환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s’ Confidence in the Police Pyo, Jeong Hwan Graduate School of Hansei University Gyeonggi, Republic of Korea Despite Police’s efforts to earn public confidence and support, Koreans have long been mistrusting police organization. Results of the public poll and survey revealed that Koreans demonstrated low levels of trust toward police organization. Furthermore, lately several crimes committed by police officers and human rights violation by the police officers make it difficult for the police organization to restore the public’s negative attitudes toward police. As the trust and cooperation of the public is essential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olicing activities, building partnership with the public and gaining confidence of people is important and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dentify which factors have influence on the public’s confidence in police. Using self-administered survey method,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university students’ confidence in police officers and factors affecting their confidence level. Based on previous research review, independent variables are constructed as demographic factors(age, gender, major, size of living area, religion, religiosity, grade, economic status), instrumental factors(victimization experience, fear of crime, voluntary contact with police officers, involuntary contact with police officers, visibility of police patrol, trend of crime, and safety level of community), and expressive factors(physical disorder of community, social bonding, social control, community policing, interpersonal trust, social trust, satisfaction level of democracy, perception of government’s inequality level, perception of official’s corruption, social equality, and political orientation). 415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victimization experience, safety level of community, physical disorder of community, fear of crime, community policing, interpersonal trust, satisfaction level of democracy, perception of government’s inequality level, and perception of official’s corruption a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s’ confidence in police. That is, the student with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higher level of fear of criem, who thinks that his or her community’s crime is increasing, perceives that government treats people with inequality, and thinks that government officials are related with corruption, is likely to show lower level of confidence in police. A student who think that community policing is actively conducted, with higher level of interpersonal trust, and with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of democracy is more likely to demonstrate higher level of confidence in police. Based on research findings, six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First, as the community policing is one of the significant factors, a department which is charge of communicating with the public needs to be established for building partnership with community. Second, more victim responsive strategies need to be developed to meet the needs of victims. Third, contact with people in community should be expanded, including foot patrol. Forth, in order to provide higher quality policing activities, more police officers should be recruited. Fifth, police organization needs to strongly demonstrate the innovative efforts to eradicate the corruption, and inequality, which allows the police organization to gain the public support and confidence. Lastly, programs in which university students can participate need to be developed, including joint patrol and volunteer patrol activities in campus and crime prevention activities, which leads to university students’ positive attitudes toward police officers and higher level of confidence in police officers. 국문 초록 현재 우리나라 경찰은 국민의 안전을 위해 24시간 365일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범죄현장에 뛰어들어 열심히 맡은바 임무를 묵묵히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경찰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찰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는 크게 나아지지 않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2013년 미국 갤럽의 OECD 34개 회원국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 조사에서 한국은 59%로 최하위인 멕시코(34%)다음으로 낮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2015년 형사정책과 사법제도에 관한 연구의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신뢰도 조사 등 여러 조사결과에서 우리 국민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는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에 대한 신뢰는 사회번영의 가장 필요한 기본요건 중 하나이며, 경찰에 대한 시민의 불신은 경찰 본래의 임무를 수행하기 어렵게 만들뿐 아니라 안전한 치안을 위해서 필수적인 시민의 협조를 상당히 어렵게 함으로써, 이는 결국 사회불안을 초래, 시민들이 고스란히 그 불이익을 받게 된다(박재풍, 2011). 그러므로 경찰의 신뢰는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사회적으로 중요한 경찰에 대한 신뢰도와 관련하여 그간 국내외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대다수의 연구들은 경찰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이었으며 신뢰도 그 자체에 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았다. 또한 경찰에 대한 신뢰도 연구의 대다수는 일반시민을 대상을 이루어졌으며 일정한 사회 구성원만을 표본으로 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찰에 비판적인 20대 젊은 층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 우리사회 미래의 주역인 젊은 대학생들을 대표성 있는 집단으로 선정하여 경찰의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조사하기 위해 기존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연구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수도권 내 한 사립대학에서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경찰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성별, 연령, 전공, 거주지역, 종교, 종교적 신념, 학년, 소득수준)뿐만 아니라 최근 학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도구적 시각의 요인(범죄피해경험, 범죄두려움, 경찰과의 자발적 접촉, 경찰과의 비자발적 접촉, 순찰가시성, 범죄증가추세, 지역안전도)과 표현적 시각의 요인(지역사회 무질서, 지역유대, 사회통제, 지역사회 경찰활동, 사회신뢰, 대인신뢰, 민주주의 만족도, 정부의 불평등에 대한 인식, 관료부패에 대한 인식, 사회공정성, 정치적 성향)을 본 연구의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다. 총 415명의 대학생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고 SPSS통계 프로그램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들의 타당성과 신뢰도가 확인되었다.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은 여성(53.7%)이 남성(46.3%)보다 다소 높았으나 대체로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으며, 학년도 4학년(27.7%)이 제일 높았으나 전반적 각 학년별 참여비율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사대상자가 성장한 거주 지역은 중소도시(55.7%)가 가장 많았다. 종교는 무교가 55.7%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개신교(34.7%)가 그 뒤를 이었다. 조사대상자들의 평균연령은 22.40세이며, 소득수준과 종교적 신념은 평균이 각각 5.81과 7.21로 나타났다. 순찰가시성 평균은 2.88, 지역사회 유대 평균은 2.69, 지역안전도 평균은 2.98, 지역 무질서 평균은 2.90, 범죄에 대한 두려움 평균은 2.58로 최대값 5를 기준으로 중간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범죄증가추세의 평균은 3.44, 비공식적 사회통제 평균은 3.23, 대인신뢰 부분의 평균은 3.19로 최대값 5를 기준으로 중간보다 높은, 최대값에 비교적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평균은 2.40으로 최대값 5를 기준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반면에 사회가 불공정하다고 인식할수록 높은 값으로 답하도록 되어 있는 사회공정성 변수는 평균이 4.31로 나타나 최대값 5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사회 신뢰 변수 평균은 5.38, 민주주의 만족도 평균은 5.73으로써 최대값 10을 기준으로 중간을 약간 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불평등 변수와 관리부패 변수의 평균이 각각 6.09, 7.71로써 최대값 10을 기준으로 최대값에 비교적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치적 성향변수는 평균 6.22로 최소값인 매우보수 1에서 최대값인 매우진보 10을 기준으로 중간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과의 자발적 접촉 및 그 만족도는 ‘경찰과의 일상적 대화 경험’ 27.5%, 만족도 평균은 3.61, ‘정보 문의 경험’ 27.0%, 만족도 평균 3.24, ‘서비스 요청 경험’ 22.2%, 만족도 평균 3.21, ‘범죄 신고 경험’ 27.0%, 만족도 평균 3.44, ‘합동 방범활동 경험’ 13.3%, 만족도 평균 3.64, ‘경찰에 정보 제공 경험’ 26.0%, 만족도 평균은 3.41로 나타나 총 6개 항목 만족도 모두가 최대값 5에 비교적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과의 비자발적 접촉 및 만족도는 ‘음주 단속 경험’ 10.6%, 만족도 평균은 3.45, ‘교통신호 위반 단속 경험’ 5.5%, 만족도 평균 2.87, ‘불심검문 경험’ 5.5%, 만족도 평균 2.52, ‘경찰 단속 경험’ 7.0%, 만족도 평균 2.83, ‘범죄사건 관련 경찰서 방문 경험’ 15.2%, 만족도 평균은 3.11로 나타나 총 5개 항목 중 불심검문 경험을 제외하고 그 만족도가 최대값 5를 기준으로 중간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피해 경험은 ‘집밖에서 강도당한 경험’ 4.6%, ‘성폭행 당한 경험’ 2.7%, ‘폭력배에게 구타당한 일’ 2.9%, ‘집에 도둑이 든 경험’ 11.3%, ‘집에 강도당한 경험’ 1.2%, ‘납치, 유괴 당한 경험’ 1.0%, ‘소매치기, 날치기, 들치기 등의 피해’ 4.1%, ‘자동차 부속품등 차안에 물건 도난당한 경험’ 3.9%, ‘성희롱당한 경험’ 10.1%, ‘성추행당한 경험’ 5.3%, ‘도촬당한 경험’ 1.7%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범죄경험은 ‘집에 도둑이 든 경험(11.3%)’이었으며 가장 낮은 범죄경험은 ‘납치, 유괴 당한 경험(1.0%)’으로 조사되었다. 남학생 경험비율은 ‘집에 도둑이 든 경험(10.9%)’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여학생 경험비율은 ‘성희롱 경험(16.6%)’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경찰에 대한 신뢰도 전체 평균은 최대값 5를 기준으로 했을 때 3.22로 조사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본 연구에 사용된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적합한 모델을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체모델 F= 17.571***). 경찰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변수로는 범죄피해경험, 지역안전도, 지역무질서, 범죄두려움, 지역사회 경찰활동, 대인신뢰, 민주주의 만족도, 정부 불평등 인식, 관료부패 인식 등이었다. 즉, 범죄피해 경험이 증가할수록, 주거지역의 범죄가 증가한다고 인식할수록, 범죄의 두려움이 증가할수록, 정부의 대우가 불평등하다고 인식할수록, 관료들이 부패와 많이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할수록 경찰에 대한 신뢰도는 낮아지며, 지역사회 경찰활동이 활발하다고 인식할수록, 대인신뢰가 증가할수록, 민주주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중 경찰에 대한 대학생의 신뢰도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대인신뢰와 지역사회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찰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여섯 가지 정책제언이 제시되었다. 첫째, 지역사회 경찰활동이 경찰의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난 만큼 시민들과 함께 협력하고, 여러 치안시책 및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지역사회 경찰활동을 지속적으로 확대 시행해야한다. 이를 위해 지역주민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대민 접촉과 협력만을 전담하는 대민 협력 부서를 신설하여, 지역주민의 요구나 의사소통에 관해서는 각 기능을 초월하여 통합 조정, 해결하도록 하는 등 지역사회와 같이 호흡하는 경찰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범죄 피해신고와 범죄 피해자에 대한 대응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즉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경찰 민원처리에 대한 불신을 해소하기 위해, 경찰은 범죄 피해 신고 및 피해자에 대해 업무처리 시 특히 섬세하게 배려하는 태도, 존중하는 태도를 가지고 모든 업무를 공정하게 처리하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다양한 교육 등 지속적으로 역량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이번조사에서 범죄증가율, 범죄에 대한 두려움, 지역사회 무질서 부분도 경찰신뢰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결국 시민들이 경찰의 전통적인, 본연의 임무인 범죄예방 및 검거에 대해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경찰은 지구대, 파출소 및 교통, 수사, 형사 등 현장경찰관의 역량제고를 최우선적으로 고민해야 할 것이며 특히 주민과의 접촉을 통한 지역사회 무질서 및 범죄 두려움의 해소를 위해 지금까지 소홀히 다루어져 온 도보 순찰을 적극적으로 활성화하는 등 현장치안중심의 경찰 역량 제고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넷째, 위와 같은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활성화, 현장치안 중심의 경찰역량 제고 등 여러 정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경찰증원이 필수적이므로 우리 경찰도 주요 선진국 수준에 버금가도록 지속적인 경찰인력의 증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단순한 인력증원을 넘어선 효율적 활용을 위해서는 그 지역에 적합한 맞춤형, 그리고 선별적인 효율성이 강조된 유연한 경찰조직이 뒷받침 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서는 지역별 나름대로의 치안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자치경찰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다섯째, 공직사회의 부정부패, 불평등의 요소도 경찰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경찰은 경찰 조직 내에서 부정부패, 불평등을 척결하고 사람에 대한 신뢰를 형성하며, 정치권력의 편이 아닌 민주주의를 수호하는 혁신적인 모습을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대학생들과 경찰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경찰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 눈높이에 맞춘 다양한 치안 시책 등을 홍보할 수 있는 통로 구축, 범죄예방 지식 등 치안관련 유용한 지식을 제공하기 위한 ‘대학생 경찰학교’ 개설, 순찰근무를 포함한 경찰 업무에 대학생들이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마련 및 대학 내 범죄예방을 위해 대학생들로 구성된 자율 방범 조직을 활성화하여 경찰과의 협업이 가능한 체제를 구축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며, 대학생들의 자발적 참여유도를 위해 참여 학생에 대한 학점 인정, 경찰 채용 시 가산점 부여 방안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