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군 군수부대 구조 결정의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 육군의 군수부대를 중심으로

        정찬환 한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seen in the Russia-Ukraine War, operational sustainment must be effectively provided in order to win wars. A key element of such operational sustainment is logistics support. Therefore, sufficient logistics support is critical in order to achieve victory in warfare. There maybe various factors in facilitating logistics support such as a support system, equipment, and material. However, a well organized logistics unit in support of the combat unit should be put in place first. Looking at the Korean military in this respect, the importance of logistics functions and military units is overlooked, and the analysis, evaluation, and optimal organization of the military units have been insufficient. Since 2006, as the National Defense Reform has been carried out, the logistics unit is being considered a non-combat field, and its manpower is being drastically reduced and replaced with civilian personnel.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research task to analyze whether the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the Korean military's logistics units are appropriate for warfare. This study analyzes how the logistical unit structure has changed by what key influencing factors for each period since its establishment to the present, and provides a way forward so that the current logistics unit structure can provide effective operational sustainment support for each echelon of the army during wartime.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logistics unit was analyzed by categorizing it into four stage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military to the present. The first stage is the Building Period where U.S. military aid was carried out until 1964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military, and the second stage is the National Defense System Establishment Period between 1965 and 1981 when the military assistance program was transferred and troops were dispatched to Vietnam. The third stage is the Self-Reliant National Defense Period between 1982 and 2005 where logistics support per function was carried out, and the fourth stage is the Defense Posture Development Period where logistics units have been organized as per the National Defense Reform since 2006.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security environment, military security environment within the military,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field of logistics at all stages from the first stage to the last stage did not directly affect the structure of the logistics unit, but rather influenced the change in the logistic support system. This then had a direct impact on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logistics unit. During the 4th stage, the of Defense Posture Development period, the military structure was reorganized by the National Defense Reform, which had some influence on the structure of the logistics unit, but the key factor was the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support system.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s a way forward by analyzing the current Integrated Logistics Support System. In line with the concept of ‘integrated’, it presents the new definition as “The logistics support system that effectively integrates available resources and functions to achieve logistics management objectives(effectiveness, economic feasibility, efficiency) and logistics support objectives(appropriate time, location, and quantity).” There are four main points to embody ‘integrated': First, a total life cycle management system that integrates acquisition and operation maintenance, second, a one-stop logistics support system that integrates multiple functions, and third, an integrated logistic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at integrates all information systems, fourth, an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civilian/government/military logistic support system. Among these points, there are two things that affect the development of the structure of the Korean military’s logistics unit: the establishment of a total life cycle management system that integrates acquisition and operation maintenance, and the establishment of a one-stop logistics support system that integrates multiple functions. Accordingly, a way forward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ructure of the logistics unit was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three implications. First, it provides a true understanding of the key changes by analyzing how the Korean military's logistics units have chang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military. Second, it suggests that the key influencing factor was the logistic support system by analyzing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determine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ROK military's logistical units for each period. Third, it provides a direction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Korean military’s logistics units can develop by analyzing the Integrated Logistic Support System, which is the current logistics support system for the Korean militar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military's field of logistics and the improvement of its warfare capability by presenting the analysis, influencing factors, and development plans of the most important and neglected fields of logistics for ensuring the victory of war, among them, the structure of the logistics unit.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도 보듯이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작전지속지원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작전지속지원의 핵심요소는 군수지원이다. 따라서 전쟁에 승리하기 위해서는 군수지원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군수지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원체제, 장비 및 물자 등 여러 가지 요소가 있을 수 있으나 전투부대를 지원하기 위한 군수부대가 우선적으로 잘 편성되어져 있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군을 살펴보면 군수기능이나 군수부대에 대한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고, 군수부대에 대한 분석이나 평가, 최적의 편성 노력도 다소 부족한 현실이다. 2006년부터는 국방개혁이 이루어지면서 군수부대는 비전투분야로 간주되어 인력이 대폭 삭감되고 있고 민간인력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개편을 추진중에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군의 군수부대 구조 및 편성이 전쟁을 수행하는데 적절한지를 분석해 보는 것은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군수부대 구조가 창군 이후 현재까지 시기별로 어떠한 핵심 영향요인에 의해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분석하고, 이렇게 형성된 현재의 군수부대 구조가 전시 육군의 제대별로 효과적인 작전지속지원이 가능하도록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군수부대 구조변화는 창군 이후부터 현재까지를 4단계로 구분해서 분석하였는데, 1단계는 건군기로 창군 이후 미 군사원조가 진행됐던 1964년까지, 2단계는 국방체제정립기로 군원이관 및 월남파병이 이루어지면서 국방체제가 정립되었던 1965년부터 1981년까지, 3단계는 자주국방기로 1982년부터 2005년까지 기능별로 군수지원을 실시했던 시기이며, 4단계는 국방태세발전기로 2006년부터 현재까지 국방개혁에 의해서 군수부대가 편성되고 발전하는 시기로 구분해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단계에서 4단계까지 모든 시기에 국내·외 안보환경, 군내 군사안보환경, 군수분야 환경요인이 군수부대 구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보다는 군수지원체제 변화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러한 군수지원체제 발전이 군수부대 구조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4단계 국방태세발전기에 국방개혁에 의한 군구조 개편이 이루어지면서 군수부대 구조에 일부 영향을 주었으나 핵심적인 영향요소는 군수지원체제 발전이었다. 이후 현 통합형 군수지원체제를 분석해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는데, 정의는 ‘통합형’이라는 개념에 맞게 “군수관리 목표(효과성, 경제성, 능률성)와 군수지원 목표(적시·적소·적량 지원)를 달성하기 위해서 가용자원과 기능을 효과적으로 통합해서 지원하는 군수지원체제이다”라고 제시하였다. ‘통합형’을 구현하는 중점은 4가지로 첫째, 획득과 운영유지가 통합된 총수명주기관리체제, 둘째, 다기능을 통합한 One-Stop 군수지원체제, 셋째, 제 정보체계를 통합한 군수통합정보관리체제, 넷째, 민·관·군 통합 군수지원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통합형 군수지원체제 구현중점 중에 한국군 군수부대 구조 발전에 영향을 주는 것은 두가지로 획득과 운영유지가 통합된 총수명주기관리체제 구축과 다기능을 통합한 One-Stop 군수지원체제를 구축하는 것이었고, 이에 따른 군수부대 구조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세 가지로 첫째, 창군 이후 현재까지 한국군 군수부대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해서 변화의 핵심을 이해할 수 있다. 둘째, 이러한 시기별로 한국군 군수부대 구조변화를 결정하는 영향요인들을 분석하고, 핵심 영향요인은 군수지원체제였음을 밝혀냈다. 셋째, 현재 한국군 군수지원체제인 통합형 군수지원체제를 분석해서 발전방향과 이에 따른 한국군 군수부대 구조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전쟁의 승리를 보장하는데 가장 중요하면서도 연구가 소홀했던 군수분야, 그중에서도 군수부대 구조에 대한 분석과 영향요인, 발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한국군의 군수분야 발전과 이를 통한 전쟁 수행능력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 생각한다.

      • 회칙『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에 대한 교회론적 고찰 : ‘사랑의 공동체인 교회’ 25항을 중심으로

        정찬환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수의 승천 이후 교회는 자신의 신원과 정체성에 관해 끊임없이 성찰하며 물어왔고, 또 앞으로도 항구히 그것을 찾아가며, 시대의 흐름과 다양한 상황들 속에서 이를 그리스도의 빛에 비추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해 나아갈 것이다. 이처럼 교회는 그 어느 때보다도 세상 곳곳에 퍼져 나가고 있으며, 내적으로도 외적으로도 짧은 기간 큰 성장을 이루어 왔음에는 틀림없다. 또한 교회는 주님의 명령에 따라 세상 안에서 자신의 고유한 역할을 수행하며 인류의 복음화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과 넘쳐흐르는 다양한 이념과 사상들, 문화의 혁명과 더불어 진일보한 문명은 분명 인류에게 많은 혜택을 제공하였지만 그로 인한 다양한 폐단들과 함께 인간적인 한계들 앞에서 교회 역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즉 세상 안에서 교회 역시 많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교회는 의도치 않게 자신의 본 모습을 잃어가거나 본분을 망각한 채 쉽게 위험에 노출될 수 있음을 경험하였다. 그렇다면 교회가 오늘날까지 존립할 수 있었던 이유와, 교회를 교회로서 존재하게 하는 그 본질이 무엇인지 본고에서는 다루어 보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새로운 교회론의 전망이나 제시를 하지 않았다. 반대로 끊임없이 교회가 이루어왔던 교회의 본질과 사명에 관하여 다루었으며, 이를 통하여 현대의 위기 안에서 교회의 모습을 진단하고 교회가 나아가야 할 전망을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회칙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다. 곧 회칙 안에서 드러나는 베네딕토 16세의 신학적 사상과 교회의 이해를 연구하여 그가 말하고자 하는 교회론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회칙에 대한 교회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곧 베네딕토 16세의 신학적 사상에 영향을 주었던 성인들과 학자들을 우선적으로 살펴본 뒤, 회칙 안에서 드러나는 ‘사랑의 공동체로서의 교회관’을 연구하였으며, 이러한 작업을 토대로 본고에서 제일 주된 부분인 교회의 본분인 삼중 직무를 회칙 25항을 토대로 연구하였다. 3장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이 오늘날 현대 교회의 다양한 위기 안에서 교회가 지녀야 할 모습에 대하여 이야기했으며,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 고찰하였다. 이는 기존의 교회론에 대한 회복을 언급하며, 앞으로 다가올 시대에 맞서는 교회의 참된 모습을 전망하였다. 이처럼 교회는 그 오랜 역사 속에서 그리고 세상 안에서 함께 숨 쉬고 공생하며 존속하였기에, 그만큼 교회가 처음 지니고 있던 순수성과 앞서 살펴본 그리스도교의 핵심이 왜곡되거나 그 색을 차츰 잃어 갔다. 그 결과 오늘에 이르러서 외형적으로는 어느 때보다 거대한 성장을 이룬 교회이지만, 그에 못지않은 병폐와 부패 역시 내부적으로 생겨난 것 또한 사실이다. 그렇기에 ‘교회가 교회로서 존재할 수 있게끔 하는 그 본질적인 것이 무엇인가’ 라는 물음을 지금에서 던지는 것은 그리 무모하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이미 교회가 그리고 우리 모두가 알고 있는 교회의 본질을 다시금 재조명하는 것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그 나름의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fter the resurrection of Jesus, The Church has reflected and asked continuously about their own identity. Also in the future, it will find out that way eternally and verify the essence of the Church in the light of the Christ. Likewise, the Present Church is proliferating all over the world than any centuries and has improved in a very brief time, either internally and externally. Also the Church has made an effort in his inherent role to evangelization of Human Being, while working by order of the Lord in this world. Nevertheless the rapid stream of the ages, overflowing and various ideologies, thoughts, cultural revolutions, developed civilizations provided lots of benefits with humanity, but as a result of it, with this negative effects and human limitations, the Church couldn’t be free. In a word, the Church was affected by lots of negative things in this world, it had experienced to lose its inherent role or forget its own duty and exposure from these dangers. Thus, we ranged over ‘what’s the reasons to exist the Church until now’ and ‘what’s the essence to exist the Church as the Ecclesiastical Community’. That’s why, it didn’t present new vision of ecclesiology. On the contrast, it treated the ecclesiastical essence and vocation that has been achieved. And proposed the way which the Church have to go to the next step in a modern crisis. In Chapter 1, It focused the general understanding and study as to this encyclical. That is to say, we studied the theological ideology and ecclesiastical understanding of the Emeritus Pope Benedict XVI on the base of his encyclical, examined what he wanted to say about ecclesiology. In Chapter 2, It tried to ecclesiastical approach about this encyclical. Shortly, after we had looked back on the Saints and Scholars who had affected to the theological ideology of Benedict XVI, we studied ‘Ecclesiastical Perspective as a Community of Love’ on the basis of it, and we studied triple duties that is most important part in the Church in the view of this encyclical paragraph 25. In Chapter 3, we considered that ‘what’s the image and role will be presented in the Church’. It is the mention of the original ecclesiology and prospect the truthful image of the Church that will be confronted with becoming age. The Church has breathed and exist from the ancient history in the world. So the purity and the essential point was distorted and lost their colors. And even to this very day, the Church has grown up so developmentally then any centuries, but also it has social maladies and corruptions. So it is not the absurd question that we ask ‘what is the essence to exist the Church as the Ecclesiastical Community’. It is figured out as a great meaningful work that the Church illuminating what the Church and we already knew about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