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관 내 삽관 중환자의 구강간호 프로토콜 적용이 구강상태 및 구취, 구강건조에 미치는 효과

        장춘선 창원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Effects of Using an Oral Care Protocol on the Oral Status, Halitosis and Dry Mouth of Intubated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by Jang, Chunsu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Korea Purpose: An oral care protocol was applied to intubated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 (ICU) to investigate its oral care effects and clinical applicability to ICU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is is a randomized-block-design study with a block size of four and an allocation ratio of 1:1 that targeted intubated patients who stayed in the ICU of S Hospital in Changwon between May 16, 2013 and June 15, 2013. The experiment group consisted of 18 patients who were cared for with the oral care protocol in this study,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7 patients who were asked to use a typical oral care method.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wice a day for five days. The oral status, halitosis and dry mouth at the baseline and on the fifth day of the experiment were assessed. The oral status was assessed using the tool developed by Beck (1979) and translated by Hong et al. (1997). For the halitosis assessment, the pH of the saliva was measured; and for the dry mouth, the amounts of saliva at the dorsum of the tongue and the sublingual region were measured. Using SPSS version 18.0, the frequency, percentage, x2test, Fisher’s exact test and t-test were conducte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recognized with a p<.05 in the unpaired test. Results: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ypothesis I : The oral status of the experiment group (the intubated patients in the ICU who underwent the oral care protocol) will be bet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intubated patients in the ICU who did not undergo the oral care protocol). The oral status score of the experiment group was 11.89 (±1.23), and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8.94 (±2.36), which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ly, Hypothesis I was supported (t = 4.60 and p=<.001).Therefore, the oral status of the oral care protocol group(the experiment group)improved. 2. Hypothesis II : The halitosis degree of the experiment group (the intubated patients in the ICU who underwent the oral care protocol) will b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intubated patients in the ICU who did not undergo the oral care protocol). The halitosis degree of the experiment group was 6.50 (±0.51), and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5.65 (±0.70), which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ly, Hypothesis II was supported (t = 4.12 and p=<.001).Therefore, the halitosis of the oral care protocol group(the experiment group)decreased. 3. Hypothesis III : The dry mouth degree of the experiment group (the intubated patients in the ICU who underwent the oral care protocol) will b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intubated patients in the ICU who did not undergo the oral care protocol). The dry mouth degree at the dorsum of the tongue in the experiment group were scored 1.00 (±0.59); and in the sublingual region, 1.89 (±0.83); whereas those in the control group were scored 0.18 (±0.39) and 0.71 (±0.59), respectively, which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ly, Hypothesis III was supported (dorsum of the tongue: t = 4.81 and p=<.001; and sublingual region: t=4.83 and p=<.001). Therefore, the dry mouth of the oral care protocol group(the experiment group)decreased.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the oral care protocol in this study to intubated patients in ICU confirmed the protocol’s effectiveness in improving such patients’ oral status and in decreasing their halitosis and dry mouth. However, for the full-scal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oral care protocol in this study, an appropriate level of nursing care and a simplified version of the oral care protocol are needed. Key Words: Intubated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Oral Care Protocol, Oral Status, Halitosis, Dry Mouth 국 문 요 약 기관 내 삽관 중환자의 구강간호 프로토콜 적용이 구강상태 및 구취, 구강건조에 미치는 효과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기관내관을 삽입한 중환자에게 구강간호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구강간호의 효과 및 임상적용의 현실성을 파악하고, 앞으로 근거기반 한 중환자 구강간호를 임상에 활용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의 대상은 2013년 5월 16일부터 2013년 6월15일까지 창원시 소재 S종합병원 내과중환자실 입원환자 중 기관내관을 삽입한 중환자를 대상으로 블록크기 4, 배정비율 1:1의 블록무작위법을 이용한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이다. 연구 방법은 구강간호 프로토콜을 적용한 실험군 18명, 기존 구강간호방법을 적용한 대조군 17명을 대상으로 1일 2회 5일간 실험처치를 하였다. 실험처치 1일째 구강간호 전과 실험처치 5일째 구강간호 후 구강상태 및 구취, 구강건조 정도를 평가하였다. 구강상태는 Beck (1979)이 개발하고 홍미순 등(1997)이 번역한 구강사정 평가도구를 이용하였고, 구취는 타액의 pH 농도를 측정하여 구취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구강건조는 설배, 설하의 타액량을 측정하여 구강건조 정도를 평가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적인 유의성은 p< .05이하로 일측검정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 기관 내관을 삽입한 중환자에게 구강간호 프로토콜 적용한 실험군이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구강상태가 좋을 것이다. 전체 구강강태 점수는 실험군에서 11.89(± 1.23)점, 대조군 8.94(± 2.36)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t=4.60, p=<.001). 따라서 구강간호 프로토콜을 적용한 실험군이 구강상태가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2. 제 2가설 : 기관 내관을 삽입한 중환자에게 구강간호 프로토콜 적용한 실험군이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구취 정도가 감소할 것이다. 구취 정도는 실험군 6.50(± 0.51), 대조군 5.65(± 0.7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제 2가설도 지지되었다(t=4.12, p=<.001). 따라서 구강간호 프로토콜을 적용한 실험군이 구취가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3. 제 3가설 : 기관 내관을 삽입한 환자에게 구강간호 프로토콜 적용한 실험군이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구강건조 정도가 감소할 것이다. 구강건조 정도는 실험군이 설배 1.00(± 0.59), 설하 1.89(± 0.83)이고 대조군은 설배 0.18(± 0.39), 설하 0.71(± 0.59)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어 제 3가설도 지지되었다(설배 t=4.81, p=<.001, 설하 t=4.83, p=<.001). 따라서 구강간호 프로토콜을 적용한 실험군이 구강건조가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기관 내관을 삽입한 중환자실 환자에게 구강간호 프로토콜 적용은 구강상태를 개선하고 구취 및 구강건조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근거기반 구강간호 프로토콜을 임상에 정착화하기 위해서는 적정수준의 간호 인력과 구강간호 프로토콜의 간소화가 필요하다. 중심단어 : 기관 내 삽관 중환자, 구강간호 프로토콜, 구강상태, 구취, 구강건조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