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高齡者의 運動行動에 관한 心理.社會的 要因分析

        양재용 단국대학교 1997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자의 운동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분석하고, 그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운동을 생활화하는 고령자와 생활화하지 않는 집단을 대상으로 운동행동 결정 요인의 차이를 알아보고, 사회적 특성변인이 운동행동 결정 요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데 있다. 또한 운동지속자의 운동행동에 관한 심리·사회적 요인 분석을 통해 각 요인들의 인과구조 및 관련성을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그들의 건강에 대한 자신감 형성의 과정을 규명하여 고령자의 효율적 건강관리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1996년 5월 현재 60세 이상의 남녀 고령자들을 목표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표본 모집단은 서울 및 경기 지역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표본 추출 방법은 비례적 유층 표집 및 단순무선 표집 방법을 이용하였다. 조사 대상의 표집은 운동을 생활화하는 대상자 500명과 생활화하지 않는 대상자 150명을 추출하여 전체 6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변인으로는 운동 지속 여부 및 사회적 특성 변인과 심리·사회적 운동행동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행관련 연구내용을 토대로 개발된 질문지는 2회에 걸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거쳐서 최종적인 질문지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 처리는 SAS Package(ver. 6.04) 및 LISEREL(ver. 7.12)을 사용했다. 이상의 연구 방법 및 자료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자의 운동 지속자와 비지속자의 분포 경향은 특히 고학력 및 배우자가 있는 사람이 운동을 지속적으로 행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또한 배우자 유무도 운동 지속자의 집단과 비지속자의 집단간 서로 다른 분포를 보여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령자의 운동지속 유무는 운동에 대한 의욕을 제외한 운동의 행동 감각, 운동 효과에 대한 신념, 운동 권유 행동, 운동 자신감, 건강관리 자신감, 우울증 요인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p<0.0001). 우울증에서는 비지속자가 지속자에 비하여 높았으며, 다른 요인에 대해서는 모두 운동 지속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에 따른 심리·사회적 요인 분석에서 운동의 효과에 대한 신념, 운동에 대한 의욕, 운동 권유 행동, 우울증 요인에서 연령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에서 우울증 요인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운동에 대한 의욕 요인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학력에 있어서는 운동에 대한 의욕, 운동 권유 행동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넷째, 운동행동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의 운동지속 유무에 대한 판별분석에서는 정준판별함수의 정준상관계수 r=0.757로서 매우 높은 판별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운동행동의 심리·사회적 각 요인의 중요도는 운동행동 감각, 운동권유 행동, 운동 자신감, 건강관리 자신감 등의 순으로 높은 영향력을 나타내는 요인임을 보여 주었다. 다섯째, 고령자의 건강관리자신감은 운동 자신감, 운동 권유 행동, 운동효과에 관한 신념, 우울증, 운동행동 감각 순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의 정서적 지원 네트워크 요인이나 운동에 대한 의욕 등에서는 그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다. This study is attempted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elders' exercise behaviors,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exercise behaviors of regular exercisers and non-exercisers, and assist to build their self-confidence and effective health management by investigating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among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To get to this goal, I have selected, as the object of analysis, 563 male and female elders, 60 and older, living in Seoul and Kyongki area who continually take part in badminton and gate ball games over one year, using Non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and Simple Random Sampling. The theoretical paradigm and important concepts of this study owe much to Osawasayuri's exercise behavior theory and other studies, consequently the hypotheses of this dissertation being built on them. The procedure to the goal is as follows : observing the relation between elders' continuation of exercise and social factors,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between elders' continuation of exercise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finally defining the mechanism of the formation of their self-confidence in health through exercise behavior. The techniques adopted to do this analysis are Chi-Square Testing and ANOVA, Discriminant and Classification Analysis, and LISREL.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data analysis are: Firstly, whether elders continue to do exercise or not is more or less related to the social factors, especially those who are highly educated and live with their spouse are shown to continue exercise. Secondly, whether elders continue to do exercise or not shows noticeabl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specifically the sensibility to exercise behavior, except the will for exercise, the faith in the effect of exercise, the encouragement to take exercise, self-confidence in exercise, self-confidence in health management, and depression.(P=0.0001). The reason of no difference in the willingness to exercise is that both continuers and non-continuers have strong intention for exercise. In depression, non-continuers are higher. But in other factors contiuers are shown to have a higher degree of exercise. According to the discriminant analysis, the sensibility to exercise behaviors, the willingness to exercise, self-confidence in exercise, and self-confidence in health management are shown to have high influence to exercise. Thirdly, it is shown, by analyzing the cause and effect pattern to define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elders' confidence in health, that direct and indirect mutually meaningful cause and effect structure is formed among elders' psychological and social activity factors. Elders' self-confidence in health management is affected by the self-confidence in exercise which is positive side of exercise behaviors, the encouragement for exercise, the faith in the effect of exercise, depression, the sensitivity to exercise behaviors. Emotional support network for exercise and the willingness to exercise are shown to have relatively less influence. Accordingly, the study shows that the elders' self-confidence can be heightened through active and continual participation in everyday physical activity.

      • 國內 國立大學校 敎授 採用制度에 대한 比較分析

        양재용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4년 12월 발표한 교육인적자원부의 대학구조개혁계획은 학생정원을 줄이고 이 기준에 도달하지 못하는 대학에 대하여 행정적, 재정적 제재를 하겠다는 것이다. 교수정원도 각 대학의 구조개혁 성과에 따라 차등 배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사업(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은 사업 유지 조건으로 교원 충원율을 배정정원 대비 98%이상 충원하는 것으로 이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사업을 탈락시키는 등 재정적 지원 사업을 축소한다는 등의 사업규정에 따라. 각 대학들은 교수 배정정원의 한도 내에서 2004년부터 대규모적인 채용을 실시하고 있다. 지금도 일부 국립 대학교에서는 교수채용과 관련한 민원, 소송 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에서 본 연구는 각 국립 대학교별 교수채용 제도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교수채용 제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제2장에서 교수채용의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교수의 개념과 역할, 채용의 정의 및 이론적 배경 및 교수채용 제도의 법적 연혁을 고찰하고 교수채용이 법적으로 규정화되는 법적 연혁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제3장에서는 국립대학교 교수채용제도 전반에 대하여 지역 거점 국립 대학교 6개 대학의 채용규정 및 지침을 중심으로 비교하였으며, 그 세부적 비교 내용은 먼저, 교수채용 임용자격기준과 특별채용에 대하여 법률적 검토와 대학별 규정을 비교 한 후, 공개채용 제도의 심사절차의 비교분석을 ①채용절차 개요, ②서류심사위원회 구성과 역할, ③학과(부) 심사위원회, ④단과대학별 인사위원회 등 각종 심의위원회 등 ⑤ 기타 채용제도 부분으로 나누어 비교하였고, 공개채용 제도의 심사기준을 심사기준의 결정과정과 심사항목, 심사기준의 세부항목 및 심사기준 항목별 배점의 편차 및 주/객관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대학별 특징 및 문제점을 요약하였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앞장에서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 교수채용 제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대학 교수채용 제도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임용자격기준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박사학위 소지자로 규정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현실에 맞게 교수자격인정기준 등에 관한 규정(대통령령)을 조정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특별채용의 대상, 범위 및 절차를 명확히 규정하여 대학발전에 필요한 우수한 국내·외 학자를 유치하는데 필요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적극적으로 우수한 교수요원을 유치하여 대학발전에 기여하는 교수채용제도의 한 축으로 그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셋째, 교육인적자원부는 고등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 정부재정의 어려움을 감안하더라도 대학별 배정정원을 최소한 법정정원 대비 80%수준의 교수정원을 대학에 배정하도록 적극 노력하여야 하며, 대학에서는 특별한 이유 없이 채용을 하지 못하는 학과(부)에 대하여 강력한 제재를 취하는 등의 정책을 구사하여야 한다. 넷째, 우수한 인력을 모집하고 채용 관리하는 외형적 성격과 창의적인 업무처리와 전문적인 업무를 처리하는 내형적 성격을 함께 고려한 전문 인력채용관리 부서를 만들어 고급인력을 합리적으로 채용할 수 있는 제도를 확립하여야 한다. 다섯째, 교수채용 심사절차의 개선방안으로 ① 대학의 서류심사위원회를 대체하고 국립대의 교수채용의 전 단계로서 교수자격관리 기구인 국가적 차원의 “교수자격심사위원회” 신설을 검토하여야 하고, ② 공개강의 심사 시 학과 학생들을 공개강의에 참여시켜 공개강의 하는 지원자에게 강의에 대한 질문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도화를 검토하고 ③ 또한 다양한 성격의 위원회의 기능을 현실성 있게 보완 확충하고 그 역할을 다할 수 있게 실제적으로 심의할 수 있는 전문적인 위원회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전문화된 위원회를 구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여섯째, 교수채용 심사기준의 합리성을 제고하여야 하며, 심사위원의 권한을 어느 정도 적정하게 부여할 것인지를 신중하게 판단하여 심사기준을 설정하여야 한다. 모든 심사항목을 객관화 시키는 것은 우수한 인재를 채용하는 데에 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학문분야별 특수성을 감안하고 표준화의 장점을 가미하여 계열별 또는 단과대학별로 심사기준을 표준화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일곱째. 교수의 자질은 어느 공무원 보다 중요하다. 교수는 지식만 전달하는 지식제공자가 되어서도 아니 되며, 인격적으로만 우수한 사람이 되어서도 아니 되기 때문에 전문적 지식과 인격적으로 일정 부분 도야된 자를 선별하기 위해서는 심사위원의 역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심사위원의 임명 시 해당 학과 교수라는 것만으로 모두를 임명하는 것은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학문적으로 일정한 수준을 가진 자를 심사위원으로 임명하는 방안도 심도 있게 검토해 볼 필요성이 있다. 여덟째, 교수공채와 관련하여 임용권만 총장이 가지고 그 외의 모든 사항에 대하여 단과대학 학장에게 채용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채용의 분권화를 유도하고 채용의 질적인 관리 측면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 비만 진단요인과 무산소성 파워와의 관계

        양재용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diagnosis factor and anaerobic power. This study also intended to support a obesity management and health improvement. This study was performed against 51 male students in university. This study utilized the Margaria-Kalamen leg power test to measure anaerobic power. Also, the body composition and the obesity diagnosis factors was measured by INBODY 3.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naerobic power and obesity diagnosis factor indica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as weight r=.643 (p<.01), BMI r=.600(p<.01), muscle amount r=.530(p<.01), WHR r=.486(p<.01), percent of body fat r=.415(p<.01) and height r=.335(p<.05). 2. It showed the explanation of 53.2% for weight, 48.2% for BMI, 40.1% for muscle amount, 30.4% for WHR and 20.3% for percent of body fat about anaerobic power. However, it showed the low explanation of 14.7% for height about anaerobic power. As a result of this study, obesity diagnosis factor and anaerobic power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Also, it showed that explanation of obesity diagnosis factor about anaerobic power had a high significance in most factors excepting height. Weight had the highest explanation and it was showed in order of BMI, muscle amount, WHR and percent of body fat.

      • 웨이블렛을 이용한 切削力 및 表面形象의 分析과 그 응용에 관한 硏究

        양재용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런아웃을 고려한 절삭력을 모델링 하였으며 공구 홀더에 엔드밀을 고정할 때 발생하는 런아웃을 고려한 엔드밀링 절삭력의 발생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한 결과와 실제 가공하여 측정된 절삭력 결과를 비교하여 런아웃을 고려한 엔드밀링 절삭력 모델링법의 타당성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실제 엔드밀링 절삭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러 인자의 효과를 밝히고자 하며 정확한 엔드밀링 절삭력을 예측할 수 있도록 모델링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용된 모델링 방법은 본 실험실에서 연구된 방법으로 비절삭 저항을 고려하여 절삭력을 모델링하는 방법으로 이를 이용하여 본 연구에서 적용한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보면 공구 홀더를 이용하여 엔드밀을 고정 시에 대부분의 경우 런아웃이 나타났으며 그 타입에 따라 절삭력 형상의 높낮이가 각각 달리 발생하는 것을 이론적으로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이들 절삭력과 실험 조건에서 측정된 엔드밀링 절삭력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비교적 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엔드밀 절삭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절삭방향에 따라 절삭력의 거동 및 그 특성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특히 출구 쪽에서는 동적인 성분이 자주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스무싱 처리하여 절삭력 형상의 정적인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한 가지 방법으로 웨이블렛 필터링을 사용하여 정적인 성분을 추출하여 절삭력의 형상을 구현 하였다. 또한 복잡한 엔드밀링 가공에서 각 방향에 따라서 그 특성이 어떻게 변하는지도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분석된 형상은 엔드밀 절삭력의 실험적인 형상 결과를 이론 절삭력과 비교 분석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실체 형상에 가까운 분석을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는 웨이블렛 필터링을 압입면에 적용하여 압입면의 체적을 계산하는데 적용하였고 이 필터링 체적 데이터를 독립변수로 하여 로크웰 경도 모델을 얻고자 하는데 적용하고자 한다. 현재까지의 기계공학에서 재료의 단단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로크웰 경도 표현법이 많이 사용되어 왔고 특히 철 재료의 경도는 로크웰 경도 표현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재료의 단단한 정도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주로 압입자(indenter) 의 깊이나 압입흔적의 직경이나 폭을 이용하여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경도 값을 계산하여 재료의 단단한 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최근 이 경도값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깊이나 압입자의 흔적의 폭으로 나타낸 식으로 계산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도 계산에 있어서 너무 무르거나 단단하면 그 경도 측정법의 압입자로는 측정치가 음이 나오거나 혹의 높은 경도의 재료끼리 구분하기가 곤란해진다. 따라서 이와 상관없이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과거에는 작은 면적의 체적계산이 곤란 하였으나 최근의 측정기술의 발달로 비접촉 측정기를 이용하여 체적을 측정하는 방법이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료를 압입하여 압입흔적의 체적을 측정하며 이 체적을 독립변수로 하여 재료의 경도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과거의 경도시험에서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단단한 정도를 표현 하였다. 그러나 깊이나 폭등의 일반적인 변수로 표현하는 방법의 문제점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체적으로 표현하여 기존의 방법과 체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고 또 이 경도 표현모델의 타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실제로 압입된 재료의 체적을 분석하여 보면 그 크기는 균등하지 않고 차이가 있게 되고 측정하는 계기가 주로 광학적으로 측정하여 표면을 나타내게 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때 측정된 표면에는 광학적인 처리 문제 때문에 항상 잡음이 많이 포함되게 되어 오차를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 필터링 기술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또한 측정된 체적 변수와 경도와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측정에 필수적인 잡음 문제는 웨이블렛 필터링을 이용하였고 체적의 변화가 상관없다고 밝혀진 레벨 1 ~ 4 의 표면을 이용하여 체적계산에 이용하였다. 또한 이를 표현하기 위하여 반응표면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을 이용하여 나타내었으며 이 경도 모델의 계산 결과를 실제 경도와 비교하여 그 상관관계와 타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반응표현법을 이용한 경도 모델링을 위해 체적변수를 코딩하여 로크웰 경도 모델링을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수행한 모델링은 경도를 잘 나타내며 이 모델을 이용한 후속 연구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 연구 결과는 재료를 개발하는 분야와 관련 공구를 이용하는 산업현장의 재료와 공구 개발 및 운영자에게 그 재료의 특성과 공학적인 의미를 미리 표현할 수 있어 재료의 이용에 보다 효과적으로 응용할 수 있다.

      • AC 서보모터의 외란억제 제어기법에 관한 연구

        양재용 대전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dissertation, we propose a generalized robust control scheme for servo motors. Our controller consists of both a model based feed-forward controller and a stabilizing feedback controller. The feed-forward controller is designed such that the output of nominal plant tracks perfectly the reference velocity command with a desired dynamic characteristics. The feedback controller stabilizes the overall closed loop system. Furthermore, the feedback controller contains a free function that can be chosen arbitrary. The free function can be designed so as to achieve both the suppression of disturbances and the robustness to model uncertainties. In order to illuminate the superior performance of our control scheme to the conventional ones, we present some simulation results.

      • 고객여정지도를 활용한 면세상품의 고객인도 프로세스 분석 :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인도장을 중심으로

        양재용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duty - free shop at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erminal 1. First, we analyzed the lack of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the visitor in duty-free delivery place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he tax - free industry. Therefore, we have studied the application of service design methodology to improve the experience and satisfaction of customers who receive delivery of duty - free goods in the duty-free delivery place. In order to find ways to improve the customer experience of customers who experience the duty-free service, the Customer Journey Map, which is a technique for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the users among the various methodologies based on the customers' Map methodology to improve the service process in duty - free goods delivery. Also, by using the service clue, detailed service function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the CLUE factor analysis from the point of contact for each major service incident of duty - free service delivery. This study proceeded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preliminary research on duty-free service of duty-free goods through preliminary precedent research, and selected customers of duty-free goods (the Shilla Duty-free Shop) Conducted preliminary surveys to identify the maps, and carried out research studies by industry experts on the results of these surveys. In this study, based on the preliminary study results, we conducted a study consisting of interviews, interviews, interviews, and interview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Customer Journery Map, which is composed of interaction points between customer and delivery place, was drawn up to illustrate service experiences of customers in the duty-free delivery place. Therefore, in the analysis study, we identify major service points where the experience index of visitors to the duty-free delivery place is low and analyze detailed functions of service points with low experience index using CLUE factor analysis. . In conclusion, we suggested major improvement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experience of customers of duty - free shops based on customer 's guidance of customers using duty - free shops. Customers who use duty-free delivery points can benefit from direct or indirect contact. In order to make service and environment configuration that satisfies customer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ir experiences and utilize service design methodology that can provide effective service and system by embodying abstract experience. Among them, we analyzed the service points experienced by customers using duty - free store guidance through Customer Journey Map and measured the visitor 's experience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y, we conducted an empirical survey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customers of duty - free shops by applying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based on understanding of duty - free industry and service design. Based on the theoretical and preliminary research, the detailed experience and emotional index of 'The Lotte Duty Free Shop' service users were measured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questionnaire and in - depth interview. Based on this, we have derived the low service failure point "sign," "A guide who tell you how to get a tax-free goods," "call number and guide", "inside of duty-free delivery place" and "outside of duty-free delivery place" The factors were analyzed. Service failure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Functional Clues, Mechanic Clues, and Humanic Clu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pain points along the behavior and movement lines of duty-free product delivery center users and minimized the negative part of the satisfaction through the sound of the users in the field, so as to eliminate or minimize the service failure factor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s suggested. The largest Service Pain Point was revealed to be a long waiting issue at the duty-free delivery place. And I was frustrated how long I had to wait. The problem of waiting at the duty-free delivery place is a part that can be solved to some extent if the duty-free delivery place is enlarged enough. However, there is a time and environmental difficulty in renewing the lease contract for the area portion when renewing the contract with the Inchon Airport government official side and duty free shop's operators.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realize the expansion of the service area of ​​the duty-free delivery place right away. Therefore, it is left as a long-term task rather than a short-term task, and the part that can be solved immediately is selected as a task that can be immediately executed by the the Inchon Airport government official side and duty free shop's operators. In this way, by providing concrete alternatives to service failures at all service points that customers can experience, it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solving the fundamental problem of duty-free delivery service process by providing efficient service and system. 본 연구는 면세점 인도장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면세상품의 인도를 하고 있는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인도장 현장을 방문하여 면세상품의 고객인도 프로세스 개선 연구를 실시하였다. 우선 면세산업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인도장 이용객 경험에 대한 연구가 부족함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인도장에서의 면세상품 인도를 받는 고객들의 경험 향상과 만족도 제고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 적용 방안을 연구하였다. 면세장 인도장을 경험하는 이용객들의 고객경험 향상 방안 도출을 위해서 다양한 방법론들 중에서 이용객들의 경험을 고객의 감성을 기반으로 이용객들의 동선에 따라서 시간별 그리고 주요 사건별로 분석하는 기법인 고객여정지도(Customer Journey Map) 방법론을 활용하여 면세상품 인도장에서의 서비스 프로세스 개선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서비스 단서(Service Clue)를 이용하여 면세상품의 고객 인도서비스의 주요한 서비스 사건별로 접점에서부터 세부 서비스 기능들을 CLUE요인 분석을 통해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하였다. 우선 사전 선행연구를 통해 면세상품의 인도장 서비스 관련 사전연구 분석, 대표적 면세상품의 인도장(신라면세점)을 선정하여 주요 서비스접점(Touch Point)의 확인과 인도장 서비스를 경험하는 고객들의 고객여정지도를 파악하는 사전 조사를 실시하고, 이러한 조사 결과에 대한 업계 전문가들의 검증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조사 연구에서는 사전 선행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분석 대상 면세상품의 인도장 서비스를 선정하고 관찰연구, 그리고 조사자의 참여연구와 인도장 서비스를 경험하는 이용자들의 인터뷰로 구성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의 연구 결과물로 고객과 인도장에서의 상호작용 접점들로 구성된 고객여정지도(Customer Journery Map)를 도출하여 인도장 이용자들의 서비스 경험을 도식화하였다. 그리하여 분석연구에서는 인도장 이용객들의 경험지수가 낮게 나타난 주요 서비스 접점을 파악하고, 경험지수가 낮은 서비스 접점들에 대한 상세한 기능을 CLUE요인 분석를 이용하여 세부적으로 분석 연구를 수행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면세점 인도장 이용고객들의 고객여정지도를 근간으로 면세점 인도장 이용객들의 경험향상을 위한 주요 개선 방향과 전략을 제시하였다. 면세점 인도장을 이용하는 이용고객들은 직접적 그리고 간접적인 접촉을 통해 다양 한 경험을 만들어간다. 이용고객들이 만족할 수 있는 인도장의 서비스와 환경 구성을 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경험에 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며, 추상적인 경험을 구체화함으로써 효과적인 서비스제공과 체계마련이 가능한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그중에서 고객여정지도를 통해 면세점 인도장 이용고객들이 경험하는 서비스접점을 분석하고 서비스의 품질에 따른 관람객의 경험을 측정하여 서비스 실패점에 대한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이론적 연구를 통해 면세산업과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고객경험관리를 적용하여 면세점 인도장 이용자들의 경험 이해를 위한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위치한 ‘신라면세점 인도장’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거쳐 표준 서비스접점을 이용자의 여정에 따라 설정하였다. 면세점 인도장 상품 인도 여정은 접근, 인도장 입장, 상품확인 및 수령, 인도장 환경, 퇴장의 5단계로 나누었으며, 이 여정에서 발생하는 서비스접점들은 표지판, 안내서비스, 면세점별 부스, 상품인도 안내원, 대기번호표 호출 및 안내, 상품수령, 인도장 내부, 인도장 외부, 퇴장으로 구성하였다. 이론조사와 사전조사를 바탕으로 본조사 단계에서는 참여관찰, 설문, 심층인터뷰를 통해 ‘롯데면세점 인도장’ 이용고객들의 서비스접점별 세부경험과 감성지수를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경험이 낮은 서비스 실패점으로 ‘표지판’, ‘상품인도 안내원’, ‘대기번호표 호출 및 안내’, ‘인도장 내부’, ‘인도장 외부’를 도출하였으며, 심층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실패요인을 분석하였다. 실패요인들은 각 특성에 따라 기능적 단서(Functional Clues), 물리적 단서(Mechanic Clues), 인적 단서(Humanic Clues)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문제점을 탐색, 분석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면세상품 인도장 이용객들의 행동 및 이동 동선을 따라가며 Service Pain Point를 찾아보았고, 이용자들의 현장에서의 소리를 통해 만족도에 부정적인 부분을 최소화하여, 서비스실패요인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서비스만족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가장 큰 Service Pain Point는 인도장에서 오래 기다리는 문제로 드러났다. 그리고, 얼마나 기다려야 하는지 답답해하고 있었다. 인도장에서 기다리는 문제는 인도장을 충분히 넓히면 어느 정도 해결이 가능한 부분이지만 공항공사측과 면세점 사업자들과의 재계약시 면적부분에 대한 임대차 계약을 새롭게 해야하는 시기적, 환경적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당장 인도장 서비스 면적 확대에 대한 실현이 불가능하므로 단기과제가 아닌 장기과제로 남겨두고, 즉시 해결 가능한 부분은 공항공사측과 면세점 운영사업자가 즉시 실행 가능한 과제로 선정하였고 이에 대한 구체적이고 상세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고객이 경험할 수 있는 모든 서비스접점에서의 서비스 실패점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과 체계를 마련하여 면세점 인도장 서비스 프로세스의 근본적 문제를 해결하는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을것이다.

      • 同質性 및 非同質性 Markov 模型을 利用한 日 降水量 模擬에 관한 硏究

        양재용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자원계획 수립을 위하여 장기간의 유출량자료가 필요하나 자료의 부족과 여러 가지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강우-유출 모형을 이용한 유출량 산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유출량 산정을 위해 강우-유출 모형의 입력자료인 장기간의 일 강수량 자료가 필요한데 자료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모의 강수량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 강수량 모의를 위해 기존에 이용되어 왔던 동질성 Markov 모형과 비교적 최근에 도입된 비동질성 Markov 모형을 이용하고 이들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두 모형에 의해 일 강수량을 모의하여 관측치와 비교하고 검토한 결과 두 모형에 의해 모의된 자료들과 관측치의 통계특성치가 서로 잘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비동질성 Markov 모형에 의한 모의치가 동질성 Markov 모형보다 좀 더 나은 결과를 주었다. 또한 이들 두 모형으로부터 모의된 일 강수량 자료를 입력자료로 하여 NWS-PC모형에 의해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두 모형에 의해 모의된 일 강수량이 관측치와 잘 일치하였기 때문에 유출량도 관측치를 잘 반영하였고 비슷한 통계특성치를 주었다. 결론적으로 관측치의 변화에 따라 분포형을 달리하는 비동질성 Markov 모형이 좀 더 유연성 있는 모의치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으나 동질성 Markov 모형도 일 강수량 모의와 비교를 위해 이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We may need long term runoff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planning. However, we have mostly suffered from the lack of data and many uncertainties have been also involved in the data. Therefore, we have usually used the rainfall-runoff model for obtaining long term runoff series but if we do not have enough daily rainfall series which is the input data of rainfall-runoff model we may simulate daily rainfall data. This study used the homogeneous and nonhomogeneous Markov models for the simulation of daily rainfall series. Here the homogeneous Markov model was widely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nonhomogeneous Markov model was recently developed. We simulated the daily rainfalls by these two models and compared the results. The simulated daily rainfalls by two models showed good resemblance with observations but the rainfall by nonhomogeneous Markov model showed rather better results. In conclusion, the simulated rainfall by the nonhomogeneous Markov model which provides the different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observation may reflect the statistics of observation rather than that of the homogeneous Markov model. However, the homogeneous Markov model can be also used for the comparative and simulation purposes. Also we simulated the runoff data series by using NWS-PC model which is one of rainfall-runoff models. Since the simulated rainfalls by two models gave the similar statistics with observed one, the simulated runoff series also showed good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