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교육정책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 중요도와 실행도(IPA) 분석을 중심으로

        심솔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8~’22)」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교육정책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IPA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의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302부의 설문지 중 연구에 적합하지 않은 9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293부를 최종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아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분석을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중요도와 실행도의 평균값을 활용하여 IPA 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하여 시각화한 후 시사점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8~’22)」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영유아를 위한 정책 중 중요도 인식은 ‘특수교육 질 제고를 위한 특수교사 법정 정원 확보’,‘특수학교(급) 신·증설’,‘의료지원 체계를 통해 장애 조기발견 및 교육적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관계부처 연계 강화’,‘특수교육지원센터의 조기발견 및 진단·평가 기능 강화’,‘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특수교육대상유아 교육 내실화 지원’이 다른 문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둘째,「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8~’22)」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영유아를 위한 정책 중 실행도 인식은‘유·초·중·고 학생에게 장애인식 개선 교육 연 2회 의무적 실시’,‘전문적 학습공동체 구성·운영’,‘특수교육지원센터의 조기발견 및 진단·평가 기능 강화’,‘특수교육대상자 치료지원 강화’,‘일반학교 구성원의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찾아가는 장애이해교실 운영’,‘유치원 또는 학교로의 전이지원 강화’가 상위 5개 문항으로 나타났다. 셋째,「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8~’22)」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관련 교육정책에 대한 유아특수교사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의 차이는 13번 문항은 p<.01, 나머지 모든 문항의 결과는 p<.001로 모든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IPA 분석 결과 지속유지 영역에는‘특수교육 질 제고를 위한 특수교사 법정 정원 확보’,‘통합교육 연수 및 장애이해교육 관련 연수 개발·운영’,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조기발견 및 진단·평가 기능 강화’,‘유치원 또는 학교로의 전이 지원 강화’가 분포되었다. 과잉노력 영역은‘전문적 학습공동체 구성·운영’,‘특수교육지원센터의 상담 및 정보제공’,‘순회교육 등 통합교육에 대한 지원 강화’,‘특수교육대상자 치료지원 강화’,‘유·초·중·고 학생에게 장애인식개선교육 연 2회 의무적 실시’,‘일반학교 구성원의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찾아가는 장애이해교실 운영’,‘특수교육대상자 인권 보호 지원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및 사례 발굴’이 분포되었다. 낮은 우선순위에는‘전일제 통합 형태의 통합유치원 및 유치원 특수학급 확대’,‘일반학교의 일반학급에 배치된 특수교육 대상자 지원 강화’,‘맞춤형 장애이해교육 및 홍보 콘텐츠 제작·활용’,‘방과후 교육·돌봄 담당 인력 역량 강화 및 처우개선 방안 마련’이 분포되었다. 집중노력 필요 영역에는‘특수학교(급) 신·증설’,‘통합교육 실시 유치원에 대한 지원 강화’,‘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특수교육대상유아 교육 내실화 지원’,‘개별화교육계획의 현장성 강화를 위한 지원체제 구축’이 분포되었다. 본 연구는「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8~’22)」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교육정책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정책 시행의 중간 점검 차원에서 이루어졌으며,「제6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Q 방법론을 통한 유아특수교사의 특수교육대상유아 놀이 지원 인식 유형별 특성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심솔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39

        Q 방법론을 통한 유아특수교사의 특수교육대상유아 놀이 지원 인식 유형별 특성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유아특수교육전공 심 솔 비 지도교수: 이 병 인 본 연구는「2019 개정 누리과정」실시 이후 놀이 지원자로서 교사의 역할이 강조된 현재 유아특수교사의 특수교육대상유아 놀이 지원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하여 특성을 알아봄으로써 유형별 놀이 지원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의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문헌분석과 유아특수교사 10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737개의 Q 모집단을 추출하였다. 둘째, 추출된 Q 모집단의 내용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내용 전문가 6인의 자문을 받아 총 4차에 걸쳐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예비검사,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52개의 Q 표본이 선정되었다. 셋째, P 표본으로 40명의 유아특수교사를 선정하였다. 넷째, P 표본으로 선정된 40명의 유아특수교사가 Q 분류를 실시한 뒤 후속면담을 진행하였다. 다섯째, Q 분류의 과정을 마친 자료들은 PQmethod(Ver. 2.3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대상유아 놀이 지원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유형은 ‘유아 발달 향상 추구형’, ‘놀이 지원 전략 결정 고민형’, ‘교사-유아 동반 성장형’, ‘놀이 지원 기반구축 요구형’으로 총 4가지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대상유아 놀이 지원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유형별 특성은 다음과 같다. ‘유아 발달 향상 추구형’은 유아특수교사의 놀이 지원을 통해 특수교육대상유아가 또래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사회적 규칙 배우기 등 새로운 놀이를 다양하게 경험 하며 발달할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놀이 지원 전략 결정 고민형’은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를 지원 할 때 고민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주요 원인으로 놀이에 자발성이 없는 유아, 중도‧중복장애로 놀이 지원 전반에 걸쳐 지원이 필요한 유아,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장애유형 및 특성에 따라 놀이 지원 전략을 선택할 때, 유아 간 발달 및 놀이 참여 수준이 다를 경우 놀이 지원 전략 선택에 어려움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교사-유아 동반 성장형’은 특수교육대상유아 놀이 지원 시 유아특수교사의 놀이 지원 역량이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에 영향을 준다고 말하며, 교사의 놀이 지원 역량 개발은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 지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발달향상을 촉진하는 선순환을 할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놀이 지원 기반구축 요구형’은 특수교육대상유아 놀이 지원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인적, 물적 기반이 우선시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특수교육대상유아 놀이 지원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유형별 놀이 지원 활성화 방안으로 ‘유아 발달 향상 추구형’은 놀이 지원 포함 개별화교육계획, 유아 파악을 위한 가정연계, 모델링을 통한 놀이 지원, 다양한 관찰방법과 기록방법의 공유, 동료 교사와 협력으로 도출되었다. ‘놀이 지원 전략 결정 고민형’은 중도‧중복 장애유아 놀이 지원 사례 공유, 놀이 지원 학습공동체, 놀이 지원 컨설팅, 문제행동 관리 계획으로 도출되었다. ‘교사-유아 동반 성장형’은 다양한 교사 구성원 학습 공동체, 놀이 지원 반성적 성찰, 놀이 지원 관련 연구 및 정보 공유, 개별화교육 목표와 연계한 놀이평가로 도출되었다. ‘놀이 지원 기반구축 요구형’은 교사 대 유아비율 감소, 놀이 지원 협력강사, 특수학교 유치원 과정 예산 추가 지원, 유아 특수교육 환경에 적합한 놀이 지원 연수 및 장학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특수교육대상유아 놀이 지원에 대해 유아특수교사가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유형별로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인식 유형 특성에 따른 특수교육대상유아 놀이 지원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주제어: 특수교육대상유아, 놀이 지원, 인식 유형, 유아특수교사, Q 방법론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