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신성미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of childcare teacher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quality of childcar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explain the effect of childcare. Since interaction in childcare is a key factor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childcare, the core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required by childcare teachers are important to promote the overall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who spend the basic period of forming personality with childcare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of childcare teacher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field of childcare I try to find out what interaction methods are affected by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hildcare and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of evaluative accreditation specifically included in the expertise of childcare teachers. I also would like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develop the practical ability.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of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2)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infant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3) What is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46 childcare teachers in Seoul after the first preliminary survey of 50 childcare teacher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of the index of the childcare courses and interaction areas among the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the contents of the evaluation of the 31 evaluative items of the childcare courses and interaction areas related to interaction among the 4 evaluation areas of the 3rd childcare center evaluation accreditation in 2018 were confirmed through previous studies. Then, 26 evaluation indicators were used as a tool for recognition of the index of the childcare courses and interaction areas among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areas. Second, in order to measur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test tool used the questionnaires of Kang Byung-jae and Baek Young-sook(2013) who modified their self-assessment questionnaires of Lee Jeong-sook(2003) that was based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rating scale(Bredekamp and Apple, 1986; Howes and Smith, 199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o verify the reliability between the questionnaires of the measurement tool, reliability coefficient was calcul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of childcare teacher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erforming descriptive statistics on the general tendency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by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of childcare teacher, the recognition of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mong the evaluation area of childcare teachers showed high level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between the childcare course and the recognition index of the interaction area among the evaluation areas of the childcare teacher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career of childcare teachers,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influenced emotional, linguistic and behavioral interaction, which are subfactor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he recognition index of interaction had a little more influence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an the recognition index of childcare course. In conclusion, it means that the higher is the recognition index of the childcare process and the interaction among the evaluation areas of the childcare teachers, the more influential is it to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However, a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eachers in interaction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is increasing through the recognition index of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the recognition index of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on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an essential element of professionalism that the childcare teachers should hav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o inform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the recognition index of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which is the basic manual of the evalu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hildcare facilities and the professionalism of the childcare teachers, especially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rough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Wit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index so that the childcare teachers can recognize and implement it that is gradually simplified more specifically and comprehensively, and to achieve the higher quality evaluation certification effect. In addition, it also needs follow-up studies along with various policies that can help realistically such as adjustment of teacher-to-child ratio, support of assistant teachers in childcare field, and even adjustment of commute time for dual-income parents. 본 연구는 보육교사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보육의 질은 보육효과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보육에서의 상호작용은 보육의 성과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인 만큼 어린이집에서 보육교사와 함께 인격이 형성되는 기초적 시기를 보내는 영유아들의 전인적인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과 전문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육현장에 있어서 영유아 보육의 질적 향상과 보육교사 전문성에 구체적으로 포함되는 평가인증 지표인식이 어떠한 상호작용 방법에 영향을 주는지 알고 실행능력을 보다 구체적으로 계발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려고 한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2)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에 따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어린이집 보육교사 50명의 1차 예비조사 후 246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2018년 제 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의 4개의 평가영역 중 상호작용과 관련이 있는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의 31개의 지표 평가항목의 내용이 상호작용과 관련이 있는지를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하여 26개의 평가지표를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의 도구로 설문지에 사용하였다. 두 번째, 교사-영유아 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검사 도구는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정척도(Bredekamp and Apple, 1986;Howes and Smith, 1995)를 기초로 수정한 이정숙(2003)의 연구도구를 강병재, 백영숙(2013)이 영유아 교사에 맞게 수정․보완한 자기 보고식 평정척도 연구도구로 하여 설문지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의 문항 간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였고,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 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변인 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평가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일반적인 경향에 대해 기술통계를 실시한 결과, 보육교사 평가 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모두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두 번째, 보육교사의 평가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른 평가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지표인식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 요소인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며 보육과정 지표의 인식 보다는 상호작용 지표의 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조금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평가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높아지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평가인증 지표인식을 통해 보육교사가 영유아와 생활함에 있어 영유아의 상호작용에서의 교사의 역할에 대해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지금, 영유아 보육교사가 갖추어야할 전문성의 필수 요소로 평가인증 지표에 대한 인식이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영향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평가인증을 통해 보육시설의 질적 향상과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특히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의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무엇보다 보육교사들이 평가인증의 기본 매뉴얼인 평가인증 지표에 대한 인식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알려줘야 함을 연구의 의의로 둔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와 함께 점차 간소화 되어지는 평가인증지표에 대해 보육교사가 보다 구체적이고 포괄적으로 인식하고 실행하여 보다 질적으로 높은 평가인증의 효과를 이룰 수 있도록 평가인증 지표 간소화뿐만 아니라 보육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교사 대 영유아 비율 조정, 보조교사 지원 등과 함께 맞벌이 부모를 위한 출퇴근 시간 조절 등의 현실적으로 도와 줄 수 있는 다양한 정책과 함께 후속 연구가 필요하겠다.

      • 축제음식에 대한 기대가 축제만족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풍기인삼축제를 사례로

        신성미 威德大學校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북 북부지역 풍기인삼축제를 방문한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방문객들이 축제방문에 있어 축제음식에 대한 기대가 축제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축제에 있어 축제음식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방문객들이 지각하는 방문동기가 축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축제음식에 대한 사전기대와 사후만족이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론적 고찰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연구 모형 및 가설검증 결과를 토대로 실증분석을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봉화 인삼축제의 축제참가동기는 3개 요인으로 각각 일상탈출/사교성/신기성요인, 체험성요인, 가족화합성요인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3개의 축제참가동기가 축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가족화합성이 축제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상탈출/사교성/신기성도 축제만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체험성은 축제만족에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축제만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축제만족이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상탈출/사교성/신기성, 체험성, 가족화합성이 축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축제음식 사전기대의 조절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상탈출/사교성/신기성, 체험성, 가족화합성이 축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축제음식 사후만족의 조절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visitors' perceived motivation influences festival satisfaction and revisit inquiry for visitors to Punggi Ginseng Festival. Also,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festive food in festivals, we investigated whether pre - expectation and post - satisfaction of festive food plays a role in controlling the festival 's satisfaction according to visitors' perceived motivation.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test presented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ily escape, sociability, novelty and family harmony were more significant than the festival satisfaction in festival participation motive. The higher the festiv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festival. In order to facilitate the purpose of the festival, the food-related event can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e must develop and activate a festival program to enhance the experience of food. Second, festival satisfaction should be improved by emphasizing cultural motivation, family harmony motivation and educational motivation. Thir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food and the posture, the more the satisfaction of the festival and the intention to revisit it.

      • 향토음식의 스토리텔링이 고객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신성미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looked into not only how the storytelling of the local foo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Gyeongsangbuk-do would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young people but also how this young people’s satisfaction with the local food would influence the behavioral intentions of those people. After the lesson with the storytelling of the local food included was given to the young people, the study tried to observe any changes in the behaviors, and confirmed that the learning through the storytelling generates the behavioral changes after witnessing more of the behavioral changes since the learning through the storytelling. The study proved that the local food storytelling which was presented as a research model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the young people’s satisfaction with the local food and that this how much satisfied the young people are with the local food also has a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changes in the young people’s behaviors. In other words, the study now argues that the greater the satisfaction with the local food, the more changes in the behavior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led the study to the implication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once any relevant fields develop local food and work on their marketing in connection with the food more efficiently as focusing on the conclusion that the local food storytelling affects significantly both the satisfaction and the behavioral changes of the young people, they will be able to increase their chances of the even more different globalization of the local food.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more of the storytelling should be improved and encouraged as long as the relevant fields want to reproduce and modernize the local food. Such hard work of theirs to develop and promote the local food business will play a critical role not only in strengthening the images of the local food but also globalizing the Korean food which will eventually satisfy all those interests that the Korean young people and foreign ones have in the food in Korea. 본 연구는 경북 북부지역 향토음식의 스토리텔링이 청소년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향토음식의 만족도가 청소년의 행도의도에 어떠한 변화를 하는지를 연구하였다. 청소년들에게 향토음식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학습시킨 후 행동의도 변화를 관찰 하였으며, 학습 후 행동변화가 증가한 것으로 보아 학습의 효과가 행동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 할 수 가 있다. 연구모형으로 제시한 향토음식의 스토리텔링이 청소년의 향토음식에 대한 만족도와 향토음식에 대한 만족도가 청소년의 행동의도 변화의 관계는 유의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향토음식의 만족도가 높으면 행동변화도 커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향토음식의 스토리텔링이 청소년의 향토음식에 대한 만족도와 행동의도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바탕으로 향토음식을 개발하고 마케팅에 적용한다면 더욱 차별화된 향토음식과 향토음식의 세계화에 한발 앞서 갈 수 있을 것이며, 향토음식의 재현과 현대화를 위해 스토리텔링 개발 및 활성화를 위해 노력 할 필요가 있다. 이는 향토음식에 대한 청소년의 관심뿐만 아니라 해외 청소년들의 관심도에 발맞추어 향토음식의 이미지를 높이고 한식의 세계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글로벌 패션 브랜드의 디자인 아이덴티티와 헤리티지 연구 : 이탈리아 베르사체(Versace)와 프랑스 장 폴 고티에(Jean Paul Gaultier)를 중심으로

        신성미 창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오늘날 4차 산업혁명을 비롯한 기술의 발전과 패션 정보의 혼재 속에서 우리는 브랜드의 차별성을 인식하기 어려운 시대에 살아가고 있다. 소비자들의 가치 지향적인 소비 성향은 브랜드 선택의 기준이 되어 해당 브랜드에 오랜 역사와 상징적 유산이 담겨있는지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패션 브랜드는 독창적 디자인과 역사적 상징을 상품에 담아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패션 브랜드의 중요한 차별성은 브랜드가 보유하고 있는 디자인 아이덴티티(design identity)이다. 세계 시장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패션 기업의 디자인 아이덴티티는 기업의 고유한 차별성의 핵심이 된다. 브랜드의 철학, 감성적 가치, 그리고 역사성은 시각적 아이콘, 색채, 문양, 디테일 등의 디자인 요소들과 어우러져 패션 디자인 제품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함께 디자인 아이덴티티는 패션 브랜드의 디자인 헤리티지(heritage)를 형성하는 데 중요하다. 헤리티지는 브랜드가 오랜 기간 문화를 구축한 활동의 결과로 브랜드의 지속적 성장을 보장하여 가치와 자산을 형성하게 된다. 이제 한국의 패션 브랜드도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기 위하여 차별화된 디자인 아이덴티티와 헤리티지 구축하여 이를 통해 시대의 문화, 예술, 트렌드와 새로운 패션 커뮤니케이션으로 융합함으로써 세계적 변화에 대응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1세대의 디자인 아이덴티티가 다음 세대에 거쳐 지속하여 헤리티지로 계승되고 있는 글로벌 패션 브랜드를 대상으로 하였고, 디자인 아이덴티티와 헤리티지를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럭셔리 글로벌 패션 브랜드 중 같은 해에 론칭하여 동일시기에 발전하고 1세대 디자이너에서 2세대 디자이너로 성공적으로 승계되었다고 인정되는 이탈리아의 <베르사체 Versace>와 프랑스의 <장 폴 고티에 Jean Paul Gaultier>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컬렉션 분석의 내용연구로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는 국내외 서적과 선행연구, 인터넷 자료를 중심으로 디자인 아이덴티티와 헤리티지의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Versace>와 <Jean Paul Gaultier>의 브랜드 설립과 계승과정, 디자인 조형성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컬렉션 분석을 통한 내용연구에서는 디자인 요소와 디자인 특징을 분석하여 1세대 디자이너의 디자인 아이덴티티의 계승을 확인하고 각 브랜드의 고유한 디자인 헤리티지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아이덴티티는 패션 브랜드의 대표적인 패션 상품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디자인으로 타 브랜드와 차별화하고, 브랜드의 정통성을 소비자에게 연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디자인 아이덴티티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한 부분으로 ‘제품’과 ‘시각적 이미지’, ‘전통적 유산의 요소’와 관련되며 이는 구체적 요소로 ‘디자인 요소(아이콘, 색채, 문양, 디테일)’들과 ‘디자인 제품(아이템)’으로 제시된다. 디자인 헤리티지는 전통과 가치, 고유한 디자인 아이덴티티의 가치를 바탕으로 브랜드를 유지 발전시킨다. 또한 디자인 헤리티지는 동시대의 문화, 예술, 트렌드를 수용하고 다양한 패션 커뮤니케이션의 시대 정신과의 융합을 통해 발전한다. 둘째, <Versace>의 디자인 아이덴티티는 ‘메두사 아이콘’, ‘글래머러스 스타일과 관능적 디테일’, ‘바로크 아칸서스와 애니멀 문양’, ‘블랙과 원색의 색채대비’임을 알 수 있었다. <Versace>는 이탈리아 역사와 예술 양식을 바탕으로 시각적 이미지를 구현하여 아이콘, 문양, 색채, 디테일에서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구축하였다. 이는 디자인 아이덴티티의 요소 중 시각적 디자인 요소(아이콘, 디테일, 문양, 색채)의 특징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Jean Paul Gaultier>의 디자인 아이덴티티는 ‘마린 스트라이프’, ‘원뿔형 코르셋’, ‘남성 스커트’, ‘트롱프뢰유의 프린트와 타투’였다. <Jean Paul Gaultier>는 브리타뉴 스웨터, 코르셋, 스커트와 같은 기존에 존재했던 아이템을 고티에의 새로운 감각을 부여하여 재해석하였다. 이는 디자인 아이덴티티의 요소 중 제품(아이템)의 특징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셋째, 컬렉션에 관한 내용분석을 통해 디자인 아이덴티티의 계승과 헤리티지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Versace>의 디자인 헤리티지 계승의 특징은 신화 모티프(메두사와 그레카)의 지속적인 강조와 V형 로고의 확장에 있으며, 다양한 디테일을 통한 관능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여기에 글래머러스 여성 스타일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전통적 예술 양식의 문양을 사용하고, 블랙과 대비되는 화려하고 강렬한 이탈리아적 원색을 유지 계승하였다. 도나텔라 베르사체는 1세대 디자이너 지아니 베르사체의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더욱 강조 확장하여 디자인적 요소의 결합을 추구하는 재해석을 통해 이탈리아적 정통성을 계승하였다. 알려진 대로 도나텔라 베르사체는 지아니 베르사체와 다른 새로운 시도를 수행하여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지만, 다시 지아니 베르사체의 디자인 유산을 디자인 영감의 근원으로 삼아 베르사체의 헤리티지를 계승하여 브랜드를 확장 성공시켰다. 한편 <Jean Paul Gaultier>의 디자인 헤리티지의 승계는 한 명의 디자이너에 집중하지 않은 게스트 쿠튀르에 의한 브랜드 계승이라 할 수 있다. 게스트 쿠튀르 디자이너(앨런 크로세티 외 4명, 치토세 아베, 글렌 마틴스, 올리비아 루스테잉) 컬렉션에 나타난 고티에의 디자인 헤리티지 계승의 특징은 프렌치 감성과 양성성의 계승, 강한 여성의 이미지를 상징하는 원뿔형 코르셋 아이템에 집중되었다. 또한 게스트 쿠튀르 디자이너에 의해 신체적 유희성과 보디 그래픽의 확대로 1세대 디자이너 고티에의 디자인 아이덴티티와 게스트 디자이너들의 감각이 결합 되어 융합적 헤리티지의 특징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1세대 디자이너들의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헤리티지로 계승 발전시키는 데에는 창의적인 도나텔라 베르사체와 쿠튀르 디자이너들과 같은 디렉터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Versace>와 <Jean Paul Gaultier>는 공통으로 이탈리아와 프랑스, 즉 자국의 역사와 예술에 기반을 둔 전통적 가치와 예술 양식을 바탕으로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확립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자국의 역사적 문화 예술적 토양에 근거한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그대로 답습하는 것이 아닌, 시대를 반영하는 트렌드와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을 시도하는 디렉터의 감각적 창의력이 브랜드의 디자인 헤리티지를 이어간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글로벌 패션 브랜드 특히 이탈리아와 프랑스 패션 브랜드를 대표하는 <Versace>와 <Jean Paul Gaultier> 브랜드의 사례연구로써 의류학의 디자인 가치와 패션 브랜드 정체성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으며, 한국 패션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세계 진출을 위한 자료로 그 의의가 있다.

      • '자해' 관련 SNS게시물에 대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 인스타그램 게시물을 중심으로

        신성미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해'관련 인스타그램 게시물의 내용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자해(Self-harm)’, ‘자해계(자해하는 사람의 계정)’, ‘자해러(자해하는 사람)’, ‘자해흉터’, ‘자해글귀’, ‘자해하는사람은나쁜사람이아닙니다’를 해시태그한 인스타그램 게시물을 수집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2019년 4월 23일부터 25일까지, 게시 기간을 제한하지 않은 인스타그램 게시물을 대상으로 크롤링(clawling) 한 결과, 전체공개 된 8,410개의 ‘자해’관련 게시물을 수집할 수 있었다. 이 중, 중복 게시물, 주제와 관련이 없는 게시물, 텍스트가 없이 이미지만 있는 게시물을 제외 한 6,126개의 게시물을 대상으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단어등장 빈도 분석의 결과로, ‘사람’, ‘죽다’, ‘힘들다’, ‘말’, ‘자해’, ‘살다’, ‘생각’, ‘마음’ ‘행복’, ‘아프다’가 상위에 도출 되었으며, 토픽 모델링 과정을 통해 9가지의 토픽을 도출하였다. 토픽 별 주요 단어의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토픽을 구성하는 의미 문장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최종 9개의 토픽 주제를 도출하였다. 9개 토픽의 주제는 ‘친구는 내 기분을 좌지우지하는 중요한 대상’, ‘밤의 우울로 그은 자해보다 마음의 상처가 더 아파’, ‘속으로는 울고 겉으로는 웃는 척하며 버티기 힘들어’, ‘사람에게 상처받고 사람 때문에 살고’, ‘사실은 죽고 싶은 게 아니라 살고 싶은거야’, ‘남들은 진짜 행복한데 나만 가짜로 행복해’, ‘살기위해 자해하는 나를 이해해줘’, ‘엄마의 모진 말, 미안하다는 말 다 힘들어. 이런 나라서, 미안해’, ‘흉터 위에 흉터가 나를 다시 상처 입혀’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자해행동을 하는 내담자를 만나는 데 도움이 되는 상담자의 전략을 제시하고,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s of Instagram posts related to “self-inflicted” information.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hashtags of “자해(self-harm)”, “자해계(self-inflicted ID)”, “자해러(self-inflicted person)”, “자해흉터(self-inflicted scars)”. “자해글귀(self-inflicted writing)”, “자해하는사람은나쁜사람이아닙니다(self-inflicted person is not inappropriate.)" on Instagram. After crawling Instagram posts, the company was able to collect 8,410 posts from Apr 23 to 25, 2019. Of these, Text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on 6,126 posts, lastly by deleting duplicate, non-topic and non-text related posts. As a result of the frequency analysis of word listing, ‘people’, ‘dying’, ‘hard’, ‘wording’, ‘self-harm’, ‘live’, ‘thinking’, ‘mind’, ‘happiness’ and ‘painful’ were derived, and the text presented the main characters up to the top 40. Nine topics were then derived through the Topic Modeling process, and the analysis of the Ego Network between the main words of each Topic presented the main semantic sentences that constitute the Topic. Finally, nine topics were given a theme. The subjects of the nine topics of the study are “Friends are important objects to control my feel”, “The hurt in my heart makes me painful than Self-Harming due to the depression of the night”, “It's hard to pretend to laugh on the outside”, “I’m hurt by people, living because of people”, “Actually, I don't want to die. I want to live.”, “You are really happy and I'm the only one who's fake happy.”, “Please understand me who hurt myself to live.”, “Mom's harsh words, sorry words, It's all hard. I'm sorry it's me.”, and “The scar on the scar hurts me agai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rategies of counselors that could help to meet the inner circle of self-inflicted behavior were presented, an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브랜드 확장(brand extention)을 통한 패션 제품 관리에 관한 연구

        신성미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브랜드 자산이 높아진 브랜드를 다른 제품군으로 전이시켜서 브랜드 자산을 활용하는 브랜드 확장사례를 연구하여 좀 더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현재 국내는 경기 활성화와 함께 새로운 유통형태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고, 토탈브랜드, 멀티브랜드화 됨에 따라 패밀리 의식을 갖고 브랜드를 확장하고자 많은 신규 브랜드들이 준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브랜드의 개념과 확장이론에 관한 기초적인 분석적 연구 방법과 확장의 세계적인 모델이 되는 Polo와 GAP, 국내 브랜드로는 Giordano의 사례를 조사하는 실증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각 브랜드의 소개, 포지셔닝, 성공전략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찰하여 이들 브랜드에서 나타난 객관화된 자료를 비교 분석함으로 브랜드 확장시 적용할 수 있는 성공적인 관리 전략을 제안하였다. 1. Polo는 Polo만의 고급스럽고 classic한 brand identity를 유지하기 위해 life style을 강조하고 동일한 concept 내에서 이미지를 유지하고 강조하여 고객의 정서적 가치와 감성적 만족을 더해 주었다. 이를 위해 차별화된 VMD와 일관성 있는 광고 이미지를 제시하여 패밀리 브랜드의 연계를 강화하였다. 전략적 라이센스 구축은 Polo만의 큰 강점이며 글로벌화하여 전세계에 동일한 메시지를 제안하는 세계화전략을 추진하였다. 세분화 시장을 잘 규명하여 각 라인별 구매 소비자들의 심리를 만족시켰고 브랜드 별로 의류와 악세서리의 완벽한 코디네이션과 패밀리화를 이루었다. 2. GAP은 미국의 실용주의를 바탕으로 소득수준에 따른 타켓층을 겨냥하여 그에 대응하는 삼분화 확장을 시도하였다. 확장시 다른 브랜드와의 큰 차이점은 각 브랜드마다의 독자적이고 차별화된 identity를 유지하는 것이었는데 이를 이용하여 브랜드 계층화에도 성공하였다. 또 각 브랜드에 있어서 브랜드 명에 GAP를 배제하는 저관여성으로 위험을 감소시키고 identity 변화에도 자유롭게 대청하였다. 3. Giordano는 빠른 트랜드진행과 시장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한국적 중형 매장의 선두주자가 되었다. 잠재고객을 끌어당기기 위한 판촉중심의 유통적 접근과 마케팅을 시도하였고 superviser를 중심으로한 전문적인 인적관리 시스템을 유지하여 효율중심의 신속한 의사소통이 가능한 조직을 이루고 있다. 이들 브랜드의 사례 연구를 통한 브랜드 확장관리에 있어서의 공통되는 성공요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토탈 코디네이션이 가능한 브랜드로의 확장 2. brand identity를 유지, 강화하기 위한 동일한 이미지의 광고와 마케팅 전략 3. 해외 sourcing을 통한 생산라인의 다각화 및 원가 절감 4. 글로벌화 전략 추진 이 연구가 브랜드 확장을 통한 사업확장을 시도하는 기업과 신규 브랜드의 전략을 수립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ore effective and systematic management strategies of transformation from the high valued assets to the other products by studying the cases of brand expansion. At the present in the nation there are great changes of the form of circulation, and as it becoming total brand and multi-brand, the new brands are getting ready to expand their brand with the community of spirit in family. For this study it is used basic analytic study methods on the concepts of brand, expanding theories, and the methods from the companies such as Polo, GAP and Giordano which are the worldwide examples of the expansion of their brand. The study examined the introduction, positioning and successful strategies of each brand, and the objectiv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sed from the each company to summarized the successful managements of expansion. 1. Polo emphasized the Life Style to maintain its brand identity of elegant and classic. In the similar concept it maintained its image and added customer's emotional values and sensitive satisfaction. For this Polo supposed distinctive VMD and consistent advertisement, therefore it strengthened the relationship of family brand. The construction of strategical license, its strength, propelled global strategies showing the same messages through the worldwide. Also it precisely analysed subdivided markets, satisfied the customer's test and harmonized perfect coordination of clothing and accessories. 2. GAP tried tri-divided expansion targeting the customers upon their income-level based on American pragmatism. The difference of other brands when it was expanded was that it succeeded brand classification with sustaining creative, distinctive identity of each brand. GAP maintained the mutual independence of each brand so that it could construct safe management system and freely suggest the change of identity. 3. Giordano became the pioneer of korean-middle-sized saleroom due to its active dealing with the trend transformation and market change of Korea. It not only tried circulative method centered sale and marketing to attract potential customers and but became a effective-centered and rapidly communicative organization by maintaining a system for special personal management centered supervisors through personal management. Finally, studying the expansion of each brand summaries of the similarities and successful points were: 1. The expansion of brand able to be The possibility of total coordination to brand expansion) 2. The same image advertisements and marketing strategies to strengthen and maintain the Brand identity. 3. The diversification of production line and the cost reduction through overseas sources. 4. Strategies of Globalization. Through this study companies or department that wish to expand their brands, hope to this study make useful for them.

      •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보고서 및 교과연계 학생선택프로그램 운영학교 사례 분석

        신성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기하급수적으로 지식이 쏟아져 나오는 사회로 지식의 보유보다 지식을 어떻게 접목하고 활용할 것인지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고 대비하기 위해 학교교육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중학교에서는 자유학기제를 도입하여 이에 대응하고 있다. 자유학기제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가 일부 수행되기는 하였으나 자유학기제의 교과별 운영방안 특히 과학과에 대한 연구는 제대로 되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2013년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보고서를 분석하고, 자유학기제 ‘자율과정’에서 ‘교과 연계 학생선택프로그램’을 운영한 사례 학교를 분석하여 과학교과를 포함한 교과별 운영방안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13년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보고서 36권을 분석하고, 2014년 핵심역량에 중점을 두고 자유학기제를 시행한 사례학교의 수업 운영을 분석하였다. ‘자율과정’의 ‘교과 연계 학생선택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석재(2003)의 문제해결능력 검사지와 자기주도 학습능력 검사지를 수정·보완하여 C 중학교 1학년 117명을 대상으로 검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ver.22를 통해 대응표본 t-test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 운영보고서를 과학과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공통과정’ 내의 과학 시수는 36개교 중 29개교(80.5%)가 1주 당 3시수로 운영하였다. 나머지 학교는 1주 당 2시수 혹은 4시수를 운영하거나 한 학기 시수 중 4-5시수만을 감축하여 운영하였다. 자유학기제 과학 수업의 내용은 자유학기제의 시행 전과 마찬가지로 ‘과학기본 개념의 학습’위주로 운영하였다. 따라서 자유학기제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향후 실험·실습, 직접 참여형 수업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자유학기제 운영보고서의 ‘자율과정’을 분석한 결과, ‘자율과정’에서 과학과를 적용한 경우는 ‘진로탐색 중점모형’에서 과학관련 진로탐색과 현장 방문, ‘동아리활동 중점모형’에서 발명 동아리, 창의력 동아리 활동, ‘학생선택프로그램’에서 로봇연구, 과학탐구토론, 생태체험, 생활실험 활동 등이었다. ‘학생선택프로그램’ 중 학생의 흥미위주 형 프로그램은 ‘동아리활동 중점모형’의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주제나 운영 형태가 매우 흡사하여 각 활동의 경계가 모호하였다. 그러므로 핵심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학생선택프로그램’으로 교과와 연계하여 개발, 적용되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둘째, ‘교과 연계 학생선택프로그램’을 운영한 C 중학교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문제해결능력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05). 문제해결능력의 능력요소별 분석 결과, ‘원인분석’을 제외하고 ‘문제명료화’, ‘대안개발’, ‘계획실행’, ‘수행평가’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p<0.05) ‘기획력’과 ‘정보수집’은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하였다. 학생들은 목표 달성을 위해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거나 자료를 선택적으로 수집하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능력요소별 분석 결과, ‘학습계획(3.36점)’, ‘학습실행(3.33점)’, ‘학습평가(3.47점)’으로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01). 이 중‘학습계획’은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어 학생들이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문제해결능력에서도 ‘기획력’과 ‘정보수집’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낸 것과 일치한 결과이다. 따라서 문제해결 과정에서 선택적인 정보 수집과 활용, 계획을 수립하는 능력 향상은 자기주도 학습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교과 연계 학생선택프로그램’을 운영한 사례학교에서 선택한 교과에 따른 문제해결능력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분석한 결과, 문제해결능력은 ‘영어’연계 경우에서만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p<0.05),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사회’를 제외한 ‘과학’, ‘국어’, ‘수학’, ‘영어’경우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05). 이와 같은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유의미한 향상은 학생중심의 문제 해결, 조별활동과 동료 평가, 자기 성찰 등의 활동이 포함되어 나타난 효과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자유학기제의 교육 목표 달성과 미래세대에 요구되는 핵심역량 강화를 위해 자유학기제의 ‘자율과정’에서 ‘학생선택프로그램 중점모형’이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자유학기제의 과도기적인 현황을 고려할 때, ‘자율과정’의 교육과정 재구성의 기회는 기존 수업 운영과 자유학기제 수업 운영 사이의 거리감을 좁혀주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s of Free-Semester Program (FSP) are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develope their talent, and also to develop future core competencies including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self-directive learning skills and social skills(MOE, 2013).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s, 42 new middle school was run in 2013 and was worked successfully. Because of this successful results, every Middle School in Korea will be executed the FSP in 2016.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find management plans in a side view of science to develop the core competencies includ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Thus, this paper analyzed the outlines of common and free curricula in a side view of science and analyzed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test results of Gyeonggi Province C middle school that was implemented optional module model related main subjects in 2014.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ptional module model of selective curriculum is proper curriculum for develop core competencies includ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ive learning skills. Because science in a common curriculum is a hard schedule for learning of science basis conception, students need time to develop core competencies. Second, the problem-solving ability test results of Gyeonggi Province C middle school that was implemented optional module model related main subjects in 2014 are observed significant effects (p < .05). 4 ability factors except ‘cause-analysis’ are obser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5). Thus, the optional module model related main subjects is determined to be effective for improving problem-solving ability of the students. Third, this optional module program related main subjects was generated significant effects on self-directive learning skills (p < 0.01). All of 3 ability factor was observed significant effects (p < 0.01). 6 elements from 8 low rank elements except ‘fundamental self management ability’ and ‘learning implement durability’ were observed significant effects (p < 0.01). Fourth, among optional module programs, only students after applying program related ‘english’ were observed significant effects. But, noticeable results are point that was observed the highest grade on students applied program related ‘science’. Fifth, among optional module programs, self-directive learning skills are observed significant effects all of the programs except program related ‘society’ In conclusion, optional module program related subjects needs to develop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in a side view of science. And appropriate program developments are required in school, in government.

      • 기술·가정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 단원 STEAM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과 평가

        신성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기술·가정 교과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 입기’ 단원에서 활용 할 수 있는 STEAM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고, 개발된 STEAM 교육을 적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교과에 대한 흥미도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를 위하여 2009 개정 중학교 STEAM 관련 교과 교육과정을 분석 후, STEAM 교육에 적절한 주제를 추출하여 STEAM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여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충청북도 청주시 소재의 N 중학교 2학년 2개 학급 6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실험 설계는 이질통제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 모형을 사용하였다. 수업은 총 5차시로 진행되었고, 실험집단은 개발된 STEAM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은 기존 방식의 수업을 그대로 실시하였다. 자료의 통계 처리는 두 집단의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고, 유의 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2~3학년 기술·가정 교과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 입기’ 단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STEAM 교육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자료, 교사용 참고자료를 개발하였다. 둘째, STEAM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은 흥미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간의 사후 흥미도 검사 결과 STEAM 교육을 활용한 수업을 받은 집단의 교과에 대한 흥미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흥미도 하위 영역인 교과흥미, 교과내용, 교과 가치 및 노력 중 교과 내용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내어서, STEAM 교육을 활용한 수업이 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도를 향상 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TEAM 교육 프로그램 활용 수업은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을 향상시켰다. 두 집단 간의 사후 문제 해결력 결과를 바탕으로 실시한 t 검정을 검토한 결과 STEAM 프로그램 활용 수업이 문제 해결력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문제해결력의 하위 영역인 문제인식, 정보수집, 분석, 확산적 사고, 의사 결정, 기획력, 실행과 모험 감수, 평가, 피드백 아홉 가지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이러한 차이는 STEAM 교육을 활용한 수업이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