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지로봇치료를 통한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회복이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효과

        배정웅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상지로봇치료를 통한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회복이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효과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후 편마비를 가진 환자의 손상측 상지에 상지로봇치료를 적용한 후 상지기능회복 및 회복된 상지기능이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뇌졸중 발병 6개월 이내의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정을 한 후 두 집단을 대상으로 상지로봇치료와 과제 지향적 접근치료 적용을 각각 30분씩 주 3회 4주간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상지기능평가(Fugl Meyer Assessment : FMA), 일상생활동작평가(Korea- modified Bathel Index : K-MBI) 측정치를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 전후비교로 하였다. 결과: 두 집단 모두 중재 전, 후의 점수 변화비교에서 모든 평균값의 향상을 보였지만 대조군의 FMA에서는 유의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p>0.05). 두 집단에서 평가값의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모든 평가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상지로봇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을 향상시키지만 본 연구에서는 같은 강도로 제공한 과제 지향적 접근 치료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ABSTRACT The Effects of Upper Limbs Recovery in Stroke Patients through Robot Assisted Therapy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Bae, Jeong-Woong (Director: Prof. Park, Min Su M. D. Ph. D)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Inje University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the effect of upper limbs recovery through robot assisted therapy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in the stroke patients. Methods: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was conducted for 30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within 6 months of occurrence.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robot assisted therapy group (n=15) and task oriented approach group (n=15). The each group was received upper limbs rehabilitation therapy 30 minutes in a day, 3 times in a week for 4 weeks. The each group was evaluated with FMA, K-MBI to assess upper limbs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before the study and re-evaluated after 4 weeks. Results: In the two groups, there was improvement in FMA, K-MBI, but in control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FMA(p>0.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FMA and K-MBI(p>0.05). Conclusions: Robot assisted therapy improves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stroke patients, but in this stud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obot assisted therapy and task oriented approach when both therapy offer same dose to stroke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