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과학관 체험학습에서 ICT활용 협동학습(TGT)모듈을 적용한 사전 학습 프로그램이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효과

        박순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과학교육으로서의 과학관 체험학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주어진 학습목표를 자기 맥락화하여 과학 관련 태도를 신장시킬 수 있도록 ICT활용 협동학습(TGT) 모듈을 적용한 과학관 체험학습 사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협동학습 과정이 ICT 프로그램 안에서 이루어지도록 설계한 본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점에 주안점을 두었다. 첫째, 기존의 협동학습(TGT)방식의 장점인 중하위권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과학학습동기, 자아존중감에 대한 향상효과를 보존하고자 하였다. 둘째, 동 방식의 단점인 원 모둠에서 게임 모둠으로의 전환 시 매번 교실 내 빈번한 이동이 발생하여 매우 어수선해지며 학습 분위기가 흐트러지는 문제점, 보상구조의 문제에서 기인하는 상위권 학생들의 미약한 동기유발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2008년 희망 경기 과학 축제 고양시 부스운영에 투입되어 1차 내용 수정을 하였으며, 전문가 그룹을 통하여 2차 수정을 거쳐 수정 보완한 후 수업에 투입되었다. 과학관 체험학습을 위한 사전학습 프로그램으로서 기존 ICT 수업방식과 개발된 ICT활용 협동학습(TGT) 모듈이 과학 관련 태도(TOSRA)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즉, 개발된 ICT활용 협동학습(TGT) 모듈을 기존 정보통신기술(ICT) 수업방식으로 투여한 경우(ICT 처치반)와 팀게임 토너먼트 방식의 협동학습을 투여한 경우(TGT 처치반), 프로그램을 투여하지 않은 경우(NOR 일반반)등 총 3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효과를 상호 비교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협동학습(TGT)방식의 ICT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전체적인 과학 관련 태도(TOSRA)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수업방식 간 통계적 유의차도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과학 관련 태도의 7개 범주에서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았다. 먼저, 과학의 사회적 의미 영역,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영역, 과학적 태도의 수용 영역, 과학수업의 즐거움 영역의 4개 영역에서는 대체로 TGT 처치반, ICT 처치반, NOR 일반반 순의 긍정적인 태도변화의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이들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영역 즉, 과학자의 평범성 영역, 과학에 대한 취미적 영역, 과학에 대한 직업적 관심 영역에서는 통계적 유의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남학생보다는 여학생 집단에서 과학 관련 태도의 향상의 폭이 크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넷째, 학업수준 하위집단보다는 상위집단에서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관찰이 어려운 과학 영역에 대한 ICT활용을 통한 탐구대체 효과와 수업 효율성 향상 등의 장점과, 개별학습구조의 단점을 극복하는 협동학습 수업방식의 장점을 융합하는 새로운 수업방식의 시도라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 TGT cooperative learning is suggested as a method which enables both the individualized teaching-learning and the small group learning in students-centered open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structional effects of the Pre-learning program applied by ICT-based TGT Cooperative module for science museum excursion on science related attitude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 Three classes of third graders (N=87) at a elementary school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ICT-based TGT cooperative learning group, the ICT learning group, and traditional learning group. The students were taught about the planning of exploring the moon in the chapter of the earth and the moon, for 1 class hour. Prior to the instructions, the TOSRA(test of science related attitude) and achievement test were administered. Two-way ANCOVA results revealed that the scores of the ICT-based TGT cooperative learning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learning groups for most of the TOSRA scales. However, there was a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three distinct scales of TOSRA, Normality of Scientists, Leisure Interest in Science, and Career Interest in Science. Advantage/disadvantage and usefulness of ICT-based TGT cooperative learning were also discussed.

      • 영재교육 참여경험이 중학생의 사교육과 학업성취의 기회불평등에 미친 영향 분석

        박순흥 인천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designed to understand the inequality of opportunity in the area of academic achievement in education, and to discus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to reduce the inequality of opportunity in schools of Korea. Based on the data of private education and gifted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over the period of past decade, this study analyzed the inequality of opportunity in the area of academic achievement of following subjects;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The longitudinal research data used in this study is according to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2005-2007) and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2010-2012 and SELS 2013-2015). The study targets consisted of 5,706 students for research period 1 (2005-2007), 3,737 students for research period 2 (2010-2012), and 3,171 students for research period 3 (2013-2015). All the students were in middle school. In this study, both the hierarchy linear model (HLM) and the stochastic dominance Theory (SD) were used. The hierarchy linear model (HLM) used in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level-1 model included school year variables, private education variables at three measurement points such as private education participation, log private education time, log private education cost, and interaction variables between school year and private education. The level-2 model included gifted education participation, father academic background, log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parental support variables.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 interaction between private education and school year on students’ academic growth rate of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were analyzed. The following is the stochastic dominance theory. The data of the third year(2007, 2012, 2015) for each research period are selected . The entire group wa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groups by learning factors such as time to study alone, private education cost, and gifted education experience. Then, the stochastic dominance between these two groups was analyzed by environment factors such as father academic background and household income in oder to confirm the existence of opportunity inequality. Then, using the Gini coefficient, the Gaecheon Yong Index (RR), and the ER polarization index, the degree of opportunity inequality and the change pattern were analyzed. A brief summary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th regard to the research problems is as follows: First, effect of academic growth by school year in all three subjects changed from negative correlation in period 1 to positive correlation in period 2, implying that selected group for gifted education during this period had learning traits that benefitted from gifted education experience which led to the increase of academic achievements. In upper group of private education cost category in period 2, subjects that also belonged in upper group of household income and father academic background had significant statistical dominance over lower group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s in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This means selected group for gifted education was private-education friendly. The following are the effects on the slope of the private education terms on academic achievement of the gifted. In both Mathematics and English, the negative correlation of research period 1 changed from positive correlation of research period 2. This means that the gifted students at this time were made up of students with learning characteristics that would encourage private education to receive more private education. Th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inefficiencies on academic performance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chool year and private education terms were analyzed over research period 1 2 3. As a result, both Mathematics and English changed from positive correlation in period 1 to negative correlation in period 2. This indicates that the more gifted group experienced in the research period 2, the more inefficiencies in private education investment. In the research period 2, the gifted group which is the upper group of household income showed a cross-status in stochastic dominance over the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and Mathematics in the group. This means that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experience group are different from the non-gifted experience group with the second level of stochastic dominance. In this study, using the ratio of the Gini coefficients for private education cost to the Gini coefficients for household income in comparison of detailed groups by learning factors, it was found that students tend to feel more suppression of private education when they had less private education cost, more studying alone and more gifted experience. The Gini coefficient and ER polarization index when combined, the more distribution equalization and anti-polarization of private education cost, the less stochastic dominance power was imposed on the condition of distribution equalization and anti-polarization of household income. However, the distribution equalization and anti-polarization of income at this time could mean that the selection system was advantageous to certain classes at the selection of the gifte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Gaecheon Yong index on father academic background and household income, the gifted education experience worked as a net function to properly decline the inherent inequality of opportunity for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to which the difference in the father academic background and household income attributed. In contrast, the inequality of opportunity for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by father academic background and household income worked as an adverse function that worsened. In case of English, the experience of a gifted education worked as a net function for a father academic background, and in the case of household income as an adverse function. All of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the upper group of private education spending and the lower group of studied alone hours showed the signs of overheating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in all research periods. The lower group of private education cost and studied alone hours showed the signs of spreading anxiety and conflict over private education. When income was based on the environment, the overall index of inequality had higher value than when father academic background was the environment factor. Similar variations were seen in most types of classified subgroups when they were not controlled or variable controlling learning factors, which could be inferred that they represent a crystallized class structure of overall opportunity inequality. Above all, the differences in spending on private education and studied alone hours among the sub groups changed depending on the socio-economic status of parents, and the result of competition for gifted students changed as well. Thus, the equity of academic achievement was undermined overall. Over the past decade, the role of education as a ladder of social mobility in Korean society has been crippled by the growth of role of socio-economic status of parents as a blocker of social mobility. Education inequality may come to the crystallized class structure, this study could identify a possible axis of the multidimensional inequality. 교육 영역에서의 학업성취의 기회불평등의 문제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학교현장에서 기회불평등 격차 개선을 위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연구 목적으로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중학생의 사교육과 영재교육 경험을 이용하여 국어, 수학, 영어 학업성취의 기회불평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종단연구자료는 한국교육종단연구 (KELS 2005~2007년)와 서울교육종단연구 (SELS 2010~2012년, SELS (2013~2015년) 자료를 활용하였고, 연구 대상은 국어 수학 영어 3과목의 수직척도화된 학업성취도 점수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구변수들에 결측치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연구시기①(2005~2007년) 5,706명, 연구시기②(2010~2012년) 3,737명, 연구시기③(2013~2015년) 3,171명의 중학생들로 패널을 구성하였다. 지난 10년간 교육성취의 불평등에 대한 효과적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위계선형모형(HLM)과 확률지배이론(SD) 두가지 연구방법을 같이 사용하였다. 먼저, 분석에 사용된 위계선형 조건모형은 다음과 같다. 1-수준 모형에는 측정 시점을 나타내는 학년변수와 세 측정시점에서의 로그 사교육 시간, 사교육 참여 여부, 로그 사교육 비용과 같은 사교육 변수, 학년변수와 사교육 변수간의 교호작용변수, 그리고 학생들이 인식한 교사열정 변수를 포함하였고, 2-수준 모형에는 영재교육경험, 아버지학력, 로그 월평균 가구소득, 부모지원 변수를 포함하여 지난 10년간 국어 수학 영어 학업성취도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사교육항과 사교육․학년 교호작용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다음은 확률지배이론으로, 각 연구시기별로 3차년도의 자료를 선택하여(2007, 2012, 2015년), 혼자공부시간과 사교육비 지출, 영재교육참여 경험과 같은 학습요인별로 상위, 하위집단을 나누고, 두 집단간 가구소득과 아버지학력에 따른 확률지배력을 분석하여 기회불평등의 유무를 검증하고, 지니계수와 개천용지수, ER양극화지수를 이용하여 지난 10년간의 기회불평등 정도와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들과 관련하여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재교육경험의 학년에 따른 학업성취 향상 효과가 국어, 수학, 영어 모두 연구시기①의 부적상관에서 연구시기②의 정적상관으로 반전된 것은 이 시기 영재선발집단이 영재교육경험이 학업성취도 향상에 도움이 되는 학습특성을 갖는 학생들로 구성되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연구시기②의 사교육비지출 상위그룹에서 가구소득과 아버지학력 상위그룹이 하위그룹에 대해 국어, 수학, 영어 학업성취에 대해 선명한 확률지배력을 보였다는 것은 이 시기 영재선발집단이 사교육친화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은 영재교육경험의 학업성취에 대한 사교육 경험항의 기울기에 대한 효과가 수학, 영어 모두 연구시기①의 부적상관에서 연구시기②의 정적상관으로 반전된 것은 이 시기 영재선발집단이 영재교육경험이 있을수록 사교육을 더 받는 사교육 조장 효과가 있는 학습특성을 갖는 학생들로 구성되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영재교육경험의 학업성취에 대한 사교육․학년 교호작용항의 기울기에 대한 효과는 수학, 영어 모두 연구시기①의 정적상관에서 연구시기②의 부적상관으로 반전되었다. 이는 이 시기 영재선발집단이 영재교육경험이 있을수록 사교육의 투자비효율성이 더 커지는 사교육․학년 보완효과에서 강화효과로의 전환이 있었음을 나타낸다. 연구시기② 영재교육경험그룹에서 가구소득 상위그룹이 하위그룹에 대해 국어, 수학 학업성취에 대해 확률지배력이 교차상태를 보였다는 것은 영재교육미경험그룹이 이차 확률지배로 약화된 것에 비하면, 이 시기 영재선발집단의 학습특성이 일반학생들과 다르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기회불평등 정도의 측정을 위해 도입한 가구소득 지니계수에 대한 사교육비 지니계수의 비의 값을 이용한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학습요인별 세부집단 비교에는 사교육비 하위집단이 사교육비 상위집단보다, 혼자공부시간 상위집단이 혼자공부시간 하위집단보다, 영재교육경험집단이 영재교육미경험집단보다 사교육이 다소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지니계수와 양극화지수 분석결과를 종합할 때, 영재교육참여 경험그룹에서 소득의 분포균등 및 반양극화 경향을 전제로 사교육비지출의 분포균등화와 반양극화가 강해졌을 때 국어 수학 영어 모두에서 학업성취에 대한 가구소득과 아버지학력의 확률지배력이 약화되는 패턴을 보였다. 그러나, 이 시기의 소득의 분포균등과 반양극화 경향은 영재선발시 특정계층으로 선발방식이 유리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아버지학력과 가구소득에 대한 개천용지수 분석 결과, 영재교육경험은 내재된 가구소득과 아버지학력으로 의한 국어 학업성취에 대한 기회불평등을 적절히 해소하는 순기능으로 작동한 반면, 아버지학력과 가구소득에 의한 수학 학업성취에는 기회불평등이 악화되는 역기능으로 작동하였고, 영어의 경우는 영재교육경험이 아버지학력의 경우는 순기능으로 가구소득의 경우는 역기능으로 작동되는 양상을 보였다. 국어 영어 수학 모두 사교육비지출 상위그룹과 혼자공부시간 하위그룹이 모든 연구시기에서 사교육비지출의 과열 양상을 보였으며, 사교육비지출 하위그룹과 혼자공부시간 하위그룹이 사교육불안의 확산 양상을 나타냈다. 월평균가구소득을 환경으로 하였을 때가 아버지학력이 환경인 경우에 비해 전반적으로 기회불평등 지수가 높게 나왔다. 학습요인을 통제하고 환경요인에 따른 기회불평등 정도를 분석한 결과 통제하지 않았을 때와 타입별 분류 그룹 대부분에서 비슷한 변화양상을 보여, 전체적인 기회불평등의 고착성을 나타낸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학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계층 간 혼자공부하는 시간과 사교육비 지출의 차이가 달라졌으며 영재교육으로의 선발 경쟁의 결과도 달라져서, 학업성취의 형평성은 전체적으로 저해되었다고 할 수 있다. 과거 한국사회에서 계층 간 이동의 효과적 수단이었던 교육이 지난 10년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을 받아 계층구조를 더욱 공고하게 하는 방향으로 작동되고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의 한 축을 확인할 수 있었다.

      • VPN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Network Management System의 구축에 관한 연구

        박순흥 중앙대학교 정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업의 경쟁력 개선 및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는 기업의 규모가 커지고 조직체계가 복잡해지면서 네트워크의 모습 또한 거대화 ․ 추상화 되는 양상을 띠고 있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일이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사안으로 대두되기에 이르렀다. 이처럼 네트워크 장애 발생 시 신속한 대처와 장애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중요해지면서, 네트워크의 상태 및 장애를 감시하는 시스템인 NMS를 도입하게 되었고, 현재 대부분의 네트워크에서 NMS가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NMS의 적용 방안을 고찰하기 위해 A정유사의 VPN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A정유사의 NMS 개발과 운영해본 결과 본사와 주유소 간 VPN 자동감시로 신속한 장애조치가 이루어졌고, 주유소 신규 개설시 환경변화에 신속한 대응체계 및 유연성이 확보 되었다. 또한 자동 관리 체계에 의한 관련부서의 업무 부담이 경감 되고, 장비 관리 효율화 및 신속한 장애 처리를 통하여 주유소의 다운 타임을 최소화 하였다. 마지막으로 NMS의 운영으로 네트워크 관리자의 업무부하가 줄어들고 보고서기능으로 분기별, 월별등 장비의 상태 및 트래픽분석이 가능해졌다. 이처럼 효율적인 NMS 운영을 통해 A정유사는 VPN 상황을 알 수 있고 어느 부분에 얼마만큼의 장비가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네트워크 투자에 대한 합리적이고 현명한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As the scale of business entity increases and its organizational system becomes complex, its network system which plays the role of improving and maintaining the competitiveness of business entity presents the aspect of enlargement and abstraction. Because of this trend, the management of network becomes more important than the construction of it. As the prevention of potential of network failure in advance and the timely countermeasure of it when failure occurs have become highlighted, business entities have introduced NMS, a system of monitoring the state and failure of network, and currently most of networks use NMS. In this study, an application strategy of NMS was examined on the basis of A oil refining company's VPN. As a result of operation of NMS, A oil refining company could cope with network failure promptly via an automatic VPN monitoring between the head office and gas stations. When a gas station being opened newly, A oil refining company could ensure a prompt countermeasure system and flexibility. In addition, its automatic managing system reduced the business of related departments and minimized the downtime of gas station's network through efficient management of equipments and prompt handling of failure. Finally, the operation of NMS reduced the workload of a network manager and made the monthly or quarterly analysis of equipments and traffic possible with its report function. In conclusion, by means of this efficient operation of NMS, A oil refining company could understand the status of VPN and find out the place and amount of necessary equipments, and furthermore will make the establishment of a reasonable and smart network possible for the investment of network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