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새로운 G5 소 로타바이러스주의 분자적 특성 규명

        박성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Group A rotaviruses are a major cause of acute gastroenteritis in young children as well as in many domestic animals. The rotavirus genome is composed of 11 segments of double-strand RNA and can undergo genetic reassortment during mixed infections, leading to progeny viruses with novel or atypical phenotyp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the bovine group A rotavirus strains, KJ44 and KJ75, isolated from clinically infected calves share genetic features with viruses obtained from heterologous species. All 11 genes sequences of the KJ44 and KJ75 strains were sequenced and analyzed. The KJ44 VP4 had 91.7% to 96.3% deduced amino acid (aa) identity to the bovine related P[1] strain, whereas the KJ75 strain was most closely related to the bovine related P[5] strain (91.9% to 96.9% aa identity). Both KJ44 and KJ75 strains also contained the bovine related VP3 gene. The remaining 9 segments were closely related to porcine group A rotaviruses. The KJ44 and KJ75 strains showed high aa identity to the G5 rotaviruses, sharing 90.4% to 99.0% identity. In addition, these strains belonged to the NSP4 genotype B, which is typical of porcine rotaviruses and subgroup I with the closest relationship to the porcine JL-94 strain.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bovine rotavirus strains with the G5 genotype occur in nature as a novel G genotype in cattle as a result of a natural reassortment between bovine and porcine strains.

      • 핵융합 시스템에서 방사화 분석 및 방사선 안전성 평가

        박성희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Currently, megawatt nuclear fusion reactors such as KSTAR and ITER are under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the demonstration of nuclear fusion. After completion, plasma emitting more than neutrons per second is last for a few seconds to several months. In this operating situation, the radiation environment inside the fusion reactor is created by the neutrons emitted from the plasma first, and secondly, by the collapsing gamma rays, which are activated by the neutrons to return to the stabilized state. This complex radiation environment causes the performance degradation and malfunction of the diagnostic equipment installed to check the normal operation of the plasma and fusion reactor during operation, and makes it impossible for workers to carry out maintenance work even after shutdown. Therefore, a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radiation environment of the fusion system is required for the safe working environment and efficient maintenance of the workers after proper radiation design and stop of the diagnostic equipment of the fusion reactor. In this study, the dose of the diagnostic equipment was calcul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nuclear fusion system through the MCNP, which is a Monte Carlo code. The R2S methodology was applied to derive the gamma source emitted by the activated structure, After shutdown, the radiation environment in the fusion reactor was calculat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ime and the location where the worker can enter after shutdown has been derived. After the reactor shutdown, diagnostic equipment was located due to the activation of DSM, and relatively high doses were confirmed in the port plug, which is considered to be frequently accessed by workers. Despite conservative assumptions, it seems that even after the recommendation period of ITER, the port plug can not be accessed beyond the limit, and the cooling time of about 110 days or more is considered necessary to enter. Conservative modeling of this study may have a large difference in calculation results due to the fact that many assumptions are added to the actual fusion model.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facility is using an unusual neutron source and the accumulation of activation through continuous operation is considered, additional shielding to reduce dose is desirable. We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shielding through the least change considering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fusion reactor. As a result, it was not a very effective mitigation measure, but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reducing dose sufficiently. Radiation calculations for various components in the system have also been performed and confirmed high radioactivity due to the long half-life Co and Fe nuclides generated by the influence of stainless steel, which occupies most of the structure. 현재 핵융합의 실증을 위해 KSTAR, ITER와 같은 메가와트급 핵융합로가 지속해서 연구 및 개발 중이다. 완공 이후, 초당 개 이상의 중성자를 방출하는 플라즈마가 짧게는 수 초에서 수개월 동안 유지된다. 이러한 운전 상황에서 핵융합로 내부의 방사선 환경은 일차적으로 플라즈마에서 방출되는 중성자에 의해 만들어지며, 이차적으로 중성자에 의해 방사화된 구조물들이 안정화 상태로 돌아가는 붕괴 감마선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러한 복합적인 방사선 환경은 운전 중 플라즈마와 핵융합로의 정상 작동을 확인하기 위해 설치된 진단 장비들의 성능 저하 및 오작동을 일으키며, 핵융합로 정지 이후에도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자들의 출입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따라서 핵융합로의 진단 장비들의 적절한 내 방사선 설계와 정지 이후 작업자들의 안전한 작업 환경 및 효율적인 유지보수를 위해서 핵융합 시스템의 방사선 환경에 대한 면밀한 파악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몬테카를로 코드인 MCNP를 통해 이러한 핵융합 시스템을 모델링하여 운전되는 동안 진단 장비들이 받는 선량에 대한 계산을 수행하였으며, R2S 방법론을 적용하여 방사화된 구조물에 의해 방출되는 감마 선원을 도출하여, 원자로 정지 이후 핵융합로 내의 방사선 환경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핵융합로 정지 이후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한 지점 및 시점을 도출하였다. 원자로 정지 이후 DSM의 방사화로 인해 진단 장비들이 위치하여 작업자의 출입이 잦을 것으로 판단되는 port plug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선량을 확인하였다. 보수적인 가정에도 불구하고 ITER의 권고인 초 이후에도 port plug 내에서는 선량한도를 초과하여 접근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되며, 진입을 위해서는 약 110일 이상의 냉각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보수적인 모델링은 실제 핵융합로 모델에 많은 가정이 더해져 계산 결과에 큰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이례적인 중성자 선원을 사용하는 시설이라는 점과 지속된 운전을 통한 방사화의 누적을 고려한다면 선량을 저감화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차폐는 충분히 고려해볼 만한 사항이라 생각한다. 핵융합로의 복잡한 구조를 고려하여 가장 최소한의 변화를 통한 차폐의 가능성을 확인해보았다. 그 결과 매우 효율적인 저감화 방안은 아니었지만, 충분히 선량을 저감화시킬 가능성을 보였다. 시스템 내의 다양한 component에 대한 방사화 계산 또한 수행되었으며, 구조물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stainless steel의 영향으로 인해 생성된 장 반감기의 Co 핵종과 Fe 핵종으로 인한 높은 방사능을 확인하였다.

      • 결함의 수용 : 결함의 효과적인 사용으로 생성된 시각표현 결과물

        박성희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As the modern society becomes mechanized and digitized, failure is gradually further away from our life, and the attitudes of people who do not tolerate errors or mistakes become accustomed to. Also in the design area, works are carried out with utmost care and in fine detail, in order not to allow errors in from the most basic tools such as grids and color up to the final stage such as printing. In this study, without focusing on the perfection, the starting point was the attention to abandoned aspects due to failure and mistakes. A word 'defect' was chosen to express such incompleteness, which was interpreted to be a faulty part since it was insufficient or incomplete. Therefore, the defect itself i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and interesting material, rather than discarding or fixing the defect and starting over. Being a starting point to find a novel visual expression, the defect is a way that can show another visual domai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n attitude of enjoying the defect itself, not looking to find a solution to prevent it. Based on these concepts, works were carried out in such a way that an output of good emotion could be elicited out of defects through interesting visual elements brought by various forms of defects. 현대사회가 기계화되고 수치화 되어감에 따라 실패는 점점 우리 생활과 거리가 멀어지고 오차나 실수를 용납하지 않으려는 사람들의 태도에 익숙해져 간다. 디자인 분야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도구에 포함되는 그리드와 색, 마지막단계인 인쇄까지도 오차를 허용하지 않기 위해 세밀하고 신중하게 작업을 진행한다. 이 논문에서는 완벽함에 초점을 두지 않고, 그 이외에 다양한 이유로 만들어지는 실패와 실수로 인해 버려지는 부분들에 관심을 두는것으로부터 시작하였다. 이러한 불완전함들을 통틀어 결함이라는 단어로 표현하였고, 그 해석을 부족하거나 완전하지 못하여 흠이 되는 부분 이라 하였다. 그래서 결함을 버리거나 고치고 다시 시작하자는 입장이 아닌, 결함 그대로를 의미있고, 흥미로운 소재로 여긴다. 결함은 새로운 시각표현을 찾을 수 있는 시작이 되어 또 다른 시각표현영역을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이다. 결함을 해결하기위한 방법의 모색이 아니라, 그 모습 자체를 즐기고자 하는 자세로 연구하였다. 작업 또한 이러한 개념들을 바탕으로 여러 형태의 결함이 가져오는 흥미로운 시각요소들을 통해 결함을 좋은 감정의 결과물로 이끌어내는 작업으로 진행하였다.

      • 과학 실험실 안전과 폐기물 처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박성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초 · 중 · 고등학생들의 실험실 안전과 실험 후 발생하는 화학 폐기물 처리에 대한 인식을 탐구하기 위한 설문지를 고안하였다. 강원도 내 초 · 중 · 고등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실험실 안전에 대한 지식, 행동, 보건, 태도와 화학폐기물 처리를 묻는 검사 결과, 고등학생이 초등 학생보다 실험실 안전의식이 약하고 중 · 고등학생에서 실험실 안전의식은 성별에 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자 고등학생은 초등학생, 남녀 중학생, 여자 고등학생보다 실험실 안전의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화학실험 폐기물 처리에 있어서는 학년이 높아 질수록 올바른 방법으로 처리 하였고, 학년이 낮아질수록 방치하거나 지도 교사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았다. This study used SLSWDA (School Lab Safety and Waste Disposal Assessment) test(Cronbach α=.77) and investigated students’ understanding and practices of school lab safety and waste disposa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Kang-won province, 250 students in all were assessed and asked knowledge, behavior, health and attitude for lab safety and waste disposal. High school students showed lower recognition of lab safety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no gender difference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observed. High school male students showed lowest recognition of lab safety than any other group in this study however. In contrast, higher the grade, higher the score for waste disposal, and lower the grade, higher the tendency of dependence on teachers or of no-concern.

      • 한국어 음운 변동 규칙의 교육 방안 연구 :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박성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려는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국내 주요 대학의 한국어 초급 교재에서 제시하고 있는 음운 변동 규칙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결과에 따른 음운 변동 규칙의 순서를 제시하고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한국어 음운 변동 규칙에 대한 교육은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학습할 때 초급 단계부터 고급 단계까지 지속적으로 다루어져야 하는 발음 항목이므로 체계적인 학습 단계가 필요하다. 단계가 높아질수록 어휘량은 점점 많아지고, 문장도 복잡해지고 길어진다. 여기에는 다양한 음운 변동 규칙이 포함되어 있지만 한국어 음운 변동 교육에는 음운 변동 현상들이 자세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아 발음하는 과정에서 많은 오류가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정작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은 발음의 정확성이 아닌 상황에 맞는 내용이 전달된다면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발음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음운 변동 규칙의 교육 방안을 연구하였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목적을 제시하고 지금까지 발표된 한국어 발음 교육에 관한 연구와 한국어 음운 변동의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한 연구를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한국어 음운 체계로 모음체계와 자음체계를 설명하였고, 한국어 음운 변동 규칙에 관한 내용으로는 한국어 표준 발음법을 기준 삼아 ‘받침의 발음, 소리의 동화, 된소리되기, 소리의 첨가’로 나누어 음운 변동 규칙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국내 주요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에서 제시하고 있는 음운 변동 규칙에 관련된 항목과 내용 구성을 자세하게 살펴보고, 각 교재에서 제시하고 있는 음운 변동 순서의 차이는 무엇이 있는지 비교·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비교·분석한 한국어 교재 내용과 김형복(2004)에서 음운 변동 규칙의 교수-학습 순서를 정하고, 단계 학습을 하는 일반적인 기본 원칙으로 제시한 ‘간단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쉬운 것에서 어려운 것으로, 일반적인 것에서 특수한 것으로, 규칙적인 것에서 불규칙적인 것으로, 사용 빈도가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 정하는 것’을 기반으로 ‘음절의 끝소리 규칙 → 자음군 단순화 → 연음 → 후음탈락 → 격음화 → 경음화 → 구개음화 → 자음동화 → /ㄴ/첨가 → 사이시옷’ 순으로 음운 변동 규칙 순서를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교육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를 제대로 발음하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받침 관련 규칙으로 ‘음절 끝소리 규칙’과 ‘자음군 단순화’규칙, ‘연음 규칙’을 학습해야한다. 둘째, 한국어 학습자 스스로 발음 연습할 때 발생하는 오류 발음을 수정할 때 단순한 청각자료만이 아닌 시각자료를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음운 변동 규칙의 다양한 용어들을 억지로 외우게 하지 말고 변동이 일어나는 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꾸준한 반복연습을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교사는 한국어 음운 변동 규칙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한 지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국내 주요 대학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초급 교재의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음운 변동 규칙 순서 제시와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미디어의 의존형태와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이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수도권 거주 이주민의 경우를 대상으로

        박성희 숭실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의 의존형태와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이 이주민의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문화적응의 심리적 · 행동적 차원에 미디어 의존행태 세부항목(사회적 이해 · 개인적 이해 · 행동 지향적 · 상호작용 · 사회적 놀이 · 개인적 놀이)과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세부항목(개인적 속성 · 커뮤니케이션 기술 · 심리적 적응 · 문화적 인지)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미디어와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이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여러 가지 다양한 이유로 한국을 찾는 사람들이 한국의 문화에서의 적응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서울 경기)에 거주하는 이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주민들의 심리적 문화적응에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능력 가운데, 문화적 인지(0.431)과 커뮤니케이션 기술(0.302)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제변수 가운데 연령은 심리적 문화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동적 문화적응에 대한 분석결과 사회적 이해를 위한 미디어의 사용이 증가할 경우, 이주민들의 행동적 문화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능력 가운데는 심리적 문화적응의 분석결과와 같이 문화적 인지(0.416)와 커뮤니케이션 기술(0.313)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통제변수 가운데 연령은 행동적 문화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한국의 사회적 가치, 관습, 규범 등에 대한 인지와 존중의 수준을 의미하는 문화적 인지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은 이주민들의 심리적․행동적 문화적응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 사람들과의 적극적인 의사소통능력으로 대변되는 커뮤니케이션 기술 또한 심리적․행동적 문화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이주민들의 원활한 한국문화로의 적응을 위해서는 정신적 측면에서 한국 문화의 우수성과 장점 등에 대해 적극적인 전파와 이해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이주민들이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나아가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게끔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는 결과적으로 이주민들의 문화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에, 이주민의 개인적 측면 그리고 사회적 측면에 있어서도 필요시 되는 바이다. 더불어 기술적 측면에서 이주민들의 문화 커뮤니케이션 기술 능력에 대한 다양한 교육이 중요시되는 바이다. 즉, 실질적으로 이주민들의 우리나라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이를 스스로의 노력에만 국한시키기 보다는 우리 사회적으로 다양한 교육기관의 적극적인 노력과 활용이 필요시 되는 바이다. 특히 교육은 이주민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삶을 이야기하며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줄 수 있다. 이는 이주민들이 한국인으로 자리 잡아가는 중요한 과정이 될 것이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form of media dependency and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on the cultural adaptation of immigrants has been analyzed. The effect of the sub-criteria of the form of media dependency in terms of psychological · behavioral dimension of the cultural adaptation(Social understanding · Personal understanding · Action-oriented · Interaction · Social play · Personal play) and the sub-criteria of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Personal characteristics · Communication skills · Psychological adaptation · Cultural recognition) has been investigated. By conducting a study about the effect of media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on the cultural adaptation, it is intended to draw the implications of the adaptation of Korean culture for people who come to Korea for all sorts of reasons. For this, the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immigrants in the Capital region (Seoul, Gyeong-gi) has been conducted and based on its results,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taken. The analytical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mong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of immigrants, cultural recognition (0.431) and communication skills (0.302)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psychological acculturation. Moreover, among control variable, it was found that age variable has negativ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acculturation. Second, the analytical result of behavioral acculturation showed that in the case of the increase in the use of media for social understanding, it appealed t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behavioral acculturation of immigrants. Among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s, it was found that the cultural recognition (0.416) and communication skills (0.313) have positive (+) effect which is identical to the analytical result of psychological acculturation. On the other hand, among control variable, age appeared to have negative(-) effect on the behavioral acculturation. Using the study result as reference, it shows that the communication about recognition of the social value, custom, norms etc. of Korea and cultural recognition which signifies the standard of respect, improves psychological · behavioral acculturation of immigra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ommunication skills which may be indicated by the capability for the active communication with Koreans, also have the positiv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 behavioral acculturation. Based on this result, efforts of active diffusion and understanding for the excellence and advantages of Korean culture are necessary for the harmonious adaptation of immigrants in the Korean culture. Through this, it requires effort to enhance interest of immigrants on Korean culture and support. Since this consequently has positive effect on the cultural adaptation of immigrants, it is regarded as essential for the personal and social aspect of immigrants. Additionally, in respect to the technical aspect, diverse education on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s of immigrants, is valued. In other words, immigrants should materially have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Koreans. Instead of confining this to one’s own effort, socially, more proactive effort and use of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is necessary. The education in particular, may develop ability of immigrants to talk about their lives and communicate. This will be a valuable process for immigrants to settle in Korea as part of its society.

      • 쇼팽 연습곡(Etude)의 연주 주법에 관한 고찰

        박성희 성신여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쇼팽의 연습곡은 손가락 연습 위주였던 그 이전 시대의 연습곡과는 달리 손가락 움직임의 다양한 연습만이 아니라 음악적 표현력을 함께 공부해야 하는 수준 높은 연주회용 작품이다. 그의 연습곡은 피아노를 공부하고 연주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그의 작품을 이해하고, 여러 가지 기교적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본 논문은 쇼팽 연습곡을 연구함으로써 피아노 연주기술의 향상은 물론 쇼팽음악의 다양한 음악적 표현력을 증진시키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쇼팽 연습곡에 대한 연주기술 가운데 크게 네 가지 테크닉을 연구하였다: 왼손의 도약과 음계 연습, 겹음 연습, 분산화음 연습, 표현을 위한 연습. 먼저 곡의 음악적 해석을 위하여 쇼팽만의 독특한 선율, 화성 그리고 리듬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이상 네 가지 테크닉과 연관되는 손과 손목, 팔꿈치와 팔 등의 다양한 신체 부위를 이용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연구하였다. 왼손 연습은 도약진행과 음계로 나누어서 설명하였다. 도약진행의 경우 Op.10, No.9를 음악 예로 들어서 넓은 음정에서의 왼손 반주음형에 대한 쇼팽의 특징적인 왼손도약을 설명하였다. 쇼팽은 이 곡에서 5번 손가락이 베이스 지속음 역할을 하고 3, 4번 손가락들은 지속음 C를 반복하며 1번 손가락은 오른손 선율과 함께 진행하는 성부를 담당하게 함으로 왼손 한손에서 여러 성부의 역할을 동시에 담당하는 기술을 요구한다. 또한 Op.10, No.12의 왼손연습에서는 음계를 독립적인 손가락으로 고르게 소리 내는 연습에 중점을 두었다. Op.10, No.7을 예로 든 겹음 연습에서는 단순 겹음이 아니라 3도와 6도가 번갈아 나오는 음형에 관해 연습하게 했고, Op.10, No.10은 1, 2, 5번의 단단한 손가락과 손목의 유연함으로 6도와 옥타브를 동시에 연습하는 효과를 주었다. Op.25, No.10은 옥타브의 레가토 연주를 통해 옥타브와 반음계를 동시에 연습하는 곡이다. 위의 겹음 곡들은 다섯 손가락의 고른 힘을 기르는 연습과 더불어 특히 3, 4, 5번의 손가락 힘의 강화를 통해서 다양한 음색 표현을 공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산 화음을 연습하는 곡으로는 분산화음의 성격이 다른 두곡을 선택하였다. Op.10, No.1은 오른손의 다섯 손가락 사이 모두를 넓게 벌린 상태에서 빠르고 단단한 손가락과 동시에 유연한 손목운동을 요구하는 곡이다. 흰건반보다 좁은 검은 건반의 분산화음을 연주해야 하는 Op.10, No.5는 Op.10, No.1보다 더 빠른 손목의 로테이션을 요구하는 곡이다. 두 곡 모두 실수 없이 타건하기 위해서는 각 손가락의 독립성을 바탕으로 이완된 손목을 이용하여 왼손에서 나오는 선율과의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다양한 표현 연습을 위한 곡인 Op.10, No.3은 쇼팽의 대표적인 표현법인 템포 루바토를, Op.25, No.5는 미묘한 터치의 감각을 요구하는 레지에로의 표현에 집중하고 있다. More than any other composer, Chopin transformed the piano into an ideal medium for Romanticism. He created entire new sound worlds of pianistic melancholy, and delicacy; technically, he developed a range of power and brilliance that far outshone the efforts of the virtuoso pianist of his day. Chopin's Etudes ("studies"), which are still unequaled for perfecting keyboard technique, have as distinct a "character" as any other romantic miniature. This thesis aims at understanding Chopin's various musical expressions with Chopin's etude to improve piano technique. I selected four types of Chopin's piano techniques on the pieces of Chopin's Etudes and studied: left hand technique, double sound technique, arpeggio techniques, and articulation technique. The use of different body parts, such as hands and wrists, elbows and arms, related with the four techniques were analyzed; Chopin's characteristic melodies, harmonies, and rhythms were also analyzed for the musical interpretation of compositions based on Chopin's etudes. Left hand practice can be explained, dividing into skips and scales; Op.10, No 9 was used to explain Chopin's characteristic left hand skips in the left hand play figures with wide intervals. The fifth finger functions for base pedal points; the third and fourth fingers repeat petal point C; the first finger goes together with the right hand voices, which require the technique for the left hand to perform various voices simultaneously. In the left hand practice of Op. 10, No. 12, playing musical scales equally with independent fingers was focused on. In double sound practices, musical figures with alternate 3rd degree and 6th degree sounds were practiced in Op.10, No. 7 instead of simple double sounds; Firm fingers and flexible wrist play 6th degree sound and octaves at the same time in Op. 10, No. 10. Simultaneous plays of octaves and chromatic scales were analyzed through legato plays of octaves in Op.25, No. 10. The double sound compositions mentioned above are to strengthen the five fingers equally and to learn diverse timbre expressions through strengthening fourth and fifth fingers. Two composition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 arpeggios were chosen to practice arpeggios. Op. 10, No. 1 requires practices of quick and firm but flexible movements of the wrist, with five fingers of the left hand spread wide. Op. 10, No. 5 which should be played with more of narrower black keys requires faster rotations of wrist than Op. 10, No. 1. In order to play these two compositions without fault, there should be a harmony with the melodies played by the left hand with relaxed wrist based on independent fingers. For legato, tempo rubato, Chopin's exemplary expression, was focused on with Op.10, No.3; leggiero expressions which require delicate sense of touch was focused on in .Op. 25, No. 5

      • 유아교육기관 및 초등학교의 교사가 지각한 창의적 작업환경 특성 분석

        박성희 慶南大學校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기관의 창의적 작업환경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지침을 제공하여 유아교육기관 및 초등학교의 교사가 창의적 작업환경을 구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데 있다. 이에 창의적 작업환경을 측정하는 도구로 널리 쓰이는 KEYS(Amabile, 2010)를 사용하여, 창원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및 초등학교의 창의적 작업환경을 측정하였다. 이는 총 78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0개의 하위 요인 즉 ‘자율(Freedom)’(4문항), ‘진취적인 업무(Challenging Work)’(5문항), ‘관리자의 격려(Managerial Encouragement)’(11문항), ‘동료교사의 지지(Work Group Support)’(8문항), ‘교육기관의 지원(Organizational Encouragement)’(15문항), ‘교육기관의 장애(Lack of Organizational Impediments)’(12문항), ‘충분한 자원(Sufficient Resources)’(6문항), ‘업무 부담(Realistic Workload Pressure)(5문항)’, ‘창의성(Creativity)(6문항)’, ‘생산성(Productivity)’(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사용된 KEYS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창의적 작업환경과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 분석을 통해 그 요소와 특징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전문가 협의 과정을 거쳤다. 이를 바탕으로 분석의 틀을 만들고 창원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및 초등학교의 교사 610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작업환경 중 관리자의 격려, 충분한 자원, 업무 부담에 대한 인식이 초등학교의 창의적 작업환경에 대한 인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및 초등학교의 교사들은 동료교사들에게 다양한 측면에서 서로에게 도움을 주고받았으며, 서로 원활한 의사소통 및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해 상호 개방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서로의 업무에 대해 건설적인 도전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은 스스로 업무를 결정할 수 있는 권한과 자기 주도적으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자율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리자의 감시와 평가를 받지 않고 과업의 목표를 세우는 것이나 수행 방법 또는 수행 시기 등을 교사 스스로 자유롭게 결정 하는 것 등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한편, 초등학교 교사들은 본인의 업무에서 창의성을 발휘하거나 창의적인 방식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것에서 부족함을 느끼고 있었으며, 스스로 창의적인 조직이라 칭하기에는 부족함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그리고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진취적인 업무와 동료교사의 지지 간에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관리자의 격려가 잘 이루어질수록 교육기관의 장애 측면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이 창의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효율적이고 능률적인 조직이 되기 위해서는 창의적 작업환경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초등학교에서는 관리자의 격려와 교육기관의 지원이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창의적 작업환경으로 구성하는 것은 관리자의 격려가 잘 이루어지고 있으며, 아울러 교사들이 창의적이고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소규모(18학급 이하) 학급의 초등학교에서 창의성을 장려하는 문화가 조성되어 있었으며 교사들의 아이디어에 대해 공정하고 건설적인 비판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교사들의 창의적인 업무 수행에 대해 보상과 인정을 해주며, 교사들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그러한 아이디어가 활발히 교류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공동의 비전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교사들이 과도한 시간 압력이나 성과에 대한 비현실적인 기대 또는 창의적인 업무에 대한 혼란 등이 비교적 적었으며,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며, 생산적인 조직으로 확신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유아교육기관은 대규모(10학급 이상) 학급의 교사들이 업무 부담이 적었으며, 효율적, 능률적으로 일하는 조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e work environment as perceived by teachers in the kindergartens and the elementary schools. For this purpose, a scale called KEYS, constructed by Amabile (2010) to measur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e work environments in certain organizations, was given to teachers in the kindergartens and the elementary school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re there any differential perceptions of the creative work environment between teachers in the kindergartens and the elementary schools?, 2) How do teachers perceiv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a creative work environment of the educational organization they belong to?, and 3) Are there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reative 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awareness of the creative work environment of the kindergarten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public elementary schools when considering managerial encouragement, sufficient resources and realistic workload pressure. Secondly, the kindergartens and the public elementary schools teachers communicate each others and help each others to share new ideas. Further, teachers of the kindergartens and the public elementary schools encouraged each others to challenge in their job. On the other hand, teachers in the kindergartens possess less freedom and rights doing their job independently.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selecting method and time unsupervised has not been performed well. The public elementary schools teachers feel that their way of doing job is not creative, and at the same time, their schools is not a creative organization. Tertiary, especially in kindergartens, it show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challenging work and work group supports. On the other hand, in the public elementary schools, it show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managerial encouragement and organizational encouragement. It show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creative work environment and productivity in the kindergartens and the public elementary schools. Fourthly, small-scale elementary schools with less than 18 classes encourage creativity and new ideas among teachers, and have fair and constructive evaluating system for creativity and new ideas. The idea has been exchanged and shared with each other actively. In addition, unrealistically high expectations for outputs and confusion for creative works are rare. On the other hand, large-scale kindergartens with more than ten classes require teachers work less, and are recognized as efficiently working organizations.

      • 개항이후 1940년대까지의 국내 합성염료에 관한 연구

        박성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synthetic dyes introduced to South Korea since the opening of ports in 1876 through the 1940s, summarizing the synthetic dyes introduced to South Korea and discussing the phases of the development through an analysis of the printed media.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search focusing on the printed media issued since the opening of ports in 1876 through 1949 and analyzed the pos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synthetic dyes to the relics in the modern period through the measurement of colors based on this. The synthetic dyes began as Mauve was synthesized in 1856. It has begun to be introduced to Joseon in earnest since its opening of ports in 1876. The early synthetic dyes came in through intermediary trade with China, Japan, and Russia, and as it concluded a treaty of amity with the western powers and started trading with them, some countries such as the U.K. and Germany, directly exported dyestuff to Joseon. Earlier than this period, the western pigments and dyestuffs had been handed down through China’s intermediary trade. In Joseon, the pigments coming from the west were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names of the colors by putting the letter, ‘Yang’ meaning a foreign country, and some pigments such as Yangcheong, Yanghong and Yangnam shared their names with the dyestuffs. Later, as the volume of the introduced synthetic dyes increased with the vitalization of trade, the same principle could not apply, so they were subdivided, borrowing the existing names of colors and the names of natural dyestuffs. In the 1930s, with Campaigns to wear Color Garments and the modernization of industries, synthetic dyes became popularized and the market expanded. The Campaigns to wear Color Garments in the 1930s were led by the government agencies, which were carried out forcibly and fast: e.g. People wearing white clothes were prohibited to enter public offices, or black paint was shot. Accordingly, each family dyed the existing clothes and wore dyed clothes. The education of dyestuffs and dyeing methods spread to each family through the Class of Synthetic Dyestuff, schools and printed media in the regions. On the premise that the education of dyeing methods for wearing colored clothes should be able to be attempted easily at each family, the dyeing methods were developed, centering around simple direct dyes, acid dyes, basic dyes and sulphur dye. Since the mid-1930s, the modernization of the industries has advanced. Like other modern countries, the textile industry was mainly developed, in which less capital should be invested, and it would be easy to secure the market, and at factories with large facilities, weaving and dyeing fabrics were conducted in a lump. Especially, in the late 1930s, the rayon textile industry revived, so it was checked by Japanese companies. The use of synthetic dyes that have been kept for family us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ies expanded to the kinds and dyeing methods suitable for the industry. This attempt led to the introduction of acid mordant dye and azoic dye with difficult dyeing methods but good fastness in the 1940s. It seems that the somewhat complicated dyeing methods unlike those of the existing dyestuffs were used without difficulty because of higher technical/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entry of the experts who came from Japanese weaving factories. In addition, this group of experts became the main axis filling the technology gap caused by the Japanese advanced technicians’ return to their home at a stroke, who had worked at dyeing and weaving factories since 1945. The usual color name written together in the print media to express the colors of the synthetic dyes in writing are the materials that show the common views of colors at the time. The usual color names used for descriptions were mainly the names of the colors that had been used from the previous times or the materials of natural dyeing. To check if the synthetic dyes were actually used in the relics in the modern period, the colors were compared through the measurement of the colors. To do so, malachite green, which appeared continuously from the 1870s through the 1940s and had less possibility of replacement by natural dyes was selected as a color appropriate for the measurement of the color, and the colors of four relics showing the colors, similar to the dye sample provided by dyestuff/chemical company, Dystar were measured.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relics and the dye sample, ΔE is 19.54, 11.20, 26.26 and 27.38, respectively. For the colors of the relics and the sample, ΔE was over 0.6 based on the standard range of color difference (NBS unit), they were the colors looking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to the naked eye. However, three relics commonly had the bigger value of yellowness than the dye sample. It seems that yellowing affected the process of storing the relics because of UV or discoloration by time. 본 연구는 1876년 개항 이후부터 1940년대까지 국내 유입된 합성염료에 관한 것으로 인쇄매체 분석을 통하여 국내에 합성염료가 유입된 후 사용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또한, 합성염료와 병기된 관용색명과 유물을 복합적으로 고찰하여 색명에 따른 색상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했다. 이와 함께 합성염료의 사용례를 확인해 보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유물 측색을 시행하였다. 합성염료는 1856년 최초의 염기성염료 모브(Mauve)가 합성되면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조선에는 1876년 개항 이후 합성염료가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중국과 일본, 러시아의 중개무역을 통해 들어왔으며, 영국과 독일 등 일부 염료 생산 국가에서는 조선에 염료를 직접 수출하였다. 이렇게 유입된 새로운 염료에는 외국을 의미하는 ‘양(洋)’자를 붙여 기존 색명과 구분하였는데, ‘양청(洋靑)’, ‘양홍(洋紅)’, ‘양남(洋藍)’ 등의 일부 양색명은 안료와 염료를 구분하지 않고 함께 사용되었다. 그러나 무역의 활성화로 유입되는 합성염료의 종류가 다양해지자 전통 색명에‘양’자를 붙이는 명명법으로는 모든 염료의 색상을 표현할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양색명’의 대안으로 기존의 색명과 천연염료 명칭을 차용하여 합성염료의 색상을 세분화하여 표시하게 되었다. 1930년대에는 색복장려운동으로 인해 합성염료가 대중화되고 시장이 확대되었다. 색복장려운동은 정부기관의 주도로 시행되었는데, 백의를 입을 경우 관공서의 출입을 금하거나 물총으로 검은색 물감을 쏘는 등 강제성을 띄고 급격하게 진행되었다. 이에 맞춰 각 가정에서는 기존의 옷을 염색해 색의로 만들어 입었다. 염료와 염색법에 대한 교육은 지역의 염색강습회와 학교, 인쇄매체 등을 통해 실시되었다. 이에 따라 색복장려를 위한 염색 교육은 가정에서 간편히 시도할 수 있어야 한다는 취지에서 염색법이 간단한 직접염료와 산성염료, 염기성염료, 황화염료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1930년대 중반부터는 공업화된 설비를 갖춘 산업시설들이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우리보다 먼저 근대화 과정을 거친 다른 나라들처럼 초기 자본이 적게 들고 시장 확보가 용이한 직물업 위주로 발전되었으며, 대규모 설비를 갖춘 공장에서는 직물의 제직(製織)부터 염색까지 일괄적으로 이뤄졌다. 특히 1930년대 후반에는 인견업이 부흥하여 일본 기업의 견제를 받기도 하였다. 공업의 발달과 함께 가정용으로 머물러 있던 합성염료의 적용 범위가 공업에까지 확대되면서 대량 염색에 적합한 염법과 염료가 수입되었다. 합성염료가 공업에 적용되면서 1940년대에는 염료를 배합하여 원하는 색을 만들어 염색하는 방식이 등장하였으며, 염색법은 까다롭지만 견뢰도가 좋은 산성매염염료와 아조익염료(Azoic dye)가 유입되었다. 산성매염염료와 아조익염료는 기존의 염료에 비해 염색 과정이 다소 복잡하였으나, 업계에 진출해 있던 고등공업교육기관과 일본 직조공장 출신의 전문가들에 의해 어려움 없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등염색교육을 받은 이들 전문가 집단은 해방이후 염직(染織) 공장에서 근무하던 일본인 고급기술자들이 일거에 귀국하며 초래된 기술 공백을 메꾸는 주축이 되었다. 합성염료의 색상을 보조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병기된 관용색명은 주로 이전 시기부터 사용해 온 색명 혹은 천연 염색의 재료, 식물의 색상을 통한 묘사가 주를 이루어 나타났다. 특히 천연 염색의 재료가 바탕이 된 관용색명이 병기된 합성염료를 통해 당시 천연염재로 내었던 색상을 구체화할 수 있는 자료였다. 실제 근대기 유물에 합성염료가 사용되었는지를 확인해 보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이상의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측색을 통한 색상 비교를 시행하였다. 측색을 위한 대표색으로 선정한 말라카이트 그린은 187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가장 꾸준히 등장하였으며, 천연염색의 대체 가능성이 적어 합성염료의 사용례를 확인하기 위한 시도인 측색 목적에 가장 적합할 것으로 보았다. 또한 말라카이트 그린은 독성물질로 분류되어 현재는 생산되지 않는 염료로써 유물을 통해서만 색상의 유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도 측색 대상으로써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말라카이트 그린의 염색견본은 염료·화학업체 다이스타(Dystar)에서 제공받아 사용하였으며, 측색을 위해 유사한 색을 보이는 유물 네 건을 선정하였다. 유물과 염색 견본의 색차 ΔE는 각각 19.54, 11.20, 26.26, 27.38이다. 이 수치는 표준색차범위(NVS unit) 기준으로 보면 육안으로 보았을 때에도 다르게 보이는 범주에 해당되었다. 그러나 CIE LAB 값을 각각 분석해 보면 명도(L*)와 적색~초록색(a*) 값은 유물과 염색견본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노란색~파랑색(b*)값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3건 모두 유물이 염색견본보다 노란 값이 크게 나타난 것을 확인했다. 이는 유물의 보관과정에서 자외선 혹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퇴색되어 황변(黃變)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결과로 보인다.

      • 대만 관광텍스트의 문화소 번역 전략 연구 : 대만 관광청 웹 사이트〈交通部觀光局〉을 중심으로

        박성희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旅遊是感受各種文化的渠道,是開闊眼界的手段。近年來,隨着經濟狀況的好轉,出國旅遊的人數越來越多。其中,旅遊勝地臺灣就深受韓國遊客喜愛。據韓國觀光公社提供的統計資料顯示,臺灣的韓國遊客正在持續增加。因此,筆者認爲臺灣的觀光旅遊信息具有翻譯和提供的必要,以便讓更多的韓國遊客認識和了解臺灣。在旅遊文本翻譯的過程中,文化元素翻譯是必須跨越的重要難關,這是本研究的目的所在。因此,本論文選取了臺灣觀光局網站〈交通部觀光局〉的旅遊文本作爲研究對象,對文化元素翻譯的實例進行分析。 第二章理論基礎中,參考了關於文化元素的先行研究,定義了文化元素的概念,並制定了文化元素的韓譯策略。此外,本研究還立足於Reiss的文本類型理論,結合了文本類型的特徵及旅遊文本。旅遊文本是具有信息性、表達性、呼喚性的文本類型特徵。本論文從這三個特徵出發,制定了〈交通部觀光局〉的翻譯方向。 在本研究中,筆者將臺灣旅遊文本中文化元素的韓譯策略主要分爲了詞彙、句子、文章三個層面,並對實例進行了分析,證明了策略的實用性。其中,在詞彙方面文化元素的翻譯策略爲:(1) 中文音譯;(2) 漢字音譯;(3) 中文音譯+漢字音譯;(4) 意譯;(5) 音譯+意譯;(6) 顯化;(7) 文化代替語;(8) 上位語; (9) 省略;在句子方面文化元素的翻譯策略爲:(1) 意譯;(2) 慣用句代替;在文章方面中文化元素的翻譯策略爲:(1) 顯化;(2) 句式變化。 本論文的研究過程中,雖有一些遺憾之處,但仍具有一定的意義。第一,在國內還沒有關於臺灣旅遊文本中文化元素的翻譯研究。第二,本論文在分析翻譯實例的同時證明了旅遊文本中文化元素的韓譯策略的實用性。特別是將詞彙方面文化元素的翻譯策略細化爲九個階段,這是本文最大的價值所在。希望本論文中提出的一些研究思路以及翻譯策略,能夠爲臺灣旅遊及臺灣旅遊文本中文化元素翻譯帶來些許幫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